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르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드인은 19세기 초 영어에서 '북쪽 사람'을 의미하는 단어로,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사람들을 지칭한다. 이들은 다양한 지역에서 각기 다른 명칭으로 불렸으며, '바이킹'은 노르드인의 해상 활동과 약탈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노르드인은 데인인, 스비아인, 노르웨이인 등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 광범위한 지역에 정착지를 건설했다. 주요 노르드인으로는 심사숙고한 아우드, 하랄드 블루투스, 레이프 에릭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중세사 - 룬석
    룬석은 4~5세기 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 기원하여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950년에서 1100년 사이에 제작된 룬 문자가 새겨진 비석으로, 죽은 이를 기리고 업적을 기념하며 영토를 표시하는 등 역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스웨덴의 중세사 - 스웨덴의 핀란드 지배
    스웨덴의 핀란드 지배는 1150년경 북방 십자군으로 시작되어 서구 문화권에 편입되었고, 스웨덴 제국의 동부 국경 역할을 했으며, 1809년 핀란드가 러시아에 병합되기 전까지 스웨덴 왕 선거에 대표를 보내고 자치권을 획득하기도 했다.
  • 덴마크의 역사 - U-2기 사건
    U-2기 사건은 1960년 5월 1일 미국 U-2 정찰기가 소련 영공에서 격추되어 미국의 첩보 활동이 드러나면서 미·소 관계가 악화되고 국제적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덴마크의 역사 - 덴마크-노르웨이
    덴마크-노르웨이는 1380년 덴마크와 노르웨이가 마르그레테 1세의 통치 하에 연합하여 시작되었고, 칼마르 동맹을 거쳐 발트해를 장악하고 전쟁을 겪었으며, 나폴레옹 전쟁 이후 킬 조약으로 노르웨이를 스웨덴에 할양하며 해체되었다.
  • 노르드인 - 바랑기아인
    바랑기아인은 스칸디나비아 출신 용병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9세기부터 11세기까지 동유럽과 비잔티움 제국 등지에서 무역 및 군사 활동을 했으며, 키예프 루스 형성과 비잔티움 제국 바랑기아 친위대 구성에 기여했다.
  • 노르드인 - 레이프 에이릭손
    레이프 에이릭손은 아이슬란드 출신의 노르드인 탐험가이자 그린란드 족장으로, 북미 빈란드에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으로 여겨지며, 헬룰란드, 마르크란드를 거쳐 빈란드에 이르는 항해를 통해 북아메리카를 탐험했고, 그의 탐험 기록은 사가에 남아있으며, 스칸디나비아계 미국인들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노르드인
개요
11세기 스칸디나비아
바이킹 시대 스칸디나비아의 정치적 지형
기원스칸디나비아반도
민족 계통북게르만족
주요 분파데인인
스비아인
노르웨이인
아이슬란드인
기트인
바랑기아인
루스인
노르만인
언어노르드어
종교노르드 종교
역사
시대바이킹 시대 (주로 8세기 ~ 11세기)
활동 지역유럽
북대서양
러시아
주요 활동탐험
정착
무역
약탈
문화
사회 구조씨족 사회
해상 중심 문화
종교노르드 신화 기반의 다신교
언어고대 노르드어 사용
룬 문자룬 문자 사용
관련 용어
다른 명칭노르드만 (Nordmän, 스웨덴어)
노르만인 (Normanni, 라틴어)
관련 민족게르만족
관련 국가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아이슬란드
문화적 중요성
현대의 영향현대 스칸디나비아 문화와 언어에 큰 영향
문학사가 및 에다 등의 문학 작품
대중 문화바이킹 관련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대중 문화 콘텐츠에 등장

2. 용어

'노르드인'이라는 용어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고대 프랑크어 ''Nortmann''(Northman, 북쪽 사람)은 라틴어에서 ''노르마니''(''Normanni'')로 변형되었고, 고대 프랑스어로는 '노흐망'(''Normands'')이 되었다. 여기서 '노르만인'과 노르망디라는 이름이 나왔다.[28][29]

고대 노르드어 ''norrœnir menn''(북쪽 사람들)은 영어 'Norsemen'에 해당하는 말로,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페로 제도, 아이슬란드 사람들을 가리켰다.

