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야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야 문자는 마야 문명에서 사용된 표어음절 문자 체계로, 기원전 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사용되었다. 스페인 정복 이후 란다 주교에 의해 많은 기록이 소실되었으나, 19세기 이후 연구가 진행되어 해독되었다. 초기에는 란다의 기록을 바탕으로 표음 문자로 해석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2차 세계 대전 이후 문장 문자와 비문의 발견을 통해 역사 기록의 존재가 밝혀졌다. 유리 크노로조프의 표어 문자와 음절 문자의 조합이라는 가설이 받아들여지면서 해독이 가속화되었고, 현재는 90% 이상 해독되었다. 마야 문자는 표어 문자, 음절 문자, 숫자 체계, 문장 부호 등으로 구성되며, 주로 고전 마야어로 기록되었다. 최근에는 마야 문자를 부활시키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형문자 - 파이스토스 원반
파이스토스 원반은 기원전 2천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크레타 섬의 점토 원반으로, 양면에 45개의 서로 다른 기호들이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활판 인쇄의 초기 사례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기원, 용도, 기록 내용이 명확히 해독되지 않은 미스터리이다. - 상형문자 - 루위아어
루위아어는 기원전 2천년기에서 1천년기 사이에 아나톨리아 중·서부와 북부 시리아 지역에서 사용된 아나톨리아어파의 고대 언어로, 설형 문자와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인도유럽어족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마야 문명 - 마야 숫자
마야 숫자는 점과 선을 조합하여 0부터 19까지의 숫자를 나타내고 20진법을 사용하여 그 이상의 수를 표현하는 고대 마야 문명의 수 체계로, 마야 달력과 연관되어 있으며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 마야 문명 - 마야판 연맹
마야판 연맹은 10세기 후반 유카탄 반도에서 치첸이트사, 우슈말, 마야판을 통합하여 아 메캇 투툴 시우가 설립한 정치적 연합체이며, 톨텍족의 영향과 쿠쿨칸의 등장으로 형성되어 치첸이트사가 중심 도시였으나, 1175년 분열되기 시작하여 1441년 붕괴되고 1461년 해체되었다.
마야 문자 | |
---|---|
개요 | |
![]() | |
유형 | 표어-음절 문자 |
사용 시기 | 기원전 3세기 ~ 서기 16세기 |
사용 언어 | 마야어 |
ISO 15924 | Maya |
유니코드 | 할당 없음 (잠정 범위 U+15500–U+159FF) |
서 writing 방향 | 혼합 |
2. 역사
마야 문자의 역사는 스페인의 정복과 함께 큰 전환점을 맞이했다. 기독교 포교 과정에서 주교 디에고 데 란다는 수많은 마야 기록물을 소각했으나,[9] 역설적이게도 그가 남긴 일부 기록, 특히 '데 란다 알파벳'은 훗날 해독 연구의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58][59]
초기 해독 시도는 더디게 진행되었고, 20세기 중반까지 문자의 성격조차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결정적인 돌파구는 소련의 언어학자 유리 크노로조프가 마야 문자가 표어 문자와 음절 문자의 결합임을 밝혀내면서 마련되었다.[12][14] 그러나 냉전 시대의 정치적 갈등과 서구 학계의 반발로 그의 연구는 오랫동안 인정받지 못했다.[15][68]
이후 타티아나 프로스쿠리아코프가 비문이 실제 통치자들의 역사를 기록한 것임을 증명하면서[66] 마야 문자에 대한 이해는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크노로조프와 프로스쿠리아코프의 연구를 바탕으로 1970년대 이후 해독 연구는 급속도로 발전하여,[69][70][71] 오늘날에는 마야 문자 자료의 90% 이상이 해독 가능한 것으로 평가된다.[51][76]
한편, 마야 문자의 기원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올멕 등 다른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2005년 산 바르톨로 유적에서 발견된 초기 벽화는 마야 문명의 독자적인 문자 발명 가능성을 높였다. 현재 학계에서는 마야 문명이 메소아메리카에서 유일하게 완전한 문자 체계를 독자적으로 개발했다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2. 1. 란다 주교의 기록과 초기 연구
기독교 포교를 위해 유카탄에 온 스페인의 주교 디에고 데 란다는 마야 문명이 오랫동안 축적해 온 기록들을 "악마"의 흔적으로 여겨 대부분 불태워 버렸다.[9][10] 이는 마야 문화에 대한 심각한 파괴 행위였으나, 란다는 기독교 포교에 활용할 목적으로 일부 문서를 남기고 마야 문자를 연구하기도 했다. 그는 마야 귀족 후안 나치 코콤에게 마야 문자에 대해 묻고 이를 바탕으로 『유카탄 지방의 일』이라는 기록을 남겼는데,[58] 이 기록은 아이러니하게도 훗날 마야 문자 해독 연구의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되었다.란다는 마야 문자를 로마자와 같은 알파벳으로 잘못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위 '데 란다 알파벳'이라고 불리는 기록을 남겼다.--[10] 예를 들어, 란다가 스페인어 알파벳 'B'의 소리를 물었을 때, 정보 제공자는 'B'의 스페인어 이름인 '베(be)'에 해당하는 마야 음절 문자를 알려주는 식이었다. 이처럼 란다의 기록은 마야 문자의 실제 구조와는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초기 연구자들에게 혼란을 주기도 했다. 란다는 또한 유카텍 마야어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정서법을 만드는 데 관여했는데, 이는 마야 언어에 대한 최초의 라틴 문자 표기법 중 하나였다.
