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멕은 "고무 사람들"을 뜻하는 나와틀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기원전 1400년에서 400년 사이에 멕시코만 연안 지역에 존재했던 고대 문명이다. 이들은 거석 조각, 보석 가공 기술, 재규어 숭배 등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메소아메리카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올멕 문명은 산 로렌소, 라벤타와 같은 주요 유적지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거대한 머리 조각상과 옥 가면과 같은 예술 작품으로 유명하다. 믹세-소케어족 언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메소아메리카의 문자, 달력, 구기 경기 등 다양한 문화를 선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멕 - 올멕 별기원론
    올멕 별기원론은 올멕 문명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가설들을 다루며, 주류 학설은 자체 발생설이지만, 일부에서는 아프리카, 중국 등 다른 지역과의 연관성을 주장한다.
올멕
개요
올멕 문명이 기원전 1200년에서 400년 사이에 융성했던 올멕 핵심 지역
올멕 핵심 지역, 기원전 1200년에서 400년 사이 올멕 통치 영역
다른 이름해당 없음
시대고전기 이전 시대
존속 기간기원전 1200년경 – 기원전 400년
유형 유적산 로렌소 테노치티틀란
주요 유적지라벤타
트레스 사포테스
라구나 데 로스 세로스
선행 문화고대 메소아메리카
후행 문화에피-올멕 문화
올멕 예술 작품
산 로렌소 테노치티틀란의 올멕 석상 3호; 기원전 1200-900년; 현무암; 높이: 1.8m, 길이: 1.28m, 폭: 0.83m; 할라파 인류학 박물관 (할라파, 멕시코)
산 로렌소-테노치티틀란의 올멕 석상 3호; 기원전 1200–900년; 현무암; 높이: 1.8 m, 길이: 1.28 m, 폭: 0.83 m; 할라파 인류학 박물관 (할라파, 멕시코)
라스 리마스 기념물 1호; 기원전 1000-600년; 녹색 사암; 높이: 55cm; 할라파 인류학 박물관
엘 세뇨르 데 라스 리마스; 기원전 1000–600년; 녹색 사암; 높이: 55 cm; 할라파 인류학 박물관
레슬러; 기원전 1200-400년; 현무암; 높이: 66cm, 아로요 손소 지역(베라크루스, 멕시코) 출토; 국립 인류학 박물관. 올멕 예술가들은 6톤 무게의 머리 조각상부터 작은 조각상에 이르기까지 권위 있는 인물로 추정되는 인물을 기념비적이면서도 섬세하게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슬러; 기원전 1200–400년; 현무암; 높이: 66 cm, 아로요 손소 지역 (베라크루스, 멕시코) 출토; 국립 인류학 박물관. 올멕 예술가들은 기념비적이면서도 섬세하게 권위 있는 인물로 추정되는 인물을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6톤 무게의 머리 조각상부터 작은 조각상에 이른다.

2. 명칭

"올멕"이라는 이름은 나와틀어로 "고무 사람들"을 의미하며, 이는 아즈텍이 15세기와 16세기에 멕시코만 저지대에 살았던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였다.[4] "고무 사람들"이라는 용어는 고대 올멕에서 아즈텍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의 고무 나무인 ''Castilla elastica''에서 라텍스를 추출하는 고대 관행을 가리킨다.[4] 지역 덩굴 식물인 ''Ipomoea alba''의 즙을 라텍스와 혼합하여 기원전 1600년경에 고무를 만들었다.[4] 올멕을 지칭하는 나와틀어는 올메카틀/Ōlmēcatlnhe-Latn (단수) 또는 올메카/Ōlmēcahnhe-Latn (복수)였다. 이 단어는 "천연 고무"를 의미하는 ''ōlli'' 와 "사람들"을 의미하는 ''mēcatl'' 의 두 단어로 구성되었다.[5][6]

그러나 초기 근대 탐험가와 고고학자들은 이 이름 "올멕"을 재발견된 유적과 유물에 잘못 적용했다.[7]

고대 올멕이 자신들을 지칭하기 위해 어떤 이름을 사용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일부 후기 메소아메리카 기록에는 고대 올멕을 "타모안찬"이라고 언급하는 것으로 보인다.[8]

3. 역사

"올멕"은 나와틀어로 "고무의 사람들"을 의미하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멕시코 만 연안의 주민들을 지칭하는 단어였다.[120] 거석과 보석을 가공하는 기술을 보유했으며, 재규어 숭배 등 종교성을 띠었다. 그들의 미술 양식과 종교 체계는 마야 문명 등 고전기 메소아메리카 문명과 공통점을 지닌다.

