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비에 파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리비에 파니스는 프랑스 출신 레이싱 드라이버로, 카트 경주를 시작으로 프랑스 F3, 인터내셔널 F3000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1994년 F1에 데뷔하여 리지에 팀 소속으로 1996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프로스트, BAR, 토요타 팀을 거치며 2004년까지 활동했다. F1 은퇴 후에는 스포츠카 레이스로 전향하여 르망 시리즈와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A1 그랑프리 팀의 스포팅 디렉터와 드라이버 매니지먼트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자동차 경주 선수 - 쥘 비앙키
프랑스 자동차 경주 선수 쥘 비앙키는 다양한 주니어 포뮬러 시리즈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고 2013년 마루시아 F1 팀에서 활동하며 2014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팀 최초 포인트를 획득했으나, 같은 해 일본 그랑프리 사고로 사망했다. - 프랑스의 자동차 경주 선수 - 알랭 프로스트
알랭 프로스트는 프랑스 출신의 전 F1 드라이버로, 네 번의 월드 챔피언을 차지했으며 아일톤 세나와의 라이벌리, 뛰어난 레이스 전략과 차분한 주행 스타일로 '프로페서'라는 별명을 얻었고 은퇴 후 포뮬러 E 팀 오너로도 활동했다. - 리옹 출신 - 루이 네엘
루이 네엘은 프랑스 물리학자이며, 고체 자기적 성질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반강자성 및 페리자성을 발견했으며, 네엘 온도를 정의하고 지구 자기장 연구에 기여했다. - 리옹 출신 - 앙드레마리 앙페르
앙드레마리 앙페르는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로서 전자기학 연구에 기여하여 전류와 자기 현상의 관계를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앙페르 회로 법칙을 발견하고 전류의 단위인 암페어의 명칭에 영향을 주었다. - 1966년 출생 - 친강
친강은 1966년 톈진에서 태어나 외교부 대변인, 주미 중국 대사를 역임하고 2022년 12월 외교부장에 임명되었으나 7개월 만에 해임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다. - 1966년 출생 - 김기식
김기식은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참여연대 사무국장과 19대 국회의원을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금융감독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국회의원 시절의 논란으로 15일 만에 사퇴했다.
| 올리비에 파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일 | 1966년 9월 2일 |
| 출생지 | 울린스, 리옹, 프랑스 |
| 배우자 | 앙 (1996년 결혼) |
| 자녀 | 3명 (아우렐리앙 포함) |
| 포뮬러 원 경력 | |
| 국적 | 프랑스 |
| 활동 기간 | 1994–1999, 2001–2004 |
| 팀 | 리지에, 프로스트, BAR, 토요타 |
| 출전 횟수 | 158회 (157회 출발) |
| 챔피언십 우승 | 0회 |
| 우승 횟수 | 1회 |
| 포디움 | 5회 |
| 폴 포지션 | 0회 |
| 가장 빠른 랩 | 0회 |
| 획득 포인트 | 76점 |
| 첫 레이스 | 1994년 브라질 그랑프리 |
| 첫 우승 | 1996년 모나코 그랑프리 |
| 마지막 레이스 | 2004년 일본 그랑프리 |
| 르망 24시 경력 | |
| 활동 기간 | – |
| 팀 | 오레카 |
| 최고 성적 | 5위 (, ) |
| 클래스 우승 | 0회 |
| 이름 정보 | |
| 전체 이름 | 올리비에 장 드니 마리 파니스 |
2. 경력
카트를 졸업한 후 올리비에는 프랑스 F3 이전 여러 주니어 시리즈에서 수년간 레이스를 펼쳤다. 그는 1989년 포뮬러 르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1991년 프랑스 F3에서 2위를 차지했다. 결국 그는 F3000에 진출하여 1993년 시리즈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 1. 초기 경력
올리비에 파니스는 프랑스 그르노블 지역, 리옹 서부 우랑 지역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장은 모터스포츠 애호가이자 도넛 빵 제빵사였으며, 1960년대에는 클래식 F1 페라리로 힐클라임 레이스에 출전했고, 카트 경주장과 카트 팀을 운영할 정도였다.[15] 파니스는 10세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으로 레이싱 카트 연습을 시작했지만, 프로 축구 선수를 목표로 유스팀 선발에서 합격할 정도로 실력이 좋아 두 가지 경기를 병행했다.[15] 16세에 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현지 정비소에서 약 3년간 메카닉으로 일했다.[15]18세에 포뮬러 레이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고자 했으나, 아버지의 권유로 1년 더 125cc 카트로 머신 컨트롤을 연마했다.[15] 레이스 경력 초기에 "볼랑 엘프(Volant Elf)" 레이스에서 우승하여 엘프(Elf)상을 수상하며 포뮬러 르노에 참전할 기회를 얻었다.[15] 그 전까지 프랑스 카트계에서 60승 이상을 거두었지만,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기계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15] 포뮬러 르노에서 1989년에 챔피언을 획득하고, 프랑스 F3 챔피언십에서는 1991년 시즌에 5승을 거두며 랭킹 2위에 올랐다.[16]
1992년, 에마뉘엘 콜라르의 팀 동료로 국제 F3000 챔피언십에 진출하여 2번의 포디엄을 기록하며 랭킹 10위에 올랐다. 1993년에는 DAMS로 이적하여 데이비드 쿨타드, 페드로 라미, 질 드 페란과의 경쟁을 이겨내고 시즌 3승을 거두며 국제 F3000 시리즈 챔피언을 획득했다.[17] 이후 슈퍼 라이선스 자격을 얻어 리지에에 합류했다.
