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장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장조는 B를 으뜸음으로 하는 장조 음계로, 으뜸화음, 웃음뜸화음, 가온화음, 버금딸림화음, 딸림화음, 버금가온화음, 이끎화음으로 구성된다. 이 조는 곡의 으뜸음조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며, 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에서는 음색의 제약이 있었으나, 피아노와 같은 건반 악기에서는 연주하기 용이하여 낭만주의 시대에 선호되었다. 나장조로 작곡된 곡으로는 베토벤의 교향곡 4번,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5번, 브람스의 피아노 3중주 1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장조 작품 - 커프노나카니노코모레비
    러브 크레센도가 2015년에 발표한 싱글 커프노나카니노코모레비는 마츠이 쥬리나가 센터를 맡았으며, 각 타입별 다른 커플링곡과 특전 영상이 수록, 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 2위 및 AKB48 관련 파생 유닛 싱글 초동 판매량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 나장조 작품 - 녹턴, Op. 32 (쇼팽)
    쇼팽의 녹턴 Op. 32는 녹턴 9번 나장조와 10번 내림가장조 두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9번은 조성 논쟁과 상반된 평가를, 10번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작품이지만, 기술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깊이와 강렬함 부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장음계 - 가장조
    가장조는 으뜸음이 A인 장음계로 A, B, C#, D, E, F#, G# 음으로 구성되며 교향곡, 실내악, 현악기 음악 등 다양한 작품에서 사용되고 작품의 분위기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 장음계 - 마장조
    마장조는 으뜸음이 E인 장음계로 E, F♯, G♯, A, B, C♯, D♯ 음으로 구성되며, 바이올린의 최고 개방현인 E선을 으뜸음으로 하여 밝은 울림을 내고 바로크 시대 대위법 음악과 낭만주의 시대 다단조 작품의 느린 악장에 주로 사용되었다.
  • 조성 - 조 (음악)
    조 (음악)는 특정 시대, 지역,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스타일이나 양식을 의미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고 한국 사회에서도 고유한 방식으로 수용되고 있다.
  • 조성 - 마단조
    마단조는 마(E)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단음계로, 바이올린과 기타 연주에 용이하며 샤르팡티에 의해 "요염함과 슬픔"을 나타내는 조성으로 평가받았고 바흐, 베토벤, 쇼팽 등 여러 작곡가들의 작품에 사용되었다.
나장조
기본 정보
으뜸음B
종류장음계
이명동음조내림다장조
딸림조올림바장조
버금딸림조마장조
나란한조올림사단조
구성음
음계B, C, D, E, F, G, A, B
나타내기
Roman numeralsI-ii-iii-IV-V-vi-vii

2. 음계와 화음



나장조의 음계 구성음 화음은 다음과 같다.



화음 이름구성음
버금가온화음올림사(G#/♯영어), 나(B), 올림라(D#/♯영어)





2. 1. 으뜸화음(Tonic)

나장조의 으뜸화음은 B 장화음이다. 웃으뜸화음은 C샤프/♯영어 단화음, 가온화음은 D샤프/♯영어 단화음이다. 버금딸림화음은 E 장화음, 딸림화음은 F샤프/♯영어 장화음이다. 버금가온화음은 G샤프/♯영어 단화음, 이끎화음은 A샤프/♯영어 감화음이다.

2. 2. 웃으뜸화음(Supertonic)

웃으뜸화음은 C샤프/♯영어 단화음이다.

2. 3. 가온화음(Mediant)

나장조의 가온화음은 D 단화음이다.


2. 4. 버금딸림화음(Subdominant)

나장조의 버금딸림화음은 E 장화음이다.


2. 5. 딸림화음(Dominant)

나장조의 음계 구성음 화음은 다음과 같다.

2. 6. 버금가온화음(Submediant)

나장조의 버금가온화음은 올림사단조(G#/♯영어 minor)이다. 이 화음은 나장조 음계에서 6번째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단3화음이다.

화음 이름구성음
버금가온화음올림사(G#/♯영어), 나(B), 올림라(D#/♯영어)


2. 7. 이끎화음(Leading tone)

나장조의 이끎화음은 A올림가/sharp영어 감화음이다.



3. 특징

곡의 으뜸음조가 나장조인 곡은 적으며, 나단조 곡에서 그 으뜸음조로, 또한 마장조 곡에서 그 딸림조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바이올린에서는 음계에 개방현의 음이 하나밖에 포함되지 않고 주요 삼화음에서는 배음의 울림이 매우 빈약하다. 게다가 19세기 초까지의 목관 악기에서는 크로스 핑거링을 다용했기 때문에 울림이 좋지 않은 조였다.

샤르팡티에는 "귀에 거슬린다"고 말했다. 마테존은 "적대적이고 딱딱하며 불쾌한 느낌에다 왠지 절망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18세기 당시에는) 이 조를 으뜸음조로 하는 곡은 매우 드물다"고 말했다. 예외적으로 제미니아니의 합주 협주곡 (Op.3-5와 7-6) 이나 몬의 현악기만의 교향곡 등에 이 조를 으뜸음조로 하여 쓰인 것이 있다.

한편, 피아노에 대표되는 건반 악기에서는 다섯 손가락의 길이를 고려하면 운지법이나 연주를 하기가 쉽다. 짧은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흰 건반, 긴 나머지 세 손가락은 검은 건반을 타건 연주하는 것이 무리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아 합리적이다. 쇼팽이 좋아했던 조로, 제자에게 음계(Scale)를 가르칠 때 나장조부터 시작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점으로 보아 낭만파적인 조로 여겨진다. 그렇다고 해도 조표 사용 부분이 5개소 (=A#, C#, D#, F#, G# 모든 검은 건반이 사용됨)나 되므로 악보를 읽기가 매우 어려운 조 중 하나이기도 하다.

