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라단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라단조는 으뜸음 '올림 라'를 근음으로 하는 단조이며, 으뜸화음은 올림라단조, 웃으뜸화음은 감3화음, 가온화음은 올림바장조, 버금딸림화음은 올림사단조, 딸림화음은 올림가단조, 버금가온화음은 나장조, 이끎화음은 올림다장조이다. 고전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세르게이 랴푸노프,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샤를-발랑탱 알캉, 마누엘 폰세 등의 작곡가들이 작품에 사용했다. 올림라단조는 내림마단조와 이명동음 관계이며, 기보 시 겹올림 또는 겹내림 임시표 사용을 피하기 위해 내림마단조를 더 흔히 사용한다. 피아노 음악의 관현악 편성을 할 때, 라단조나 마단조로 조옮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음계 - 마단조
    마단조는 마(E)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단음계로, 바이올린과 기타 연주에 용이하며 샤르팡티에 의해 "요염함과 슬픔"을 나타내는 조성으로 평가받았고 바흐, 베토벤, 쇼팽 등 여러 작곡가들의 작품에 사용되었다.
  • 단음계 - 다단조
    다단조는 C, D, E♭, F, G, A♭, B♭ 음으로 구성된 단음계이며, C 단화음, F 단화음, G 단화음을 주요 3화음으로 가지며, 바로크 시대부터 낭만파 시대까지 많은 작곡가들이 사용한 조성이다.
  • 조성 - 조 (음악)
    조 (음악)는 특정 시대, 지역,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스타일이나 양식을 의미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고 한국 사회에서도 고유한 방식으로 수용되고 있다.
  • 조성 - 마단조
    마단조는 마(E)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단음계로, 바이올린과 기타 연주에 용이하며 샤르팡티에 의해 "요염함과 슬픔"을 나타내는 조성으로 평가받았고 바흐, 베토벤, 쇼팽 등 여러 작곡가들의 작품에 사용되었다.
올림라단조
조성 정보
이름올림라단조
영어D sharp minor
독일어dis-Moll
프랑스어Ré dièse mineur
이탈리아어Re diesis minore
딴이음조올림바장조
같은으뜸음조올림라장조 (이론적) → 이명동음조: 내림마장조
딸림음조올림가단조
버금딸림음조올림사단조
이명동음조내림마단조
첫째 음D
둘째 음E
셋째 음F
넷째 음G
다섯째 음A
여섯째 음B
일곱째 음C
올림라단조
올림라단조

2. 음계의 화음 종류

올림 라단조 음계의 주요 화음은 다음과 같다.

2. 1. 으뜸화음 (Im)

으뜸화음은 올림 라를 근음으로 하는 단화음으로, D 단화음이다.[1]

2. 2. 웃으뜸화음 (IIdim)

올림마를 근음으로 하는 감3화음이다.[1]

2. 3. 가온화음 (III)

F 장화음이며, '올림 바'를 근음으로 하는 장화음이다.

2. 4. 버금딸림화음 (IVm)

G 단화음이며, '올림 사'를 근음으로 하는 단화음이다.[1]

2. 5. 딸림화음 (Vm)

올림 가장조는 '올림 가'를 근음으로 하는 단화음이다.[1]

2. 6. 버금가온화음 (VI)

B 장화음으로, 버금가온음(VI)이다. '나' 음을 근음으로 하는 장화음이다.

2. 7. 이끎화음 (VII)

C 장화음이며, '올림 다'를 근음으로 하는 장화음이다.

3. 이 조성의 음악

올림라단조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를 포함한 여러 작곡가들이 사용한 조성이다. 특히 건반 악기 음악에서 종종 사용되며,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의 연습곡 작품 8, 12번이 대표적인 예이다.

관현악 편성에서는 올림라단조 대신 내림마단조가 더 선호되기도 한다. 만약 올림라단조를 사용해야 한다면, B♭프랑스어 관악기는 바단조로, B♮de 악기는 마단조로 표기하여 겹올림표를 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1. 고전 시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세르게이 랴푸노프, 마누엘 폰세 등 여러 작곡가들이 올림 라단조를 사용한 작품을 남겼다. 랴푸노프의 ''12개의 초절 기교 연습곡'' 중 두 번째 곡("Ronde des Fantômes"),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의 연습곡 작품 8, 12번, 샤를 발랑탱 알캉의 ''그랑 소나테 'Les quatre âges'''의 2악장(부제는 ''Quasi-파우스트'')에서도 이 조성이 사용되었다.

3. 2. 낭만 시대

세르게이 랴푸노프의 12개의 초월적 에튀드 중 두 번째 곡("Ronde des Fantômes"),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의 연습곡 작품 8, 12번, 샤를 발랑탱 알캉의 ''그랜드 소나타 '레 콰트르 아쥬'''의 2악장(부제는 ''Quasi-Faust'')에서 이 조성이 사용되었다.

3. 3. 현대 음악

현대 음악에서도 올림 라단조가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게 있다.