란다의 기록은 오랫동안 잊혔다가 19세기 후반 샤를 에티엔 브라세르 드 부르부르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그러나 브라세르 드 부르부르는 란다의 기록을 문자 그대로 알파벳으로 믿고 해독을 시도하여 실패했으며, 이로 인해 한동안 란다의 기록에 기반한 표음적 해독 시도는 잘못된 것으로 여겨졌다.[60]
마야 문자에 대한 초기 연구는 더디게 진행되었다. 1810년 알렉산더 폰 훔볼트가 드레스덴 문서의 일부를 출판한 것이 마야 문자가 세상에 알려진 계기가 되었고,[61] 콘스탄틴 사무엘 라피네스크는 마야 숫자가 점과 막대로 이루어져 있음을 처음으로 밝혔다.[62] 19세기 후반 에른스트 푈스테만은 란다의 『유카탄 지방의 일』에 담긴 달력 설명을 바탕으로 드레스덴 문서의 달력 부분을 해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63]
달력 관련 내용을 제외한 문자 해독은 매우 어려웠다. 19세기 사이러스 토마스나 20세기 초 벤자민 워프와 같이 마야 문자가 표음 문자일 가능성을 제기한 학자들도 있었지만,[64][65] 당시 학계의 주류 의견과는 달라 심한 비판을 받거나 무시당했다. 특히 워프는 마야 문자가 음절 문자이며 특정 어순을 가졌을 것이라는 선구적인 주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해독 시도 자체는 실패하여 인정받지 못했다.[65] 이처럼 20세기 중반까지 마야 문자는 일부 문자가 천문, 역법, 역사와 관련되었을 것이라는 추측만 가능했을 뿐, 구체적인 내용 해독에는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마야 문자 체계에 대한 지식은 16세기 말경에는 거의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2. 2. 유리 크노로소프의 공헌과 냉전 시대의 갈등

마야 문자를 해독하려는 노력은 오랫동안 큰 진전을 보지 못했다. 20세기 중반까지 문자의 일부가 천문, 역법, 역사와 관련되었을 것이라는 추측만 있었을 뿐, 구체적인 해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1] 디에고 데 란다 주교가 남긴 기록 속 '란다 알파벳'은 문자를 해독하는 중요한 단서였지만, 이를 로마자와 같은 알파벳으로 오해하면서 해독은 더 큰 혼란에 빠지기도 했다.[60]
해독의 돌파구를 마련한 인물은 소련의 언어학자 유리 크노로조프(1922–1999)였다.[12] 그는 1952년 발표한 논문 "중앙 아메리카의 고대 문자"에서 마야 문자가 단순히 의미를 나타내는 그림 문자나 알파벳이 아니라, 표어 문자와 음절 문자가 결합된 체계라는 획기적인 가설을 제시했다.[14] 특히 그는 '란다 알파벳'이 실제로는 알파벳이 아니라 CV(자음+모음) 형태의 음절 문자를 기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란다가 스페인어 알파벳 'B'의 소리를 물었을 때 정보 제공자는 'B'의 스페인어 이름인 '베(be)'에 해당하는 마야 음절 문자를 알려주었고, 'M(에메, eme)'의 경우에는 'e'와 'me'에 해당하는 두 개의 음절 문자를 적어주었다는 것이다.
