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사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사번은 센고쿠 시대 말 조소카베씨가 다스렸으나,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야마우치 가문이 20만 2,600석을 받아 메이지 시대 초기까지 통치했다. 야마우치 가문은 초기 반란을 대비하며 번의 기반을 다졌고, 2대 번주 때 식산흥업을 추진했으나 실패하기도 했다. 에도 시대 중기 이후 재정이 안정되었지만, 막부 말기에는 요시다 도요의 개혁 시도가 실패하고, 사카모토 료마 등 인재들이 배출되어 대정봉환에 기여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폐번치현으로 고치현이 되었고, 야마우치 가문은 후작이 되었다. 도사 번에는 향사 제도가 있었으며, 석고는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사 야마우치씨 - 공명의 갈림길
    시마 료타로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공명의 갈림길》은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시대를 배경으로 야마우치 가쓰토요와 그의 아내 치요의 일생을 그린 소설로, 역사적 사실에 소설적 허구가 가미되었으며 여러 차례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 도사번 - 도사견
    도사견은 일본에서 투견을 위해 개량된 대형견으로, 근육질 체격과 강한 경계심을 보이며 여러 국가에서 위험 견종으로 지정되어 규제받고 있다.
  • 도사번 - 고치성
    고치성은 일본 고치현 고치시에 위치한 성으로, 오다카사카 산성에서 유래하여 조소카베 모토치카에 의해 재건되었고, 에도 시대에 야마우치 가즈토요가 현재의 고치성을 건설했으며, 1959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도사번
지도 정보
고치 성
고치 성
야마우치 가문의 문장
야마우치 가문의 문장
기본 정보
일반 명칭도사 번
공식 명칭 (1868년 ~ 1871년)고치 번
로마자 표기Tosa-han
일본어 표기土佐藩
高知藩
한국어 표기도사번
고치번
소속 국가일본
위치도사국
오늘날고치현
수도고치 성
시대에도 시대
정치
정치 체제
번주다이묘
초대 번주야마우치 가즈토요
초대 번주 재임 기간1601년 ~ 1605년
마지막 번주야마우치 도요노리
마지막 번주 재임 기간1859년 ~ 1871년
가문야마우치 가문
가문의 격오히로마즈메
국주격국주격
군사보신 전쟁에서 도사군이 사용한 깃발
[[File:Flag of Tosa domain.svg|도사 군기]]
역사
설치1601년
해체1871년 판적봉환
주요 사건판적봉환
면적 및 인구
석고24만 2천석
기타

2. 번의 역사

전국 시대 말기 조소카베 모리치카(長宗我部盛親)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西軍)에 가담했다가 영지를 잃은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는 야마우치 가즈토요(山内一豊)에게 도사 국(土佐国) 20만 2,600석을 주었다. 이로써 야마우치 집안이 메이지 초기까지 도사 번을 다스리게 되었다.[1]

야마우치 가즈토요


초기에는 "일령구족"(一領具足)이라 불리는 반농반사(半農半士) 형태의 조소카베 집안 옛 신하들이 야마우치 집안을 따르지 않고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야마우치 가문은 번 경내 요충지에 중신들을 배치해 반란에 대비하였다.

배치 지역중신석고(石高)
나카무라(中村)야마우치 야스토요(山内康豊)2만 석
사가와(佐川)후카오 시게요시(深尾重良)1만 석
스쿠모(宿毛)야마우치 요시우지(山内可氏)7000석
구보카와(窪川)야마우치 가즈요시(山内一吉)5000석
모토야마(本山)야마우치 가즈아키(山内一照)1300석
아키(安芸)고토 다메시게(五藤為重)1100석



야마우치 가즈토요는 조소카베 씨의 우라도성(浦戸城)에 들어갔으나, 성하 마을을 열기에 부지가 좁아 현재의 고치 시 중심부에 고치성(高知城)과 새로운 조카마치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2대 번주 야마우치 다다요시(山内忠義) 시대에 번의 정치가 확립되었다. 다다요시는 노나카 겐잔(野中兼山)을 등용해 농지 개발과 산업 진흥에 힘썼으나, 겐잔의 급진적인 정책은 정적들의 원한을 사 결국 실각하였다.

