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키나 (글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키나는 하와이어에서 분리, 자르기, 끊기를 의미하는 글자이다. ‘6’을 닮은 모양으로, 여러 폴리네시아 언어에서 사용되며, 성문 파열음을 표기하는 데 쓰인다. 하와이어에서는 공식 표기법으로 사용되며, 사모아어, 타히티어, 통가어, 쿡 제도 마오리어, 왈리스어 등에서도 각기 다른 이름과 형태로 사용된다. 컴퓨터 환경에서 아포스트로피나 작은따옴표로 표현되기도 했으나, 유니코드에서는 U+02BB로 인코딩되어 지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와이어 - 하와이어 문법
    하와이어 문법은 VSO형 어순을 따르는 고립어이며, 동사는 굴절되지 않고 불변화사를 사용하여 시제, 상, 법을 나타내고, 전치사로 명사의 격을 나타내는 주격-대격 언어이다.
  • 폴리네시아어군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폴리네시아어군 - 마오리어
    마오리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로,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고, 영어의 영향으로 쇠퇴했으나 부흥 운동을 통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뉴질랜드 문화적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오키나 (글자)
개요
종류문자
문자 체계로마자
사용 언어하와이어
타히티어
통가어
기타 폴리네시아어
기본 정보
문자 이름오키나
유니코드 이름Left Single Quotation Mark
유니코드U+02BB
HTML 엔티티ʻ
용도음성학, 문자학
음가성문 파열음
대체 표기ʻokina (일반적인 표기)
역 따옴표 (약칭)
상세 정보
모양홑따옴표 (inverted comma) 와 유사
기능단어의 시작과 끝, 모음 사이에서 성문 파열음을 나타냄
중요성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역할 (예: 'awa (항구) 와 ʻawa (카와라는 식물)')
생략될 경우 의미 혼동 초래 가능
사용 언어별 특징하와이어: 반드시 표기해야 함
타히티어: 일반적으로 표기
통가어: 필수로 간주되지는 않음
기타
주의사항일반적인 어포스트로피 (') 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2. 이름

(뒤집힌(liliusmo) 콤마(komasmo))현대 출판물에서는 가끔 아포스트로피로 표현됨. 사모아 학계 및 공동체가 공인한 표기법.[8][1] 아포스트로피와 매크론 사용은 1960년대에 중단되었다가 2012년부터 사모아 교육부에 의해 재개됨.[9][2]타히티어ʻeta|에타tahʻetaʻeta|에타에타tah = 단단하게 만들다공식적·전통적 지위 없음. ', ‘ 또는 ’로 표현.통가어fakauʻa|파카우아ton
(fakamonga|파카몽아ton의 경어형)목 표시 / 목구멍 제작자공식 표기법. 유니코드 표준에 따라 오키나와 동일한 문자(ʻ)로 표기.[6]쿡 제도 마오리어ʻamata|아마타rar
또는 ʻakairo ʻamata|아카이로 아마타rar"함자"
또는 "함자 표시"공식적·전통적 지위 없음. 일상적인 글쓰기에는 잘 사용되지 않으며 ', ‘ 또는 ’로 표현하거나 생략됨. 성경과 정부 서지에서는 오키나(ʻ)를 사용함.왈리스어fakamoga|파카몽아wls목으로 / 목구멍으로공식적·전통적 지위 없음. 일상적인 글쓰기에는 잘 사용되지 않으며 ', ‘ 또는 ’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됨.라파누이어ꞌeꞌe|에에rap[3]전자 텍스트에서는 살티요(ꞌ)로 작성되는 경향이 있음.[4]


3. 형태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므로 상위 섹션에서는 생략)

3. 1. 자형

오키나의 모습은 왼쪽 작은따옴표 (‘)를 닮아 작은 "6"자 모양이다.

타히티어 에타는 오키나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이상 돌려 놓은 듯한 독특한 모양이다.

, 즉 "하와이 언어"를 의미한다.


많은 글꼴에서 오키나 기호는 굽은 열린 작은따옴표 기호와 동일하게 보인다. 다른 글꼴(예: Linux Libertine)에서는 다음과 같이 크기가 약간 다르며, 더 크거나 작다.

이 구절에는 Ō 앞에 오키나 하나와 마지막 i 앞에 또 다른 오키나가 있다. 이들은 첫 번째 줄의 따옴표보다 약간 작고 두 번째 줄의 따옴표보다 약간 크다.

3. 2. 대소문자 구분

오키나는 하와이어 문자의 일부이며 단일형 문자(unicase)이다. 즉, 대문자와 소문자의 구별이 없다. 오키나로 시작하는 단어를 대문자로 표기해야 할 경우, 오키나 바로 다음에 오는 글자를 대신 대문자로 쓴다. 예를 들어, '오키나'라는 단어가 문장의 시작 부분에 올 때는 대문자 O를 사용하여 "ʻOkina"와 같이 표기한다.