올멕의 영향은 중앙 아메리카 중부에서 남부까지 퍼져 있었지만, 지배하에 있던 것은 중심지인 멕시코 만 연안 지역에 한정되었다[120]。그 영역은 베라크루스 주 남부에서 타바스코 주 북부에 걸친 저지대로, 비가 많이 내리는 열대 기후로 인해 잦은 홍수가 발생했다. 그러나 하천에 의해 비옥한 토지가 형성되었고, 신전을 중심으로 한 도시가 건설되었다[118]

올멕 문화는 출토되는 다양한 석상에 나타난다. 인간과 재규어를 융합한 신상은 그들이 재규어를 숭배하는 풍습이 있었음을 보여준다[118]

제사(祭祀) 장소에서는 의식으로서의 구기가 행해졌고, 그 과정에서 인간이 제물로 바쳐졌다[120]。또한, 그림 문자(象形文字)와 숫자를 사용하고, 영(0)의 개념을 가지는 등, 수학과 역법이 발달했다[118]

=== 기원 ===

올멕 이전 문화는 기원전 2500년경부터 번성했으며, 올멕은 이 시기에 발달한 인근의 모카야 또는 믹세-소케 문화에서 부분적으로 파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1] 올멕 문명의 시작은 전통적으로 기원전 1400년에서 기원전 1200년 사이로 여겨졌다. 산로렌소 테노치티틀란으로 알려진 세 개의 고고학 유적지 근처의 신전 엘 마나티에서 의례적으로 매장된 올멕 유물이 발견되면서 이 시기는 최소한 기원전 1600~1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되었다.[12] 올멕은 기원전 5100년에서 기원전 4600년 사이에 시작된 타바스코의 초기 농경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이후 올멕 문명의 기본적인 식량 작물과 기술을 공유했다.[13]

오늘날 올멕이라고 불리는 것은 기원전 1400년경에 특징적인 올멕 양식이 나타난 산로렌소 테노치티틀란에서 처음으로 완전히 나타났다. 문명의 부상은 물이 풍부한 충적토 토양의 지역 생태와 코아차코알코스 강 유역이 제공하는 운송 네트워크의 도움을 받았다. 이러한 환경은 나일 강, 인더스 강, 황하, 메소포타미아와 같은 다른 고대 문명의 중심지와 비교할 수 있다. 이처럼 생산성이 높은 환경은 인구 밀도를 높였고, 이는 다시 엘리트 계층의 부상을 촉진했다.[14] 엘리트 계층은 올멕 문화를 정의하는 상징적이고 정교한 고급 유물 생산에 대한 수요를 창출했다.[15] 이러한 고급 유물 중 다수는 옥, 흑요석, 자철광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이는 먼 지역에서 왔고 초기 올멕 엘리트가 중앙 아메리카에서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가장 가치 있는 옥의 원천은 과테말라 동부의 모타구아 강 계곡이었고,[16] 올멕 흑요석은 엘 차얄 및 산 마르틴 힐로테페케와 같은 과테말라 고지대나 푸에블라 주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적되었으며,[17] 각각 200~400km의 거리에 위치해 있다.[18]

게레로 주, 특히 초기 메스칼라 문화는 올멕 문화의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올멕 양식의 유물은 베라크루스-타바스코 지역보다 게레로의 일부 지역에서 더 일찍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특히, 게레로의 아무코-아벨리노 유적에서 발견된 관련 유물은 기원전 153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19] 게레로의 테오판테쿠아니틀란 도시 또한 이와 관련이 있다.