2. 2. 포뮬러 원 (F1)
브라질에서 11위를 기록하며 F1에 데뷔한 파니스는 리지에 팀 소속으로 참가했다.[4] 독일GP에서 팀 동료 에릭 베르나르를 제치고 2위를 차지하는 놀라운 성과를 올렸다.[4] 포르투갈에서는 불법적인 스키드 블록 마모로 실격당했지만,[4] 프랑스를 제외한 모든 레이스를 완주하며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년, 파니스는 오스트레일리아GP에서 선두 데이먼 힐보다 2랩 뒤진 상황에서도 2위를 차지했고, 4위를 여러 차례 기록하며 챔피언십 8위에 올랐다.[4]
년, 모나코GP에서 젖은 트랙과 좁은 서킷의 악조건 속에서 14번째 그리드에서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슬릭 타이어로 교체하는 전략적인 선택과 경쟁자들의 리타이어에 힘입어 우승을 차지했다.[4] 마틴 브룬들, 미카 해키넨, 조니 허버트 등을 제치고, 로즈 헤어핀에서 에디 어빈을 추월하며 순위를 끌어올렸다. 윌리엄스-르노의 데이먼 힐과 베네통-르노의 장 알레지가 기술적 문제로 리타이어하면서, 파니스는 데이비드 컬서드의 추격을 뿌리치고 우승을 확정지었다.[4] 이는 리지에 팀의 15년 만의 첫 승리이자 마지막 승리였으며, 66년 만에 프랑스 차량이 모나코에서 거둔 첫 승리였다.[4] 하지만, 이 우승을 제외하고는 시즌 동안 헝가리에서 5위를 기록한 것이 최고 성적이었다.
2. 2. 1. 리지에 (1994-1996)
브라질에서 11위를 기록하며 F1에 데뷔한 파니스는 리지에 팀 소속으로 참가했다.[4] 독일GP에서 팀 동료 에릭 베르나르를 제치고 2위를 차지하는 놀라운 성과를 올렸다.[4] 포르투갈에서는 불법적인 스키드 블록 마모로 실격당했지만,[4] 프랑스를 제외한 모든 레이스를 완주하며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년, 파니스는 오스트레일리아GP에서 선두 데이먼 힐보다 2랩 뒤진 상황에서도 2위를 차지했고, 4위를 여러 차례 기록하며 챔피언십 8위에 올랐다.[4]
년, 모나코GP에서 젖은 트랙과 좁은 서킷의 악조건 속에서 14번째 그리드에서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슬릭 타이어로 교체하는 전략적인 선택과 경쟁자들의 리타이어에 힘입어 우승을 차지했다.[4] 마틴 브룬들, 미카 해키넨, 조니 허버트 등을 제치고, 로즈 헤어핀에서 에디 어빈을 추월하며 순위를 끌어올렸다. 윌리엄스-르노의 데이먼 힐과 베네통-르노의 장 알레지가 기술적 문제로 리타이어하면서, 파니스는 데이비드 컬서드의 추격을 뿌리치고 우승을 확정지었다.[4] 이는 리지에 팀의 15년 만의 첫 승리이자 마지막 승리였으며, 66년 만에 프랑스 차량이 모나코에서 거둔 첫 승리였다.[4] 하지만, 이 우승을 제외하고는 시즌 동안 헝가리에서 5위를 기록한 것이 최고 성적이었다.
2. 2. 2. 프로스트 (1997-1999)
년, 리지에 팀을 인수한 알랭 프로스트 팀에서 파니스는 뛰어난 잠재력을 보였다. 브리지스톤 타이어를 사용해 브라질에서 3위를 차지하며 해당 타이어 회사의 첫 포디엄을 기록했다.[3] 아르헨티나에서는 2위를 달리다 리타이어했고, 스페인에서 다시 2위를 차지하며 챔피언십 3위에 올랐다.[3] 그러나 1997년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고속 충돌로 두 다리가 부러지는 사고를 당해 시즌 잔여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3] 야르노 트룰리가 파니스를 대신해 출전했고, 파니스는 시즌 마지막 3경기에 복귀하여 룩셈부르크에서 6위를 차지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시즌 절반을 결장했음에도 불구하고, 16점으로 챔피언십 9위를 기록했다.
