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멕 별기원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멕 별기원론은 올멕 문명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가설들을 다루는 주제이다. 주류 학설은 올멕 문명이 메소아메리카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했다는 것이지만, 일부에서는 아프리카, 중국, 혹은 기타 지역과의 연관성을 주장한다. 아프리카 기원설은 올멕 조각상의 얼굴 특징을 근거로 제시되며, 중국 기원설은 상나라의 영향력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들은 주류 학계에서 지지를 받지 못하며, 과학적 근거의 부족과 인종차별주의적 시각에 대한 비판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올멕 별기원론
개요
주제올멕 문명의 기원
내용올멕 문명의 기원에 대한 여러 가설과 추측을 탐구하며, 주류 학계의 견해와 다른 비주류 이론들을 다룸.
아프리카 기원설
주장올멕 문명이 아프리카에서 온 사람들이 건설했다는 가설.
근거올멕 유적에서 발견된 두상 조각상의 특징이 아프리카인의 특징과 유사하다는 주장. 특히 넓은 코와 두꺼운 입술 등이 그 근거로 제시됨.
비판이 주장은 유전학적, 고고학적 증거 부족으로 주류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음. 두상 조각상의 특징은 단순히 조각가의 표현 방식일 수 있다는 반론도 존재함.
아시아 기원설
주장올멕 문명이 아시아, 특히 중국에서 온 사람들의 영향을 받았다는 가설.
근거올멕 유물에서 발견되는 옥(jade) 사용, 수로 시스템, 피라미드 건축 양식 등이 중국 문명과 유사하다는 주장. 또한, 일부 올멕 조각상에서 나타나는 찢어진 눈매(epicanthic fold)가 동아시아인의 특징과 유사하다는 주장도 있음.
비판이러한 유사성은 우연의 일치이거나, 다른 경로를 통해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반론이 있음. 유전학적 증거 또한 부족함.
유럽 기원설
주장올멕 문명이 유럽에서 온 사람들이 건설했다는 가설.
근거이 가설은 주로 고대 지중해 문명과의 연관성을 찾으려는 시도에서 비롯됨. 일부 학자들은 올멕 문명의 종교적 상징이나 예술 양식이 고대 유럽 문명과 유사하다고 주장함.
비판이 주장은 고고학적 증거가 매우 부족하며, 주류 학계에서 거의 지지받지 못함.
기타 외계 기원설
주장일부 사람들은 올멕 문명이 외계인의 영향을 받아 건설되었다고 주장함.
근거올멕 유적의 거대한 규모나 불가사의한 조각상들이 인간의 능력으로는 만들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됨.
비판이 주장은 과학적 증거가 전혀 없으며, 유사과학 또는 음모론으로 간주됨.
주류 학계의 견해
주장올멕 문명은 메소아메리카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고 발전했다는 것이 주류 학계의 견해임.
근거고고학적 발굴,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유전학적 연구 등을 통해 올멕 문명이 주변 지역의 문화와 교류하면서 독자적인 문명을 이루었다는 증거가 제시됨.
추가 설명올멕 문명은 주변의 다른 메소아메리카 문명에 영향을 주었으며, 마야 문명 등 후대의 문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됨.
이미지
올멕 가면 1
올멕 가면. 아몬드 모양의 눈 (중국 기원설의 증거로 제시됨)과 두드러진 입술 (아프리카 기원설의 증거로 제시됨)은 대안적 기원론자들이 제시하는 특징임. 아몬드 모양의 눈과 으르렁거리는 입은 올멕 예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규어인간 모티프의 특징임.
올멕 가면 2
올멕 가면. 아몬드 모양의 눈 (중국 기원설의 증거로 제시됨)과 두드러진 입술 (아프리카 기원설의 증거로 제시됨)은 대안적 기원론자들이 제시하는 특징임. 아몬드 모양의 눈과 으르렁거리는 입은 올멕 예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규어인간 모티프의 특징임.

2. 올멕 문명의 기원 논쟁

올멕 문명의 기원을 둘러싸고 학계에서는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며 활발한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크게 메소아메리카 지역 내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했다는 자생설과, 아프리카나 중국 등 외부 문명의 영향을 받았다는 외부 기원설로 나뉜다.

