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링 육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링 육교는 과거 시베리아와 알래스카를 연결했던 육지였다. 빙하기 동안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베링 해협이 육지로 드러나면서 형성되었으며, 플라이스토세 동안 여러 차례 나타났다 사라졌다. 베링 육교는 동식물의 이동 통로 역할을 했으며, 인류가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링 육교는 마지막 빙하기 동안 생태적 피난처 역할을 했으며, 인류를 포함한 다양한 동물들이 이 지역에서 생존했다.

2. 어원

"베링기아"라는 용어는 1937년 스웨덴 식물학자 에릭 훌텐이 덴마크 출신 러시아 탐험가 비투스 베링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10] 빙하기 동안 베링기아는 시베리아 대부분, 중국과 중국 북동부 전체와 마찬가지로 강수량이 적어 빙하가 없었다.[11]

3. 지리

베링 육교 - 위스콘신 빙하기


19세기 말, 알류샨 열도베링해의 섬에서 발견된 후기 홍적세 포유류의 유해는 과거 알래스카와 축치카 사이의 얕은 해역 아래에 육지가 연결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기저 메커니즘은 처음에는 지각 변동으로 생각되었지만, 1930년까지는 전 세계 해수면 변동을 초래하는 얼음 질량 균형의 변화가 베링 육교의 원인으로 여겨졌다.[12][13] 1937년, 에릭 훌텐은 알류샨 열도와 베링 해협 지역 주변, 알래스카와 축치카 사이에 지금은 잠긴 평원에서 처음 확산된 툰드라 식물이 있다고 제안했으며, 1728년 해협으로 항해했던 비투스 베링의 이름을 따서 베링기아라고 명명했다.[14][13] 미국의 북극 지질학자 데이비드 홉킨스는 베링기아의 범위를 알래스카와 북동아시아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도록 재정의했다. 베링기아는 이후 서쪽의 베르호얀스크 산맥에서 동쪽의 매켄지 강까지 확장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13] Erythranthe와 Pinus 속 식물의 분포는 이의 좋은 예시로, 매우 유사한 속 구성원이 아시아와 아메리카에서 발견된다.[15][16]

홍적세 동안 지구 냉각화는 주기적으로 빙하의 확장과 해수면 저하를 초래했다. 이는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육지 연결을 만들었다.[17] 오늘날 베링 해협의 평균 수심은 40m–50m이므로, 해수면이 현재보다 50m 이상 낮아졌을 때 육교가 열렸다.[18][19] 이 지역의 해수면 변동 역사를 재구성한 결과, 약 135,000년 전에서 70,000년 전에는 해로가 존재했고, 약 70,000년 전에서 60,000년 전에는 육교가 존재했으며, 약 60,000년 전에서 30,000년 전에는 간헐적인 연결이 있었고, 약 30,000년 전에서 11,000년 전에는 육교가 존재했으며, 그 후 홀로세 해수면 상승으로 해협이 다시 열렸다.[20][21]

최후 빙기는 지구 해수면을 훨씬 낮게 만들었다


최후 빙기 동안 북아메리카유럽을 덮고 있던 거대한 빙상에 지구의 물이 충분히 얼어붙어 해수면이 하락했다. 수천 년 동안 많은 간빙기 얕은 바다의 해저가 노출되었는데, 여기에는 베링 해협, 북쪽의 축치해, 남쪽의 베링해도 포함되었다. 전 세계의 다른 육교들도 같은 방식으로 나타났다 사라졌다. 약 14,000년 전에는 본토 오스트레일리아가 뉴기니와 태즈메이니아와 연결되었고, 영국 제도는 영국 해협북해의 마른 바닥을 통해 유럽 대륙의 연장선이 되었으며, 남중국해의 마른 바닥은 수마트라, 자바, 보르네오를 인도차이나와 연결했다.