=== 발전과 쇠퇴 ===

학자들은 올멕 문화 멸망의 정확한 원인을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 기원전 400년에서 350년 사이에 올멕 심장부 동쪽 절반의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으며, 19세기까지 그 지역에는 사람이 드물게 살았다.[26] 이러한 인구 감소는 올멕이 농업, 수렵, 채집 및 운송에 의존했던 강 환경의 변화와 같은 "매우 심각한 환경 변화"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27] 이러한 변화는 지각 변동, 침강, 또는 농업 관행으로 인한 강의 토사 퇴적 등이 원인일 수 있다.[27]

Santley 등(Santley et al. 1997)은 화산 활동으로 인한 정착지 재배치가 인구 감소의 원인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초기, 후기 및 종말 형성기 동안의 화산 폭발은 토지를 뒤덮었고 올멕인들이 정착지를 이동하도록 강요했을 것이다.[28]

어떤 이유에서든, 마지막 올멕 도시가 버려진 후 수백 년 안에 후계 문화가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올멕 심장부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트레스 사포테스 유적지는 기원전 400년 이후에도 오랫동안 점유되었지만, 올멕 문화의 특징은 사라졌다. 이 올멕 이후의 문화는 종종 에피-올멕으로 불리며, 남동쪽으로 약 550km 떨어진 이사파에서 발견되는 특징과 유사하다.[29]

3. 1. 기원

올멕 이전 문화는 기원전 2500년경부터 번성했으며, 올멕은 이 시기에 발달한 인근의 모카야 또는 믹세-소케 문화에서 부분적으로 파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1] 올멕 문명의 시작은 전통적으로 기원전 1400년에서 기원전 1200년 사이로 여겨졌다. 산로렌소 테노치티틀란으로 알려진 세 개의 고고학 유적지 근처의 신전 엘 마나티에서 의례적으로 매장된 올멕 유물이 발견되면서 이 시기는 최소한 기원전 1600~1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되었다.[12] 올멕은 기원전 5100년에서 기원전 4600년 사이에 시작된 타바스코의 초기 농경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이후 올멕 문명의 기본적인 식량 작물과 기술을 공유했다.[13]

오늘날 올멕이라고 불리는 것은 기원전 1400년경에 특징적인 올멕 양식이 나타난 산로렌소 테노치티틀란에서 처음으로 완전히 나타났다. 문명의 부상은 물이 풍부한 충적토 토양의 지역 생태와 코아차코알코스 강 유역이 제공하는 운송 네트워크의 도움을 받았다. 이러한 환경은 나일 강, 인더스 강, 황하, 메소포타미아와 같은 다른 고대 문명의 중심지와 비교할 수 있다. 이처럼 생산성이 높은 환경은 인구 밀도를 높였고, 이는 다시 엘리트 계층의 부상을 촉진했다.[14] 엘리트 계층은 올멕 문화를 정의하는 상징적이고 정교한 고급 유물 생산에 대한 수요를 창출했다.[15] 이러한 고급 유물 중 다수는 옥, 흑요석, 자철광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이는 먼 지역에서 왔고 초기 올멕 엘리트가 중앙 아메리카에서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가장 가치 있는 옥의 원천은 과테말라 동부의 모타구아 강 계곡이었고,[16] 올멕 흑요석은 엘 차얄 및 산 마르틴 힐로테페케와 같은 과테말라 고지대나 푸에블라 주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적되었으며,[17] 각각 200~400km (120~250마일)의 거리에 위치해 있다.[18]

게레로 주, 특히 초기 메스칼라 문화는 올멕 문화의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올멕 양식의 유물은 베라크루스-타바스코 지역보다 게레로의 일부 지역에서 더 일찍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특히, 게레로의 아무코-아벨리노 유적에서 발견된 관련 유물은 기원전 153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19] 게레로의 테오판테쿠아니틀란 도시 또한 이와 관련이 있다.

"올멕"은 나와틀어로 "고무의 사람들"을 의미하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멕시코 만 연안의 주민들을 지칭하는 단어였다. 거석과 보석을 가공하는 기술을 보유했으며, 재규어 숭배 등 종교성을 띠었다. 그들의 미술 양식과 종교 체계는 마야 문명 등 고전기 메소아메리카 문명과 공통점을 지닌다.