현대 스칸디나비아 어군에서 Norsmen에 대한 공통어는 ''nordbo''이다. 스웨덴어로는 ''nordborna'', 덴마크어로는 ''nordboerne'', 노르웨이어로는 ''nordboerne'' 또는 ''nordbuane''로 모두 복수형이다. 이 말은 노르딕 국가의 고대 및 현대인들과 스칸디나비아의 독일계 언어를 말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의 현대인들은 스스로를 ''스칸디나버''(''skandinaver'', 스칸디나비아인)라고 부른다.

'바이킹'은 덴마크어노르웨이어로 ''비킹에''(''Vikinger''), 스웨덴어로 ''비킹에''(''Vikingar'')이다. 현지인은 이 말을 '노스맨'(Norsemen)에 상응하는 말로 사용하지 않는다. 바이킹은 고대 스칸디나비아어에서 약탈을 의미했으며 민족 집단을 가리키는 말은 아니었다. 그러나 해외에서 노스맨들을 바이킹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페로 제도는 지리적으로 스칸디나비아반도와 떨어져 있어, ''노르딕 국가''라는 용어는 이들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30]

''노르스인''(Norseman)은 19세기 초 영어에 처음 등장한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월터 스콧의 1817년 작품 ''용감한 해럴드''에 처음 나온다. 이 단어는 '노르웨이의'라는 의미로 16세기에 네덜란드어에서 영어로 차용된 형용사 ''norse''를 사용하여 만들어졌으며, 스콧 시대에는 "특히 고대 또는 중세 시대의 스칸디나비아 또는 그 언어와 관련된"이라는 의미를 가졌다.[8]

'노르스인'은 중세 시대에 노르드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만났던 민족들이 사용한 '북방인'을 의미하는 용어와도 관련이 있다.[10] 고대 프랑크어 단어 Nortmannfrk(북방인)은 Normannusla로 이름의 라틴어화되었으며, 라틴어 텍스트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라틴어 단어 Normannusla는 이후 고대 프랑스어로 Normandsfro로 유입되었다. 이 단어에서 노르만족과 10세기에 노르스인들이 정착한 노르망디의 이름이 유래되었다.[11][12]

같은 단어가 에스파냐어와 라틴어의 지역 방언에도 유입되었는데, ''n-''뿐만 아니라 ''l-''로 시작하는 형태도 있었다. lordomanniosp는 지역 로망스어에서 비음 자음 동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13] 이 형태는 아랍어로 차용되었을 수 있는데, 알마수디는 844년 세비야를 공격한 약탈자들을 ''루스''뿐만 아니라 로도 식별했다.[14]

고대 영어로 쓰여진 앵글로색슨 연대기더블린의 이교도 노르웨이 노르스인(''Norðmenn'')과 데인로의 기독교인 데인족(''Dene'')을 구별한다. 942년에는 에드먼드 1세가 요크의 노르스인 왕들을 상대로 승리한 것을 기록하며, "데인족은 이전에 노르스인들에게 강제로 복속되었으며, 오랫동안 이교도에게 포로로 잡혀 있었다."라고 언급한다.[15][16][17]

노르드인은 독일인에게는 Ascomannigoh(재의 사람들), 게일인에게는 Lochlanachsga(노르드인), 앵글로색슨인에게는 Deneang(데인인)으로 알려졌다.[21]

게일어 용어 Finn-Gallsga(노르웨이 바이킹), Dubh-Gallsga(덴마크 바이킹), Gall Goidelsga(외국 게일인)은 게일 문화에 동화된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의 노르드계 사람들을 지칭했다.[22] 더블린 사람들은 그들을 오스트멘(동쪽 사람들)이라고 불렀고, 옥스만타운이라는 이름은 그들의 정착지 중 하나에서 유래되었다. 그들은 또한 Lochlannaighsga(호수의 사람들)로 알려졌다.