에도 시대 중기까지 도사 번의 재정은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호레키 연간(宝暦, 1751년~1764년) 이후 잇큐(一揆, 농민 무장봉기)나 농민들의 다른 영지로의 도망 등으로 번의 정치가 흔들렸다. 9대 번주 야마우치 도요치카(山内豊雍)는 검소함을 기본으로 하는 번정 개혁(덴메이 개혁)을 실시하여 번의 정치를 겨우 안정시켰다. 13대 번주 야마우치 도요테루(山内豊熈)는 '오코제구미'(おこぜ組)라 불리는 마부치 가헤이(馬淵嘉平)를 중심으로 하는 개혁파를 기용하여 번정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였다.

막부 말기에는 15대 번주 야마우치 도요시게(山内豊信)가 요시다 도요(吉田東洋)를 등용해 개혁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도요는 보수파 문벌이나 도사 근왕당(土佐勤王党)을 중심으로 하는 다케치 즈이잔(武市瑞山)에게 암살당했다. 이후 도요시게는 근왕당을 탄압하고 존왕양이 운동을 억압했다. 그러나 후에 사쓰마-조슈 동맹(사쓰마-조슈 동맹)에 가담하여 1867년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徳川慶喜)에게 대정봉환(大政奉還)과 천황에게 권력을 반환하도록 조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시기 도사 번에서는 고토 쇼지로(後藤象二郎), 이타가키 다이스케(板垣退助),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나카오카 신타로(中岡慎太郎) 등이 메이지 유신의 주역으로 활약하였다.

1871년(메이지 4년) 폐번치현(廃藩置県)에 따라 도사 번은 고치현(高知県)이 되었다. 야마우치 집안은 1884년(메이지 17년) 화족령(華族令)에 따라 후작(侯爵)이 되었다.

2. 1. 조소카베 시대

전국 시대 말기, 장종아부원친(長宗我部元親)사국(四国) 통일을 이루었으나, 풍신수길(豊臣秀吉)에게 패배하고 토사국(土佐国)만을 다스리게 되었다. 장종아부성친(長宗我部盛親)관원 전투(関ヶ原の戦い)에서 서군(西軍)에 가담하여 패배하고 영지를 잃었다.[1]

초기에는 “일령구족(一領具足)”이라 불린 반농반병의 장종아가(長宗我部家) 구신들이 산내가(山内家)에 익숙하지 않아 반란을 반복했기 때문에, 산내가는 번내의 요충지에 중신을 배치하여 반란에 대비했다. 중촌(中村)산내강풍(山内康豊)(2만 석)을 시작으로, 좌천(佐川)에 심미중량(深尾重良)(1만 석), 숙모(宿毛)에 산내가씨(山内可氏)(7000석), 구보천(窪川)에 임일길/산내일길(林一吉/山内一吉)(5000석), 본산(本山)에 영원일조/산내일조(永原一照/山内一照)(1300석), 안예(安芸)에 오등위중(五藤為重)(1100석)을 배치했다.

산내일풍(山内一豊)은 장종아부가(長宗我部家)(포호번(浦戸藩))의 옛 성인 포호성(浦戸城)에 입성했지만, 성하마을(城下町)을 열기에는 좁았기 때문에, 현재 고지(高知) 중심부에 고지성(高知城)과 성하마을의 건설을 실시했다. 번정이 확립된 것은 2대 산내충의(山内忠義) 시대였으며, 야중겸산(野中兼山)을 등용하여 신전(新田) 개발 등 척산흥업에 힘썼지만, 겐잔의 강압적인 시책은 정적의 원한을 사서 실각했다.