올멕의 영향은 중앙 아메리카 중부에서 남부까지 퍼져 있었지만, 지배하에 있던 것은 중심지인 멕시코 만 연안 지역에 한정되었다[120]。그 영역은 베라크루스 주 남부에서 타바스코 주 북부에 걸친 저지대로, 비가 많이 내리는 열대 기후로 인해 잦은 홍수가 발생했다. 그러나 하천에 의해 비옥한 토지가 형성되었고, 신전을 중심으로 한 도시가 건설되었다[118]

올멕 문화는 출토되는 다양한 석상에 나타난다. 인간과 재규어를 융합한 신상은 그들이 재규어를 숭배하는 풍습이 있었음을 보여준다[118]

제사(祭祀) 장소에서는 의식으로서의 구기가 행해졌고, 그 과정에서 인간이 제물로 바쳐졌다[120]。또한, 그림 문자(象形文字)와 숫자를 사용하고, 영(0)의 개념을 가지는 등, 수학과 역법이 발달했다[118]

3. 2. 발전과 쇠퇴

학자들은 올멕 문화 멸망의 정확한 원인을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 기원전 400년에서 350년 사이에 올멕 심장부 동쪽 절반의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으며, 19세기까지 그 지역에는 사람이 드물게 살았다.[26] 이러한 인구 감소는 올멕이 농업, 수렵, 채집 및 운송에 의존했던 강 환경의 변화와 같은 "매우 심각한 환경 변화"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27] 이러한 변화는 지각 변동, 침강, 또는 농업 관행으로 인한 강의 토사 퇴적 등이 원인일 수 있다.[27]

Santley 등(Santley et al. 1997)은 화산 활동으로 인한 정착지 재배치가 인구 감소의 원인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초기, 후기 및 종말 형성기 동안의 화산 폭발은 토지를 뒤덮었고 올멕인들이 정착지를 이동하도록 강요했을 것이다.[28]

어떤 이유에서든, 마지막 올멕 도시가 버려진 후 수백 년 안에 후계 문화가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올멕 심장부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트레스 사포테스 유적지는 기원전 400년 이후에도 오랫동안 점유되었지만, 올멕 문화의 특징은 사라졌다. 이 올멕 이후의 문화는 종종 에피-올멕으로 불리며, 남동쪽으로 약 550km 떨어진 이사파에서 발견되는 특징과 유사하다.[29] 올멕은 나와틀어로 "고무의 사람들"을 의미하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멕시코 만 연안의 주민들을 지칭하는 단어였다.[120] 그들은 거석과 보석을 가공하는 기술을 보유했으며, 재규어 숭배 등 종교성을 띠었다. 그들의 미술 양식과 종교 체계는 마야 문명 등 고전기 메소아메리카 문명과 공통점을 지닌다.

올멕의 영향은 중앙 아메리카 중부에서 남부까지 퍼져 있었지만, 지배하에 있던 것은 중심지인 멕시코 만 연안 지역에 한정되었다.[120] 그 영역은 베라크루스 주 남부에서 타바스코 주 북부에 걸친 저지대로, 비가 많이 내리는 열대 기후로 인해 잦은 홍수가 발생했다. 그러나 하천에 의해 비옥한 토지가 형성되었고, 신전을 중심으로 한 도시가 건설되었다.[118]

올멕 문화는 출토되는 다양한 석상에 나타난다. 인간과 재규어를 융합한 신상은 그들이 재규어를 숭배하는 풍습이 있었음을 보여준다.[118] 제사 장소에서는 의식으로서의 구기가 행해졌고, 그 과정에서 인간이 제물로 바쳐졌다.[120] 또한, 그림 문자(상형문자)와 숫자를 사용하고, 영(0)의 개념을 가지는 등, 수학과 역법이 발달했다.[118]

