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O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는 눈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유래한 로마 문자의 15번째 글자이다. 페니키아 문자 '아이인'에서 시작되어 그리스 문자 오미크론을 거쳐 에트루리아 문자와 로마 문자에 이르렀다. O는 다양한 언어에서 모음 /o/ 또는 유사한 소리를 나타내며, 영어에서는 긴 소리 /oʊ/ 또는 짧은 소리 /ɒ/로 발음된다. 산소의 원소 기호(O), 원점, 원의 중심, 8진수, 24를 나타내는 숫자 등으로 사용되며, 수학, 과학, 문법, 야구, 철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호나 약어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음자 - U
    U는 라틴 알파벳의 21번째 글자로, 주로 후설 원순 좁은 모음 /u/ 소리를 내지만, 언어에 따라 /y/나 다양한 발음으로 사용되며, 세미트 문자 와우에서 기원하여 웁실론을 거쳐 라틴 알파벳에 정착했고, V와 함께 쓰이다가 17세기 이후 분리되었으며, 우라늄 기호, 합집합 기호, 랙 유닛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모음자 - Y
    Y는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셈어 문자에서 유래하여 그리스 문자를 거쳐 라틴 알파벳에 도입되었고, 현대 영어에서는 모음과 자음으로 모두 사용되며 여러 분야에서 기호나 약자로 활용되고 한국어에서는 주로 외래어 표기에 쓰인다.
  • 로마자 낱자{{#if:{{{1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if:{{{1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O
문자 정보
이름
문자O o
스크립트라틴 문자
종류알파벳
언어라틴어
음소o

ɔ
əʊ

ʌ
ɒ
ø
a
ʕ
w
ʷ
ʊ
ə
ɐ
유니코드U+004F, U+006F
알파벳 순서15
기원D4
[[파일:Proto-semiticO-01.svg|20px|원시 시나이 문자 아인]]
[[파일:Protoayin.svg|20px]]
[[파일:Phoenician ayin.svg|20px|페니키아 문자 아인]]
자매 문자
Ƹ
ʿ
О
Ю
Ө
ע
ع
ܥ




Ո ո
Օ օ

ᱜ ᱣ
파생 문자Ö

Ø
Œ
Ɔ
Ơ



º
사용 시기~−700 부터 현재까지
관련 문자o(x)
쓰기 방향왼쪽에서 오른쪽
발음
영어 발음[oʊ]
다른 뜻
다른 뜻라틴 문자의 O
키릴 문자의 О
그리스 문자의 Ο
아르메니아 문자의 Օ

2. 역사

O는 눈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유래했다. 초기 그리스 알파벳에서 이 페니키아 문자를 모음으로 사용하면서 소리를 나타내는 "오미크론"이라는 문자를 채택했다. 이 문자는 고대 이탈리아 알파벳, 즉 초기 라틴 알파벳에 같은 소리값으로 채택되었다. 그리스어에서는 나중에 긴 소리인 오메가("큰 O"를 의미)와 짧은 소리인 오미크론("작은 o"를 의미)을 구별하기 위해 형태가 변형되었다. 그리스어 오미크론은 키릴 문자 O의 기원이 되었다.[2][3]

필기체


슈터린체


O는 아라비아 숫자0(영)과 같은 모양(호모글리프)을 가진 원(○)이다. 타자기에서는 0(영)을 이 글자의 대문자로 대신하기도 했지만, 현재 컴퓨터에서는 다른 글자로 취급한다. 0(영)과의 구별을 위해 0에 사선을 긋거나(사선이 있는 0), O의 대문자 상단에 필기체와 같은 꼬리를 붙이기도 한다.

손으로 쓸 때는 원의 꼭짓점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린다. 필기체에서 소문자는 원의 상단에서 다른 글자와 연결된다. 단독으로 쓰거나 어절의 마지막일 경우에도 원의 상단에서 오른쪽으로 다음 글자로 이어지는 것처럼 선을 긋는다. 대문자는 원을 그린 후 원의 상단 내부에 작은 원을 그려 외곽의 원 밖으로 선을 이어 그린다.

2. 1. 셈조어 문자 '눈'

아이인그리스
오미크론에트루리아
O라틴
O
눈을 묘사하는 이집트 상형 문자
45px
라틴 O



그래픽 형태는 페니키아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상당히 일관되게 유지되어 왔다. 페니키아 문자의 이름은 "눈"을 의미하는 ''ʿeyn''이었으며, 그 모양은 단순히 사람의 눈을 그린 것에서 유래했다(아마도 해당하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이다. 프로토시나이 문자).[2]

2. 2. 페니키아 문자 아인



페니키아 문자의 이름은 "눈"을 의미하는 ''ʿeyn''이었으며, 그 모양은 단순히 사람의 눈을 그린 것에서 유래했다.[2] 그래픽 형태는 페니키아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상당히 일관되게 유지되어 왔다.