크노로조프는 이 가설을 바탕으로 실제 마야 문서를 해독하기 시작했다. 그는 드레스덴 문서에 그려진 칠면조 그림 옆 문자들을 분석하여, 란다 알파벳의 'cu'에 해당하는 문자와 다른 문자가 함께 쓰인 것을 발견했다. 마야어로 칠면조가 'cutz'라는 점에 착안하여 두 번째 문자가 'tzu'이며, 단어 끝의 모음은 발음되지 않는다는 규칙(공조화 현상)을 발견했다. 또한, 개 그림 옆에 쓰인 문자들을 이전에 해독한 'tzu'와 'lu'로 읽어 마야어 단어 'tzul'(개)과 일치함을 확인하며 자신의 가설의 타당성을 입증했다.[67]
그러나 크노로조프의 이러한 획기적인 발견은 발표 당시 서방 학계로부터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시 세계는 냉전의 이념 대립이 극심했고, 소련 학자의 연구 성과라는 점, 그리고 소련 당국이 이를 "마르크스-레닌주의적 접근"이라고 선전한 것 등이 서방 학자들이 그의 연구를 받아들이기 어렵게 만들었다. 특히 당시 서구 마야 연구의 최고 권위자였던 J. 에릭 S. 톰슨은 크노로조프의 음절 문자 가설을 강력하게 부정하며 지속적으로 비판했다. 톰슨의 이러한 강력한 반대는 당시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쳐 마야 문자 해독 연구의 진전을 상당 기간 늦추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5] 톰슨 생전에 크노로조프의 이론을 지지한 서방 학자는 마이클 D. 코나 데이비드 H. 켈리 등 소수에 불과했다.[68]
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타티아나 프로스쿠리아코프가 마야 비문이 단순한 종교적 내용이 아니라 왕조의 역사를 기록한 것임을 밝혀내는 등[66], 마야 문자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기 시작했다. 점차 더 많은 학자들이 크노로조프의 음절 문자 접근법의 유효성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이후 결정적인 계기는 1970년대 팔렌케 유적 연구에서 플로이드 라운즈베리 등이 파칼 대왕의 이름이 'pa-ca-la'라는 음절 문자로 표기되었음을 증명하면서[69][70][71], 크노로조프의 이론이 비문 해독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이후 마야 문자 해독 연구는 빠르게 진척되어, 1980년대 이후에는 해독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74] 크노로조프의 선구적인 연구는 냉전이라는 시대적 장벽과 일부 학자들의 편견에도 불구하고 결국 마야 문자 해독의 결정적인 기틀을 마련했으며, 오늘날 마야 문자 텍스트의 90% 이상을 해독하는 기반을 마련했다.[51][76][75]
2. 3. 해독의 진전과 현대적 연구
마야 문자를 해독하는 과정은 매우 길고 어려웠다. 19세기와 20세기 초 연구자들은 마야 숫자[11]와 천문학, 마야 달력 관련 부분은 일부 해독했지만, 나머지 대부분은 오랫동안 풀리지 않았다. 기독교 포교를 위해 유카탄 반도에 온 스페인의 디에고 데 란다 주교는 마야의 기록물 대부분을 "악마의 것"이라며 불태웠으나, 연구 목적으로 일부 남긴 자료와 기록이 역설적이게도 후대 해독 연구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란다는 마야 문자를 로마자 같은 알파벳으로 오해하여 '란다 알파벳'이라는 기록을 남겼는데, 이는 초기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지만, 훗날 해독의 중요한 실마리가 되었다.[58][59]

해독의 돌파구를 마련한 인물은 러시아의 언어학자 유리 크노로조프(1922–1999)였다. 그는 1952년 발표한 논문에서 마야 문자가 알파벳이 아니라, 의미를 나타내는 표어 문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음절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다.[12][14] 크노로조프는 란다의 알파벳 기록이 실제로는 음절 문자를 기록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예를 들어, 란다가 스페인어 알파벳 'B'(베, be)의 소리를 묻자 정보 제공자는 'be' 음절에 해당하는 마야 문자를 알려주었다는 식이다.[67] 그는 이 가설을 바탕으로 드레스덴 문서 등 마야 문서를 해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당시 냉전 시대의 분위기와 서구 마야학계를 주도하던 J. 에릭 S. 톰슨의 강한 반대로 인해 크노로조프의 연구는 오랫동안 서방 학계에서 무시당했다. 톰슨은 마야 문자가 주로 상징적이고 신비적인 내용만을 담고 있다고 주장하며 음절 문자 가설을 완강히 거부했고, 그의 영향력은 해독 연구의 발전을 상당히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5] 톰슨의 권위 때문에 크노로조프의 이론이 받아들여지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던 것이다.
한편, 1930년대 벤자민 워프는 마야 문자에 음성적 요소가 있음을 주장했고[12], 1958년 하인리히 베를린은 특정 도시나 왕조를 나타내는 '문장 문자'를 발견했다.[66] 결정적인 진전은 1959년 러시아계 미국인 학자 타티아나 프로스쿠리아코프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녀는 과테말라의 피에드라스 네그라스 유적 비문에서 반복되는 날짜 패턴을 분석하여, 이것이 종교나 천문 현상이 아닌 특정 통치자의 출생, 즉위, 사망 등 일생의 사건들을 기록한 왕조 역사임을 밝혀냈다. 이 발견으로 마야 문명이 기록된 역사를 가지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1960년대 이후 크노로조프의 음절 문자 이론이 점차 재평가받기 시작했고, 프로스쿠리아코프의 발견과 맞물려 마야 문자 해독은 급물살을 탔다. 1973년 멕시코 팔렌케에서 열린 제1회 팔렌케 메사 레돈다 학술회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회의에서 린다 셸레, 피터 매튜스 (마야 연구가), 플로이드 라운즈버리 등 젊은 연구자들은 크노로조프의 이론과 프로스쿠리아코프의 연구를 바탕으로 팔렌케 왕들의 계보와 역사를 상당 부분 밝혀냈다. 특히 라운즈버리는 파칼 대왕의 이름이 'pa-ca-la'라는 음절 문자로 표기되었음을 증명하여 음절 문자 해독의 유효성을 입증했다.[69][70][71] 또한 피터 매튜스는 유물에 새겨진 명문("아무개의 귀걸이", "아무개의 뼈" 등)을 해독하여 마야 문자가 일상적인 소유 관계까지 기록했음을 보여주었다.[72][73]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마야 문자 해독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학자들은 대부분의 마야 문자가 음절 문자로 이루어져 있음을 입증했고, 마야 사회가 평화로운 천문학자들의 사회가 아니라 전쟁, 왕조 투쟁, 복잡한 종교 및 예술 체계를 가진 역동적인 사회였음을 밝혀냈다. 1986년 킴벨 미술관에서 열린 "왕의 피: 마야 미술의 새로운 해석" 전시회는 이러한 새로운 연구 성과를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물론 반론도 있었다. 1989년 일부 학자들은 해독된 내용이 지배 엘리트의 이야기일 뿐 일반 민중의 삶을 반영하지 못하는 "현상적(epiphenomenal)"인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마이클 코와 린다 셸레 등은 고대 이집트나 그리스의 기록 역시 대부분 지배층에 관한 것이지만 그 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이러한 주장을 반박했다.