4. 주요 유적지



최초의 올멕 중심지인 산 로렌소는 라벤타가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시점인 기원전 900년경에 거의 버려졌다.[20] 산 로렌소의 많은 기념물들이 기원전 950년대경 광범위하게 파괴되었는데, 이는 내부 봉기 또는 침략을 나타낼 수 있다.[21]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올멕 중심지의 이러한 변화에 대한 책임이 환경 변화, 즉 특정 중요 강들의 경로 변화에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22]

산 로렌소가 쇠퇴한 후, 라벤타는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400년경에 버려질 때까지 가장 두드러진 올멕 중심지가 되었다.[23] 라벤타는 웅장한 권력과 부의 과시를 통해 올멕 문화 전통을 유지했다. 대 피라미드는 당시 가장 큰 메소아메리카 구조물이었다. 2500년이 넘는 침식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에도 자연적으로 평평한 지형 위로 34m 솟아 있다.[24] 라벤타 깊숙한 곳에는 호화롭고 노동 집약적인 "공물"이 묻혀 있었다. 매끄러운 사문석 블록 1000톤, 대형 모자이크 포장, 그리고 최소 48개의 별도 부장품으로, 광택이 나는 옥 켈트, 도자기, 조각상, 적철석 거울이 있었다.[25]

5. 예술

올멕 문화는 처음에는 미술 양식으로 정의되었으며, 이는 이 문화의 특징으로 남아 있다.[30] 옥, 점토, 현무암, 녹암 등 다양한 매체로 제작된 올멕 미술 작품 중에는 "레슬러"와 같이 자연주의적인 경향을 보이는 작품이 많다. 다른 작품들은 종교적 의미를 반영하는 도상을 사용하여, 종종 매우 양식화된 환상적인 인간화된 생물을 표현한다.[31] 흔한 모티프로는 아래로 향한 입과 갈라진 머리가 있으며, 둘 다 재규어 인간의 묘사에서 볼 수 있다.[30] 올멕 장인들은 인간 및 인간과 유사한 대상을 만드는 것 외에도 동물을 묘사하는 데 능숙했다.

앉아있는 인물상; 기원전 12~9세기; 채색된 도자기; 높이: 34cm, 너비: 31.8cm, 깊이: 14.6cm; 메트로폴리탄 미술관(뉴욕시)


새 모양의 용기; 기원전 12~9세기; 황토색 토기; 높이: 16.5cm;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올멕 조각상은 형성기의 여러 유적지에서 풍부하게 발견되지만, 거대한 머리와 같은 석조 기념물이 올멕 문화의 가장 인지 가능한 특징이다.[32] 이 기념물은 네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33]

  • 거대한 머리 (높이가 3m에 달할 수 있음);
  • 아래에 표시된 제단 5와 같은 직사각형 "제단" (더 정확하게는 왕좌)[34];
  • 엘 아수줄의 쌍둥이 또는 산 마르틴 파하판 기념비 1과 같은 독립형 원형 조각;
  • 스테일, 위에 있는 라 벤타 기념비 19와 같은. 스테일 형태는 일반적으로 거대한 머리, 제단 또는 독립형 조각보다 나중에 도입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테일은 기념비 19 또는 라 벤타 스테일 1과 같은 단순한 인물 묘사에서 통치자의 권위를 정당화하는 행위, 특히 역사적 사건의 묘사로 변화했다. 이러한 경향은 통치자의 이미지와 문자 및 달력 날짜를 결합한 라 모하라 스테일 1과 같은 후기 올멕 기념물에서 절정에 달했다.[35]

특징적인 미술로는 거석인두상과 베이비 페이스라고 불리는 석상이 있다. 큰 석조 조각뿐만 아니라 비취와 같은 보석을 사용한 작은 것도 있었다.[119]

올멕 문자}}를 말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그림.


