오스트리아의 사법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의 사법부는 일반 법원, 행정 법원, 헌법재판소로 구성되며, 사건의 관할에 따라 나뉜다. 일반 법원은 민사 및 형사 사건을 담당하며, 최고 법원은 최고재판소이다. 행정 법원은 행정 행위에 대한 사법 심사를 수행하며, 최고 법원은 최고행정재판소이다. 헌법재판소는 법률의 헌법합치성을 심사하며, 오스트리아에서 유일하게 법률에 대한 사법 심사 권한을 가진다. 판사는 독립적으로 임명되며, 임기에 제한이 없고 정년이 있다. 오스트리아는 1920년 켈젠 헌법을 통해 헌법재판소에 사법심사 권한을 부여하여, 법률의 위헌 여부를 심사하는 중앙 집중식 시스템을 채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정치 - 오스트리아 의회
오스트리아 의회는 국가평의회(하원)와 연방평의회(상원)로 구성된 오스트리아 제2공화국의 입법부로, 법률 제정, 예산 심의, 정부 감시 등 국가 운영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며 합스부르크 제국의 제국 의회에서 기원하여 다당제 체제 하에 운영되지만 최근 변화를 겪고 있다. - 오스트리아의 정치 - 연방의회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연방의회는 국민의회가 통과시킨 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며, 연방주의 권한 관련 법률 등에 대한 승인 권한을 가지는 오스트리아의 양원제 의회 중 하나이다. - 사법부 - 배심제
배심제는 법정에서 시민들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증거를 심리하고 평결을 내리는 제도로, 대배심과 소배심으로 나뉘며, 영미법 체계 국가에서 주로 시행되고, 한국에서는 국민참여재판 제도가 시행된다. - 사법부 - 사법 (국가 작용)
사법은 국가 작용 중 하나로, 법을 해석하고 적용하여 분쟁을 해결하며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며, 권력분립 이론에서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각국의 역사적 변천에 따라 다양한 제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법부의 독립과 민주적 통제가 이루어진다.
오스트리아의 사법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국가 | 오스트리아 |
공식 명칭 | 오스트리아 공화국 |
독일어 명칭 | Republik Österreich |
위치 | 중부 유럽 |
수도 | 빈 |
사법부 | |
사법부 유형 | 사법부 |
관할권 | 오스트리아 |
사법부 수장 | 연방 대통령 |
최고 법원 | 최고 재판소 헌법 재판소 |
하급 법원 | 지방법원 지방 법원 고등 법원 |
특별 법원 | 행정 법원 |
사법부 임명 방식 | 연방 대통령 임명 (연방 정부의 추천을 받아) |
사법 시스템 | |
법률 시스템 | 대륙법 |
법원 유형 | 보통 법원 공법 법원 |
검찰 | 검찰청 |
교정 시설 | 교정 시설 |
사법 경찰 | 사법 경찰 |
경찰 구금 센터 | 경찰 구금 센터 |
관할 부처 | 연방 법무부 |
법원 시스템 상세 | |
보통 법원 (독일어) | Ordentliche Gerichte |
공법 법원 (독일어) | Gerichte öffentlichen Rechts |
검찰 (독일어) | Staatsanwaltschaft |
교정 시설 (독일어) | Justizanstalten |
사법 경찰 (독일어) | Justizwache |
경찰 구금 센터 (독일어) | Polizeianhaltezentren |
법무부 (독일어) | Justizministerium |
기타 | |
관련 문서 (독일어) | 오스트리아의 사법부 |
관련 문서 (영어) | 오스트리아의 사법부 |
관련 문서 (독일어) | 오스트리아 연방주 |
2. 역사
(요약 및 참조할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오스트리아의 사법부' 문서의 '역사' 섹션 내용은 빈칸으로 둡니다.)