슬라브족, 아랍인, 비잔틴인은 그들을 ''루스'' 또는 (Ῥῶςgrc)로 불렀는데, rōþs-non(노와 관련됨)에서 유래되었거나, 동슬라브 지역을 방문한 대부분의 북방인들이 기원한 스웨덴 중동부의 로슬라겐 지역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23]

오늘날의 고고학자들과 역사가들은 이 동슬라브 땅에 있는 스칸디나비아 정착지가 러시아벨라루스라는 국가의 이름을 형성했다고 본다.[24]

슬라브족과 비잔틴인들은 또한 그들을 ''바랑인''(, "맹세한 사람들")이라고 불렀으며, 비잔틴 제국 황제의 스칸디나비아인 호위대는 바랑기아 근위대로 알려졌다.[25]

2. 1. 노르드인과 노르만인

'노르드인'(Norseman)이라는 단어는 19세기 초 영어에 처음 등장한 단어이다. 이 단어는 '북쪽 사람'을 의미하는 고대 프랑크어 'Nortmann'에서 유래했다.[10] 라틴어 'Normanni'를 거쳐 고대 프랑스어 'Normands'가 되었고, 여기서 '노르만인'과 노르망디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 노르망디10세기에 노르드인들이 정착한 곳이다.[11][12]

2. 2. 현대 스칸디나비아 용법

현대 스칸디나비아 어군은 노르드인(Norsemen)을 가리키는 공통 단어인 nordbo|노르드보sv를 가지고 있다. nordborna|노르드보르나sv, nordboerne|노르드보에르네da, nordboerne|노르드보에르네no 또는 nordbuane|노르드부아네no와 같이 복수형으로 사용되며, 북유럽 국가에 거주하며 북게르만어군 중 하나를 사용하는 고대 및 현대 사람들을 모두 지칭한다.[30]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의 현대인들은 스스로를 skandinaver|스칸디나비아인sv라고 부른다.[30]

'바이킹'이라는 단어는 덴마크어노르웨이어로 Vikinger|비킹에르da, 스웨덴어로 Vikingar|비킹아르sv이다. 이 단어는 현지인들이 '노스맨'(Norsemen)에 해당하는 말로 사용하지 않는다. 바이킹은 고대 스칸디나비아어에서 약탈을 의미하는 단어였으며, 특정 민족 집단을 가리키는 말은 아니었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노스맨들을 바이킹이라고 부르기도 했다.[30]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페로 제도는 지리적으로 스칸디나비아반도와 떨어져 있다. 노르딕 국가라는 용어는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아이슬란드, 그린란드, 페로 제도)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30]

2. 3. 바이킹

'바이킹'은 덴마크어노르웨이어로는 '비킹에'(Vikinger), 스웨덴어로는 '비킹에'(Vikingar)라고 불린다. 현지인들은 이 단어를 '노스맨'(Norsemen)에 해당하는 말로 사용하지 않는다. 바이킹은 고대 스칸디나비아어에서 약탈을 의미하는 단어로, 민족 집단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노르드인들의 해상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바이킹'이라는 단어가 해외에서 노르드인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되게 되었다.[30]

현대 학계에서는 '바이킹'을 노르드인 침략자들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하며, 특히 노르드인이 영국 제도를 약탈하고 수도원을 약탈한 것과 관련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당시에는 이러한 의미로 사용되지 않았으며, 고대 노르드어와 고대 영어에서 이 단어는 단순히 '해적'을 의미했다.[18][19][20]

3. 다른 명칭

현대 학계에서 바이킹은 노르드인 침략자들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지만, 당시에는 '해적'을 의미하는 단어였다.[18][19][20] 노르드인은 여러 민족에게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3. 1. 게르만족