2. 3. 그리스 문자 오미크론

아이인그리스
오미크론에트루리아
O라틴
O


2. 4. 에트루리아 문자 O

에트루리아 문자 O


에트루리아 문자는 로마 문자 O의 기원이 되었다.

2. 5. 로마 문자 O

아이인그리스
오미크론에트루리아
O라틴
O



1627년의 늦은 르네상스 또는 초기 바로크 양식의 O 디자인


그래픽 형태는 페니키아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상당히 일관되게 유지되어 왔다. 페니키아 문자의 이름은 "눈"을 의미하는 ''ʿeyn''이었으며, 그 모양은 단순히 사람의 눈을 그린 것에서 유래했다.[2]

이 페니키아 문자를 모음으로 사용한 것은 초기 그리스 알파벳 때문인데, 이 알파벳에서는 모음 을 나타내기 위해 "오미크론"이라는 문자를 채택했다. 이 문자는 고대 이탈리아 알파벳, 즉 초기 라틴 알파벳에서 그 값으로 채택되었다. 그리스어에서는 나중에 이 긴 소리(오메가, "큰 O"를 의미)와 짧은 o(오미크론, "작은 o"를 의미)를 구분하기 위해 형태의 변형이 생겨났다. 그리스어 오미크론은 해당하는 키릴 문자 O를 만들어냈다.[2][3]

원(○) 모양이며, 아라비아 숫자0(영)과 같은 모양(호모글리프)이다.

3. 이름

영어에서 이 글자의 이름은 "긴 O" 소리로, oʊ|오우영어로 발음된다. 다른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그 이름이 개방음절에서 글자의 발음과 일치한다.

유럽 언어에서 글자 ⟨o⟩의 이름 발음

4. 발음

라틴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인도네시아어, 일본어, 에스페란토어에서는 'O'가 '오'oː한국어로 발음된다.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베트남어에서는 '오'o한국어로 발음된다. 영어에서는 '오우'oʊ영어로 발음된다.[20] 이 글자가 나타내는 음소는 또는 그와 유사한 음이다.

이탈리아어에서는 강세 위치에 따라 원순 후설 좁은 반모음 또는 으로 발음되며, 다른 위치에서는 거의 중간 음으로 발음된다. 영어에서는 강세가 있는 경우, 대모음 이동에 의해 단모음은 , 장모음은 가 된다. 강세가 없는 경우에는 약화된 모음이 된다. 또한, u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 이는 과거 세로로 쓰인 선(미니멈)이 많았던 것을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대체된 것이다. (예) luve→love, cume→come

4. 1. 한국어

한국어에서 'O'는 주로 'ㅗ'(/o/) 발음을 나타낸다.

4. 2. 영어

영어에서 O는 다양한 발음을 가진다. 'boat'처럼 긴 O는 이중모음 (방언에 따라 에서 까지)로 발음된다.[5] 'fox'처럼 짧은 O 는 방언에 따라 다르게 들리는데, 대부분의 영국 영어 방언에서는 개방 중간 후설 둥근 모음 또는 개방 후설 둥근 모음 이고, 미국 영어에서는 대부분 둥글지 않은 후설 모음 에서 중설 모음 에 가깝다.[5]

다른 문맥에서 O는 'son', 'love'처럼 를 나타내거나, 'choir', 'quinoa'처럼 반모음 를 나타내기도 한다.

'O'는 단독으로 "oh"로 철자되고 로 발음되는 단어이다. 명사 앞에 대문자로 쓰여 직접 호칭(호격)을 나타내기도 한다.[6]

4. 3. 기타 언어

많은 언어에서 O는 중간 뒤 둥근 모음 /ɔ/, /o̞/, /o/와 관련이 있다.

여러 언어에서 "O"의 발음
표기음소
표준 중국어 (병음)ə, u
체코어ɔ
영어ɒ, /oʊ/, ə, ɔː, /aɪə/
프랑스어o, ɔ
독일어ɔ, oː, o
아일랜드어ɔ, ə
이탈리아어o, ɔ
말라가시어u
말레이어ɔ
오크어u
폴란드어ɔ
포르투갈어o, ɔ, u, w
스페인어o
슬로바키아어ɔ
튀르키예어o

5. 컴퓨터 부호

O는 ASCII유니코드에서 중요한 코드를 차지하며,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O는 원(○)이다. 따라서 아라비아 숫자0(영)과 같은 모양(호모글리프)이며, 타자기에서는 0(영)을 이 글자의 대문자로 대신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현재의 컴퓨터에서는 다른 글자로 취급한다. 구별을 위해 0(영)에 사선을 긋거나(사선이 있는 0), 이 글자의 대문자 상단에 필기체와 같은 꼬리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손으로 쓸 때는 원의 꼭짓점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린다. 필기체에서는 다음과 같다.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비고
OU+004F1-3-47oU+006F1-3-79
U+FF2F1-3-47U+FF4F1-3-79전각
U+24C4U+24DE1-12-40원형 둘러싸기
🄞U+1F11EU+24AA괄호付き
𝐎U+1D40E𝐨U+1D428굵은 글씨


6. 쓰임

O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기호 및 약어로 사용된다.



