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픽 우크라이나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크라이나 선수단은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하여 동계 및 하계 올림픽에서 모두 메달을 획득했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육상, 체조, 레슬링, 복싱 등 다양한 종목에서, 동계 올림픽에서는 바이애슬론, 피겨 스케이팅, 프리스타일 스키 종목에서 강세를 보였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금메달 9개를 획득하며 종합 9위를 기록했으며, 이후 꾸준히 참가하여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총 151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소련 시절에는 우크라이나 출신 선수들이 소련 대표로 출전하여 많은 메달을 획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우크라이나 선수단
우크라이나 올림픽 정보
NOCUKR
NOC 이름우크라이나 국가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www.noc-ukr.org
최고 순위32위
올림픽 참가 기록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하계 청소년 올림픽 참가 횟수2010 2014
동계 청소년 올림픽 참가 횟수2012 2016
과거 참가 국가(1900-1912)
(1912)
(1920-1936)
(1920-1936)
(1920-1936)
(1952-1988)
(1992)
메달 획득 현황
금메달41
은메달43
동메달76
총 메달 수160

2. 역대 참가 올림픽 개요

근대 올림픽 국가별 메달 획득 현황

=== 하계 올림픽 ===

올림픽 우크라이나 선수단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금메달 9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2개로 총 23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9위를 기록했다.[3] 이후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꾸준히 참가하여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은메달 10개,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동메달 12개를 획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3]

1896년부터 1912년까지는 러시아 제국의 일부로, 1920년 하계 올림픽은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로 참가했다. 1924년부터 1936년까지는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루마니아의 일부로 참가했으며, 1948년 하계 올림픽에는 불참했다. 1952년부터 1988년까지는 소련의 일부로 참가했고, 1992년 하계 올림픽에는 독립 국가 연합의 일부로 참가했다.

우크라이나는 하계 올림픽에서 육상, 체조, 레슬링, 복싱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이네사 크라베츠가 육상 여자 멀리뛰기에서, 블라디미르 클리치코가 복싱 남자 슈퍼헤비급에서, 릴리야 포드코파예바가 체조 여자 개인 종합과 마루운동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야나 클로치코바수영 여자 개인 혼영 200m와 4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관왕을 차지했다.

대회명
1996 애틀랜타921223
2000 시드니3101023
2004 아테네85922
2008 베이징741122
2012 런던541019
2016 리우데자네이루25411
2020 도쿄161219
2024 파리35412
합계[3]384172151



=== 동계 올림픽 ===

우크라이나는 1994년 1994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그 이전에는 1924년 동계 올림픽부터 1992년 동계 올림픽까지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루마니아, 소련, 독립 국가 연합 선수단의 일원으로 참가했다.

우크라이나는 동계 올림픽에서 총 9개의 메달(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4개)을 획득했다. 1994년 동계 올림픽에서 옥사나 바이울이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 금메달, 발렌티나 체르베가 바이애슬론 여자 스프린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처음으로 메달을 획득했다. 199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올레나 페트로바가 바이애슬론 여자 개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릴리아 예프레모바가 바이애슬론 여자 스프린트에서, 엘레나 그루시나와 루슬란 곤차로프가 피겨스케이팅 아이스 댄싱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비타 세메렌코, 율리야 지마, 발지 세메렌코, 올레나 피드루슈나가 바이애슬론 여자 계주에서 금메달, 비타 세메렌코가 바이애슬론 여자 스프린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올렉산드르 아브라멘코가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에어리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올렉산드르 아브라멘코가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에어리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 1. 하계 올림픽

올림픽 우크라이나 선수단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금메달 9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2개로 총 23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9위를 기록했다.[3] 이후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꾸준히 참가하여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은메달 10개,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동메달 12개를 획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3]

1896년부터 1912년까지는 러시아 제국의 일부로, 1920년 하계 올림픽은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로 참가했다. 1924년부터 1936년까지는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루마니아의 일부로 참가했으며, 1948년 하계 올림픽에는 불참했다. 1952년부터 1988년까지는 소련의 일부로 참가했고, 1992년 하계 올림픽에는 독립 국가 연합의 일부로 참가했다.

우크라이나는 하계 올림픽에서 육상, 체조, 레슬링, 복싱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이네사 크라베츠가 육상 여자 멀리뛰기에서, 블라디미르 클리치코가 복싱 남자 슈퍼헤비급에서, 릴리야 포드코파예바가 체조 여자 개인 종합과 마루운동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야나 클로치코바수영 여자 개인 혼영 200m와 4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관왕을 차지했다.

대회명
1996 애틀랜타921223
2000 시드니3101023
2004 아테네85922
2008 베이징741122
2012 런던541019
2016 리우데자네이루25411
2020 도쿄161219
2024 파리35412
합계[3]384172151


2. 2. 동계 올림픽

우크라이나는 1994년 1994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그 이전에는 1924년 동계 올림픽부터 1992년 동계 올림픽까지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루마니아, 소련, 독립 국가 연합 선수단의 일원으로 참가했다.