게르만족은 노르드인을 Ascomanni|아스코만니goh(재의 사람들)라고 불렀다.[21]

3. 2. 게일인

게일인은 노르드인을 Lochlanachsga (노르드인)이라고 불렀다.[21]

게일 문화에 동화된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의 노르드계 사람들을 지칭하는 게일어 용어로는 Finn-Gallsga (노르웨이 바이킹 또는 노르웨이인), Dubh-Gallsga (덴마크 바이킹 또는 덴마크인), Gall Goidelsga (외국 게일인) 등이 있었다.[22] 더블린 사람들은 그들을 오스트멘, 즉 동쪽 사람들이라고 불렀으며, 그들의 정착지 중 하나에서 옥스만타운 (더블린 중심부의 지역; 그 이름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음)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3. 3. 앵글로색슨인

앵글로색슨족은 노르드인을 Dene|데인인ang이라고 불렀다.[21]

3. 4. 슬라브족, 아랍인, 비잔틴인

슬라브족, 아랍인, 비잔틴인은 노르드인을 루스 또는 라고 불렀는데, 이는 아마도 rōþs-|노와 관련됨non에서 유래했거나, 동슬라브 지역을 방문한 대부분의 북방인들이 기원한 스웨덴 중동부 로슬라겐 지역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3]

오늘날 고고학자들과 역사가들은 이 동슬라브 땅에 있던 스칸디나비아 정착지가 러시아벨라루스라는 국가의 이름을 형성했다고 믿고 있다.[24]

슬라브족과 비잔틴인들은 또한 노르드인을 바랑인 ()이라고 불렀으며, 비잔틴 제국 황제의 스칸디나비아인 호위대는 바랑기아 근위대로 알려졌다.[25]

4. 노르드 제족

노르드인은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요 부족으로는 데인인(덴마크인), 스비아인(스웨덴인), 노르웨이인, 아이슬란드인, 루스인, 바랑기아인, 노르만인 등이 있었다.

4. 1. 주요 부족

5. 지리

노르드인의 탐험 및 확장 경로


노르드인의 활동 범위는 매우 넓었다. 영국인들이 생각하는 바이킹의 기원에 대한 개념은 정확하지 않았다.

5. 1. 주요 활동 지역



오늘날 덴마크, 스카니아, 스웨덴 서부 해안, 노르웨이 (거의 70도까지), 스웨덴 발트해 연안 (약 60도 및 멜라렌 호까지)에 거주했던 사람들이 영국을 약탈했다. 그들은 또한 스웨덴의 고틀란드 섬 출신이었다. 노르드인과 더 남쪽에 위치한 게르만 부족인 다네비르케 사이의 경계는 오늘날 덴마크-독일 국경에서 약 50km 남쪽에 위치해 있다. 최남단에 거주했던 바이킹은 타인 강 뉴캐슬보다 더 북쪽에 살지 않았으며, 북쪽보다는 동쪽에서 영국으로 건너갔다.

노르드 스칸디나비아인들은 오늘날의 영국(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러시아, 벨라루스, 프랑스, 시칠리아, 벨기에, 우크라이나,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독일, 폴란드, 그린란드, 캐나다,[26]페로 제도에 정착지와 정착지를 건설했다.[27]