1998년은 파니스에게 힘든 시즌이었다. 성능이 낮은 차량으로 인해 프로스트 팀에서 단 한 점도 얻지 못했다. 1997년 사고 후 수술로 인해 다리에 남은 핀이 그의 잠재력을 제한했다는 평가도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9위를 기록했고, 1998년 캐나다 그랑프리에서는 차량 문제로 리타이어하기 전까지 좋은 모습을 보였다. 팀 동료 야르노 트룰리만이 스파-프랑코르샹에서 1점을 획득했을 뿐, 팀 전체적으로 부진했다.
1999년에는 상황이 다소 개선되었다. 브라질과 호켄하임에서 각각 6위를 기록했다. 프랑스에서는 예선 3위, 뉘르부르크링과 스즈카에서는 각각 예선 5위와 6위를 기록하며 경쟁력을 보였다. 그러나 전략적 실수와 불운으로 인해 득점 기회를 놓쳤고, 결국 2점을 얻는 데 그치며 프로스트 팀과의 관계를 종료했다.
2. 2. 3. 맥라렌 (2000)
윌리엄스(Williams F1)로부터 제안을 받았지만, 1년 단기 계약이라는 점에 파니스(올리비에 파니스)가 난색을 표하며 결렬되었다. 한편, 맥라렌(McLaren)은 증가하는 테스트 작업의 드라이버 부담을 분산하기 위해 2000년 시즌 서드 드라이버 채용을 결정하고, 좌석이 정해지지 않은 파니스에게 서드 드라이버 취임을 제안했다.[18] 레이스 출전 기회는 없어지지만, 테스트 주행 기회가 많다는 점과 톱 팀에 소속되는 이점을 고려하여 파니스는 맥라렌과 계약했다.맥라렌 또한 미카 하키넨(Mika Häkkinen)이나 데이비드 쿨타드(David Coulthard) 중 한 명이 결장하면 우승 경험이 있는 파니스가 리저브 드라이버로서 레이스에 출전할 수 있다는 목표와, 특히 쿨타드가 맥라렌 MP4-14(McLaren MP4-14)의 운전에 어려움을 겪고 고전하고 있었던 점을 고려하여, 성적에 따라 파니스와 교체할 것이라는 의도가 있었다고 보도되었다.[18]
경험이 풍부하고 속도도 있으며, 피드백 및 개발 능력이 높은 파니스를 맥라렌 수뇌부는 높이 평가했다. 하키넨과 쿨타드 모두 파니스의 기여도를 칭찬했고, 드라이버로서의 가치가 다시 상승하게 되었다.[19] 팀은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며 잔류를 위해 노력했지만, 파니스는 레이스 출전을 원하며 이적을 결정했다.
2. 2. 4. BAR (2001-2002)
맥라렌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2001년부터 B・A・R의 레귤러 드라이버로 계약했다. 하지만 머신의 전투력 부족으로 2년간 입상은 4회에 그쳤다. 최고 순위는 2001년 브라질 GP의 4위였으며, 2002년을 끝으로 B・A・R을 떠났다.
BAR은 그가 바랐던 최고의 팀이 아니었고, 그는 2년 동안 14위를 기록하며 총 8점을 획득했다. BAR에서 그의 최고 성적은 브라질에서 4위였다. 그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팀 데뷔 레이스에서 4위를 기록했지만, 황색기 위반으로 25초의 페널티를 받아 7위로 밀려났고, 이로 인해 키미 라이코넨이 데뷔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었다.
2. 2. 5. 토요타 (2003-2004)
2003년부터 토요타 F1팀에 합류했다. 개막전인 2003년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에서는 예선 5위를 차지했지만, 결승에서는 연료압 문제로 리타이어했다. 이어진 제2전 말레이시아 그랑프리에서는 페라리의 루벤스 바리첼로를 추격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또다시 연료압 문제로 리타이어했다. 제3전 2003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는 조던의 랄프 퍼먼의 서스펜션 문제에 휘말려 리타이어했다. 제4전 산마리노 그랑프리에서 겨우 9위로 완주했다. 그러나 제5전 스페인 그랑프리에서는 예선 6위를 차지했지만,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했다. 제8전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겨우 8위 입상을 기록했다. 제10전 프랑스 그랑프리에서는 8위 입상으로 자신의 첫 고국 입상을 달성했다. 제12전 독일 그랑프리에서는 당시 팀 최고 순위인 5위 입상을 거두었고, 팀 동료 신인 크리스티아누 다 마타와 함께 더블 입상을 달성했다. 제15전 미국 그랑프리에서는 예선 3위를 차지했지만, 결승에서는 비로 인한 스핀으로 엔진이 멈춰 리타이어했다. 토요타의 홈 그랑프리인 2003년 일본 그랑프리(4륜)에서는 비 덕분에 예선 4위에 올랐지만, 비를 예상한 세팅으로 치른 결승에서는 비가 내리지 않아 10위로 완주했다. 그 해 6점을 획득하여 드라이버 순위 15위를 기록했다.