O는 0(영)과 모양이 거의 같아 혼동되기 때문에 약호로 사용하는 것을 피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전기 저항 단위 옴의 기호는 Ω을 사용하며,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 선의 노선 기호는 E를 사용한다.

6. 1. 과학

O는 산소원소 기호이다.[1] O는 ABO식 혈액형 중 하나를 나타낸다.[6] O 항원은 대장균의 항원 중 세균체 항원을 가리킨다. (예: O157)

6. 2. 수학

6. 3. 기타

7. 관련 글자

아이인그리스
오미크론에트루리아
O라틴
O



그래픽 형태는 페니키아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상당히 일관되게 유지되어 왔다. 페니키아 문자의 이름은 "눈"을 의미하는 ''ʿeyn''이었으며, 그 모양은 단순히 사람의 눈을 그린 것에서 유래했다(아마도 해당하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이다. 프로토시나이 문자). 원래 음가는 자음, 아마도 이었을 것이며, 이는 동족어인 아랍어 ع ''ʿayn''이 나타내는 소리이다.[2]

이 페니키아 문자를 모음으로 사용한 것은 초기 그리스 알파벳 때문인데, 이 알파벳에서는 모음 을 나타내기 위해 "오미크론"이라는 문자를 채택했다. 이 문자는 고대 이탈리아 문자, 즉 초기 라틴 문자에서 그 값으로 채택되었다. 그리스어에서는 나중에 이 긴 소리(오메가, "큰 O"를 의미)와 짧은 o(오미크론, "작은 o"를 의미)를 구분하기 위해 형태의 변형이 생겨났다. 그리스어 오미크론은 해당하는 키릴 문자 O를 만들어냈다.[2][3]

8. 기타 표현법

O는 NATO 음성 문자에서 'Oscar'로 표현된다.[1] O는 모스 부호에서 '–––'로 표현된다.[1]

9. 한국 문화 속 O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춰 수정 후 다시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chambersh[...]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2] 웹사이트 Evolution of Alphabets https://webspace.shi[...] 2024-01-03
[3] 웹사이트 Cyrillic script https://www.omniglot[...] 2024-01-03
[4] 웹사이트 Frequency Table https://pi.math.corn[...]
[5] 웹사이트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for American English - IPA Chart https://easypronunci[...] 2024-01-03
[6] 웹사이트 Quick search: "o lord" http://www.biblegate[...] 2013-12-05
[7] 웹사이트 IPA Chart with Sounds –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Sounds https://www.internat[...] 2023-10-22
[8] 웹사이트 L2/04-132 Proposal to add additional phonetic charac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04-04-19
[9] 웹사이트 L2/06-027: Proposal to add Medievalist charac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06-01-30
[10] 웹사이트 L2/21-039: Proposal to include the letter 'Old Polish O' https://www.unicode.[...] 2021-01-12
[11] 웹사이트 L2/06-036: Proposal to encode characters for Ordbok över Finlands svenska folkmål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06-01-26
[12] 웹사이트 L2/20-252R: Unicode request for IPA modifier-letters (a), pulmonic https://www.unicode.[...] 2020-11-08
[13] 웹사이트 L2/02-141: Uralic Phonetic Alphabet characters for the UCS https://www.unicode.[...] 2002-03-20
[14] 웹사이트 L2/11-202: Revised proposal to encode "Teuthonista" phonetic characters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1-06-02
[15] 웹사이트 L2/04-191: Proposal to encode six Indo-Europeanist phonetic characters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04-06-07
[16] 웹사이트 L2/20-125R: Unicode request for expected IPA retroflex letters and similar letters with hooks https://www.unicode.[...] 2020-07-11
[17] 웹사이트 L2/21-021: Reference doc numbers for L2/20-266R "Consolidated code chart of proposed phonetic characters" and IPA etc. code point and name changes https://www.unicode.[...] 2020-12-07
[18] 웹사이트 Earliest Uses of Symbols of Set Theory and Logic https://jeff560.trip[...]
[19] 웹사이트 Script (or Calligraphic) https://www.w3.org/T[...] 2024-01-03
[20]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chambersh[...]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