4. 피난처

최후 빙기는 125,000년 전부터 14,500년 전까지 지속되었으며, 이 시기는 플라이스토세 후기에 발생한 현재 빙하기의 가장 최근 빙하기였다. 빙하기는 최후 빙기 최대 시기에 절정에 달했으며, 빙상은 33,000년 전에 확장되기 시작하여 26,500년 전에 최대 한계에 도달했다. 북반구에서는 대략 19,000년 전, 남극에서는 대략 14,500년 전에 해빙이 시작되었고, 베링 해협은 약 11,000년 전에 침수되었다.

빙하기 동안 광활하고 춥고 건조한 매머드 스텝이 북극 섬에서 중국 남부, 스페인에서 유라시아를 가로질러 베링 해협을 지나 알래스카와 유콘까지 뻗어 있었다. 베링기아는 북태평양에서 더 많은 습기와 간헐적인 해양 구름 덮개를 받아 식물과 동물에게 생태적 피난처를 제공하는 관목 툰드라 서식지를 지원했다.[23] 35,000년 전 동부 베링기아의 북극 지역은 오늘날보다 1.5°C도 더 따뜻했지만, 남부 아극 지역은 2°C도 더 추웠다. 22,000년 전 최후 빙기 최대 시기 동안 평균 여름 기온은 오늘날보다 3°C도 더 낮았다.

후기 플라이스토세에서 베링기아는 생물학적 군집의 모자이크였다.[22][23][24] 57,000년 전(MIS 3)부터 스텝-툰드라 식생이 베링기아의 넓은 지역을 지배했으며 다양한 종류의 풀과 초본이 존재했다.[22][23][25] 낙엽송(''Larix'')과 가문비나무(''Picea'') 숲의 고립된 피난처와 자작나무(''Betula'')와 오리나무(''Alnus'')가 있는 관목 툰드라의 패치가 있었다.[22][24][25][26]

20,000년 전 동부 베링기아의 눈 덮임 일수.


베링 해협의 시베리아 쪽 추코트카에서 분석한 결과 57,000년 전부터 15,000년 전(MIS 3에서 MIS 2)까지 동쪽과 서쪽의 스텝-툰드라보다 환경이 더 습하고 추웠으며, 베링기아 일부 지역에서는 15,000년 전부터 온난화가 있었다.[28] 이러한 변화는 15,000년 전 이후 포유류 이동에 가장 그럴듯한 설명을 제공했는데, 온난화로 인해 초식동물과 잡식동물의 먹이가 증가했기 때문이다.[29] 홀로세 초기에 일부 중생 서식지에 적응한 종들은 피난처를 떠나 툰드라 식생의 북부 아시아로 서쪽으로, 북부 북미로 동쪽으로 확산되었다.

베링기아는 변화하는 기후가 환경에 영향을 미쳐 생존할 수 있는 식물과 동물을 결정하면서 끊임없이 생태계를 변화시켰다. 더 추운 시기에는 빙하가 확장되었고 강수량이 감소했다. 더 따뜻한 기간 동안 구름, 비 및 눈은 토양과 배수 패턴을 변경했다. 화석 유물은 가문비나무, 자작나무포플러(''Populus'')가 오늘날의 가장 북쪽 범위 너머에서 자랐음을 보여주며, 기후가 더 따뜻하고 습했던 기간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최근 안정 동위 원소 연구를 통해 털매머드 뼈 콜라겐에서 서부 베링기아(시베리아)는 동부 베링기아(알래스카와 유콘)보다 더 춥고 건조했으며, 동부 베링기아는 생태학적으로 더 다양했다는 것이 밝혀졌다.[34]

회색 늑대는 마지막 빙하기 최대 시기 동안 약 25,000년 전에 종 전체의 개체수 병목 현상 (감소)을 겪었다. 그 후 베링기아 피난처에서 현대 늑대의 단일 개체군이 확장되어 유라시아와 북미 전역에 걸쳐 늑대의 이전 범위를 재개척하여 남아 있는 후기 플라이스토세 늑대 개체군을 대체했다.