현재 학계에서는 마야 문자 자료의 90% 이상이 상당히 정확하게 해독되었다는 데 동의한다. 아직 일부 희귀한 표어 문자나 음절 문자는 해독되지 않았고, 고대 마야어의 정확한 음성이나 문법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지만, 마야 문명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큰 진전을 이루었다.[51][76]
아래는 현재까지 확인된 마야 음절 문자 표이다. 표에서 'O'는 해당 음절 문자가 발견되었음을, 'X'는 해당 음절 문자가 없거나 미발견되었음을, '?'는 존재 여부가 불확실함을 나타낸다.
ʼ | b | ch | chʼ | h | j | k | kʼ | l | m | n | p | s | t | tʼ | tz | tzʼ | w | x | y | |
---|---|---|---|---|---|---|---|---|---|---|---|---|---|---|---|---|---|---|---|---|
a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X | O | O | O | O | O |
e | O | O | O | ?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X | O | ? | O | ? | O |
i | O | O | O | X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X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 | O | O | X | O | O | O | O |
u | O | O | O | X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O | ? | O | O |
마야 문자는 도자기, 벽, 나무껍질 종이 고문서, 나무 또는 돌에 새겨지거나 회반죽으로 성형된, 정교하고 복잡한 글리프(문자 그림)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새겨지거나 성형된 글리프는 채색되었지만, 현재는 페인트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 2008년 기준으로 마야 문자의 약 80%의 소리를 읽을 수 있고, 약 60%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되어, 문자의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파악이 가능해졌다.
3. 문자의 구조
마야 문자는 기본적으로 표어 문자와 음절 문자를 함께 사용하는 표어음절 문자 체계이다. 개별 글리프는 단어나 형태소를 나타내기도 하고, 음절을 나타내기도 한다.
마야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글리프 블록으로 이루어진 세로 단(column)으로 배열된다. 각 블록은 대개 명사구나 동사 구에 해당한다. 글을 읽을 때는 각 단 내에서 왼쪽 블록에서 오른쪽 블록으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읽어 나간다. 한 단의 읽기가 끝나면 다음 단으로 넘어가 같은 방식으로 읽는다. 즉, A1, B1, A2, B2, ... 순서로 읽고, 아래로 내려가 C1, D1, C2, D2, ... 와 같이 진행한다. 블록 내에서 글리프는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열되었는데, 이는 한국어 한글 음절 블록과 유사한 방식이다.
각각의 문자 블록(마스, glyph block)은 보통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쓰이며, 그 안에는 여러 개의 문자 요소(문자소)[32]가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블록은 대개 크고 중심이 되는 주자(main sign) 하나와, 그 주위에 붙는 작고 길쭉한 접자(affix) 여러 개로 구성된다. 접자는 위치에 따라 주자 위에 붙는 상접자, 아래에 붙는 하접자, 왼쪽에 붙는 전접자, 오른쪽에 붙는 후접자로 나뉜다. 때로는 접자가 주자 안쪽에 쓰이기도 한다. 또한, 여러 문자 요소가 하나로 합쳐져 마치 합자처럼 하나의 글리프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표준적인 두 줄 배열 외에도, 비문의 형태나 새겨지는 표면의 모양에 따라 마야 문자는 단일 행이나 단일 열, 또는 'L'자나 'T'자 형태로 쓰이기도 했다.
3. 1. 표어 문자와 음절 문자
마야 문자는 표어 문자와 음절 문자를 함께 사용하는 표어음절 문자 체계이다. 개별 글리프 또는 기호는 단어나 형태소를 나타내는 표어 문자이거나, 음절을 나타내는 음절 문자일 수 있다.