대부분의 중앙아메리카 역사, 고고학, 언어학 전문가들은 외부 기원설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며, 올멕 문명은 해당 지역 고유의 전통 속에서 발생하고 발전했다는 합의된 견해를 지지한다.[1][3] 많은 학자들은 외부 기원설이 신뢰할 만한 증거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아메리카 원주민의 독자적인 문명 창조 능력을 간과하는 인종차별적 시각을 내포할 수 있다고 비판한다.[2]

대표적인 외부 기원설로는 올멕 거대 두상의 얼굴 특징 해석에 기반한 아프리카 기원설[7]과 상 왕조 시기 중국 난민의 영향을 주장하는 중국 기원설[18][19] 등이 있으나, 주류 학계에서는 이를 뒷받침할 고고학적, 유전학적 증거가 부족하다고 본다.[3][22] 올멕인들과 주변 문화들은 지역적으로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독립적으로 고유한 문화와 농업 유산을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4]

2. 1. 주류 학설: 메소아메리카 자생설

대부분의 중앙아메리카 역사, 고고학, 언어학 전문가들은 올멕 문명이 외부에서 유래했다는 대안적인 기원론을 받아들이지 않는다.[1]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이 아메리카 원주민의 독자적인 문명 발전 가능성을 부정하는 인종차별주의적 시각을 담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한다.[2] 과학적 합의는 올멕 문명과 그 업적이 중앙아메리카 지역 자체의 영향과 전통 속에서 발전했다는 것이며, 외부 기원설을 뒷받침할 신뢰할 만한 증거는 없다는 입장이다.[3] 올멕인들과 주변 문화들은 지역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지만, 독립적으로 발생한 고유한 문화와 농업 유산을 바탕으로 자신들만의 특징을 발전시켰다.[4]

2018년에 발표된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는 이러한 주류 학설을 뒷받침한다. 산 로렌소와 로마 델 사포테 유적에서 발견된 올멕 유골 두 구를 분석한 결과, 두 사람 모두 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 A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올멕인들이 외부에서 온 이주민이 아니라 아메리카 대륙의 토착 집단이었음을 시사하는 유전학적 증거로 여겨진다.

2. 2. 대안 가설

중앙아메리카 역사, 고고학, 언어학 분야의 전문가 대부분은 올멕 문명의 기원에 대한 여러 대안 가설들을 신뢰하지 않는다.[1]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대안 가설들이 근거가 부족하며, 때로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독자적인 문명 발전을 간과하는 인종차별적 시각을 담고 있다고 비판한다.[2]

학계의 합의된 견해는 동료 심사를 거친 학술 연구를 통해 유지되고 있으며, 올멕 문명과 그 성과는 외부의 영향 없이 해당 지역, 또는 적어도 신세계 고유의 전통 속에서 발생했다는 것이다. 즉, 외부 문명 전파설을 뒷받침할 만한 신뢰할 수 있는 고고학적 또는 역사적 증거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3] 올멕인들과 그들과 교류했던 주변 문화들은 지역적으로 공유된 고대 문화 및 농업 유산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특징을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4]

2. 2. 1. 아프리카 기원설

산로렌소 테노치티틀란 거대 두상 6. 일부 학자들은 이 조각상의 입술과 코 형태가 아프리카인의 얼굴 특징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올멕인들이 아프리카 민족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주로 올멕 조각상, 특히 올멕 거대 두상의 얼굴 특징에 대한 해석에 근거한다. 그들은 또한 비문학적, 유전적, 골학적 증거가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아프리카 기원설은 1862년, 호세 멜가르(José Melgar)가 후에야판(현재의 트레스 사포테스)에서 올멕 거대 두상을 처음 발견한 후, 이 두상이 "흑인 인종"의 특징을 보인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하면서 처음 제기되었다.[7] 20세기 초에는 레오 비너(Leo Wiener) 등이 이 견해를 지지했으며,[8] 아프리카 중심주의 학자인 이반 반 세르티마(Ivan Van Sertima)는 올멕인들을 서아프리카의 만데족과 동일시하기도 했다.[9]