산내가(山内家)의 토사(土佐) 입봉 당시, 괘천(掛川) 성주 시대까지의 가신(판원퇴조(板垣退助) 등의 가계)이나 토사 입봉 다음 해에 대판(大坂) 낭인(牢人)을 등용한 자들(후등상이랑(後藤象二郎) 등의 가계)을 상사(上士)로, 토사에 있던 낭당(郎党)·지시(地侍)를 향사(郷士)로 설명되는 경우가 있으나, 실제로는 유능한 인재라면 장종아부씨(長宗我部氏) 구신(舊臣)이라도 향사가 아닌, 처음부터 상사(上士)로 채용된 경우가 많았다. 또, 향사라도 상사 대우의 “백찰향사(白札郷士)”로 된 경우도 있으며, 향사에서 “백찰향사”로 출세할 수 있는 제도도 존재했다. 사마료태랑(司馬遼太郎)의 역사 소설 등에 자주 보이는 것과 같은 “구 장종아부 가신은 향사로 되어 차별적인 대우를 받았다”는 종류의 단편적인 설이나 “스모 대회라고 칭하여 종기(種崎)에 향사를 모아 학살했다” 등의 이야기는 사실과 다르다. 무시서산(武市瑞山)은 조부 대부터 백찰향사였고, 판본룡마(坂本龍馬)의 대숙부인 궁지(宮地)가 등도 “장옥(庄屋)→향사(郷士)→백찰향사(상사)”와 같이 가격(家格)이 오른 집이다. 막말기에는 가로(家老)격, 중로(中老)격, 마회(馬廻)격, 소성(小姓)격, 류수거(留守居)격을 가지고 상사를 구성했다.

향사(郷士)는 기본적으로 재향무사(在郷武士)이며, 토사번(土佐藩)에서는 하사(下士)의 상위에 위치했다. 관원(関ヶ原) 전투 이전의 구 영주인 장종아부가(長宗我部家) 유신(遺臣) 중 반농반병(半農半兵)이었던 일령구족(一領具足)의 계보를 잇는 자가 많고, 경장(慶長) 18년(1613년) 향미(香美)군 야마다(山田)촌의 개발로 등용된 경장 향사(慶長郷士)가 이 제도의 시초가 되었다. 그 후, 신전(新田) 등의 개발을 할 때마다 등용되었다. 이것은 장종아부 유신의 불만을 해소하고, 군사 요원으로서 토사번의 공식적인 체제에 편입시키는 동시에, 신전 개발에 의한 증수(增收)를 노린 것이었다. 강호막부(江戸幕府)대명(大名) 통제책으로서 여러 가지 부흥(普請)을 외양대명(外様大名)을 중심으로 맡기고 있었고, 또, 지리적 조건으로부터 토사번의 참근교대(参勤交代)에 걸리는 비용도 막대했던 것으로부터, 토사번에서는 일찍부터 증수책에 열심이었다. 향사 1인당 개발 허가 면적은 대략 3정(町) 정도였다. 참고로, 장종아부가 유신 중 산내가(山内家)에의 사관(仕官)에 응한 명가(名家)는 토사 입봉 전부터의 가신과 마찬가지로 상사(上士)에 속했다.

원록(元禄) 시대에는 향사도 공역(公役)에 종사할 수 있게 되어, 하급 역인(役人)으로 활약하는 자도 나왔다. 막말에는 향사 총수가 800명에 달했다. 그중 370명이 대조(大組)라고 불리며 각각이 가로(家老)에 속하고, 오아즈카리 향사(御預郷士)라고 불렸다. 나머지 430명이 소조(小組)라고 불리며 6대(隊)를 구성하여, 구부케(駆付) 향사로서 비상시에 규정된 장소에서 해방(海防)에 종사하고 있었다.

많은 향사는 농촌이나 산간부에 거주하고 있었지만, 상사 거주지인 곽중(郭中) 이외의 조마치(上町)·시모마치(下町)에 거주하는 자도 있었던 것 같다(판본룡마(坂本龍馬)의 집이 한 예이다).