2004년에는 머신의 전투력 부족으로 개막전부터 어려운 경쟁이 계속되었다. 제6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는 클러치 문제로 피트 스타트를 강요받았지만, 10대만 완주한 서바이벌 레이스에서 시즌 첫 8위 입상을 거두었다. 제9전 미국 그랑프리에서는 세팅이 맞아 시즌 최고 순위인 5위 입상을 달성했다. 시즌 중반에 개량형 TF104B가 투입되었지만, 성능이 크게 개선되지 않아 입상은 제14전 벨기에 그랑프리뿐이었다. 그리고 2004년 일본 그랑프리(4륜)를 끝으로 정규 드라이버를 은퇴했다.
2005년부터는 같은 팀의 테스트 드라이버를 맡았다. 시즌 초반의 F1 규정에서는 금요일 자유 연습에 참가할 자격이 없었지만[20], 레드불 레이싱(Red Bull Racing)의 주선[21]으로 규정이 변경됨에 따라, 파니스의 은퇴로 프랑스인 드라이버가 없게 된 것을 우려한 버니 에클레스톤의 요청을 받아 제10전 프랑스 그랑프리에서만 리카르도 존타 대신 제3 드라이버로 금요일 자유 연습에 출전하게 되었다.
2006년을 마지막으로 F1에서 완전히 은퇴했지만, 토요타로부터 빙상 레이스에 참가하게 되었다.
2. 3. F1 이후 경력
올리비에 파니스는 2008년 오레카 쿠라주 팀과 함께 르망 시리즈에 복귀했다.[5] 프랑스 A1 그랑프리 팀의 컨설턴트로 일했으며,A1 그랑프리 2007-2008 시즌에서 프랑스팀의 스포팅 디렉터로서 지휘를 맡았다.[5] 안드로스 트로피 얼음 경주에도 참가하여[6] 50대를 넘긴 지금도 현역 활동을 계속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동 트로피 사상 최초로 가솔린 차량에 EV로 승리한 드라이버가 되었다.[22] ''탑 기어'' 에피소드에 출연하여 얼음 경주에서 팀과 대결했는데, 인트로에서 알랭 프로스트를 겨냥하여 '프랑스의 두 번째로 뛰어난 레이싱 드라이버'라고 농담으로 소개되었다.
2008년에는 오레카와 계약하여 스포츠카 레이스(LMP1)로 전향했다. 르망 시리즈와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에 참전하여 2011년 세브링 12시간 레이스에서 우승(머신은 푸조 908 HDi FAP)을 차지했다. 르망 24시간 레이스에서는 2009년과 2011년에 종합 5위를 기록했다.
2016년 파니스는 프로 축구 선수 출신 레이싱 드라이버 파비앙 바르테즈와 함께 자신의 스포츠카 레이싱 팀인 파니스 바르테즈 컴페티션을 결성했다. 2019년부터는 전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 파비앙 바르테즈와 콤비를 이루어 “파니스-바르테즈 콩페티시옹”으로 블랑팡 GT 시리즈에 참전했다.[7][8] 바르테즈는 2019년 말에 물러났다.[8] 파니스 레이싱은 그 후 2020년과 2021년 르망 24시 레이스의 LMP2 클래스에서 2년 연속 포디엄에 올랐다. 2024년에는 TDS 레이싱이 테크 1을 대신하여 운영 파트너가 되었고, 같은 해 마크 VDS와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했다.[9]
또한 드라이버 매니지먼트도 수행하며, 조국 프랑스의 후배 샤를 르클레르를 지원하고 있다. 2012년 F1에 데뷔한 르클레르의 매니저로 일하고 있다.
3. 기타
올리비에 파니스는 아내 앤과는 12년간의 교제 끝에 1994년 가을 아들 올레리앙이 태어난 후 1996년 1월에 결혼했다.[15] 앤은 카트 레이서 출신으로 프랑스 선수권에서 4위를 차지할 정도로 빨랐지만, 파니스는 "그녀의 주행은 너무 미쳐서 큰 크래시도 많았다"고 회상한다.[15]
파니스는 프랑스 고향은 산으로 둘러싸인 조용한 환경이라고 언급하며, F1 레이서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어 편안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1995 시즌 종료 후, "팬레터는 독일과 일본, 동유럽에서 많이 받아서 기쁘다. 하지만 올해는 고향 프랑스에서는 연간 5통이었다. 좀 더 늘리도록 노력해야겠다."라고 밝혔다. 또한, "일본이나 이탈리아 팬들의 열기는 프랑스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어! 스즈카나 몬차에서 팬들에게 둘러싸였을 때는 정말 놀랐다."라며 F1 데뷔 후 각국의 소감을 이야기했다.