멸종된 소나무 종인 ''Pinus matthewsii''는 피난처의 유콘 지역의 플라이오세 퇴적물에서 묘사되었다.[35]

5. 인류의 거주와 이동

2만 5천 년 전부터 현재까지 베링기아 안팎의 모계(mtDNA) 유전자 흐름의 개략도


아메리카 대륙 분수령을 따라 코딜레라와 로렌타이드 빙상을 분리하는 비어있는 복도의 대략적인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클로비스와 폴섬 고대 인디언 유적의 위치도 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류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진화하여 유라시아 대륙을 거쳐 최후 빙기 후기(1만 8000년 전 - 1만 5000년 전)에 베링 해협을 건넜다. 이들은 두꺼운 빙하로 덮인 내륙부의 알래스카, 캐나다, 북아메리카를 피해 당시 빙하가 없고 물과 식량을 조달할 수 있는 녹지였던 태평양 연안(현재는 해저에 잠겨 있음)을 따라 남하하여,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한 것으로 여겨진다.

약 3,000년 전, 유픽족의 조상이 해협 양쪽에 정착했다.[40] 러시아와 미국 정부는 "베링기아 유산을 공유하는 초국경 지역"을 공식적으로 설립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 협정은 미국 내 베링 육교 국립 보존지구와 케이프 크루젠스턴 국립 기념물, 러시아의 베링기아 국립 공원 간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할 것이다.[41]

5. 1. 아메리카 대륙으로의 이동



일반적으로 인류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진화하여 유라시아 대륙을 거쳐 최후 빙기 후기(1만 8000년 전 - 1만 5000년 전)에 베링 해협을 건넜다. 이들은 두꺼운 빙하로 덮인 내륙부의 알래스카, 캐나다, 북아메리카를 피해 당시 빙하가 없고 물과 식량을 조달할 수 있는 녹지였던 태평양 연안(현재는 해저에 잠겨 있음)을 따라 남하하여,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한 것으로 여겨진다.

약 3,000년 전, 유픽족의 조상이 해협 양쪽에 정착했다.[40] 러시아와 미국 정부는 "베링기아 유산을 공유하는 초국경 지역"을 공식적으로 설립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 협정은 미국 내 베링 육교 국립 보존지구와 케이프 크루젠스턴 국립 기념물, 러시아의 베링기아 국립 공원 간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할 것이다.[41]

5. 2. 베링기아 갭 가설

베링 육교의 시베리아와 북아메리카 지역에 고유한 동물군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베링기아 갭' 가설로 이어졌다. 이 가설은 육교가 나타났을 때 확인되지 않은 지리적 요인이 육교를 통한 이주를 막았다는 것이다. 베링기아는 사이가 영양, 털 매머드, 말과 같이 건조한 스텝에 적응한 대부분의 대형 종의 이동을 막지 않았다. 주목할 만한 제한된 동물군에는 시베리아의 털코뿔소(아나디르강 동쪽으로는 더 이상 가지 않았다)와 북아메리카의 ''Arctodus simus'', 아메리카 오소리, 아메리카 키앙과 유사한 말, ''Bootherium'', ''Camelops''가 있으며, 후기 홍적세 시베리아에서 ''Homotherium''의 존재는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매머드와 ''Megalonyx''가 없다는 것은 알래스카와 유콘에서의 서식이 간빙기로 제한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36][37][38] 그러나 땅늘보 eDNA가 시베리아에서 잠재적으로 회수되었다.[39]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진화한 인류는 유라시아 대륙을 거쳐 최후 빙기 후기(1만 8000년 전 - 1만 5000년 전)에 베링 해협을 건너 두꺼운 빙하로 덮인 내륙부의 알래스카, 캐나다, 북아메리카를 피해 태평양 연안(현재는 해저에 잠겨 있지만, 당시 태평양 연안은 빙하도 없고 물과 식량을 조달할 수 있는 녹지였다)을 따라 남하하여,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한 것으로 여겨진다.