우크라이나는 동계 올림픽에서 총 9개의 메달(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4개)을 획득했다. 1994년 동계 올림픽에서 옥사나 바이울이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 금메달, 발렌티나 체르베가 바이애슬론 여자 스프린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처음으로 메달을 획득했다. 199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올레나 페트로바가 바이애슬론 여자 개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릴리아 예프레모바가 바이애슬론 여자 스프린트에서, 엘레나 그루시나와 루슬란 곤차로프가 피겨스케이팅 아이스 댄싱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비타 세메렌코, 율리야 지마, 발지 세메렌코, 올레나 피드루슈나가 바이애슬론 여자 계주에서 금메달, 비타 세메렌코가 바이애슬론 여자 스프린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올렉산드르 아브라멘코가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에어리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올렉산드르 아브라멘코가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에어리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개최 올림픽선수합계순위
37101213
56010118
680000-
52002225
520000-
45101220
33100121
45010125
미래 개최
합계324931


3. 종목별 메달 획득 현황

종목합계
레슬링48921
체조75820
복싱54716
육상331521
수영4329
사격43310
카누34411
펜싱3159
역도2125
요트1225
양궁1124
조정1113
사이클0224
유도0134
가라테0112
근대5종0101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0022
다이빙0022
핸드볼0011
테니스0011


3. 1. 하계 올림픽 종목별

개최 올림픽선수합계순위
1896–1912의 일부로,  (AUT) 그리고
 헝가리 (HUN)
의 일부로
1924–1936,  폴란드 (POL) 그리고
의 일부로
불참
1952–1988의 일부로
의 일부로
2319212239
230310102321
2398592213
24374112212
23854101914
2032541131
15516121944
1403541222
미래의 대회
합계38417215134



종목합계
레슬링48921
체조75820
복싱54716
육상331521
수영4329
사격43310
카누34411
펜싱3159
역도2125
요트1225
양궁1124
조정1113
사이클0224
유도0134
가라테0112
근대5종0101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0022
다이빙0022
핸드볼0011
테니스0011


3. 2. 동계 올림픽 종목별

우크라이나는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동계 올림픽에서 바이애슬론, 피겨 스케이팅, 프리스타일 스키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종목합계
바이애슬론1135
피겨 스케이팅1012
프리스타일 스키1102
합계3249



우크라이나는 1924년부터 1992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루마니아, 소련, 독립 국가 연합 선수단의 일원으로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1994년 대회부터 독립된 선수단으로 참가하기 시작하여,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까지 총 8번의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4. 주요 메달리스트