; 장종아부 구신계의 상사

  • 북천(北川)씨 - 북천축전(北川筑前), 동제(同弟)·북천현번(北川玄蕃)의 자손
  • 길전씨(吉田氏) - 길전동양(吉田東洋), 길전정춘(吉田正春)
  • 무정정항(武市正恒) - 무정정항(武市正恒), 무정서산(武市瑞山)
  • 궁지신정(宮地信貞) - 궁지신정(宮地信貞)(판본룡마(坂本龍馬)의 대숙부), 궁지무춘(宮地茂春)
  • 대흑청승(大黒清勝) - 대흑청승(大黒清勝)(무쌍직전영신류(無双直伝英信流)거합(居合) 종가)
  • 지전씨(池田氏)·임씨(林氏) - 임정성(林政誠), 지전정승(池田政承)(무쌍직전영신류(無双直伝英信流)거합(居合) 종가)
  • 곡씨(谷氏) - 곡진산(谷秦山), 곡간성(谷干城)
  • 본산씨(本山氏) - 본산무임(本山茂任)
  • 명신선수(明神善秀) - 명신선수(明神善秀)
  • 록지아징(鹿持雅澄)
  • 소곡정신(小谷正臣)(판원퇴조(板垣退助)의 처부)
  • 송전(松田)씨


태합검지(太閤検地) 당시 장종아부가(長宗我部家)가 보고한 토사국(土佐国)의 석고(石高)는 9만 8천 석에 불과했다. 산내일풍(山内一豊)은 토사 입국 후 재차 산정하여 경장(慶長) 10년(1605년)에 20만 2600석이 넘는다고 보고했다.

원화(元和) 원년(1615년), 아파(阿波) 덕도번(徳島藩)담로국(淡路国)의 가증(加増)으로 표고(表高)가 17만 석에서 25만 7천 석이 되자, 토사번(土佐藩)은 마치 대항하듯이 “25만 7천 석 이상”을 신고한다. 이는 석고를 높게 신고하면 막부(幕府)의 대규모 공사 등으로 부담이 크게 늘어나는데도 불구하고, 사국(四国) 제일의 대명(大名)가 되고자 하는 허영심 때문이었다. 그러나 막부는 이 신고를 인정하지 않았고, 주인상(朱印状)은 종전대로 “20만 2600석 이상”이었다. 그 후 신전 개발이 진행된 결과, 명치(明治) 3년(1870년)폐번치현(廃藩置県) 이전에는 본전지고(本田地高)와 거의 같은 규모의 신전이 있었고, 본전과 신전을 합치면 총 49만 4천 석이 넘었다고 한다.[11]

2. 2. 야마우치 가문의 초기 통치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후, 야마우치 가즈토요(山内一豊)에게 도사 번(土佐藩)을 주었다.[1] 야마우치 가문은 조소카베씨(長宗我部氏)의 옛 신하들의 저항에 직면했으나, 점차 번의 지배 체제를 확립해 나갔다.

당초 "일령구족"(一領具足)이라 불리는 반농반사 형태의 조소카베 가문 옛 신하들은 야마우치 가문을 따르지 않고 반란을 일으켰다. 야마우치 가문은 번 경내 요충지에 중신들을 배치해 반란에 대비했다.

배치 지역중신석고(石高)
나카무라(中村)야마우치 야스토요(山内康豊)2만 석
사가와(佐川)후카오 시게요시(深尾重良)1만 석
스쿠모(宿毛)야마우치 요시우지(山内可氏)7000석
구보카와(窪川)야마우치 가즈요시(山内一吉)5000석
모토야마(本山)야마우치 가즈아키(山内一照)1300석
아키(安芸)고토 다메시게(五藤為重)1100석



가즈토요는 우라도성(浦戸城)에 들어갔다가 조카마치(城下町)를 열기에 부지가 좁다는 이유로 현재의 고치시(高知市) 중심부에 고치성(高知城)과 새로운 조카마치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2대 번주 야마우치 다다요시(山内忠義)는 노나카 겐잔(野中兼山)을 등용하여 농지 개발과 산업 진흥을 추진했으나, 겐잔의 급진적인 정책은 반발을 샀고 결국 실각했다.