F1 참전 초기에는 영어를 잘하지 못했지만, 1995년 무한 엔진 스태프와 함께 일하며 영어 대화가 늘면서 실력이 향상되었다. 파니스는 "내 영어도 형편없었지만, 무한의 일본인 스태프들의 영어도 모국어가 아니었기 때문에 느리게 들렸던 것 같다. 무슨 말인지 완벽하게 알아들을 수 있었고, 서로 영어에 서툴렀기 때문에 오히려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 진지하게 듣게 되었고, 재밌는 현상이었다."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F1 데뷔가 결정되자, 아버지 장이 고안한 특제 추 달린 헬멧으로 목을 단련했다. 낡은 헬멧 양쪽에 추를 매달아 착용하고 카트로 수 시간 동안 코스를 달리는 특훈 덕분에 F1 데뷔전에서 목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년, 페이 드라이버로서 많은 스폰서 머니만 주목받던 페드로 디니스가 리지에 합류했다. 파니스는 "그(디니스)는 말해지는 만큼 형편없는 드라이버가 아니라는 것을 오늘 보고 생각했다. 모두(기자)가 생각하는 것보다 좋은 드라이버이고, F1에서 포인트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디니스는 그 해 두 번의 6위 이내 입상에 성공하며 레이서로서의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프로스트 그랑프리 발족인 1997년, 팀 메이트인 나카노 신지[23]는 팀 내에서 차별 대우를 받았다. 파니스는 라이벌이지만, 너무 심한 나카노에 대한 차별 대우에 마음 아파하며 알랭 프로스트에게 쓴소리를 했다. 나카노가 팀을 떠난 후, 파니스는 "힘이 되어주지 못해서 정말 미안하다"며 눈물을 흘리며 사과했다. 2019년10월, WTCR에 참전하는 아들 올레리앙의 서포트로 스즈카 서킷을 방문하여 나카노와 재회했다.[24]
맥라렌 첫 테스트에서 파니스의 시트에는 레드 와인과 까망베르 치즈가 놓여 있었다. 파니스는 스태프의 세련된 환영에 매우 기뻐했다.
F1에서 3개의 일본산 엔진 제조사(무한 혼다, 혼다, 토요타)를 경험한 드라이버는 소수이다. 또 한 명은 프로스트 시대의 팀 메이트인 트룰리와 미카 살로(무한 혼다, 야마하, 토요타)이다.
파니스는 F1 현역 시절부터 프랑스의 "윈필드 레이싱 스쿨"에서 코치로 강의하며 젊은 레이서 육성에 힘썼다.
1996년 파니스가 우승한 후, 2020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의 피에르 가슬리까지 프랑스인 드라이버의 F1 우승은 24년간 없었다.[25]
4. 레이싱 기록
wikitext
| 시즌 | 시리즈 | 팀 | 레이스 | 우승 | 폴 포지션 | 퍼스트 랩 | 포디엄 | 포인트 | 순위 |
|---|---|---|---|---|---|---|---|---|---|
| 1988 | 프랑스 포뮬러 르노 터보 챔피언십 (Championnat de France Formule Renault Turbo) | 에퀴리 엘프 (Ecurie Elf) | 12 | 0 | 1 | 3 | 4 | 87 | 4위 |
| 1989 | 프랑스 포뮬러 르노 챔피언십 (Championnat de France Formule Renault) | 에퀴리 엘프 (Ecurie Elf) | 13 | 5 | 4 | 2 | 9 | 127 | 1위 |
| 1990 | 프랑스 포뮬러 쓰리 (French Formula Three) | 엘프 지타네 (Elf Gitanes) | 12 | 0 | 0 | 1 | 4 | 70 | 4위 |
| 마카오 그랑프리 (Macau Grand Prix) | 몽타귀 레이싱 (Montagut Racing) | 1 | 0 | 0 | 0 | 0 | N/A | 12위 | |
| 1991 | 프랑스 포뮬러 쓰리 (French Formula Three) | 라 필리에르 엘프 (La Filière Elf) | 12 | 5 | 6 | 1 | 6 | 103 | 2위 |
| 1992 | 인터내셔널 포뮬러 3000 (International Formula 3000) | 아포마톡 (Apomatox) | 10 | 0 | 0 | 0 | 2 | 10 | 10위 |
| 1993 | 인터내셔널 포뮬러 3000 (International Formula 3000) | DAMS | 9 | 3 | 2 | 2 | 4 | 32 | 1위 |
| 1994 | 포뮬러 원 (Formula One) | 리지에 지타네 블론드 (Gitanes Blondes) | 16 | 0 | 0 | 0 | 1 | 9 | 11위 |
| 1995 | 포뮬러 원 (Formula One) | 리지에 지타네 블론드 (Gitanes Blondes) | 17 | 0 | 0 | 0 | 1 | 16 | 8위 |
| 1996 | 포뮬러 원 (Formula One) | 리지에 골루아즈 블론드 (Gauloises Blondes) | 14 | 1 | 0 | 0 | 1 | 13 | 9위 |
| 1997 | 포뮬러 원 (Formula One) | 프로스트 골루아즈 블론드 (Gauloises Blondes) | 10 | 0 | 0 | 0 | 2 | 16 | 9위 |
