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카자키 세이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카자키 세이조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육군 중장까지 진급했으며 남작 작위를 받았다. 1853년 도사국에서 태어나 보신 전쟁에 참전한 후 육군 군조로 시작하여 중위로 진급했다. 세이난 전쟁, 청일 전쟁,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웨이하이웨이 점령군 참모장, 제13사단장 등을 역임했다. 1907년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1910년 사망했다. 훈장으로는 욱일대수장 등을 수여받았고, 청나라로부터 훈장을 받기도 했다. 그의 장남은 육군 대좌 오카자키 마사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사국 사람 - 존 만지로
    존 만지로는 14세에 조난당해 미국에서 10년간 생활하며 서양 문물을 습득하고 일본의 개국과 근대화에 기여한 일본 고치현 출신의 어부이다.
  • 도사국 사람 - 사카모토 료마
    사카모토 료마는 막말 시대에 삿초 동맹을 성사시키고 대정봉환에 기여하는 등 메이지 유신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일본의 사무라이이자 혁명가이며, 그의 혁신적인 사상과 행동은 일본 근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막말 도사번 사람 - 존 만지로
    존 만지로는 14세에 조난당해 미국에서 10년간 생활하며 서양 문물을 습득하고 일본의 개국과 근대화에 기여한 일본 고치현 출신의 어부이다.
  • 막말 도사번 사람 - 이타가키 다이스케
    이타가키 다이스케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정치가이자 자유민권 운동가로, 자유당을 창당하여 일본 입헌정치 발전에 기여했으며, 자유민권운동을 주도하고 민주주의를 향한 열정을 보였으나 제국주의적 팽창과의 연관성 등 비판도 있다.
  • 러일 전쟁 관련자 - 시어도어 루스벨트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허약한 체질을 극복하고 다양한 정치 경력을 쌓아 제26대 미국 대통령이 되었으며, 진보적인 개혁 정책 추진, 러일 전쟁 중재 등 국내외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러일 전쟁 관련자 - 요나이 미쓰마사
    요나이 미쓰마사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이자 정치가로, 해군 무관으로서 국제적 경험을 쌓고 연합함대 사령장관과 해군대신을 역임했으며, 추축국 진영 참여에 반대하고 미영과의 협상을 모색하다 총리대신에 취임했으나 육군과의 갈등으로 사임, 태평양 전쟁 말기 해군대신으로 포츠담 선언 수락에 기여한 인물이다.
오카자키 세이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카자키 세이조
오카자키 세이조
씨명오카자키 세이조
출생일1851년 2월 3일
사망일1910년 7월 27일 (향년 59세)
출생지도사국하타군나카무라
군 복무1871년 - 1910년
최종 계급육군 중장
지휘 경력
주요 지휘제13사단장
보병 제20여단장
보병 제15여단장
주요 전투
참전 전투보신 전쟁
서남 전쟁
러일 전쟁
사하 회전
훈장
수훈대훈위 이화대수장

2. 생애

오카자키 세이조는 1853년 고치현 나카무라에서 도사번 번사 岡崎 俊蔵|오카자키 슌조일본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 보신 전쟁 이후 1871년에 상경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으며, 1889년에는 동궁 무관(東宮武官)으로 취임하였다.

2. 1. 초기 군 경력

도사번 번사 오카자키 슌조(岡崎俊蔵)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보신 전쟁 출정 이후 1871년 어친병으로 상경하여 육군 군조(陸軍軍曹), 권조장(権曹長)을 거쳐 1872년 육군 중위가 되었다.[1] 도쿄 진대부 등을 역임하였으며, 1877년 3월부터 10월까지 세이난 전쟁에 참전했다.[1]

2. 2. 세이난 전쟁 참전

1877년 세이난 전쟁에 참전하여 보병 제1연대 대대장, 보병 제6연대 대대장, 오사카 진대 참모, 근위 보병 제4연대 대대장 등을 역임하였다.[1]