6. 동물의 이동

19세기 말, 알류샨 열도베링해의 섬에서 발견된 후기 홍적세 포유류의 유해는 과거 알래스카와 축치카 사이의 얕은 해역 아래에 육지가 연결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1937년, 에릭 훌텐은 알류샨 열도와 베링 해협 지역 주변, 알래스카와 축치카 사이에 지금은 잠긴 평원에서 처음 확산된 툰드라 식물이 있다고 제안하며, 비투스 베링의 이름을 따서 베링기아라고 명명했다.[14][13] 이후 베링기아는 서쪽의 베르호얀스크 산맥에서 동쪽의 매켄지 강까지 확장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13] Erythranthe와 Pinus 속 식물의 분포는 아시아와 아메리카에서 매우 유사한 속 구성원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그 예시이다.[15][16]

홍적세 동안 지구 냉각화는 주기적으로 빙하의 확장과 해수면 저하를 초래했다. 이는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육지 연결을 만들었다.[17] 오늘날 베링 해협의 평균 수심은 40m이므로, 해수면이 현재보다 50m 이상 낮아졌을 때 육교가 열렸다.[18][19] 최후 빙기 동안 북아메리카유럽을 덮고 있던 거대한 빙상에 지구의 물이 충분히 얼어붙어 해수면이 하락했다. 수천 년 동안 많은 간빙기 얕은 바다의 해저가 노출되었는데, 여기에는 베링 해협, 북쪽의 축치해, 남쪽의 베링해도 포함되었다.

22,000년 전 베링기아 강수량


일반적으로 "빙하기"라고 불리는 최후 빙기는 125,000–14,500YBP에 걸쳐 있었으며, 이는 플라이스토세 후기에 발생한 현재 빙하기의 가장 최근 빙하기였다.

빙하기 동안 광활하고 춥고 건조한 매머드 스텝이 북극 섬에서 중국 남부로, 스페인에서 유라시아를 가로질러 베링 해협을 지나 알래스카와 유콘까지 뻗어 있었으며, 이곳에서 위스콘신 빙기에 의해 막혔다. 따라서 베링기아의 동식물상은 북미보다는 유라시아의 것들과 더 관련이 있었다. 베링기아는 나머지 매머드 스텝보다 북태평양에서 더 많은 습기와 간헐적인 해양 구름 덮개를 받았다. 이러한 습기는 식물과 동물에게 생태적 피난처를 제공하는 관목 툰드라 서식지를 지원했다.[23]

후기 플라이스토세에서 베링기아는 생물학적 군집의 모자이크였다.[22][23][24] YBP(MIS 3)부터 스텝-툰드라 식생이 베링기아의 넓은 지역을 지배했으며 다양한 종류의 풀과 초본이 존재했다.[22][23][25] 낙엽송(''Larix'')과 가문비나무(''Picea'') 숲의 고립된 피난처와 자작나무(''Betula'')와 오리나무(''Alnus'')가 있는 관목 툰드라의 패치가 있었다.[22][24][25][26]

베링 해협의 시베리아 가장자리에 있는 추코트카에서 분석한 결과 YBP(MIS 3에서 MIS 2)부터 동쪽과 서쪽의 스텝-툰드라보다 환경이 더 습하고 추웠으며, 베링기아 일부 지역에서는 YBP부터 온난화가 있었다.[28] 이러한 변화는 YBP 이후 포유류 이동에 가장 그럴듯한 설명을 제공했는데, 온난화로 인해 초식동물과 잡식동물의 먹이가 증가했기 때문이다.[29] 홀로세 초기에 일부 중생 서식지에 적응한 종들은 피난처를 떠나 툰드라 식생의 북부 아시아로 서쪽으로, 북부 북미로 동쪽으로 확산되었다.