| 1998 | 포뮬러 원 (Formula One) | 골루아즈 (Gauloises) 프로스트 푸조 (Peugeot) | 15 | 0 | 0 | 0 | 0 | 0 | NC |
| 1999 | 포뮬러 원 (Formula One) | 골루아즈 (Gauloises) 프로스트 푸조 (Peugeot) | 16 | 0 | 0 | 0 | 0 | 2 | 15위 |
| 2000 | 포뮬러 원 (Formula One) | 웨스트 (West) 맥라렌 (McLaren) 메르세데스 (Mercedes) | 테스트 드라이버 | ||||||
| 2001 | 포뮬러 원 (Formula One) | 럭키스트라이크 (Lucky Strike) BAR 혼다 (Honda) | 17 | 0 | 0 | 0 | 0 | 5 | 14위 |
| 2002 | 포뮬러 원 (Formula One) | 럭키스트라이크 (Lucky Strike) BAR 혼다 (Honda) | 17 | 0 | 0 | 0 | 0 | 3 | 14위 |
| 2003 | 포뮬러 원 (Formula One) | 파나소닉 (Panasonic) 토요타 레이싱 (Toyota Racing) | 17 | 0 | 0 | 0 | 0 | 6 | 15위 |
| 2004 | 포뮬러 원 (Formula One) | 파나소닉 (Panasonic) 토요타 레이싱 (Toyota Racing) | 17 | 0 | 0 | 0 | 0 | 6 | 14위 |
| 2005 | 포뮬러 원 (Formula One) | 파나소닉 (Panasonic) 토요타 레이싱 (Toyota Racing) | 테스트 드라이버 | ||||||
| 2006 | 포뮬러 원 (Formula One) | 파나소닉 (Panasonic) 토요타 레이싱 (Toyota Racing) | 테스트 드라이버 | ||||||
| 2008 | 르망 시리즈 (Le Mans Series) | 팀 오레카-마트뮤 (Team Oreca-Matmut) | 5 | 0 | 0 | 0 | 1 | 6 | 12위 |
| 포르쉐 카레라컵 프랑스 (Porsche Carrera Cup France) | 포르쉐 프랑스 (Porsche France) | 2 | 0 | 0 | 0 | 0 | 0 | NC | |
| 르망 24시 레이스 (24 Hours of Le Mans) | 팀 오레카-마트뮤 (Team Oreca-Matmut) | 1 | 0 | 0 | 0 | 0 | N/A | DNF | |
| 2009 | FFSA GT 챔피언십 (FFSA GT Championship) | DKR 엔지니어링 (DKR Engineering) | 12 | 4 | 0 | 3 | 8 | 243 | 3위 |
| 르망 시리즈 (Le Mans Series) | 팀 오레카-마트뮤 AIM (Team Oreca-Matmut AIM) | 4 | 1 | 0 | 0 | 1 | 22 | 3위 | |
| 르망 24시 레이스 (24 Hours of Le Mans) | 1 | 0 | 0 | 0 | 0 | N/A | 5위 | ||
| FIA GT 챔피언십 (FIA GT Championship) | 솔루션 F (Solution F) | 1 | 0 | 0 | 0 | 0 | 2 | 24위 | |
| 2010 | FFSA GT 챔피언십 (FFSA GT Championship) | DKR 엔지니어링 (DKR Engineering) | 9 | 0 | 0 | 0 | 1 | 32 | 14위 |
| 르망 시리즈 (Le Mans Series) | 팀 오레카-마트뮤 (Team Oreca-Matmut) | 4 | 1 | 0 | 0 | 1 | 39 | 8위 | |
| FIA GT1 월드 챔피언십 (FIA GT1 World Championship) | 마테크 컴피티션 (Matech Competition) | 2 | 0 | 0 | 0 | 0 | 0 | 60위 | |
| 르망 24시 레이스 (24 Hours of Le Mans) | 팀 오레카-마트뮤 (Team Oreca-Matmut) | 1 | 0 | 0 | 0 | 0 | N/A | DNF | |
| 2011 | FFSA GT 챔피언십 (FFSA GT Championship) | 그라프 레이싱 (Graff Racing) | 14 | 0 | 1 | 1 | 1 | 75 | 7위 |
| 인터컨티넨탈 르망 컵 (Intercontinental Le Mans Cup) | 팀 오레카-마트뮤 (Team Oreca-Matmut) | 3 | 1 | 0 | 0 | 1 | 0 | NC | |
|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 (American Le Mans Series) | 1 | 1 | 0 | 0 | 1 | 0 | NC | ||
| 르망 24시 레이스 (24 Hours of Le Mans) | 1 | 0 | 0 | 0 | 0 | N/A | 5위 | ||
| 블랑팡 엔듀런스 시리즈 (Blancpain Endurance Series) | 그라프 레이싱 (Graff Racing) | 1 | 0 | 0 | 0 | 0 | 9 | 20위 | |
| 2012 | FFSA GT 챔피언십 (FFSA GT Championship) | 소프레브-ASP (SOFREV-ASP) | 14 | 1 | 1 | 2 | 8 | 182 | 2위 |
| 블랑팡 엔듀런스 시리즈 (Blancpain Endurance Series) | 1 | 0 | 0 | 0 | 1 | 15 | 25위 | ||