폴란드의 인류학자 안제이 비에르친스키(Andrzej Wiercinski) 역시 일부 올멕인이 아프리카 기원을 가졌다고 주장했다.[12] 그는 멕시코 계곡의 틀라틸코(Tlatilco) 유적지와 올멕 중심지에 위치한 세로 데 라스 메사스(Cerro de las Mesas) 유적지에서 발굴된 두개골 증거를 근거로 삼았다. 틀라틸코의 두개골은 올멕 시대와 동시대인 고전기 이전 시대의 것이며, 세로 데 라스 메사스의 두개골은 주로 고전기에 속한다.[13] 비에르친스키는 두개골 계측법과 폴란드 비교 형태학파의 골격 참조 컬렉션을 사용하여 두개골의 인종적 기원을 분석했다. 그는 틀라틸코 두개골의 14%와 세로 데 라스 메사스 두개골의 4.5%가 "흑인" 인종 구성을 보인다고 결론지었다.[14] 그는 또한 거대한 올멕 두상이 특정 아프리카 인종 유형(동골란)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14] 비에르친스키는 자신의 연구를 요약하며 토착 인종 요소에 아프리카(적도 및 부시맨) 요소 등이 섞였다는 "민족 유전적 가설"을 제시했다.[15]

그러나 비에르친스키의 연구 방법과 결론은 주류 중앙아메리카 학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의 연구가 인종 분류를 위해 사용한 폴란드 비교 형태학적 방법론은 지나치게 좁은 범주의 인종(백인종, 흑인종, 몽골인종) 틀에 아메리카 원주민을 포함시키려 했기 때문에 샘플 편향과 잘못된 가정을 유발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대부분의 중앙아메리카 역사, 고고학, 언어학 전문가들은 아프리카 기원설을 포함한 대안적인 올멕 기원론을 신뢰하지 않는다.[1]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이 근거가 부족하며, 아메리카 원주민의 독자적인 문명 발전을 간과하는 인종차별적 시각을 담고 있다고 비판한다.[2] 학계의 합의된 견해는 올멕 문명과 그 업적이 외부의 영향 없이 해당 지역, 혹은 적어도 신세계 고유의 전통 속에서 발생했다는 것이다.[3] 올멕인들과 주변 문화들은 지역적으로 공유된 고대 문화 및 농업 유산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특징을 발전시켰다.[4] 아메리카 원주민 두개골에 대한 학제 간 분석 결과는 베링기아를 통한 이주와 아메리카 대륙 내에서의 진화가 아메리카 원주민의 기원을 설명하는 주요 요인임을 지지한다.[16]

2. 2. 2. 중국 기원설

일부 작가들은 중국 난민, 특히 상 왕조 말기에 올멕 문명이 생겨났다고 주장한다.[18] 1975년, 스미소니언 협회의 베티 메거스는 올멕 문명이 기원전 1200년경 상나라의 영향으로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19] 1996년 출판된 책에서 마이크 쉬는 천한핑의 도움을 받아, 라벤타 유적에서 발견된 켈트에 새겨진 문양이 실제로 중국 문자라고 주장했다.[20][21] 이러한 주장은 주류 메소아메리카 연구자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22] 마이크 쉬가 근거로 삼은 올멕 도자기 표식과 중국 갑골문자 표식의 유사성, 두 문화에서 옥의 중요성, 진북 위치에 대한 공유된 지식 등은 1997년 클레어 리우의 논문에서 다루어졌다.[23]

2. 2. 3. 기타 가설

몰몬경(1830)은 후기 성도 운동 소속 교회와 신자들이 경전으로 여기는 문헌이다. 이 책에서는 에테르서를 통해 자렛인이라는 민족이 고대에 구세계를 떠나 아메리카 대륙에 문명을 세웠다고 묘사한다. 미국의 주류 역사 및 문학 전문가들은 몰몬경의 문학적 배경을 북아메리카의 "고분 건설자" 신화로 보며, 19세기 미국 "고분 건설자" 장르 문학으로 분류한다.[24]

그러나 일부 몰몬교 학자들과 저자들은 몰몬경에 묘사된 사건들이 문자적 기반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려 한다. 인기 있는 몰몬경 제한적 지리 모델 중 하나는 자렛인들의 도착과 그 이후의 발전을 테우안테펙 지협 주변의 메소아메리카 지역으로 설정한다.[25] 하지만 이러한 메소아메리카 모델은 몰몬경 자체에서 명확하게 기원하기보다는, 존 로이드 스티븐스가 1841년에 출간하여 큰 인기를 끈 ''중앙 아메리카, 치아파스, 유카탄 여행기''에 대한 열정적인 관심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26] 몰몬교 창시자 조셉 스미스는 자렛인들의 도착지를 "아메리카의 호수 지역"(온타리오호 지역)으로 설정하여 몰몬경 인물들의 멕시코와 중앙 아메리카로의 최종 이주 가능성을 열어두기도 했다.[27]

이러한 배경에서 일부 몰몬교 학자들은 올멕 문명이 자렛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유사성을 언급하며 올멕이 번성하고 쇠퇴한 시기가 자렛인 문명의 연대기와 거의 일치한다고 지적한다.