8000년 전 베링기아


베링 해협의 가장 최근 출현은 년 전이었다. 그러나 YBP부터 로렌타이드 빙상이 코디렐란 빙상과 융합되면서 베링기아(및 유라시아)와 북미 대륙 간의 유전자 흐름이 차단되었다.[30][31][32] 유콘 회랑은 후퇴하는 빙상 사이에서 YBP에 열렸으며, 이는 베링 해협이 YBP에 해수면 상승으로 최종적으로 폐쇄될 때까지 다시 유라시아와 북미 대륙 간의 유전자 흐름을 허용했다.[33] 홀로세 동안 많은 중생 적응 종들이 피난처를 떠나 동쪽과 서쪽으로 확산되었고, 동시에 숲에 적응한 종들은 남쪽에서 숲과 함께 확산되었다. 건조 적응 종들은 작은 서식지로 축소되거나 멸종되었다.

''Mammut americanum''(아메리카 매머드)은 인간 관련 활동, 기후 변화 또는 둘의 조합으로 인해 약 12,000–9,000년 전에 멸종되었다. 제4기 멸종 및 홀로세 멸종 참조.


베링기아는 변화하는 기후가 환경에 영향을 미쳐 생존할 수 있는 식물과 동물을 결정하면서 끊임없이 생태계를 변화시켰다. 더 추운 시기에는 빙하가 확장되었고 강수량이 감소했다. 더 따뜻한 기간 동안 구름, 비 및 눈은 토양과 배수 패턴을 변경했다. 화석 유물은 가문비나무, 자작나무포플러(''Populus'')가 오늘날의 가장 북쪽 범위 너머에서 자랐음을 보여주며, 기후가 더 따뜻하고 습했던 기간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회색 늑대는 마지막 빙하기 최대 시기 동안 약 25,000 YBP에 종 전체의 개체수 병목 현상 (감소)을 겪었다. 그 후 베링기아 피난처에서 현대 늑대의 단일 개체군이 확장되어 유라시아와 북미 전역에 걸쳐 늑대의 이전 범위를 재개척하여 남아 있는 후기 플라이스토세 늑대 개체군을 대체했다.

멸종된 소나무 종인 ''Pinus matthewsii''는 피난처의 유콘 지역의 플라이오세 퇴적물에서 묘사되었다.[35]

6. 1. 아시아에서 아메리카로 이동한 동물

6. 2. 아메리카에서 아시아로 이동한 동물

말과 낙타 등이 베링 육교를 통해 아메리카에서 아시아로 이동했다.

7. 과거의 연결



19세기 말, 알류샨 열도베링해의 섬에서 발견된 후기 홍적세 포유류의 유해는 과거 알래스카와 축치카 사이의 얕은 해역 아래에 육지가 연결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처음에는 지각 변동이 원인으로 생각되었지만, 1930년까지 전 세계 해수면 변동을 초래하는 얼음 질량 균형의 변화가 베링 육교의 원인으로 밝혀졌다.[12][13]

1937년, 에릭 훌텐은 알류샨 열도와 베링 해협 지역 주변, 즉 알래스카와 축치카 사이의 현재는 잠긴 평원에서 처음 확산된 툰드라 식물이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이 지역을 1728년 해협으로 항해했던 비투스 베링의 이름을 따서 베링기아라고 명명했다.[14][13] 이후 미국의 북극 지질학자 데이비드 홉킨스는 베링기아의 범위를 알래스카와 북동아시아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도록 재정의했다. 베링기아는 서쪽의 베르호얀스크 산맥에서 동쪽의 매켄지 강까지 확장되는 것으로 알려졌다.[13] Erythranthe와 Pinus 속 식물의 분포는 아시아와 아메리카에서 매우 유사한 속 구성원이 발견되는 좋은 예시이다.[15][16]

홍적세 동안 지구 냉각화는 주기적으로 빙하의 확장과 해수면 저하를 초래하여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육지 연결을 만들었다.[17] 오늘날 베링 해협의 평균 수심은 40m이므로, 해수면이 현재보다 50m 이상 낮아졌을 때 육교가 열렸다.[18][19] 이 지역의 해수면 변동 역사를 재구성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기상태
년 전해로 존재
년 전육교 존재
년 전간헐적인 연결
년 전육교 존재
홀로세해수면 상승으로 해협이 다시 열림[20][21]



후빙기 반등은 해안의 일부 지역을 계속 상승시키고 있다.