동일한 글리프가 표어 문자와 음절 문자로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이를 다음성(polyphony)이라 한다),[44][45] 이 둘을 구분하기 위해 로마자로 옮길 때 관습적으로 표어 문자는 대문자로, 음절 문자는 이탤릭체나 굵은 글씨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달력 글리프는 형태소 MANIKʼ 또는 음절 ''chi''로 읽을 수 있다. 또한 촐킨의 날짜 KAWAK를 나타내는 표어 문자(T-528)는 TUN(‘돌’, 툰)으로도 읽히며, 음절 문자로는 ''ku''로 읽힌다.[44][45]
표어 문자에는 B'ALAM(재규어)이 재규어의 머리 모양을 하거나, PAKAL(방패)이 방패 그림인 것처럼 그림 문자적인 것도 있지만, 그 형태만으로는 무엇을 나타내는지 불분명한 추상적 또는 기하학적인 문자도 많다.[33] 일반적인 문자 외에도, 사람의 머리 모양을 한 머리꼴 문자나 사람의 몸 전체 모양을 한 전신체라고 하는 이체자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34]
음절 문자는 주로 CV(자음+모음) 형태의 음절을 나타낸다. 이들은 원래 단음절 단어의 표어 문자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모음이나 ''y, w, h,'' 또는 성문 파열음과 같은 약한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였다. 예를 들어, '물고기 지느러미'에 대한 표어 문자는 ''kah''로 읽혔고, 이것이 음절 ''ka''를 나타내는 글리프가 되었다.
음절 문자는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하나의 단어를 표기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규어'를 뜻하는 ''bʼalam''은 단일 표어 문자 BʼALAM으로 쓸 수도 있고, 음성 보완자를 사용하여 ''bʼa''-BʼALAM, BʼALAM-''ma'', 또는 ''bʼa''-BʼALAM-''ma''로 쓸 수도 있다. 또는 완전히 음절 문자만 사용하여 ''bʼa-la-ma''로 표기할 수도 있다.
CVC(자음+모음+자음) 형태의 음절을 나타낼 때에는 보통 CV-CV와 같이 두 개의 음절 문자로 표기하며, 두 번째 모음은 읽지 않는다. 이때 첫 번째와 두 번째 글자의 모음이 같아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를 공조화(synharmony)라고 부른다. 양자의 모음이 다른 비조화적(disharmonic) 표기도 있는데, 이것은 해당 모음이 장모음(CVVC)이거나, 후두음화된 모음(CV'C)임을 나타낸다고 생각된다.[37] 비조화의 경우의 해석은 현재도 학자에 따라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38] 또한, CVCVC 형태 단어의 마지막 자음(C)을 생략하고 CV-CV만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39]
반대로, 어떤 하나의 소리나 단어에 대해 여러 개의 다른 글리프가 사용되는 경우도 많은데, 이를 동음성(homophony)이라고 부른다.[46] 예를 들어, 매우 흔한 3인칭 대명사 ''u-''를 쓰는 데 사용되는 글리프는 6개의 다른 글리프가 있다.
그 외에 몇 가지 보조적인 기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글자 왼쪽에 두 개의 점을 찍으면, 반복 부호처럼 해당 문자를 반복하는 것을 나타낸다.[43]
마야 문자 목록에는 존 에릭 시드니 톰슨이 1962년에 정리한 카탈로그가 있으며,[35] 이 카탈로그에서 부여된 톰슨 번호(T-번호)는 현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후의 연구를 반영한, 보다 새로운 카탈로그에는 마사 J. 매클리 등이 쓴 것(2003년과 2009년에 출판)이 있다.[36]
3. 2. 음절 조합 규칙
마야 문자의 음절 문자는 기본적으로 자음-모음(CV) 형태의 음절을 나타낸다.[37] 자음으로 끝나는 CVC 형태의 음절을 나타낼 때는 CV-CV와 같이 두 개의 음절 문자를 이어 쓰고, 두 번째 모음은 읽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37]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규칙들이 적용된다.
CVC 음절을 CV-CV 형태로 표기할 때, 두 음절 문자의 모음을 어떻게 조합하는지에 따라 공조화(synharmony)와 비조화(disharmony) 방식으로 나뉜다.
마야어 단어는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최종 자음을 표기하는 방식에도 몇 가지 특징이 있다.
표어 문자(의미를 나타내는 문자)의 정확한 발음을 돕거나 명확히 하기 위해 음절 문자가 보조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를 음절 보조 기호(phonetic complement)라고 부른다.[40][41]
CVCVC 형태의 단어를 표기할 때, 마지막 자음(C)을 생략하고 CV-CV 형태로만 적는 경우(과소 표기)도 발견된다.[39] 예를 들어, [baakel]은 `ba-ke`로 축약되어 표기될 수 있으며, 완전하게는 `ba-ke-le`로 표기된다.