2. 3. 에도 시대 중기

도사 번은 에도 시대 중기 무렵까지 비교적 안정적인 재정 상태를 유지했다. 그러나 호레키 연간(1751년~1764년) 이후에는 잇큐(一揆, 농민 무장봉기)와 농민들이 다른 영지로 도망치는 등의 사건으로 번의 통치가 흔들렸다.[1]

9대 번주 야마우치 도요치카(山内豊雍)는 검소함을 기본으로 하는 번정 개혁(덴메이 개혁)을 실시하여 번의 정치를 겨우 안정시켰다. 13대 번주 야마우치 도요테루(山内豊熈)는 '오코제구미'(おこぜ組)라 불리는 마부치 가헤이(馬淵嘉平)를 중심으로 하는 개혁파를 기용하여 번정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였다.[1]

2. 4. 막부 말기

山内容堂|야마우치 요도일본어라고도 불리는 15대 번주 야마우치 도요시게(山内豊信)는 요시다 도요(吉田東洋)를 등용하여 번정 개혁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도요는 보수파와 도사 근왕당(土佐勤王党)을 중심으로 하는 다케치 즈이잔(武市瑞山)에게 암살당했다.[3][4] 이후 도요시게는 근왕당을 탄압하고 존왕양이(尊王攘夷) 운동을 억압했다. 그러나 후에 사쓰마-조슈 동맹(薩長同盟)에 가담하여 1867년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徳川慶喜)에게 대정봉환(大政奉還)과 천황에게 권력을 반환하도록 조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4]

이 시기 도사 번에서는 고토 쇼지로(後藤象二郎), 이타가키 다이스케(板垣退助) 등이 요시다 도요의 문하에서 배출되었고,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나카오카 신타로(中岡慎太郎) 등은 향사(郷士) 출신으로[3][4] 메이지 유신의 주역으로 활약하였다. 특히 사카모토 료마는 탈번(脱藩) 후, 삿초 동맹과 대정봉환에 큰 영향을 끼쳤다.

2. 5. 메이지 유신 이후

1871년(메이지 4년) 폐번치현(廃藩置県)에 따라 도사 번은 고치현(高知県)이 되었다. 야마우치 집안은 1884년(메이지 17년) 화족령(華族令)에 따라 후작(侯爵)이 되었다.[3][4]

3. 향사 제도

도사 번에는 독특한 신분 제도인 향사(郷士) 제도가 있었다. 향사는 원래 조소카베씨(長宗我部氏)의 옛 신하들로, 야마우치 가문 통치 하에서 농민으로 신분이 격하되었으나, 일부는 하급 무사인 향사로 등용되었다.[12] 이들은 농지 개발에 참여하고 군사적 역할을 수행하며 번의 통치에 기여했다.

향사는 기본적으로 재향 무사로, 도사 번에서 하사(下士)보다 높은 위치에 있었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의 옛 영주였던 조소카베 씨의 유신(遺臣)으로 일령구족의 계보를 잇는 자가 많았다. 게이초 18년(1613년) 가미 군(香美郡) 야마다 촌(山田村) 개발로 성립된 게이초 향사(慶長郷士)가 이 제도의 시초였다.[12] 향사 한 사람에게 허락된 개발 허가 면적은 대체로 3정(町) 정도였다.

에도 시대 중기에는 상품 경제가 농업 부문에까지 침투하면서, 생계를 위해 향사 신분을 양도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부유한 농민이나 상인들이 향사 지위를 사들이는 경우도 나타났다. 겐로쿠 시대에는 향사들도 공직에 나아가는 것이 가능해졌는데, 하급 관리로써 활약하는 자들도 나타났다.

막부 말기에 이르러 향사의 총 수는 800명에 달했는데, 이 가운데 370명은 대조(大組)라 불리며 가로(家老)에 속했고 어예향사(御預郷士)라 불렸다. 나머지 430명은 소조(小組)라 불리며 6대(隊)로 구성되어 구부향사(駆付郷士)로써 비상시 규정된 장소에서 해양 방어에 종사하였다.