2. 3. 청일 전쟁과 이후

오카자키 세이조는 후비 보병 제1연대장, 유수 제4사단 참모장 등을 역임하였다. 1895년(메이지 28년) 11월, 웨이하이웨이 점령군 참모장에 취임하여 1898년(메이지 31년) 5월까지 주둔하였다.[1][3] 참모본부 부속, 제4사단 참모장 등을 역임하고, 1901년(메이지 34년) 2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였다.[1][3]

2. 4. 러일 전쟁 참전

1901년 2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했다.[1][3] 러일 전쟁에서는 보병 제15여단장으로 출정하여 사하 전투까지 지휘했다.[1][2]

2. 5. 중장 진급과 사망

1901년(메이지 34년) 2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였다. 러일 전쟁 때에는 보병 제15여단장으로 출정하여 사하 전투에 참여하였다.[1][2] 보병 제20여단장 등을 역임하고, 1906년(메이지 39년) 7월에 육군 중장으로 승진하여 제13사단장에 보임되었다.[1][2][3] 1907년(메이지 40년) 9월에 남작 작위를 수여받아 화족이 되었다.[1][2][3] 1910년 6월에 대기 상태에 있다가, 다음 달에 사망하였다.[1][2][3]

3. 영전

오카자키 세이조는 생전에 여러 훈장과 위계를 받았다.

오카자키 세이조의 영전
종류수여 일자내용
위계1901년 (메이지 34년) 3월 11일정5위
1908년 (메이지 41년) 6월 20일정4위
훈장 등1889년 (메이지 22년) 11월 29일대일본 제국 헌법 발포 기념장
1896년 (메이지 29년) 5월 5일훈3등 욱일중수장
1904년 (메이지 37년) 11월 29일훈2등 서보장
1906년 (메이지 39년) 4월 1일공2급 금계훈장, 욱일중광장, 메이지 37, 38년 종군기장
1907년 (메이지 40년) 9월 21일남작
1908년 (메이지 41년) 12월 1일훈1등 욱일대수장
1909년 (메이지 42년) 4월 18일황태자 도한 기념장
외국 훈장1899년 7월 4일第三等第一雙龍寶星|제3등 제1쌍룡보성중국어 (대청 제국)


3. 1. 위계

3. 2. 훈장 등


  • 1889년(메이지 22년) 11월 29일 - 대일본 제국 헌법 발포 기념장
  • 1896년(메이지 29년) 5월 5일 - 훈3등 욱일중수장
  • 1904년(메이지 37년) 11월 29일 - 훈2등 서보장
  • 1906년(메이지 39년) 4월 1일 - 공2급 금계훈장, 욱일중광장, 메이지 37, 38년 종군기장
  • 1907년(메이지 40년) 9월 21일 - 남작
  • 1908년(메이지 41년) 12월 1일 - 훈1등 욱일대수장
  • 1909년(메이지 42년) 4월 18일 - 황태자 도한 기념장

3. 3. 외국 훈장

1899년 7월 4일 - 대청 제국: 第三等第一雙龍寶星|제3등 제1쌍룡보성중국어

4. 친족

장남은 오카자키 마사오 (육군 대좌)이다.[1]

참조

[1] 서적 日本陸海軍総合事典
[2] 서적 日本陸軍将官辞典
[3]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4] 간행물 官報 第5304号「叙任及辞令」 1901-03-12
[5] 간행물 官報 第7495号「叙任及辞令」 1908-06-22
[6] 간행물 官報 第1938号「叙任及辞令」 1889-12-12
[7] 간행물 官報 号外「敍任及辞令」 1896-05-14
[8] 간행물 官報 第6426号「叙任及辞令」 1904-11-30
[9] 간행물 官報 号外「叙任及辞令」 1906-12-30
[10] 간행물 官報 第7272号「授爵・敍任及辞令」 1907-09-23
[11] 간행물 官報 第7808号・付録「辞令」 1909-07-06
[12] 간행물 官報 第7771号「叙任及辞令」 1909-05-24
[13] 간행물 官報 第4810号「敍任及辞令」 1899-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