오스트리아의 사법부는 사건 관할에 따라 일반법원, 행정법원, 헌법재판소로 나뉜다. 헌법재판소를 제외한 나머지 법원들은 제1심, 항소심을 담당하는 하급법원을 두어 일반적으로 3심제를 실시하지만, 헌법재판소는 단일법원으로 설치되어 있다.[57] 오스트리아 헌법은 최고법원에 근무할 최고법관의 수를 예정하지 않고 법률에 위임하고 있으며, 예산 및 인사에 관한 사법행정권은 연방 법무부에 속해 있다.[57] 검찰은 헌법 제90조의a에 따라 사법기관으로 간주된다.[58]
3. 구성
오스트리아 연방헌법은 독일, 프랑스와 달리 '사법'을 제목으로 하는 장을 두고 있지 않다. 대신 '연방의 집행(Vollziehung des Bundesde)' 제3장 B절에서 '일반재판(Ordentliche Gerichtsbarkeitde)'으로 일반법원을, '헌법과 행정의 보장(Garantien der Verfassung und Verwaltungde)' 제8장 A절에서 '행정사건의 관할(Verwaltungsgerichtsbarkeitde)'으로 행정법원을, 같은 제8장 B절에서 '헌법사건의 관할(Verfassungsgerichtsbarkeitde)'으로 헌법재판소를 규정하고 있다.[59] 이에 따라 일반법원 중 최고법원인 최고재판소, 행정법원 중 최고법원인 최고행정재판소, 헌법재판소 중 최고법원인 헌법재판소 모두 사법부에서 동등한 최고법원으로 평가된다.[60]
3. 1. 일반 법원 (Ordentliche Gerichte)
오스트리아의 사법 제도는 일반 법원(Ordentliche Gerichte)과 공법 법원(Gerichte des öffentlichen Rechtes)으로 나뉜다. 일반 법원은 민사 및 형사 사건을 담당하며, 공법 법원은 행정 및 헌법 관련 사건을 다룬다.
일반 법원은 지방법원(Bezirksgerichte), 주 법원(Landesgerichte), 고등법원(Oberlandesgerichte)의 3심 구조로 구성되며, 최고재판소(Oberster Gerichtshofde)는 일반 법원의 최상급 법원이다.
3. 1. 1. 최고재판소 (Oberster Gerichtshof)
오스트리아의 최고일반재판소(Oberster Gerichtshofde)는 민사 및 형사 사건을 다루는 일반 법원의 최고 법원이다. 노동, 상사, 공정거래 사건을 담당하는 하급심 전문 법원들을 두고 있으며, 단순히 오스트리아 대법원이라고도 불린다. 최고재판소에는 약 60명의 법관이 근무하며, 최고재판소 인사위원회의 제안에 따라 연방대통령이 최고재판소 법관을 임명한다. 지역별로 자체적인 하급심 법원을 두어 3심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일반 법원의 하급심 판사들은 각 지역 고등법원(Oberlandesgerichtede|High regional court영어)의 장이 추천한 후보 중에서 연방법무부장관이 임명한다.[62]
3. 2. 공법원 (Gerichte des öffentlichen Rechts)
오스트리아의 공법원은 행정법원과 헌법재판소로 나뉜다. 행정법원은 최고행정재판소를 최고법원으로 하여 3심제를 실시하지만, 헌법재판소는 단일법원으로 운영된다.[57] 오스트리아 헌법은 최고법원에 근무할 최고법관의 수를 명시하지 않고 법률로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다.[57]
행정법원과 헌법재판소는 오스트리아 헌법 제8장 '헌법과 행정의 보장(Garantien der Verfassung und Verwaltungde)'에서 규정하고 있다.[59] 세부적으로 행정법원은 '행정사건의 관할(Verwaltungsgerichtsbarkeitde)'에서, 헌법재판소는 '헌법사건의 관할(Verfassungsgerichtsbarkeitde)'에서 다룬다.[59] 최고행정재판소와 헌법재판소는 오스트리아 사법부 내에서 동등한 최고법원으로 간주된다.[60]
3. 2. 1. 행정법원 (Verwaltungsgerichte)
오스트리아의 행정법원은 행정 사건을 다루는 법원이다. 최고행정재판소(Verwaltungsgerichtshofde)를 최고법원으로 하며, 산하에 재정 사건을 다루는 전문 법원을 두고 있다. 최고행정재판소에는 약 60명의 법관이 있으며, 사건에 따라 5명으로 구성된 재판부로 나뉘어 재판을 진행한다. 최고행정재판소 법관은 최고행정재판소 전원회의 등의 추천을 받아 연방대통령이 임명한다.[62]
원래 오스트리아는 모든 행정쟁송을 독립행정위원회(Unabhängiger Verwaltungssenat, UVSde)가 주관하는 행정심판으로 처리했고, 이에 불복하는 경우에만 최고행정재판소에서 단심제로 재판을 진행했다. 그러나 2012년,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제1심 행정법원이 새로 만들어졌다.[63] 이에 따라 현재 오스트리아의 행정법원은 각 지역별로 제1심 법원만을 두는 2심제를 실시하고 있다.[64]
3. 2. 2. 헌법재판소 (Verfassungsgerichtshof)
헌법재판소(Verfassungsgerichtshofde)는 한스 켈젠의 영향을 받아 일반법원과 분리된 별도의 헌법재판소를 둔 최초의 사례들 중 하나이다. 오스트리아 헌법재판소는 산하에 하급심 법원이 없는 단일법원으로서, 소장, 부소장을 제외한 12명의 법관과 6명의 예비법관이 있다. 헌법재판소 법관은 의회의 양원 및 연방정부의 제청으로 연방대통령이 임명한다. 연방정부는 소장, 부소장 및 6명의 법관과 3명의 예비법관을 제청할 수 있으나, 제청할 수 있는 대상은 현직 판사로 한정된다. 의회의 상원은 3명의 법관과 1명의 예비법관을, 하원은 3명의 법관과 2명의 예비법관을 제청할 수 있고 제청 대상은 10년 이상의 법조 경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능하다.[65] 오스트리아 헌법재판소는 독일과 달리 재판에 대한 헌법소원, 즉 재판소원(Urteilsverfassungsbeschwerdede)을 허용하지 않는다.[66]
4. 절차
(요약과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오스트리아의 사법부' 문서의 '절차' 섹션에 대한 내용은 빈칸으로 둡니다.)