대부분의 향사가 농촌이나 산간 지역에 거주하였으나, 사카모토 료마처럼 상사의 거주지였던 곽중(郭中) 이외의 우에마치(上町) ・ 시타마치(下町)에 거주하는 자도 있었다.

막부 말기에는 향사 출신의 사카모토 료마, 나카오카 신타로(中岡慎太郎) 등이 존왕양이 운동에 참여하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타가키 다이스케고토 쇼지로는 향사에 대해 관대했던 인물로, 사사키 타카유키를 포함하여 '도사 삼백(土佐三伯)'으로 불리며 메이지 유신에 공헌했다.

4. 번의 석고

조소카베씨가 다이코 검지(太閤検地)에서 받은 도사국의 석고는 9만 8천 석이었다. 야마우치 가즈토요가 도사에 들어온 뒤 다시 산정되어 1605년(게이초 10년)에는 20만 2,600석으로 늘어났다.[5][6]

1615년(겐나 원년) 아와 도쿠시마 번(阿波徳島藩)이 아와지국(淡路国)을 추가로 받아 표고(表高)가 17만여 석에서 25만 7,000석이 되자, 도사 번은 이에 맞서 "25만 7,000여 석"으로 석고를 늘려 신고했다. 이는 시코쿠 제일의 다이묘라는 위세를 보이려 한 것이었다. 그러나 막부는 도사 번의 이 신고를 인정하지 않았고, 막부의 주인장(朱印状)은 기존대로 "20만 2,600여 석"으로 기재되었다.[5][6]

이후 새로운 농지 개발이 진행된 결과, 1870년(메이지 3년) 폐번치현 직전에는 본래 농지와 새 농지를 합쳐 49만 4,000여 석에 이르렀다.

참고로, "24만 2,000석"이라는 지칭은 호에이 연간 이후의 무감(武鑑) 등에 근거한 소문이었다.

5. 역대 번주

山内一豊일본어 (야마우치 가즈토요, 재위 1601년 ~ 1605년)

山内忠義일본어 (야마우치 다다요시, 재위 1605년 ~ 1656년)

山内忠豊일본어 (야마우치 다다토요, 재위 1656년 ~ 1669년)

山内豊昌일본어 (야마우치 도요마사, 재위 1669년 ~ 1700년)

山内豊房일본어 (야마우치 도요후사, 재위 1700년 ~ 1706년)

山内豊隆일본어 (야마우치 도요타카, 재위 1706년 ~ 1720년)

山内豊常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쓰네, 재위 1720년 ~ 1725년)

山内豊敷일본어 (야마우치 도요노부, 재위 1725년 ~ 1767년)

山内豊雍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치카, 재위 1768년 ~ 1789년)

山内豊策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카즈, 재위 1789년 ~ 1808년)

山内豊興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오키, 재위 1808년 ~ 1809년)

山内豊資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스케, 재위 1809년 ~ 1843년)

山内豊熈일본어 (야마우치 도요테루, 재위 1843년 ~ 1848년)

山内豊惇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아쓰, 재위 1848년)

山内豊信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시게, 통칭 야마우치 요도, 재위 1849년 ~ 1859년)

山内豊範일본어 (야마우치 도요노리, 재위 1859년 ~ 1871년)[3]