이호르 마트비옌코1996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470급티무르 타야마조프1996년 하계 올림픽역도남자 108 kg비아체슬라프 올리니크1996년 하계 올림픽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90 kg릴리야 포드코파예바1996년 하계 올림픽체조여자 평균대인나 프로로바
스비틀라나 마지
디나 미프타후트디노바
올레나 론지나1996년 하계 올림픽조정여자 쿼드러플 스컬올레나 사도브니차1996년 하계 올림픽양궁여자 개인올렉산드르 크리쿤1996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해머던지기올렉산드르 바가치1996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포환던지기잉하 바바코바1996년 하계 올림픽육상여자 높이뛰기올레 키류힌1996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라이트플라이급이호르 코롭친스키
올레 코샤크
그리고리 미슈틴
볼로디미르 샤멘코
루스탐 샤리포프
올렉산드르 스비틀리치니
유리 예르마코프1996년 하계 올림픽체조남자 단체 종합올레나 비트리첸코1996년 하계 올림픽체조여자 리듬 개인 종합올레나 파홀치크
루슬라나 타란1996년 하계 올림픽요트여자 470급데니스 호트프리드1996년 하계 올림픽역도남자 99 kg엘브루스 테데예프1996년 하계 올림픽레슬링남자 자유형 62 kg자자 자지로프1996년 하계 올림픽레슬링남자 자유형 68 kg안드리 칼라시니코프1996년 하계 올림픽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52 kg미콜라 밀체프2000년 하계 올림픽사격남자 스키트야나 클로치코바2000년 하계 올림픽수영여자 개인 혼영 200m, 여자 개인 혼영 400m나탈리야 부르데이노
올레나 사도브니차
카테리나 세르듀크2000년 하계 올림픽양궁여자 단체안드리 코텔니크2000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라이트급세르히 도첸코2000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웰터급세르히 체르니아우스키
세르히 마트베예프
알렉산드르 시모넨코
올렉산드르 페덴코2000년 하계 올림픽사이클남자 단체 추발올렉산드르 베레시
발레리 혼차로프
루슬란 메젠체프
발레리 페레슈쿠라
올렉산드르 스비틀리치니
로만 조줄랴2000년 하계 올림픽체조남자 단체 종합옥사나 치굴레바2000년 하계 올림픽체조여자 트램펄린데니스 실란티예프2000년 하계 올림픽수영남자 접영 200m야나 클로치코바2000년 하계 올림픽수영여자 자유형 800m예우헨 부슬로비치2000년 하계 올림픽레슬링남자 자유형 58 kg다비드 살다제2000년 하계 올림픽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97 kg로만 슈렌코2000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멀리뛰기올레나 호보로바2000년 하계 올림픽육상여자 세단뛰기볼로디미르 시도렌코2000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플라이급세르히 다닐첸코2000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밴텀급안드리 페드추크2000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라이트헤비급이리나 야노비치2000년 하계 올림픽사이클여자 스프린트한나 소로키나
올레나 주피나2000년 하계 올림픽다이빙여자 3m 스프링보드 싱크로나이즈드올렉산드르 베레시2000년 하계 올림픽체조남자 개인 종합루슬란 마슈렌코2000년 하계 올림픽유도남자 90 kg올레나 파홀치크
루슬라나 타란2000년 하계 올림픽요트여자 470급발레리 혼차로프2004년 하계 올림픽체조남자 평행봉유리 니키틴2004년 하계 올림픽체조남자 트램펄린올레나 코스테비치2004년 하계 올림픽사격여자 10m 공기 권총야나 클로치코바2004년 하계 올림픽수영여자 개인 혼영 200m, 여자 개인 혼영 400m나탈리야 스카쿤2004년 하계 올림픽역도여자 63 kg엘브루스 테데예프2004년 하계 올림픽레슬링남자 자유형 66 kg이리나 메를레니2004년 하계 올림픽레슬링여자 자유형 48 kg올레나 크라소우스카2004년 하계 올림픽육상여자 100m 허들로만 혼튜크2004년 하계 올림픽유도남자 81 kg게오르기 레온추크
로디온 루카2004년 하계 올림픽요트49er급한나 칼리니나
스비틀라나 마테부셰바
루슬라나 타란2004년 하계 올림픽요트잉글링급이호르 라조로노프2004년 하계 올림픽역도남자 105 kg드미트로 흐라초프
빅토르 루반
올렉산드르 세르듀크2004년 하계 올림픽양궁남자 단체테탸나 테레슈추크-안티포바2004년 하계 올림픽육상여자 400m 허들비타 스티오피나2004년 하계 올림픽육상여자 높이뛰기한나 발라바노바
올레나 체레바토바
인나 오시펜코
테탸나 세미키나2004년 하계 올림픽카누여자 K-4 500m블라디슬라프 트레티야크2004년 하계 올림픽펜싱남자 사브르안나 베소노바2004년 하계 올림픽체조여자 리듬 개인 종합핸드볼 팀2004년 하계 올림픽핸드볼여자 토너먼트세르히 빌루셴코
세르히 흐린
올레 리코프
레오니드 샤포슈니코프2004년 하계 올림픽조정남자 쿼드러플 스컬안드리 세르디노프2004년 하계 올림픽수영남자 접영 100m빅토르 루반2008년 하계 올림픽양궁남자 개인나탈리야 도브린스카2008년 하계 올림픽육상여자 7종 경기바실 로마첸코2008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페더급인나 오시펜코2008년 하계 올림픽카누여자 K-1 500m올하 칼란
올레나 홈로바
할리나 푼디크
올하 조브니르2008년 하계 올림픽펜싱여자 단체 사브르올렉산드르 페트리프2008년 하계 올림픽사격남자 25m 속사 권총아르투르 아이바잔2008년 하계 올림픽사격남자 50m 소총 복사이리나 리시친스카2008년 하계 올림픽육상여자 1500m유리 수호루코프2008년 하계 올림픽사격남자 50m 소총 3자세안드리 스타드니크2008년 하계 올림픽레슬링남자 자유형 66 kg올레나 안토노바2008년 하계 올림픽육상여자 원반 던지기나탈리야 토비아스2008년 하계 올림픽육상여자 1500m뱌체슬라프 글라즈코프2008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슈퍼헤비급유리 체반2008년 하계 올림픽카누남자 C-1 500m레샤 칼리토우스카2008년 하계 올림픽사이클여자 개인 추발일리야 콰샤
올렉시 프리호로프2008년 하계 올림픽다이빙남자 3m 스프링보드 싱크로나이즈드올렉산드르 보로비요프2008년 하계 올림픽체조남자 링안나 베소노바2008년 하계 올림픽체조여자 리듬 개인 종합로만 혼튜크2008년 하계 올림픽유도남자 81 kg타라스 단코2008년 하계 올림픽레슬링남자 자유형 84 kg아르멘 바르다냔2008년 하계 올림픽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66 kg이리나 메를레니2008년 하계 올림픽레슬링여자 자유형 48 kg바실 로마첸코2012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라이트급올렉산드르 우시크2012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헤비급유리 체반2012년 하계 올림픽카누남자 C-1 200m야나 셰미아키나2012년 하계 올림픽펜싱여자 에페야나 데멘티에바
나탈리야 도브호드코
아나스타시야 코젠코바
카테리나 타라센코2012년 하계 올림픽조정여자 쿼드러플 스컬데니스 베린치크2012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라이트웰터급인나 오시펜코2012년 하계 올림픽카누여자 K-1 200m, 여자 K-1 500m발레리 안드리이체프2012년 하계 올림픽레슬링남자 자유형 96 kg올레샤 포우흐
흐리스티나 스투이
마리야 롄
옐리자베타 브리즈히나2012년 하계 올림픽육상여자 400m 이어달리기올하 살라두하2012년 하계 올림픽육상여자 세단뛰기타라스 셸레스튜크2012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웰터급올렉산드르 그보스디크2012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라이트헤비급이호르 라디빌로프2012년 하계 올림픽체조남자 도마올레나 코스테비치2012년 하계 올림픽사격여자 10m 공기 권총, 여자 25m 권총율리야 파라토바2012년 하계 올림픽역도여자 53kg옥사나 바이울1994년 동계 올림픽피겨스케이팅여자 싱글발렌티나 체르베1994년 동계 올림픽바이애슬론여자 스프린트올레나 페트로바1998년 동계 올림픽바이애슬론여자 개인릴리아 예프레모바2006년 동계 올림픽바이애슬론여자 스프린트엘레나 그루시나
루슬란 곤차로프2006년 동계 올림픽피겨스케이팅아이스 댄싱비타 세메렌코
율리야 지마
발지 세메렌코
올레나 피드루슈나2014년 동계 올림픽바이애슬론여자 계주비타 세메렌코2014년 동계 올림픽바이애슬론여자 스프린트올렉산드르 아브라멘코2018년 동계 올림픽프리스타일 스키남자 에어리얼올렉산드르 아브라멘코2022년 동계 올림픽프리스타일 스키남자 에어리얼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sortable" text-align:center;

