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트빌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트빌가는 10세기 노르망디에 기원을 둔 가문으로,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시조는 탄크레데 드 오트빌이며, 그의 아들들은 남이탈리아로 진출하여 비잔틴 제국과 싸워 풀리아와 칼라브리아 백작, 아스콜리 군주, 베노사 군주가 되었다. 로베르 기스카르는 시칠리아 정복을 시작했고, 동생 로제 1세와 함께 시칠리아를 정복하여 시칠리아 백작으로 임명되었다. 로제 1세의 후손들은 시칠리아 왕국을 건설하고, 루제로 2세는 시칠리아 왕으로 즉위하여 남이탈리아를 통합했다. 오트빌 가문은 십자군 전쟁에도 참여하여 안티오키아 공국을 세우기도 했으나, 기욤 2세의 후계자 부재로 호엔슈타우펜 가문에 의해 시칠리아 왕국이 멸망하면서 가문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
오트빌 가문은 10세기 노르망디 오트빌라기샤르(Hauteville-la-Guichard)에 정착한 노르드인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이들은 코탕탱 반도에 정착해 가문의 이름이 전래된 히알투스 빌라(Hialtus Villa, 오트빌)라는 마을을 세운 노르드인 무리의 일원인 이탈트 가문의 후손이라고도 한다.[1][2]
탄크레데의 아들 중 8명은 부를 찾아 남이탈리아(메초조르노)로 향했다.[3] 1035년경 기욤(강철팔 기욤)과 드로고 형제가 남이탈리아에 도착하여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활약했다. 기욤은 아풀리아 공작위와 아스콜리의 군주가 되었고, 드로고는 베노사의 군주가 되었다. 1047년 드로고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3세에게 기욤의 후계자로 승인받았다.[3] 옹프루아 드 오트빌은 치비타테 전투에서 교황 레오 9세를 격퇴하며 가문의 세력을 확장했다. 로베르 기스카르는 시칠리아 정복을 시작하고 비잔티움 제국과 전쟁을 벌였다. 로제 드 오트빌(로제 1세)은 로베르 기스카르와 함께 시칠리아를 정복하고 1071년 시칠리아 백작이 되었다.[3]
보에몽 1세는 1088년에 풀리아 공작위 압류에 대한 대가로 타란토 대공 작위를 받았다. 그는 삼촌과 형제들이 아말피를 공략하는 동안, 팔레스타인으로 향하는 십자군 대열에 합류하였다. 그의 군대에는 조카인 탕크레드가 있었다.
탄크레데 드 오트빌은 오트빌 가문의 시조로, 노르망디의 소 남작이었다. 그는 두 명의 아내 사이에서 12명의 아들과 최소 두 명의 딸을 두었다. 그의 아들들은 메초조르노로 가서 부를 찾았다.[1][2]
2. 기원
가문의 시조는 탄크레데 드 오트빌로, 그는 노르망디의 소남작이었으나 두 명의 아내 뮈리엘(Muriel)과 프레센다(Fressenda) 사이에서 12명의 아들과 최소 두 명의 딸을 두었다.
3. 메초조르노
3. 1. 시칠리아 왕국
1127년 기욤 2세가 사망하면서 공국과 백국의 연합, 그리고 왕좌에 대한 로제의 욕망에 영향을 주었다. 로제는 과거부터 왕들이 팔레르모를 통치했다고 믿으며 대립 교황 아나클레토 3세를 지지하였고, 1130년 12월 25일 시칠리아 왕에 등극하였다.[1]
로제는 대관식 후 아리아노 법령 제정 기간 대부분을 바리 대공 그리모알드 알페라니테스, 카푸아 대공 로베르 2세, 알리페 백작 랑뉠프 2세, 나폴리 공작 세르지우스 7세 등 대귀족들의 반란을 진압하고 하나 이상의 적들을 물리치는 데 보냈다. 1139년 미냐노 조약에서 로제는 정당한 교황에게서 그의 왕권을 인정받았다. 그의 제독 조르주 단티오크를 통해, 로제는 아프리카의 마디아 정복을 진행하였고, "아프리카의 왕"이라는 비공식적인 칭호를 취했다.[1]
로제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기욤 1세는 그가 진압한 남작들의 반란을 지지한 연대기 작가들의 인기 부족으로 '''사악한 왕'''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의 통치 기간은 평화롭게 막을 내렸지만(1166년), 그의 아들 기욤 2세는 그렇지 못했다. 1172년까지 기욤이 섭정을 지내던 기간, 왕국은 혼란을 겪었고, 이는 군림 가문의 쇠락을 가져왔으나, 마침내 왕국이 안정화되고 기욤의 통치는 20년간 평화와 번영으로 기억되었다. 이로 인해 그는 '''선왕'''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1189년에 그가 후계자를 남기지 않고 사망하면서, 왕국은 혼란에 빠지고 말았다.[1]