도사 번 역대 번주
대수이름재위 기간비고
1山内一豊일본어 (야마우치 가즈토요)1601년 - 1605년도쿠가와씨를 지지하여 도사국 20만 2,600석을 받음.
2山内忠義일본어 (야마우치 다다요시)1605년 - 1656년노나카 겐잔을 등용하여 농지 개발 등 식산흥업에 힘썼다.
3山内忠豊일본어 (야마우치 다다토요)1656년 - 1669년
4山内豊昌일본어 (야마우치 도요마사)1669년 - 1700년
5山内豊房일본어 (야마우치 도요후사)1700년 - 1706년
6山内豊隆일본어 (야마우치 도요타카)1706년 - 1720년
7山内豊常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쓰네)1720년 - 1725년
8山内豊敷일본어 (야마우치 도요노부)1725년 - 1767년
9山内豊雍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치카)1768년 - 1789년검소함을 기본으로 하는 번정 개혁(덴메이 개혁)을 실시했다.
10山内豊策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카즈)1789년 - 1808년
11山内豊興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오키)1808년 - 1809년
12山内豊資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스케)1809년 - 1843년
13山内豊熈일본어 (야마우치 도요테루)1843년 - 1848년마부치 가헤이를 중심으로 하는 개혁파를 기용해 번정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4山内豊惇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아쓰)1848년
15山内豊信일본어 (야마우치 도요시게, 통칭 야마우치 요도)1849년 - 1859년요시다 도요를 기용해 개혁을 단행했으나, 도사 근왕당에 의해 암살되었다.
16山内豊範일본어 (야마우치 도요노리)1859년 - 1871년대정봉환에 기여했으며, 삿초도히의 일원으로 시대 전환에 큰 역할을 했다.


6. 지번

도사 번에는 도사 나카무라 번(나카무라 번)과 도사 신덴 번이라는 두 개의 지번이 있었다.


  • 도사 나카무라 번
  • 도사 신덴 번

6. 1. 나카무라 번

도사 번 초대 번주 야마우치 가즈토요의 동생인 야마우치 야스토요1601년 6월 나카무라 부근 2만 석 지령을 받고 도사 나카무라 번을 세웠다. 이후 약 30년간 2대에 걸쳐 지속되다가 1629년 4월 8일 그의 차남이자 2대 번주인 야마우치 마사토요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도사 나카무라 번은 일단 폐지되었다.

이후 1656년, 야스토요의 장남이자 도사 번 2대 번주인 야마우치 다다요시의 둘째 아들 야마우치 다다나오(마사토요의 조카)가 나카무라 부근 3만 석 소령을 받고 도사 나카무라 번을 다시 세웠다. 1689년 3대 번주 야마우치 도요아키라는 와카도시요리까지 승진했으나, 병을 이유로 사직했다. 이것이 당시 쇼군이었던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분노를 사 도요아키라는 칩거 처분을 받고 3천 석으로 감봉되었다. 하지만 이것조차 거부했기 때문에 결국 영지가 몰수되었고, 이로써 도사 나카무라 번은 폐지되었다.

6. 2. 도사 신덴 번

1780년 도사 나카무라 번의 다이묘 가문에서 분가한 하타모토 출신 야마우치 도요타다가 1만 3천 석을 받아 설립되었다.[7][8][9] 이 영지는 본번(本藩)의 재정에서 직접 1만 3천 석을 할당받았기 때문에 실제 영토는 없었다.[7][8][9] 또한 번주는 항상 에도아자부 지역에 있는 번저에 거주했기 때문에 참근교대(산킨코타이)의 대상이 아니었다.[7][8][9] 1870년에 도사 번에 재편입되었다.[7][8][9]

7. 막말 관련 인물

사카모토 료마[7][8][9], 다케치 즈이잔, 이타가키 다이스케, 고토 쇼지로, 나카오카 신타로, 이와사키 야타로, 요시다 도요는 도사 번 출신의 주요 인물들이다. 이들은 막부 말기 도사 번의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서적 The making of modern Japan Harvard University Press
[2] 서적 江戸三百藩大全 全藩藩主変遷表付 Kosaido Publishing
[3] 서적 藩と城下町の事典―国別 Tokyodo Printing
[4]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5]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6]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7] 서적 江戸三百藩大全 全藩藩主変遷表付 Kosaido Publishing
[8] 서적 藩と城下町の事典―国別 Tokyodo Printing
[9]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10] 웹사이트 Yamachi genealogy http://reichsarchiv.[...]
[11] 문서 참고문헌:橋本博『改定増補 大武鑑 上巻』(名著刊行会)
[12] 문서 도사 번의 재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