연구자들에 의해 "삼촌 샘"이라고 불리는 조각된 초상화의 세부 묘사


한편, 탐험가이자 문화 확산론자인 토르 헤이에르달은 최소한 일부 올멕 지도자들이 북유럽 조상을 가졌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라 벤타 유적에서 발견된 스텔라 3에 조각된 수염을 기른 인물, 흔히 "삼촌 샘"이라고 불리는 인물[28]에게서 부분적으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이 인물의 뚜렷한 매부리코는 고대 세계에서 아메리카로 방문한 사람들의 증거로 인용되기도 했다.

고고학자 마이클 코는 헤이에르달의 주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 "삼촌 샘"의 존재는 노르웨이 탐험가이자 ''콘티키호의 탐험''의 저자인 토르 헤이에르달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에게 적어도 일부 올멕 지도자들이 북유럽 조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하지만], 민족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예술적 묘사의 증언을 사용하는 것은 극도로 오해의 소지가 있다. 올멕인들은 아메리카 원주민이지, 멜가르가 생각했던 것처럼 흑인이나 북유럽의 초인이 아니었다.[29]

3. 비판 및 논쟁

대부분의 중앙아메리카 역사, 고고학 및 언어학 전문가들은 이러한 대안적인 기원론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다.[1] 많은 학자들은 더 나아가 이러한 주장을 근거 없는 이론으로 간주하며, 이를 아메리카 원주민의 역사를 폄훼하는 인종차별주의의 한 형태로 비판한다.[2]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는 동료 심사를 거친 학술 간행물들을 통해 유지되고 있으며, 올멕 문명과 그 업적은 해당 지역, 또는 적어도 신세계 고유의 영향과 전통 속에서 발전했으며, 외부 기원설을 뒷받침할 만한 신뢰할 수 있는 물질적 증거는 없다는 것이다.[3] 올멕인과 그들과 교류했던 주변 문화들은 지역적으로 공유된, 독립적으로 발생한 문화 및 농업 유산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특징을 발전시켰다.[4]

일부 작가들은 올멕 조각상, 특히 올멕 거대 두상의 얼굴 특징에 대한 해석을 근거로 올멕인들이 아프리카 민족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또한 비문학적, 유전적, 골학적 증거가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1862년 호세 멜가르가 후에야판(현재 트레스 사포테스)에서 처음으로 거대 두상을 발견하고 이를 "흑인 인종"의 특징으로 해석하는 두 편의 논문을 발표하면서 처음 제기되었다.[7] 이 견해는 20세기 초 레오 비너 등에 의해 지지되었으며,[8] 아프리카 중심주의자인 이반 반 세르티마는 올멕인들을 서아프리카의 만데족과 동일시하기도 했다.[9]

일부 연구자들은 메소아메리카 문명의 문자 체계가 아프리카 문자들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19세기 초, 콘스탄틴 새뮤얼 라피네스크는 마야 비문이 아프리카의 리비코-베르베르 문자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10] 레오 비너는 아랍화된 "흑인" 서아프리카인들이 멕시코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올멕 두상 발견 이후 더욱 확산되었다.[11] 특히 툭스틀라 조상, 테오 가면, 그리고 라벤타 유적의 공물 4에서 발견된 켈트에 새겨진 상징들이 그 근거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주장은 메소아메리카 연구자들 사이에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주류 학자들이 마야 문자 해독에 상당한 진전을 이룬 반면, 연구자들은 아직 올멕 상형 문자를 해독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가설은 중국 상 왕조 말기의 난민들이 올멕 문명을 일으켰다는 주장이다.[18] 1975년 스미소니언 협회의 베티 메거스는 올멕 문명이 기원전 1200년경 상나라의 영향으로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19] 1996년 마이크 쉬는 천한핑의 도움을 받아 출판한 책에서 라벤타 켈트에 새겨진 문자가 실제로는 중국 문자라고 주장했다.[20][21] 하지만 이러한 주장 역시 주류 메소아메리카 연구자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22] 마이크 쉬가 제시한 증거들(올멕 도자기와 중국 갑골문 표식의 유사성, 두 문화에서의 의 중요성, 진북 위치에 대한 공통된 지식 등)은 1997년 클레어 리우의 논문에서 논의되었다.[23]

탐험가이자 문화 확산론자인 토르 헤이에르달은 적어도 일부 올멕 지도자들이 북유럽 조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라 벤타 스텔라 3에 조각된 수염을 기른 인물, 흔히 "삼촌 샘"이라고 불리는 인물[28]에게서 영감을 받았으며, 이 인물의 뚜렷한 매부리코는 고대 세계에서 아메리카로 방문한 사람들의 증거로 인용되기도 했다.