3. 1. 악기별 특징

나장조는 곡의 으뜸음조로 사용되는 경우가 적으며, 나단조 곡에서 그 으뜸음조로, 마장조 곡에서 그 딸림조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바이올린에서는 음계에 개방현의 음이 하나밖에 포함되지 않고 주요 삼화음에서는 배음의 울림이 매우 빈약하다. 19세기 초까지의 목관 악기에서는 크로스 핑거링을 다용했기 때문에 울림이 좋지 않은 조였다.

샤르팡티에는 나장조를 "귀에 거슬린다"고 표현했다. 마테존은 "적대적이고 딱딱하며 불쾌한 느낌에다 왠지 절망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으며, 18세기 당시에는 이 조를 으뜸음조로 하는 곡이 매우 드물다고 언급했다. 예외적으로 제미니아니의 합주 협주곡(Op. 3-5와 7-6)이나 몬의 현악기만의 교향곡 등에서 나장조가 으뜸음조로 사용된 경우가 있다.

반면, 피아노와 같은 건반 악기에서는 다섯 손가락의 길이를 고려할 때 운지법이나 연주가 비교적 쉽다. 짧은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흰 건반, 긴 나머지 세 손가락은 검은 건반을 사용하는 것이 무리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아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쇼팽이 좋아했던 조로, 제자에게 음계(Scale)를 가르칠 때 나장조부터 시작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낭만파적인 조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조표에 A#, C#, D#, F#, G# 등 모든 검은 건반이 사용되므로 악보를 읽기가 매우 어려운 조 중 하나이다.

3. 2. 역사적 인식

나장조는 곡의 으뜸음조로 사용되는 경우가 적으며, 주로 나단조 곡의 으뜸음조나 마장조 곡의 딸림조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바이올린에서는 음계에 개방현의 음이 하나밖에 포함되지 않고 주요 삼화음에서 배음 울림이 빈약하며, 19세기 초까지의 목관 악기에서는 크로스 핑거링을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울림이 좋지 않은 조였다.

샤르팡티에는 나장조를 "귀에 거슬린다"고 표현했다. 마테존은 "적대적이고 딱딱하며 불쾌한 느낌에다 왠지 절망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으며, 18세기 당시에는 이 조를 으뜸음조로 하는 곡이 매우 드물다고 언급했다. 예외적으로 제미니아니의 합주 협주곡 (Op.3-5와 7-6)이나 몬의 현악기만의 교향곡 등에서 나장조가 으뜸음조로 사용된 경우가 있다.

반면, 피아노와 같은 건반 악기에서는 다섯 손가락의 길이를 고려할 때 운지법이나 연주가 비교적 쉬운 편이다. 짧은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흰 건반, 긴 나머지 세 손가락은 검은 건반을 연주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쇼팽은 나장조를 선호하여 제자에게 음계를 가르칠 때 나장조부터 시작했다고 한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나장조는 낭만파적인 조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조표에 A#, C#, D#, F#, G# 등 모든 검은 건반이 사용되어 악보를 읽기 어려운 조 중 하나이기도 하다.

3. 3. 낭만주의 시대 이후

나장조는 곡의 으뜸음조로 사용되는 경우가 적으며, 나단조 곡에서 그 으뜸음조로, 마장조 곡에서 그 딸림조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바이올린에서는 음계에 개방현의 음이 하나밖에 포함되지 않고 주요 삼화음에서는 배음의 울림이 매우 빈약하다. 게다가 19세기 초까지의 목관 악기에서는 크로스 핑거링을 다용했기 때문에 울림이 좋지 않은 조였다.

샤르팡티에는 나장조를 "귀에 거슬린다"고 표현했고, 마테존은 "적대적이고 딱딱하며 불쾌한 느낌에다 왠지 절망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18세기 당시에는) 이 조를 으뜸음조로 하는 곡은 매우 드물다"고 언급했다. 예외적으로 제미니아니의 합주 협주곡(Op. 3-5와 7-6)이나 몬의 현악기만의 교향곡 등에서 이 조가 으뜸음조로 사용된 경우가 있다.

반면, 피아노와 같은 건반 악기에서는 다섯 손가락의 길이를 고려할 때 운지법이나 연주가 비교적 쉽다. 짧은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흰 건반, 긴 나머지 세 손가락은 검은 건반을 연주하는 것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쇼팽이 좋아했던 조로, 제자에게 음계(Scale)를 가르칠 때 나장조부터 시작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나장조는 낭만파적인 조로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조표에 검은 건반(A#, C#, D#, F#, G#)이 모두 사용되므로 악보를 읽기 어려운 조 중 하나이다.

4. 나장조의 곡 예시

나장조로 작곡된 곡은 다음이 있다.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 교향곡 4번
  • *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 요하네스 브람스
  • * 피아노 3중주 1번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 교향곡 7번 "레닌그라드"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 피아노 소나타 8번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 환상곡 (스크랴빈)

  • 장 시벨리우스
  • * 교향곡 6번 (시벨리우스)

  • 표트르 차이콥스키
  • * 교향곡 6번 "비창"
  • * 피아노 협주곡 1번

참조

[1] 서적 Chopin: Pianist and Teacher: As Seen by His Pupi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Chopin: Pianist and Teacher: As Seen by His Pupi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