최후 빙기 동안 북아메리카유럽을 덮고 있던 거대한 빙상에 지구의 물이 충분히 얼어붙어 해수면이 하락했다. 수천 년 동안 많은 간빙기 얕은 바다의 해저가 노출되었는데, 여기에는 베링 해협, 북쪽의 축치해, 남쪽의 베링해도 포함되었다.

upright


생물지리학적 증거는 과거 북아메리카와 아시아 사이의 연결을 보여준다.[42] 유사한 공룡 화석이 아시아북아메리카 모두에서 발견된다.[43] 예를 들어, 공룡 ''사우롤로푸스''는 몽골과 북아메리카 서부에서 발견되었고,[44] ''트로오돈'', ''트리케라톱스'',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의 친척 모두 아시아에서 기원했다.[45][46]

가장 초기의 ''Canis lupus'' 표본은 캐나다 유콘 준주의 올드 크로우에서 발견된 화석 이빨이었다. 이 표본은 100만 년 전으로 연대가 측정된 퇴적물에서 발견되었지만, 이 퇴적물의 지질학적 귀속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보다 약간 더 어린 표본들은 알래스카 페어뱅크스의 크리플 크릭 섬프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81만 년 전으로 연대가 측정되었다. 두 발견 모두 이 늑대들의 기원이 중기 홍적세 동안 동부 베링기아에서 기원했음을 시사한다.