4. 특징

올림라단조는 고전 시대 곡에서 주요 조성으로 드물게 사용된다. 많은 금관악기목관악기에 비교적 적합한 조표인 내림마단조가 더 흔하게 사용된다. 24개의 정규 조표에서 대부분의 작곡가들은 내림마단조를 선호했지만,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세르게이 랴푸노프, 마누엘 폰세는 올림라단조를 선호했다.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에서 1권의 8번 푸가와 2권의 8번 전주곡과 푸가는 올림라단조로 되어 있으며, 두 푸가 모두 마지막 올림라장조 화음에서 F#을 요구하는 피카르디 종지로 끝난다. 랴푸노프의 ''12개의 초절 기교 연습곡'' 중 두 번째 곡("Ronde des Fantômes")도 올림라단조이다.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의 연습곡 작품 8, 12번은 이 조로 작곡되었으며, 아마도 가장 유명한 예일 것이다.

샤를-발랑탱 알캉의 ''그랜드 소나타 '레 콰트르 아쥬'''의 두 번째 악장인 ''Quasi-파우스트''는 또한 올림라단조로 되어 있으며 (하지만 올림바장조로 끝남), 그 과정에서 더 높은 조표, 심지어 이론적인 조성인 올림사단조와 올림라장조로 조바꿈을 한다.

몇몇 악보에서는 낮은 음자리표의 6개 올림표 조표가 가장 윗줄의 A에 올림표가 붙은 형태로 표기된다.

이 조가 조바꿈 외에는 관현악 음악에 거의 사용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건반악기 음악에서는 완전히 드문 일은 아니다. 피아노 음악의 관현악 편성을 위해, 일부 이론가들은 이 곡을 라단조 또는 마단조로 조옮김할 것을 권장한다. 만약 올림라단조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면, B♭ 관악기는 올림마단조 (또는 G 악기를 사용하여 올림사단조로 조옮김)가 아닌 바단조로 표기하고, B♮ 악기는 조표에 겹올림표를 피하기 위해 마단조로 표기해야 한다. 한편, E 호른은 나단조 조표로 파트를 작성해야 한다. F 악기는 올림가단조로 작성할 수 있지만, 대신 내림나단조를 사용하는 것이 더 권장된다.

4. 1. 이명동음 (Enharmonic)

12음 평균율에서 올림라단조와 내림마단조이명동음이며, 조표의 사용도 6개로 동일하다. 하지만 보통 내림마단조가 사용되므로 올림라단조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내림마단조의 경우 이끔음(제7음)이 Dnatural영어이지만, 올림라단조에서는 올림사단조 (F 더블 샵)와 마찬가지로 C 더블 샵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보상으로는 겹올림, 겹내림 임시표의 사용을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단, 올림바단조올림바장조로 전조되거나 올림다단조로부터 전조되는 경우는 예외이다.

올림라단조(내림마단조)의 딸림조는 내림가단조로 쓰면 조표가 ♭프랑스어 7개를 필요로 하므로(B, E, A, D, G, C, F), 이끔음이 F 더블 샵이긴 하지만, 조표가 적은 올림사단조(♯프랑스어 5개: F, C, G, D, A)로 기보하는 경우가 많다.

4. 2. 조표 사용

올림라단조와 내림마단조는 12음 평균율에서 이명동음이며, 조표는 모두 6개를 사용한다. 하지만 보통 내림마단조가 사용되므로 올림라단조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내림마단조의 경우 이끔음(제7음)이 D♮이지만, 올림라단조에서는 올림사단조(FX)와 마찬가지로 CX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기보상 겹올림표나 겹내림표 같은 임시표 사용을 피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단, 올림바단조올림바장조로 전조되는 경우, 또는 올림다단조에서 전조되는 경우는 예외이다.

올림라단조(내림마단조)의 딸림조는 내림가단조로 표기하면 조표가 ♭7개(B, E, A, D, G, C, F)가 필요하고 이끔음이 FX이 되지만, 조표가 적은 올림사단조(♯5개: F, C, G, D, A)로 기보하는 경우가 많다.

4. 3. 기보 상의 문제점

12음 평균율에서 올림라단조와 내림마단조이명동음이며, 조표의 사용도 6개이다. 하지만 보통 내림마단조가 사용되므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내림마단조의 경우 이끔음(제7음)이 D♮프랑스어이지만, 올림라단조에서는 올림사단조 (F𝄪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C𝄪프랑스어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기보상으로는 겹올림, 겹내림 임시표의 사용을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단, 올림바단조올림바장조로의 전조가 있는 경우, 또는 올림다단조로부터의 전조가 있는 경우는 예외이다.

올림라단조(내림마단조)의 딸림조는, 내림가단조로 쓰면 조표가 ♭프랑스어 7개를 필요로 하므로〈B, E, A, D, G, C, F〉, 이끔음이 F𝄪프랑스어이긴 하지만, 조표가 적은 올림사단조〈♯프랑스어 5개: F, C, G, D, A〉로 기보하는 경우가 많다.

4. 4. 전조 (Modulation)

올림바단조올림다단조에서 전조될 때 올림라단조가 사용될 수 있다.

5. 참고: 악기 편성에 따른 조옮김

피아노 음악을 관현악으로 편성할 때, 올림 라단조는 라단조마단조로 조옮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불가피하게 올림 라단조를 사용해야 할 경우, B♭ 악기는 바단조로, B 악기는 마단조로 표기하여 겹올림표를 피하도록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Key of D sharp minor, chords https://www.piano-ke[...] 2023-08-17
[2] 웹사이트 basicmusictheory.com: D-sharp major scale https://www.basicmus[...] 2023-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