탄크레드 드 레체가 왕위에 올랐지만 그의 먼 사촌인 로제 당드리아의 반란과 로제 2세의 딸 콘스탄체를 대신해 침략해온 그녀의 남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와 씨름하였다. 콘스탄체와 하인리히가 마침내 승리를 거두고 왕국을 1194년에 호엔슈타우펜 가문이 장악하였다. 하지만 콘스탄체를 통해서, 오트빌 가문의 혈통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게로 전해졌다.[1]
3. 2. 왕위 계승 분쟁과 멸망
기욤 2세가 1189년에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왕국은 혼란에 빠졌다.[1] 탕크레드 드 레체가 왕위에 올랐지만, 그의 먼 사촌인 로제 당드리아의 반란과 루지에로 2세의 딸 콘스탄체를 대신해 침략해온 그녀의 남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와 싸워야 했다.[1] 콘스탄체와 하인리히 6세가 결국 승리하여 1194년에 왕국은 호엔슈타우펜 가문이 차지하게 되었다.[1] 그러나 콘스탄체를 통해 오트빌 가문의 혈통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게 이어졌다.[1]
4. 십자군
보에몽 1세는 안티오크를 점령하고 군대를 대기시킨 채 예루살렘으로 향하지 않고, 새롭게 정복한 도시에 대공국을 세웠다. 탕크레드는 킬리키아에 있는 헤라클레아 키비스트라에서 주요 십자군에서 이탈하였다. 보에몽 1세는 하란 전투에서 대패하고 사로잡혀 비잔티움에서 데볼 조약을 체결하였다. 그의 아들 보에몽 2세가 십자군 국가를 계승하였고, 콩스탕스 당티오슈에게 대공국을 물려주었다. 콩스탕스는 1163년까지 대공국을 다스렸다.
탕크레드는 고드프루아 드 부용의 승인으로 갈릴리 인근 대공국을 세웠지만, 1101년에 포기하였다.
5. 오트빌 가문의 주요 인물
6. 가계도
| 탱크레드 |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구리에르모 1세 풀리아 백작 | 드라고네 풀리아 백작 | 움프레도 풀리아 백작 | 세르로네 1세 | 로베르토 기스카르 풀리아·칼라브리아 공작 | 구리에르모 프린치파르토 백작 | 루지에로 1세 시칠리아 백작 | ||||||||||||
| colspan="9" | | colspan="2" | | colspan="6" | | colspan="2" | | colspan="2" | | |||||||||||||||||||
| 선량공 오돈 | 에마 | 보에몬 1세 타란토 공작, 안티오키아 공작 | 루지에로 보르사 풀리아·칼라브리아 공작 | 로베르토 스칼리오 | 구이도 아말피 공작 | 리차르도 디 살레르노 | 알트루데 | 시모네 시칠리아 백작 | 루지에로 2세 시칠리아 왕 | ||||||||||||||
| colspan="13" | | colspan="2" | | colspan="6" | | |||||||||||||||||||||
| 탱크레드 갈릴리 공작 안티오키아 섭정 | 알트루데 =리차르도 디 살레르노 | 보에몬 2세 안티오키아 공작 | 구리에르모 2세 풀리아·칼라브리아 공작 | 탱크레디 바리 공작 타란토 공작 | 세실 (보두앵 2세 자매) | 루지에로 살레르노 백작 안티오키아 섭정 | 마리아 =에데사 백작 조슬랭 1세 | 루지에로 3세 풀리아 공작 | 구리에르모 1세 시칠리아 왕 | 콘스탄체 시칠리아 여왕 | 하인리히 6세 신성 로마 황제 | ||||||||||||
| colspan="11" | | colspan="6" | | colspan="4" | | colspan="2" | | ||||||||||||||||||||
| 콘스탄스 안티오키아 여공 | 레이몽 드 푸아티에 | 탱크레디 시칠리아 왕 | 구리에르모 2세 시칠리아 왕 | 프리드리히 2세 시칠리아 왕 신성 로마 황제 | |||||||||||||||||||
| colspan="19" | | colspan="2" | | ||||||||||||||||||||||
| 루지에로 3세 시칠리아 왕 | 구리에르모 3세 시칠리아 왕 | 호엔슈타우펜 왕조 | |||||||||||||||||||||
참조
[1]
서적
The place-names of Somerset
St. Stephen's printing works
[2]
간행물
Revue de l'Avranchin et du pays de Granville, Volume 31, Issue 174, Parts 3-4
Société d'archéologie, de littérature, sciences et arts d'Avranches, Mortain, Granville
[3]
서적
The Deeds of Count Roger of Calabria and Sicily and of His Brother Duke Robert Guiscard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
서적
Guillaume de Pouille
Guillaume de Pouille
[5]
논문
The Norman Invasion of Sicily, 1061-1072: Numbers and Military Tactics
20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