5. 판사 임명
일반법원 하급심 법관은 법관연수생으로 선발되어 약 4년의 경력을 쌓은 사람 중에서 각 법원 인사위원회의 추천을 거쳐 연방대통령이 임명하고, 행정법원 하급심 법관은 약 5년의 법조경력이 있는 사람 중에서 각 법원 판사 전원으로 구성된 전원회의의 추천을 거쳐 연방대통령이 임명한다.[61] 각 최고법원의 법관 역시 일반법원의 경우 인사위원회, 행정법원의 경우 전원회의의 추천을 거쳐 임명된다.[61] 다만 헌법재판소의 법관은 예비법관 등을 포함하여 정부가 추천한다.[61] 모든 법관은 임기에 제한이 없으나 정년이 있다.[61] 헌법재판소 법관의 정년은 70세이고, 나머지 모든 법관의 정년은 65세이다.[61]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논문
Art. 147
[37]
논문
§7
[38]
법률
RGBl. 49/1948
[39]
논문
[40]
법률
RGBl 1848/150
[41]
법률
RGBl 1850/25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법률
Art. 3c
[49]
법률
Art. 3c
[50]
법률
RGBl 1867/145
[51]
법률
StGBl 1918/5
[52]
법률
Art. 5
[53]
법률
StGBl 1919/90
[54]
법률
StGBl 1919/41
[55]
법률
§§139-141
[56]
논문
[57]
웹사이트
Administration of courts (Austria), European Justice Website
https://e-justice.eu[...]
[58]
웹인용
이경열. (2018). 오스트리아 검찰의 헌법상 지위와 수사절차에서의 검·경 관계. 형사법의 신동향, 59, 98-100.
https://www.kci.go.k[...]
[59]
웹인용
오스트리아 헌법, 법제처 세계법령정보센터 웹사이트
https://world.moleg.[...]
[60]
웹사이트
Oberster Gerichtshof En Website
https://www.ogh.gv.a[...]
[61]
웹인용
윤찬영. (2021). 유럽의 법관 임용제도와 부판사 제도의 도입방안-오스트리아, 독일, 덴마크, 스웨덴에 관하여-. 법제연구, 61, 253-256.
https://www.kci.go.k[...]
[62]
웹인용
The Austrian Judicial System. (2018). Federal Ministry for Constitutional Affairs, Reforms, Deregulation and Justice
https://www.justiz.g[...]
Federal Ministry for Constitutional Affairs, Reforms, Deregulation and Justice
[63]
웹인용
김태호. (2015). 오스트리아 사법제도 연구 - 최고재판소, 행정재판소 및 헌법재판소의 상호 관계에 대한 헌법 규정 분석을 중심으로 -. 사법정책연구원. 33, 44-46.
https://jpri.scourt.[...]
[64]
웹사이트
The Supreme Administrative Court’s information booklet
https://www.vwgh.gv.[...]
[65]
웹사이트
The Court’s Bench and its Judicial Activity, Constitutional Court of Austria Website
https://www.vfgh.gv.[...]
[66]
웹인용
장영철. (2009). 오스트리아 憲法裁判制度와 示唆點. 공법학연구, 10(1), 221-243.
https://www.kci.g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