6. 주요 노르드인

노르드인 중에는 역사에 이름을 남긴 인물들이 많다.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활동 시기설명
심사숙고한 아우드배 선장이자 아이슬란드의 초기 정착민
하랄드 블루투스사망덴마크노르웨이의 왕, 블루투스 무선 기술의 이름의 유래
볼리 볼라손출생아이슬란드의 저명한 전사, 바랑기안 근위대의 일원
프레이디스 에이릭스도티르출생탐험가이자 빈란드의 초기 정착민
에리크 뇌르세노르웨이 탐험가, 그린란드의 첫 번째 정착지 건설자
레이프 에릭손북아메리카 대륙에 발을 디딘 최초의 유럽인으로 여겨지는 아이슬란드 탐험가
에스트리드강력한 스웨덴의 거물, 여성 가장
하랄드 하르파그레최초의 노르웨이 국왕
하랄 하르드라다노르웨이의 하랄 3세, 1046년부터 1066년까지 노르웨이의 왕
군보르가헬싱글란드 룬 비문 21을 담당한 스웨덴의 룬 문자 장인
힐드르 흐롤프스도티르노르웨이의 음유시인, 트론헤임의 바이킹 야를인 아버지 롤프 네비아의 추방에 관한 시로 알려짐
백색 올라프바이킹 해왕, 더블린 국왕, 심사숙고한 아우드의 남편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전설적인 바이킹 영웅이자 왕
토르비요르그 리틀볼바노르드 식민지 그린란드의 유명한 예언자
군라우그 오름스퉁가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아일랜드, 오크니 제도, 스웨덴에서 광범위하게 활동한 아이슬란드의 음유시인
강력한 로드노르웨이블로트 사제이자 항해 전사
스테이뉼 렙스도티르기독교 선교사 탕브란드르를 조롱하는 시로 알려진 아이슬란드의 음유시인
루스라"붉은 여자", 전설적인 노르웨이 해적 함대 지도자
스테이뉼 시그바츠도티르1271년 사망영향력 있는 아이슬란드 여성 가장이자 음유시인
에길 스칼라그림손아이슬란드의 전쟁 시인, 마법사, 광전사, 농부, 에길의 사가의 반영웅
스노리 스투를루손1179–1241아이슬란드의 역사가, 시인, 정치인, 알싱의 법률 대변인, 노르드 신화의 주요 자료를 구성
토르켈 더 톨반전설적인 스카니아 영주이자 욤스비킹
베보르사망브로발라 전투에서 그녀의 역할로 알려진 전설적인 방패 여전사


6. 1. 주요 인물


  • 심사숙고한 아우드: 배 선장이자 아이슬란드의 초기 정착민이다.
  • 하랄드 블루투스: 덴마크노르웨이의 왕으로, 블루투스 무선 기술의 이름 유래가 되었다.
  • 볼리 볼라손: 아이슬란드의 저명한 전사이며 바랑기안 근위대의 일원이었다.
  • 프레이디스 에이릭스도티르: 탐험가이자 빈란드의 초기 정착민이었다.
  • 에리크 뇌르세: 노르웨이 탐험가이자 그린란드의 첫 번째 정착지 건설자이다.
  • 레이프 에릭손: 북아메리카 대륙에 발을 디딘 최초의 유럽인으로 여겨지는 아이슬란드 탐험가이다.
  • 에스트리드: 강력한 스웨덴의 거물이며 여성 가장이었다.
  • 하랄드 하르파그레: 최초의 노르웨이 국왕이다.
  • 하랄 하르드라다: 노르웨이의 하랄 3세로도 알려져 있으며, 1046년부터 1066년까지 노르웨이의 왕이었다.
  • 군보르가: 헬싱글란드 룬 비문 21을 담당한 스웨덴의 룬 문자 장인이었다.
  • 힐드르 흐롤프스도티르: 노르웨이의 음유시인으로, 트론헤임의 바이킹 야를인 아버지 롤프 네비아의 추방에 관한 시로 알려져 있다.
  • 백색 올라프: 바이킹 해왕, 더블린 국왕, 심사숙고한 아우드의 남편이었다.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전설적인 바이킹 영웅이자 왕이었다.
  • 토르비요르그 리틀볼바: 노르드 식민지 그린란드의 유명한 예언자였다.
  • 군라우그 오름스퉁가: 아이슬란드의 음유시인으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아일랜드, 오크니 제도, 스웨덴에서 광범위하게 활동했다.
  • 강력한 로드: 노르웨이블로트 사제이자 항해 전사였다.
  • 스테이뉼 렙스도티르: 기독교 선교사 탕브란드르를 조롱하는 시로 알려진 아이슬란드의 음유시인이었다.
  • 루스라: 일명 "붉은 여자"로 불렸으며, 전설적인 노르웨이 해적 함대 지도자였다.
  • 스테이뉼 시그바츠도티르 (1271년 사망): 영향력 있는 아이슬란드 여성 가장이자 음유시인이었다.
  • 에길 스칼라그림손: 아이슬란드의 전쟁 시인, 마법사, 광전사, 농부였으며, ''에길의 사가''의 반영웅이다.
  • 스노리 스투를루손 (1179–1241): 아이슬란드의 역사가, 시인, 정치인이자 알싱의 법률 대변인으로, 그의 작품은 노르드 신화의 주요 자료를 구성한다.
  • 토르켈 더 톨: 반전설적인 스카니아 영주이자 욤스비킹이었다.
  • 베보르 (750년 사망): 브로발라 전투에서 그녀의 역할로 알려진 전설적인 방패 여전사였다.