4. 컴퓨터 인코딩

컴퓨터 환경에서 오키나를 표현하는 데에는 과거 아스키 문자 집합의 한계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다. 주로 아포스트로피(')나 왼쪽 작은 따옴표가 대안으로 사용되었으나, 이는 오키나의 정확한 모양을 표현하지 못하거나 구두점으로 잘못 인식될 수 있는 문제를 야기했다. 일부 글꼴에서는 아포스트로피가 오키나와 정반대 모양인 오른쪽 작은 따옴표 형태로 표시되기도 했다. 이러한 인코딩 문제는 이후 유니코드 표준에 오키나를 위한 고유 문자가 할당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되었다.

4. 1. 과거의 문제점

아스키 문자 집합 환경에서는 오키나를 보통 아포스트로피(')로 나타냈다. 하지만 이 문자는 일반적으로 직선 모양의 타자기 아포스트로피 형태여서 오키나 고유의 곡선 모양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심지어 어떤 글꼴에서는 아스키 아포스트로피를 오른쪽 작은 따옴표처럼 표시하기도 했는데, 이는 오키나의 올바른 모양을 180도 뒤집은 것과 같아 더욱 부적절한 표현 방식이었다.

다른 문자 집합에서는 아포스트로피 외에 왼쪽 작은따옴표와 오른쪽 작은따옴표를 별도의 문자로 구분하기도 했다. 이 중 왼쪽 작은따옴표는 오키나와 모양이 상당히 비슷하여 대안으로 사용되기도 했지만, 여전히 문제가 있었다. 가장 큰 문제는 오키나가 문장 부호가 아닌 엄연한 글자라는 점이다. 따라서 왼쪽 작은따옴표로 오키나를 표기하면 자동화된 텍스트 처리 과정에서 이를 문장 부호로 오인하여 잘못 처리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일부 글꼴에서는 왼쪽 작은따옴표가 숫자 "6"과 비슷한 모양이 아니라, 그 좌우를 뒤집은 "9"와 비슷한 모양으로 표시되어 오키나를 나타내기에 적절하지 않았다.

4. 2. 유니코드

유니코드 표준에서 오키나는 U+02BB '수정 문자 돌아간 쉼표'(Modifier letter turned commaund)로 나타낸다. HTML에서는 ʻ 또는 십육진법 표기 ʻ로 나타낼 수 있다.[7][6]

오키나는 유니코드 1.1판(1993년)에 처음 도입되었지만, 초기에는 운영체제나 프로그램의 지원 부족으로 널리 사용되기 어려웠다. 2008년을 기준으로 OS X,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리눅스 기반 컴퓨터와 주요 스마트폰에서는 오키나 문자를 표시하고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으며, 이전 버전에서 문제가 있었던 인터넷 익스플로러 7 이후 버전에서도 문제가 해결되었다.[7][6]

이 유니코드 문자(U+02BB)는 폴리네시아어의 성문 파열음 표기 외에도 다른 용도로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히브리 문자 아인(ʻáyin)이나 아랍 문자 아인(ʻayn)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또는 우즈베크 문자의 Oʻ(키릴 문자 Ў에 해당)와 Gʻ(키릴 문자 Ғ에 해당)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그러나 '오키나'라는 이름은 폴리네시아 언어에서 성문 파열음을 나타내는 문자를 가리킬 때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한편, 타히티어나 왈리스어에서 사용되는 성문 파열음 표기 문자는 아직 유니코드에 별도로 등재되지 않았다.[7]

5. 미국의 지리적 명칭

미국 지명 위원회는 오키나 및 카하코 (마크롱)의 유무에 관계없이 관련 지명을 지리 정보 시스템에 등재하고 있다. 구어체와 공식적으로 이러한 형태는 오랫동안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5]

참조

[1] 서적 Gagana Samoa: A Samoan Language Coursebook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0-07-17
[2] 웹사이트 Samoa to restore use of apostrophes and macrons http://www.samoanews[...] SamoaNews.com 2012-11-25
[3] 웹사이트 Learn Rapa Nui language https://www.easteris[...] 2024-09-10
[4] 서적 A Grammar of Rapa Nui https://langsci-pres[...] Language Science Press 2016-12-12
[5] 간행물 U.S. Board on Geographic Names: Collection and Dissemination of Indigenous Names http://unstats.un.or[...] United Nations Group of Experts on Geographical Names 2006-04-04
[6] 웹사이트 Unicode Standard 5.1 http://unicode.org/P[...]
[7] 웹사이트 Unicode Standard 5.1 http://unicode.org/P[...]
[8] 서적 Gagana Samoa: A Samoan Language Coursebook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0-07-17
[9] 웹인용 Samoa to restore use of apostrophes and macrons http://www.samoanews[...] SamoaNews.com 2012-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