== 거석 두상 ==

올멕 문명의 가장 잘 알려진 특징은 거대한 헬멧을 쓴 머리 조각상이다.[36] 선 콜럼버스 시대의 기록이 없어, 이 기념물들은 많은 추측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한때 공놀이 선수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이 머리 조각상들이 통치자의 초상화이며, 아마도 공놀이 선수처럼 차려입었을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37] 머리 조각들은 개성이 깃들어 있으며, 헬멧과 같은 머리 장식은 독특한 요소로 장식되어 개인 또는 집단의 상징을 암시한다. 메소아메리카 사람들이 영혼이 머리 안에 들어 있다고 믿었다는 추측도 있다.[51][38]

현재까지 17개의 거대한 머리 조각상이 발굴되었다.[39] 산 로렌소에서 10개, 라벤타에서 4개, 트레스 사포테스에서 2개, 란초 라 코바타에서 1개가 발견되었다. 머리 조각상의 크기는 높이 3.4m인 란초 라 코바타 머리 조각상부터 높이 1.47m인 트레스 사포테스의 쌍까지 다양하다. 가장 큰 머리의 무게는 25톤에서 55톤 사이로 추정된다.[40]

머리 조각상은 시에라 데 로스 투스트라스에서 발견된 화산 현무암의 단일 블록 또는 바위에서 조각되었다. 트레스 사포테스 머리 조각상은 투스트라스 서쪽 끝의 세로 엘 비히아 정상에서, 산 로렌소와 라벤타 머리 조각상은 세로 신테펙의 현무암에서 조각되었을 것이다.[41] 야노 델 히카로 작업장에서 조각된 후, 수십 마일 떨어진 최종 목적지까지 끌거나 띄워 옮겼을 것으로 추정되며, 1,500명의 노력이 3~4개월 동안 필요했을 것이다.[42][18]

일부 머리 조각상과 기념물들은 훼손되고, 매장되고, 발굴되고, 새로운 위치에 재설치되거나 재매장되었다. 일부는 재활용되거나 재조각되었지만, 이것이 돌의 부족 때문인지, 의식적 의미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일부 학자들은 훼손에 단순한 파괴 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믿지만, 내부 갈등이나 침략을 요인으로 배제하지 않는다.[43]

납작한 얼굴과 두꺼운 입술을 가진 머리 조각상은 아프리카 인종의 특징과 유사하여 논란이 되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학자들은 선 콜럼버스 시대에 아프리카와의 접촉 주장을 거부한다.[44][45] 얕은 공간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조각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안검주름을 포함한 특징들은 오늘날의 메소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 여전히 발견될 수 있다. 미겔 코바루비아스는 올멕 미술 작품과 매우 유사한 얼굴 특징을 가진 현대 멕시코 원주민의 얼굴 사진을 연재했다.[46] 아프리카 기원 가설은 올멕 조각이 거주민의 표현을 의도했다는 가정을 하지만, 올멕 조각의 전체 표현을 고려할 때 정당화하기 어렵다.[47]

아이반 반 세르티마는 트레스 사포테스 머리 조각상의 땋은 머리가 에티오피아 헤어스타일이라고 주장했지만,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이집트학자 프랭크 J. 유르코는 올멕 땋은 머리가 동시대 이집트 또는 누비아 땋은 머리와 닮지 않았다고 말했다.[48] 리처드 디엘은 머리 조각상이 아메리카 원주민의 신체적 유형을 묘사하고 있다고 썼다.[49] 특징적인 미술로는 거석인두상이 있으며, 큰 것은 3미터나 되는 거대한 석상이다. 좌우로 퍼진 낮은 코나 두꺼운 입술과 같은 얼굴 생김새는 흑인종적이라고도 몽골로이드적이라고도 한다.[119]

== 옥 가면 ==

올멕에서는 훨씬 작은 크기의 경옥으로 만들어진 가면 형태의 경질석 조각 유물이 많이 발견된다.[50] 옥은 귀중한 재료로, 지배 계급이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하였다.[50] 초기 올멕 조각가들은 기원전 1500년경부터 인간 형상을 완벽하게 만들기 시작했다.[51] 엘 마나티 습지 늪에서 발견된 나무 조각품이 이를 증명한다.[51]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이 개발되기 전, 고고학자와 미술사학자들은 여러 유물에서 "올멕 양식"을 발견했다.[51]