4. 표기 언어
증거에 따르면, 고문서 등 고전 시대 마야 텍스트는 주로 필경사(대개 마야 사제)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이때 사용된 언어는 현재 사멸한 촐티어의 문어체 형태인 고전 마야어이다.[3] 마야 엘리트 계층은 마야어 사용 지역 전반에 걸쳐 이 고전 마야어를 일종의 공용어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페텐 분지나 유카탄 반도에서는 유카텍어와 같은 다른 마야어로 기록된 텍스트도 발견된다. 드물게는 과테말라 고원의 마야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다른 언어가 기록된 경우에도 촐티어를 사용하는 필경사가 작성했을 수 있어, 해당 텍스트에 촐티어의 특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마야 문자로 기록된 언어를 통칭하여 '''고전 마야어'''라고 부른다. 현재 마야어족에는 약 30개의 언어가 속해 있다. 존 에릭 시드니 톰슨은 1950년에 마야 문자가 팔렌케나 코판 지역에서 사용되는 초르어군 언어를 표기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후 마야 문자가 해독되면서, 2000년 스티븐 휴스턴 등은 고전 마야어가 초르티어와 같은 동부 초르어군 언어에 가깝다는 증거를 제시했다.[47][48] 그러나 지역에 따라 유카텍어나 서부 초르어군에 가까운 특징을 보이는 비문도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1300년 이상 사용된 언어라는 점에서 고전 마야어가 균일한 언어라고는 생각하기 어렵다.[49]
마야 문자의 음절 구조는 기본적으로 '자음 + 모음(CV)' 형태이다. 마야 음절 문자는 20개의 자음과 5개의 모음을 구별한다.[50] 과거 해독에서는 19개 자음이었지만, 후에 h와 j가 구별되었다.[51] 자음 pʼ는 란다의 알파벳에만 보인다.[52] tʼ에 대해서는 현재 tʼu와 tʼo의 음절 문자밖에 발견되지 않았다.[53] 마야 문자가 마야어의 음성을 완벽하게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VhC 형태의 음절에서 h는 (적어도 규칙적으로는) 표기되지 않으며, 번역할 때에는 예를 들어 kʼa[h]kʼ(불)처럼 h를 보충해야 한다.[53]
아래 표는 주요 음절 문자와 그 변형들을 보여준다. 첫 행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 왼쪽 열은 자음을 나타낸다. 아포스트로피(')는 성문 파열음을 의미한다. 표의 각 칸에는 동일한 소리를 나타내는 여러 문자 형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빈칸은 해당 음절을 나타내는 문자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거나 알려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18]
rowspan="2"| | 주요 상형 문자 | rowspan="2"| | 접사 가능한 상형 문자 | ||||||||
---|---|---|---|---|---|---|---|---|---|---|---|
-a | -e | -i | -o | -u | -a | -e | -i | -o | -u | ||
- /ʔ/ | ![]() ![]() | ![]() ![]() | ![]() ![]() | ![]() | ![]() ![]() | - /ʔ/ | ![]() ![]() | ![]() ![]() ![]() ![]() ![]() ![]() | |||
b- /ɓ/ | ![]() ![]() ![]() | ![]() ![]() ![]() | ![]() | ![]() | b- /ɓ/ | ![]() | |||||
ch- /t͡ʃ/ | ![]() ![]() | ![]() ![]() | ![]() | ch- /t͡ʃ/ | ![]() ![]() | ![]() | ![]() | ||||
ch’- /t͡ʃʼ/ | ![]() | ![]() | ch’- /t͡ʃʼ/ | ![]() | |||||||
h- /h/ | ![]() | ![]() | ![]() | ![]() | ![]() | h- /h/ | ![]() | ||||
j- /x/ | ![]() ![]() | ![]() | ![]() | ![]() | j- /x/ | ![]() | ![]() | ![]() ![]() | ![]() | ![]() | |
k- /k/ | ![]() | ![]() ![]() | ![]() | ![]() ![]() | k- /k/ | ![]() ![]() | ![]() | ![]() | |||
k’- /k’/ | ![]() ![]() | ![]() | ![]() | ![]() | ![]() | k’- /k’/ | ![]() | ||||
l- /l/ | ![]() | ![]() | ![]() | ![]() | l- /l/ | ![]() | ![]() | ![]() ![]() | |||
m- /m/ | ![]() ![]() | ![]() | ![]() | ![]() | ![]() | m- /m/ | ![]() ![]() | ![]() | |||
n- /n/ | ![]() ![]() | ![]() | ![]() | ![]() | ![]() | n- /n/ | ![]() | ![]() ![]() | ![]() | ![]() | ![]() ![]() |
p- /p/ | ![]() ![]() | ![]() | ![]() | p- /p/ | ![]() | ||||||
s- /s/ | ![]() ![]() | ![]() | s- /s/ | ![]() ![]() ![]() | ![]() | ![]() | |||||
t- /t/ | ![]() ![]() | ![]() | ![]() | ![]() | t- /t/ | ![]() ![]() ![]() | ![]() | ![]() ![]() | ![]() | ||
t’- /t’/ | ![]() | t’- /t’/ | |||||||||
tz- /t͡s/ | ![]() | ![]() | ![]() | ![]() | tz- /t͡s/ | ![]() | |||||
tz’- /t͡sʼ/ | ![]() | tz’- /t͡sʼ/ | ![]() | ![]() ![]() | |||||||
w- /w/ | ![]() | ![]() | w- /w/ | ![]() | ![]() | ![]() | |||||
x- /ʃ/ | ![]() | ![]() | ![]() | x- /ʃ/ | ![]() | ||||||
y- /j/ | ![]() ![]() | ![]() | y- /j/ | ![]() ![]() | ![]() | ![]() | ![]() | ||||
-a | -e | -i | -o | -u | -a | -e | -i | -o | -u |
5. 숫자 체계
마야인들은 정수만을 사용하는 위치 기반 20진법 숫자 체계를 사용했다. 간단한 계산에는 막대와 점 표기법이 활용되었다. 점(•)은 1을, 막대(—)는 5를 나타내며, 조개껍데기 모양의 기호는 0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다. 6부터 19까지의 숫자는 점과 막대를 조합하여 만들었으며, 가로나 세로로 쓸 수 있었다.