| 2013 | FFSA GT 챔피언십 (FFSA GT Championship) | 헥시스 레이싱 (Hexis Racing) | 14 | 0 | 0 | 0 | 1 | 40 | 15위 |
| 블랑팡 엔듀런스 시리즈 (Blancpain Endurance Series) | 1 | 0 | 0 | 0 | 0 | 0 | NC | ||
| 2014 | FFSA GT 챔피언십 (FFSA GT Championship) | 소프레브-ASP (SOFREV-ASP) | 14 | 0 | 0 | 0 | 3 | 125 | 5위 |
| 2015 | FFSA GT 챔피언십 (FFSA GT Championship) | 팀 AKKA ASP (Team AKKA ASP) | 14 | 0 | 0 | 0 | 1 | 109 | 6위 |
| 2020 | FFSA GT 챔피언십 (FFSA GT Championship) | CMR | 2 | 1 | 0 | 0 | 2 | 43 | 8위 |
| colspan="10" | | |||||||||
'''르망 24시 레이스'''
| 연도 | 팀 | 공동 드라이버 | 차량 | 클래스 | 랩 | 순위 | 클래스 순위 |
|---|---|---|---|---|---|---|---|
| 오렉카-Matmut | 마르셀 퍄슬러 시몽 파제노 | 쿠라주-오렉카 LC70-주드 | LMP1 | 147 | DNF | DNF | |
| 오렉카-Matmut AIM | 니콜라 라피에르 소엘 아야리 | 오렉카 01-AIM | LMP1 | 370 | 5위 | 5위 | |
| 오렉카-Matmut | 니콜라 라피에르 로익 뒤발 | 푸조 908 HDi FAP | LMP1 | 373 | DNF | DNF | |
| 오렉카-Matmut | 니콜라 라피에르 로익 뒤발 | 푸조 908 HDi FAP | LMP1 | 339 | 5위 | 5위 |
4. 1. F1
올리비에 파니스는 1994년부터 2004년까지 포뮬러 원(F1)에서 활동한 프랑스 출신 레이싱 드라이버이다.[11][12][13] 1994년 리지에 팀 소속으로 F1에 데뷔하여, 1994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2위를 기록하는 등 총 9점을 획득하며 종합 11위를 기록했다.[11]1995년에도 리지에 팀에 잔류하여 1995년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에서 2위를 차지하는 등 총 16점을 획득, 종합 8위에 올랐다.[11] 1996년에는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13점으로 종합 9위를 기록했다.[11]
1997년에는 프로스트 팀으로 이적하여 시즌 초반 브라질 그랑프리 3위, 스페인 그랑프리 2위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다리 골절 부상을 당하며 시즌 중반 결장하기도 했다.[11] 복귀 후 룩셈부르크 그랑프리에서 6위를 기록하며 총 16점으로 종합 9위를 기록했다.[11]
1998년과 1999년에는 프로스트 팀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12] 2001년에는 BAR 팀으로 이적하여 2001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4위를 기록하는 등 총 5점을 획득, 종합 14위에 올랐다.[12] 2002년에도 BAR 팀에 남아 2002년 영국 그랑프리 5위, 2002년 이탈리아 그랑프리 6위 등 총 3점을 획득하며 종합 14위를 기록했다.[12]
2003년에는 토요타 레이싱 팀으로 이적하여 2003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5위를 기록하는 등 총 6점을 획득, 종합 15위에 올랐다.[12] 2004년에도 토요타 팀에 잔류하여 2004년 미국 그랑프리 5위, 2004년 벨기에 그랑프리 8위 등 총 6점을 획득하며 종합 14위를 기록했다.[12]
2005년에는 토요타 팀의 테스트 드라이버로 활동하다가 2005년 프랑스 그랑프리를 마지막으로 F1에서 은퇴했다.[13]
4. 2. 르망 24시 레이스
| 연도 | 팀 | 공동 드라이버 | 차량 | 클래스 | 랩 | 순위 | 클래스 순위 |
|---|---|---|---|---|---|---|---|
| 오렉카-Matmut | 마르셀 퍄슬러 시몽 파제노 | 쿠라주-오렉카 LC70-주드 | LMP1 | 147 | DNF | DNF | |
| 오렉카-Matmut AIM | 니콜라 라피에르 소엘 아야리 | 오렉카 01-AIM | LMP1 | 370 | 5위 | 5위 | |
| 오렉카-Matmut | 니콜라 라피에르 로익 뒤발 | 푸조 908 HDi FAP | LMP1 | 373 | DNF | DNF | |
| 오렉카-Matmut | 니콜라 라피에르 로익 뒤발 | 푸조 908 HDi FAP | LMP1 | 339 | 5위 | 5위 | |
| }} | |||||||
| 년도 | 팀 | 코-드라이버 | 사용 차량 | 클래스 | 랩 | 종합 순위 | 클래스 순위 |
|---|---|---|---|---|---|---|---|