"올멕 양식" 가면은 고고학적으로 통제된 올멕 유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다른 문화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멕시코시티의 의례적인 알테페틀 (구역)에 의도적으로 묻힌 가면은 아즈텍 시대에 이미 2000년 정도 된 것으로, 유럽의 로마 골동품처럼 수집되고 가치 있게 여겨졌음을 보여준다.[52] '올멕 양식'은 깊은 눈, 콧구멍, 강하고 약간 비대칭적인 입의 조합이 특징이다.[51] 또한 인간과 재규어의 얼굴 특징을 결합한 것이 특징인데,[53] 이는 올멕 종교에서 재규어가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53] 올멕인들은 재규어와 인간의 결합으로 재규어 인간 종족이 만들어졌다고 믿었으며,[53] 올멕 예술에 나타나는 재규어 인간의 특징 중 하나는 이마의 날카로운 틈새로, 이는 재규어 머리의 움푹 들어간 부분과 관련이 있다.[53]

== 쿤츠 도끼 ==

쿤츠 도끼(Kunz Axe)는 재규어 인간을 나타내는 조각상으로, 의식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54] 대부분 머리가 조각 전체 부피의 절반을 차지하며, 콧날이 납작하고 입을 벌리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54] "쿤츠"라는 이름은 1890년에 이 조각상을 묘사한 미국 광물학자 조지 프레드릭 쿤츠에서 유래되었다.[54]

올멕의 특징적인 미술로는 거석인두상과 베이비 페이스라고 불리는 석상이 있다. 큰 석조 조각뿐만 아니라 비취와 같은 보석을 사용한 작은 것도 있었다.[119] 거석인두상은 큰 것은 3미터나 되는 거대한 석상으로, 머리 부분만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얼굴 생김새는 흑인종적이라고도 몽골로이드적이라고도 한다.[119]

5. 1. 거석 두상

올멕 문명의 가장 잘 알려진 특징은 거대한 헬멧을 쓴 머리 조각상이다.[36] 선 콜럼버스 시대의 기록이 없어, 이 기념물들은 많은 추측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한때 공놀이 선수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이 머리 조각상들이 통치자의 초상화이며, 아마도 공놀이 선수처럼 차려입었을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37] 머리 조각들은 개성이 깃들어 있으며, 헬멧과 같은 머리 장식은 독특한 요소로 장식되어 개인 또는 집단의 상징을 암시한다. 메소아메리카 사람들이 영혼이 머리 안에 들어 있다고 믿었다는 추측도 있다.[51][38]

현재까지 17개의 거대한 머리 조각상이 발굴되었다.[39] 산 로렌소에서 10개, 라벤타에서 4개, 트레스 사포테스에서 2개, 란초 라 코바타에서 1개가 발견되었다. 머리 조각상의 크기는 높이 3.4m인 란초 라 코바타 머리 조각상부터 높이 1.47m인 트레스 사포테스의 쌍까지 다양하다. 가장 큰 머리의 무게는 25톤에서 55톤 사이로 추정된다.[40]

머리 조각상은 시에라 데 로스 투스트라스에서 발견된 화산 현무암의 단일 블록 또는 바위에서 조각되었다. 트레스 사포테스 머리 조각상은 투스트라스 서쪽 끝의 세로 엘 비히아 정상에서, 산 로렌소와 라벤타 머리 조각상은 세로 신테펙의 현무암에서 조각되었을 것이다.[41] 야노 델 히카로 작업장에서 조각된 후, 수십 마일 떨어진 최종 목적지까지 끌거나 띄워 옮겼을 것으로 추정되며, 1,500명의 노력이 3~4개월 동안 필요했을 것이다.[42][18]

일부 머리 조각상과 기념물들은 훼손되고, 매장되고, 발굴되고, 새로운 위치에 재설치되거나 재매장되었다. 일부는 재활용되거나 재조각되었지만, 이것이 돌의 부족 때문인지, 의식적 의미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일부 학자들은 훼손에 단순한 파괴 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믿지만, 내부 갈등이나 침략을 요인으로 배제하지 않는다.[43]