19보다 큰 숫자는 세로로 표기하며, 아래에서 위로 20의 거듭제곱 순서로 읽는다. 가장 아래 칸의 숫자는 0부터 19까지의 수를 그대로 나타낸다. 그 바로 위 칸(아래에서 두 번째 칸)의 숫자는 20배를 의미하며, 세 번째 칸의 숫자는 400배(202), 네 번째 칸은 8000배(203), 다섯 번째 칸은 160,000배(204)를 나타내는 식으로, 각 칸은 20의 거듭제곱만큼 커진다. 이는 아라비아 숫자에서 왼쪽으로 자릿수가 올라갈수록 10의 거듭제곱만큼 커지는 방식과 유사하다. 이러한 위치 기수법 덕분에 마야인들은 달력 계산이나 천문학 연구에 필요한 큰 수를 다룰 수 있었다.[8]
6.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일종의 왕족 칭호이다. 이는 장소 이름과 고전 마야어에서 "영주"를 의미하는 단어 ''아자우''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문헌상으로 잘 확인된다. 때로는 이 칭호 앞에 형용사 ''쿠훌''("신성한" 또는 "성스러운")이 붙어 "성스러운 [장소 이름] 영주"라는 형태를 이루기도 한다. 그러나 "문장 부호"라는 명칭은 실제로는 부호가 아니다. 이는 마야 학자들이 고전 마야 비문을 완전히 해독하기 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정 구조적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했던 용어일 뿐이다. 실제로는 여러 음절 부호나 표의 문자로 표기될 수 있으며, 칭호의 핵심을 이루는 ''쿠훌''과 ''아자우''라는 단어에 대해서도 다양한 표기 방식이 확인되었다.
이 칭호는 1958년 하인리히 베를린에 의해 처음 확인되었으며, 그가 "문장 부호"라는 용어를 만들었다.[4] 베를린은 "문장 부호"가 더 큰 "주요 기호"(장소를 나타냄)와 ''쿠훌 아자우''("신성한 영주")로 읽히는 두 개의 작은 기호로 구성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작은 기호들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주요 기호는 각 유적마다 다르다는 점을 알아냈다. 이를 바탕으로 베를린은 주요 기호가 개별 도시, 그 도시를 지배하는 왕조, 또는 그들이 통제하는 영토를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고 제안했다.
그 후, 마커스(1976)는 "문장 부호"가 고고학 유적들을 언급하며, 유적의 중요성과 지위를 5단계의 비대칭적 분포 계층 구조로 분류한다고 주장했다. 마커스의 연구에 따르면, 문장 부호는 유적의 상대적 중요성에 따라 분포하며, 대략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주요 지역 중심지(수도)''': 티칼, 칼라크물과 같은 "초강대국"들로, 해당 지역에서 고유한 문장 부호를 가장 먼저 획득했다. 다른 주요 지역 중심지를 언급하는 기록이 이들 "수도"의 비문에서 발견되며, 종속 관계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 '''중심지''': 알툰 하, 루바안툰, 수난투니치 등 중간 규모 도시들로, 자체 문장 부호를 가졌지만 주요 지역 중심지의 기록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반면, 이들 도시의 기록에는 지역 중심지들이 반복적으로 언급된다.
- '''3차 중심지''': 자체 문장 부호는 없지만, 주요 지역 중심지나 때로는 2차 지역 중심지를 언급하는 기록을 남긴 도시들이다.
- '''마을'''과 '''작은 마을''': 문장 부호가 없고, 더 큰 중심지를 언급하는 기록도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경우이다.[5]
이러한 마커스의 모델은 매튜스(1991)와 휴스턴(1986) 등이 "문장 부호"가 지리적 연관성이 있는 마야 통치자의 칭호라고 다시 주장하기 전까지 10년 이상 거의 이의가 제기되지 않았다.