화석 증거는 또한 약 5천5백8십만 년 전 북아메리카와 아시아 사이의 영장류와 식물의 교환을 나타낸다.[42][47][48] 2천만 년 전, 북아메리카의 증거는 포유류 종의 마지막 자연적 교환을 보여준다. 고대 검치호와 같은 일부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북아메리카와 같은 반복적인 지리적 범위를 가진다.[42] 생물군계의 양방향 흐름 패턴은 비대칭적이었으며, 신생대 전체에 걸쳐 일반적으로 아시아에서 북아메리카로 더 많은 식물, 동물 및 균류가 이동했다.[48]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Beringia? https://nps.gov/akso[...] National Park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 웹사이트 A Journey to a New Land virtualmuseum.ca 2015-05-19
[3] 웹사이트 Home https://bbcearth.com BBC Earth
[4] 논문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in Native Americans
[5] 논문 The Late Pleistocene Dispersal of Modern Humans in the Americas
[6] 논문 Mitochondrial Population Genomics Supports a Single Pre-Clovis Origin with a Coastal Route for the Peopling of the Americas
[7] 논문 Beringian Standstill and Spread of Native American Founders
[8] 논문 The Phylogeny of the Four Pan-American MtDNA Haplogroups: Implications for Evolutionary and Disease Studies
[9] 논문 Life and times of the Bering land bridge
[10] 서적 Human Ecology of Beringi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4-10
[11] 서적 Proceedings of the 15th International Ornithological Congress, The Hague, The Netherlands 30 August–5 September 1970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016-04-10
[12] 간행물 Introduc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3] 논문 Beringia and the global dispersal of modern humans
[14] 간행물 Outline of the history of arctic and boreal biota during the Quaternary Period Lehre J. Cramer
[15] 논문 A New Species of ''Erythranthe'' (Phrymaceae) From China http://www.phytoneur[...]
[16] 논문 Beringia as a glacial refugium for boreal trees and shrubs: New perspectives from mapped pollen data https://www.research[...]
[17] 간행물 Reconstructing quaternary environments Prentice Hall
[18] 논문 The Phanerozoic record of global sea-level change https://academiccomm[...]
[19] 논문 Sealevel fluctuations during the last glacial cycle https://resolver.sub[...]
[20] 논문 Influence of Bering Strait flow and North Atlantic circulation on glacial sea-level changes
[21] 논문 Faunal record identifies Bering isthmus conditions as constraint to end-Pleistocene migration to the New World
[22] 서적 Human ecology of Beringia Columbia University Press
[23] 간행물 The Bering land bridge: a moisture barrier to the dispersal of steppe-tundra biota?
[24] 간행물 Paleoenvironmental conditions in Western Beringia before and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Utah Press
[25] 간행물 New insights into the Weichselian environment and climate of the East Siberian Arctic, derived from fossil insects, plants, and mammals
[26] 간행물 The Stage 3 interstadial complex (Karginskii/middle Wisconsinan interval) of Beringia: variations in paleoenvironments and implications for paleoclimatic interpretations
[27] 간행물 Mammals of the mammoth steppe as paleoenvironmental indicators Academic Press
[28] 간행물 The late Pleistocene environment of the Eastern West Beringia based on the principal section at the Main River, Chukotka
[29] 논문 Faunal record identifies Bering isthmus conditions as constraint to end-Pleistocene migration to the New World
[30] 논문 Mammalian faunal dynamics in Late Pleistocene, Alberta, Canada
[31] 간행물 An assessment of the minimum timing of ice free conditions of the western Laurentide Ice Sheet
[32] 논문 The Heinrich and Dansgaard-Oeschger climatic events during Marine Isotopic Stage 3:searching for appropriate times for human colonization of the America
[33] 논문 Whole mitochondrial genomes illuminate ancient intercontinental dispersals of grey wolves (Canis lupus)
[34] 논문 Regional differences in bone collagen δ13C and δ15N of Pleistocene mammoths: Implications for paleoecology of the mammoth steppe https://uwo.academia[...]
[35] 논문 A New Species of Pinus Subgenus Pinus Subsection Contortae From Pliocene Sediments of Ch'Ijee's Bluff, Yukon Territory, Canada https://www.academia[...]
[36] 간행물 Extinction chronology of the woolly rhinoceros Coelodonta antiquitatis in the context of late Quaternary megafaunal extinctions in northern Eurasia https://www.scienced[...] 2012-09-19
[37] 웹사이트 Beringia: Lost World of the Ice Age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2-06-09
[38] 간행물 Pleistocene graminoid-dominated ecosystems in the Arctic https://www.scienced[...] 2011-10-01
[39] 간행물 Pleistocene glacial and interglacial ecosystems inferred from ancient DNA analyses of permafrost sediments from Batagay megaslump, East Siberia https://onlinelibrar[...] 2022-07
[40] 웹사이트 A Study of the Yupik People http://www.kibin.com[...] 2023-02-21
[41] 뉴스 Ancient land of 'Beringia' gets protection from US, Russia http://worldnews.nbc[...] 2012-09-21
[42] 웹사이트 Fig. 1. Biogeographic connections of the Beringian region through time... https://www.research[...] 2023-02-21
[43] 웹사이트 Arctic dinosaur may have crossed between Asia and America to dominate the north https://www.cnn.com/[...] 2023-01-17
[44] 서적 SAUROLOPHUS OSBORNI. The World of Dinosaurs: An Illustrated Tour https://doi.org/10.7[...]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9
[45] 간행물 Dinosaurs of Arctic Alaska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4-05-05
[46] 간행물 The Dinosaurs of Arctic Alaska http://www.jstor.org[...] Scientific American, a division of Nature America, Inc. 2023-02-21
[47] 간행물 How primates crossed continents https://www.nature.c[...] 2008-03-03
[48] 간행물 Asymmetric biotic interchange across the Bering land bridge between Eurasia and North America 2019-03-15
[49] 서적 身体が語る人間の歴史 人類学の冒険 筑摩書房
[50] 서적 Ice Age: A Very Short Introduction 2014
[51] 서적 Ice Age: A Very Short Introduction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