참조

[1] 서적 Mythology in the Middle Ages: Heroic Tales of Monsters, Magic, and Might: Heroic Tales of Monsters, Magic, and Might https://books.google[...] ABC-CLIO 2019-09-05
[2] 서적 A Companion to Old Norse-Icelandic Literatur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9-09-05
[3] 학술지 The North and the Depiction of the 'Finnar' in the Icelandic Sagas 2010
[4] 서적 The Handy Mythology Answer Book https://books.google[...] Visible Ink Press 2014
[5] 서적 Expansions: Competition and Conquest in Europe Since the Bronze Age https://books.google[...] ReykjavíkurAkademían 2019-09-05
[6] 서적 English Language Reader: Introductory Essays and Exercises Dodd, Mead
[7] 서적 The Isles: A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8] 웹사이트 Norseman, n.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10
[8] 웹사이트 Norse, n. and adj.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10
[9] 웹사이트 Viking, n.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10
[10] 웹사이트 Northman, n.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10
[11] 학술지 Review of Rune Palm, ''Vikingarnas språk, 750–1100'' http://www.historisk[...] 2006
[12] 서적 A Guide to the Study of Medieval History for Students, Teachers, and Librari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1917
[13] 서적 Vikings in the South Bloomsbury 2015
[14] 서적 Vikings in the South Bloomsbury 2015
[15] 백과사전 Edmund I (920/21–946) https://www.oxforddn[...]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3-31
[16] 서적 English Historical Documents, Volume 1, c. 500–1042 Routledge
[17]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A Collaborative Edition, 3, MS A D. S. Brewer
[18] 백과사전 Viking, n.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10
[19] 백과사전 víkingr Oxford University Press
[20] 백과사전 wícing Oxford University Press 1898
[21] 서적 Vikings: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public.e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2-07
[22] 서적 The Book of Arran https://archive.org/[...] Arran society of Glasgow
[23] 서적 Särkland och dess källmaterial Göteborgs universitet. CLTS 2011
[24] 웹사이트 Nordiska furstar lade grunden till Ryssland https://popularhisto[...] 2022-12-15
[25] 서적 The Varangians: In God's Holy Fire https://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2020
[26] 잡지 The Vikings: A Memorable Visit to America http://www.smithsoni[...] 2004-12-01
[27] 학술지 The Vikings were not the first colonizers of the Faroe Islands http://dro.dur.ac.uk[...]
[28] 학술지 Review of Rune Palm, ''Vikingarnas språk, 750–1100'' http://www.historisk[...] 2006
[29] 서적 A Guide to the Study of Medieval History for Students, Teachers, and Libraries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1917
[30] 웹인용 About Nordic co-operation http://www.norden.or[...] Nordic Council of Ministers & Nordic Council 2014-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