"문장 부호"의 본질에 대한 논쟁은 스튜어트와 휴스턴(1994)의 연구에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저자들은 상형 문자에 언급된 많은 고유 지명, 즉 실제 지명과 신화적 지명이 있음을 증명했다. 이러한 지명 중 일부는 "문장 부호"에도 나타났고, 일부는 "출생 칭호"(예: "루바안툰 출신")에서 증명되었지만, 일부는 개인 칭호에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저자들은 휴스턴의 이전 연구(1993)를 기반으로 "출생 칭호"와 "문장 부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강조했다. 휴스턴은 펙스바툰 지역에서 티칼에서 유래한 왕조의 설립과 확산이 현재의 통치권을 넘어 정치적, 왕조적 우위를 부여하는 티칼 "문장 부호"를 사용하는 통치자의 확산과 함께 이루어졌다는 것을 발견했다.[6] 최근 연구는 문장 부호를 에믹 식별자로 사용하여 사회 정치적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7]
7. 현대의 재조명
최근 들어 마야 문자의 사용을 부활시키려는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마야 문자로 기록된 현대적인 저작물들이 등장하고 있다. 2012년에는 과테말라 이심체에 현대적인 석비가 세워졌는데, 이 석비에는 마야 장기력의 시작부터 해당 지역의 역사를 마야 문자로 기록하고 있다.[19] 2014년에는 마르틴 고메스 라미레즈의 시 "Cigarra"가 마야 문자를 사용하여 전적으로 첼탈어로 쓰여졌다.[20] 또한 2018년에는 키체의 종교 기록인 포폴 부흐가 마야 문자로 번역되기도 했다.
참조
[1]
논문
Early Maya Writing at San Bartolo, Guatemala.
http://www.sanbartol[...]
2006
[2]
뉴스
Symbols on the Wall Push Maya Writing Back by Years
https://www.nytimes.[...]
2006-01-10
[3]
논문
The Language of Classic Maya Inscriptions
[4]
논문
El Glifo Emblema en las inscripciones Maya
1958
[5]
논문
Territorial Organization of the Lowland Classic Maya
1973-06-01
[6]
학회자료
People from a place: re-interpreting Classic Maya "Emblem Glyphs"
2006-12
[7]
학회자료
Maya Political Relations and Strategies
Polska Akademia Umiejętności and Uniwersytet Jagielloński
2009
[8]
문서
Information panel in the Museo Regional de Antropología in Mérida (state of Yucatán)
2010-08-04
[9]
서적
The Library An Illustrated History
Skyhorse Publishing
[10]
서적
Lost Languages: The Enigma of the World's Undeciphered- Scripts
Nevraumont Publishing Company
[11]
간행물
"Philology. Second letter to Mr. Champollion on the graphic systems of America, and the glyphs of Otolum or Palenque, in Central America – Elements of the glyphs," Atlantic Journal and Friend of Knowledge
https://www.biodiver[...]
1832
[12]
백과사전
Yury Valentinovich Knorozov {{!}} Russian linguist
https://www.britanni[...]
2004
[13]
문서
American Antiquity, Vol. 12, No. 2
1946
[14]
웹사이트
Yuri Knorozov
http://mesoamerica.n[...]
[15]
웹사이트
Ершова Г. Г. Юрий Валентинович Кнорозов // Портреты историков. Время и судьбы. М., Наука, 2004. С. 474–491
https://h.120-bal.ru[...]
2023-02-12
[16]
웹사이트
Josserand, Hopkins interview transcript
https://docs.google.[...]
2015-06-05
[17]
웹사이트
Updated List of Characters for Mayan Codices
https://www.unicode.[...]
Unicode.org
2021-04-24
[18]
웹사이트
Writing in Maya Glyphs: Names, Places, & Simple Sentences : A Non-Technical Introduction to Maya Glyphs
http://www.famsi.org[...]
FAMSI
[19]
논문
La estela de Iximche' en el contexto de la revitalización lingüística y la recuperación jeroglífica en las comunidades mayas de guatemala
2015
[20]
웹사이트
Ojarasca-Xikitin/Cigarra Un poema tseltal en glifos mayas
https://www.jornada.[...]
[21]
PDF
https://dn-works.com[...]
2024-08
[22]
문서
Current Trends in Mayan Literacy
2012
[23]
웹사이트
Roadmap to the SMP
https://www.unicode.[...]
2023-02-12
[24]
웹사이트
Encoding the Mayan Script: your Adopt-a-Character sponsorships at work
http://blog.unicode.[...]
2024-10-12
[25]
웹사이트
Scripts Not Encoded
https://scriptencodi[...]
2023
[26]
웹사이트
SEI Liaison Report
https://www.unicode.[...]
[27]
학회자료
Modelling vagueness – A criteria-based system for the qualitative assessment of reading proposals for the deciphering of Classic Mayan hieroglyphs
https://pdfs.semanti[...]
2018
[28]
문서
Bricker (2004) p.1041
[29]
문서
青山(2015) p.69
[30]
문서
Coe (1992) p.262 および八杉(1996) p.78では800文字
[31]
문서
Bricker (2004) p.1046
[32]
문서
「文字素」の語は八杉(1996) p.78によった
[33]
문서
Johnson (2013) p.25
[34]
문서
コウ&ストーン(2007) p.48
[35]
서적
Catalog of Maya Hieroglyph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간행물
The Language of Classic Maya Inscriptions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1992
[72]
서적
1996
[73]
서적
1992
[74]
서적
1992
[75]
서적
1992
[76]
서적
1996
[77]
간행물
L2/19-171R Final List of Characters and Quadrats for Mayan Codices
https://www.unicode.[...]
Unicode, Inc
2019-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