| 2008년 | 팀 오레카-마트무트 | 마르셀 래스러 시몽 파제노 | 쿠라주 LC70-자드 | LMP1 | 147 | DNF | DNF |
| 2009년 | 팀 오레카-마트무트 AIM | 니콜라 라피에르 소에일 아야리 | 오레카 01-AIM | LMP1 | 370 | 5위 | 5위 |
| 2010년 | 팀 오레카-마트무트 | 니콜라 라피에르 로익 뒤발 | 푸조 908 HDi FAP | LMP1 | 373 | DNF | DNF |
| 2011년 | 니콜라 라피에르 로익 뒤발 | LMP1 | 339 | 5위 | 5위 |
올리비에 파니스는 오렉카-Matmut 팀 소속으로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르망 24시 레이스에 참가했다.[11][14] 2008년에는 마르셀 퍄슬러, 시몽 파제노와 함께 쿠라주-오렉카 LC70-주드 차량으로 LMP1 클래스에 참가했으나 완주하지 못했다.[11][14] 2009년에는 니콜라 라피에르, 소엘 아야리와 함께 오렉카 01-AIM 차량으로 LMP1 클래스에 출전하여 5위를 기록했다.[11][14] 2010년과 2011년에는 니콜라 라피에르, 로익 뒤발과 함께 푸조 908 HDi FAP 차량으로 LMP1 클래스에 참가했다.[11][14] 2010년에는 완주에 실패했지만, 2011년에는 5위를 기록했다.[11][14]
참조
[1]
웹사이트
Information légale sur PANIS Olivier Jean Denis Marie Gérant de PROMOTION AUTO CONCEPT
https://edecideur.in[...]
2023-06-16
[2]
웹사이트
Olivier Panis' son Aurelien graduates to Formula Renault 3.5
http://www.autosport[...]
2014-12-19
[3]
비디오
ITV F1 - Spanish Grand Prix
ITV
1997
[4]
웹사이트
Grandprix.com article dated September 18, 2006
http://www.grandprix[...]
2006-09-18
[5]
뉴스
Olivier Panis joins A1 Team France
http://www.gpupdate.[...]
GPUpdate
2007-09-26
[6]
뉴스
Ice race returns to Alpe D'Huez
http://www.onthesnow[...]
2008-10-14
[7]
웹사이트
Panis-Barthez Compétition: champions with ambitions!
https://www.24h-lema[...]
Automobile Club de l'Ouest
2016-02-19
[8]
웹사이트
Panis-Barthez ties up with Lexus for Blancpain effort
https://www.motorspo[...]
Motorsport Network
2019-02-12
[9]
웹사이트
(Almost) All Change At Panis Racing For 2024
https://www.dailyspo[...]
2024-03-22
[10]
웹사이트
Olivier Panis
https://www.driverdb[...]
Driver Database
[11]
웹사이트
Olivier Panis Results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12]
웹사이트
Olivier Panis
https://www.motorspo[...]
[13]
웹사이트
Olivier Panis – Involvement
https://www.statsf1.[...]
[14]
웹사이트
Olivier Panis
https://www.24h-lema[...]
Automobile Club de l'Ouest
[15]
간행물
現地密着取材 オリビエ・パニス at home
ソニーマガジンズ
1996-04-16
[16]
문서
チャンピオンはクリストフ・ブシューが獲得。
[17]
웹사이트
1993 FIA International F3000
https://www.motorspo[...]
[18]
간행물
『F1グランプリ特集』2月号
ソニーマガジンズ
2000-02-16
[19]
서적
アズ・エフ 2001F1総集編
三栄書房
2001
[20]
문서
過去2シーズンで計6レースを超える出走している場合には金曜セッションに参加できない。
[21]
문서
ヴィタントニオ・リウッツィとシートをシェアするクリスチャン・クリエンは2004年にフル参戦していた為、本来資格を有していなかったが、リウッツィ出走時にクリエンを第3ドライバーとして出走可能とした。
[22]
웹사이트
パニスが新型電気自動車でアイスレースのアンドロス・トロフィー開幕戦で優勝
https://www.motorspo[...]
[23]
문서
中野は英語は堪能だったがフランス語はそれほどわからなかった。
[24]
웹사이트
鈴鹿で感動的な再会。中野信治が語るF1時代の「数少ない理解者」オリビエ・パニス
https://jp.motorspor[...]
motorsports.com
2019-10-30
[25]
웹사이트
ホンダとアルファタウリに感謝してもしきれない! ガスリー、劇的なF1初勝利に感激
https://jp.motorspor[...]
motorsports.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