|-

! 선수

! 성별

! 종목

! 참가 연도

! 올림픽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 메달

|-

! 야나 클로치코바

| 여성 || 수영 || 2000–2004 || 하계 || 4 || 1 || 0 || 5

|-

! 올하 칼란

| 여성 || 펜싱 || 2008–2024 || 하계 || 2 || 1 || 3 || 6

|-

! 릴리야 포드코파예바

| 여성 || 체조 || 1996 || 하계 || 2 || 1 || 0 || 3

|-

! 유리 체반

| 남성 || 카누 || 2004–2016 || 하계 || 2 || 0 || 1 || 3

|-

! 바실 로마첸코

| 남성 || 복싱 || 2008–2012 || 하계 || 2 || 0 || 0 || 2

|-

! 인나 오시펜코

| 여성 || 카누 || 2004–2012 || 하계 || 1 || 2 || 1 || 4

|-

! 잔 벨레니우크

| 남성 || 레슬링 || 2016–2024 || 하계 || 1 || 1 || 1 || 3

|-

! 발레리 혼차로프

| 남성 || 체조 || 2000–2008 || 하계 || 1 || 1 || 0 || 2

|-

! 올렉산드르 아브라멘코

| 남성 || 프리스타일 스키 || 2006–2022 || 동계 || 1 || 1 || 0 || 2

|-

! 알리나 코마슈크

| 여성 || 펜싱 || 2016–2024 || 하계 || 1 || 1 || 0 || 2

|-

! 올레나 크라바츠카

| 여성 || 펜싱 || 2016–2024 || 하계 || 1 || 1 || 0 || 2

|-

! 올레그 베르냐예프

| 남성 || 체조 || 2016, 2024 || 하계 || 1 || 1 || 0 || 2

|-

! 올렉산드르 키즈니아크

| 남성 || 복싱 || 2020–2024 || 하계 || 1 || 1 || 0 || 2

|-

!

5. 소련 시절 우크라이나 출신 메달리스트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밖의 소비에트 클럽을 대표하여 우크라이나 NOC에서 인정한 소련 메달리스트 목록이다.[2]

6. 올림픽 참가의 의의 및 과제

참조

[1] 웹사이트 «Незалежний» український спорт: від першого гімну на Олімпіаді до наймолодшого чемпіона Європи https://web.archive.[...] 2019-08-24
[2] 웹사이트 Olympic champions (Олімпійські чемпіони) http://noc-ukr.org/o[...]
[3] 웹사이트 Team Ukraine - Profile {{!}} Tokyo 2020 Olympics https://olympics.com[...] 2021-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