> "삼촌 샘"의 존재는 노르웨이 탐험가이자 ''콘티키호의 탐험''의 저자인 토르 헤이에르달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에게 적어도 일부 올멕 지도자들이 북유럽 조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하지만], 민족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예술적 묘사의 증언을 사용하는 것은 극도로 오해의 소지가 있다. 올멕인들은 아메리카 원주민이지, 멜가르가 생각했던 것처럼 흑인이나 북유럽의 초인이 아니었다.[29]

"올멕 축구 선수"[30]는 캐서린 맥린이 1980년에 쓴 단편 소설이다. 이 소설에서, 적어도 하나의 올멕 거대 두상은 풋볼 헬멧을 쓰고 시간 여행을 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대학생을 묘사하고 있다.

신비한 황금도시에서, 소수의 남은 올멕인들은 아틀란티스인의 후손으로 묘사된다.

참조

[1] 서적 Grove (1976) or Ortiz de Montellano (1997)
[2] 간행물 Robbing Native American Cultures: Van Sertima's Afrocentricity and the Olmecs https://www.hallofma[...] Current Anthropology 1997-06
[3] 문서 Taube, p. 17. "There simply is no material evidence of any Pre-Hispanic contact between the Old World and Mesoamerica before the arrival of the Spanish in the sixteenth century."
[4] 서적 Diehl (2004); Coe (1968)
[5] 논문 Genetic Affiliation of Pre-Hispanic and Contemporary Mayas Through Maternal Linage [sic] (Ochoa-Lugo 2016) https://pubmed.ncbi.[...]
[6] 웹사이트 Estudios de ADN y el origen de los olmecas https://arqueologiam[...] Arqueología Mexicana 2019
[7] 문서 Stirling, p. 2, who cites Melgar (1869) and Melgar (1871)
[8] 논문 They Were NOT Here before Columbus: Afrocentric Hyperdiffusionism in the 1990s 1997-Spring
[9] 서적 Ortíz de Montellano, Bernard & Gabriel Haslip Viera & Warren Barbour 1997
[10] 서적 First letter to Mr. Champollion on the Graphic systems of Otolum or Palenque in Central Americ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1
[11] 서적 Africa and the Discovery of America Innes & Sons 1922
[12] 간행물 Black kings of ancient America Science Digest 1988-09
[13] 서적 Wiercinski (1972b)
[14] 서적 Wiercinski (1972b), p.160
[15] 서적 Wiercinski, p. 158 or p. 171
[16] 논문 The Peopling of America: Craniofacial Shape Variation on a Continental Scale and Its Interpretation from an Interdisciplinary View. https://www.icb.ufmg[...] 2008
[17] 서적 Pool, p. 92, who cites Gordon Ekholm (1964) "Transpacific Contacts" in ''Prehistoric Man in the New World'' JD Jennings and E. Norbeck, ed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p. 489—510.
[18] 서적 The Rise of the West: A History of the Human Community 1963
[19] 서적 Meggers
[20] 웹사이트 Transpacific Contacts? http://www.chinese.t[...] 2015-12-15
[21] 서적 The Origin University of Central Oklahoma Press 1996
[22] 서적 See for example Grove (1976).
[23] 웹사이트 台灣光華雜誌 http://www.taiwan-pa[...] Taiwan-Panorama.com 2018-09-08
[24] 간행물 Hidden Cities: The Discovery and Loss of Ancient North American Civilization 1994
[25] 서적 Southerton (2004, p.157)
[26] 서적 Choice Above All Other Lands – Book of Mormon Covenant Lands According to the Best Sources
[27] 간행물 Traits of the Mosaic History Found Among the Aztaeca Nations 1842-06-15
[28] 서적 see Coe (1968, p. 59)
[29] 서적 Coe, p. 55
[30] 웹사이트 Title: The Olmec Football Player http://www.isfdb.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