납작한 얼굴과 두꺼운 입술을 가진 머리 조각상은 아프리카 인종의 특징과 유사하여 논란이 되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학자들은 선 콜럼버스 시대에 아프리카와의 접촉 주장을 거부한다.[44][45] 얕은 공간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조각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안검주름을 포함한 특징들은 오늘날의 메소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 여전히 발견될 수 있다. 미겔 코바루비아스는 올멕 미술 작품과 매우 유사한 얼굴 특징을 가진 현대 멕시코 원주민의 얼굴 사진을 연재했다.[46] 아프리카 기원 가설은 올멕 조각이 거주민의 표현을 의도했다는 가정을 하지만, 올멕 조각의 전체 표현을 고려할 때 정당화하기 어렵다.[47]

아이반 반 세르티마는 트레스 사포테스 머리 조각상의 땋은 머리가 에티오피아 헤어스타일이라고 주장했지만,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이집트학자 프랭크 J. 유르코는 올멕 땋은 머리가 동시대 이집트 또는 누비아 땋은 머리와 닮지 않았다고 말했다.[48] 리처드 디엘은 머리 조각상이 아메리카 원주민의 신체적 유형을 묘사하고 있다고 썼다.[49] 특징적인 미술로는 거석인두상이 있으며, 큰 것은 3미터나 되는 거대한 석상이다. 좌우로 퍼진 낮은 코나 두꺼운 입술과 같은 얼굴 생김새는 흑인종적이라고도 몽골로이드적이라고도 한다.[119]

5. 2. 옥 가면

올멕에서는 훨씬 작은 크기의 경옥으로 만들어진 가면 형태의 경질석 조각 유물이 많이 발견된다.[50] 옥은 귀중한 재료로, 지배 계급이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하였다.[50] 초기 올멕 조각가들은 기원전 1500년경부터 인간 형상을 완벽하게 만들기 시작했다.[51] 엘 마나티 습지 늪에서 발견된 나무 조각품이 이를 증명한다.[51]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이 개발되기 전, 고고학자와 미술사학자들은 여러 유물에서 "올멕 양식"을 발견했다.[51]

"올멕 양식" 가면은 고고학적으로 통제된 올멕 유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다른 문화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멕시코시티의 의례적인 알테페틀 (구역)에 의도적으로 묻힌 가면은 아즈텍 시대에 이미 2000년 정도 된 것으로, 유럽의 로마 골동품처럼 수집되고 가치 있게 여겨졌음을 보여준다.[52] '올멕 양식'은 깊은 눈, 콧구멍, 강하고 약간 비대칭적인 입의 조합이 특징이다.[51] 또한 인간과 재규어의 얼굴 특징을 결합한 것이 특징인데,[53] 이는 올멕 종교에서 재규어가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53] 올멕인들은 재규어와 인간의 결합으로 재규어 인간 종족이 만들어졌다고 믿었으며,[53] 올멕 예술에 나타나는 재규어 인간의 특징 중 하나는 이마의 날카로운 틈새로, 이는 재규어 머리의 움푹 들어간 부분과 관련이 있다.[53]

5. 3. 쿤츠 도끼

쿤츠 도끼(Kunz Axe)는 재규어 인간을 나타내는 조각상으로, 의식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54] 대부분 머리가 조각 전체 부피의 절반을 차지하며, 콧날이 납작하고 입을 벌리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54] "쿤츠"라는 이름은 1890년에 이 조각상을 묘사한 미국 광물학자 조지 프레드릭 쿤츠에서 유래되었다.[54]

올멕의 특징적인 미술로는 거석인두상과 베이비 페이스라고 불리는 석상이 있다. 큰 석조 조각뿐만 아니라 비취와 같은 보석을 사용한 작은 것도 있었다.[119] 거석인두상은 큰 것은 3미터나 되는 거대한 석상으로, 머리 부분만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얼굴 생김새는 흑인종적이라고도 몽골로이드적이라고도 한다.[119]

6. 종교

올멕의 종교 활동은 통치자, 전임 사제 및 무당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었다. 통치자는 올멕의 신 또는 초자연적인 존재와의 연관성을 통해 통치의 정당성을 제공하면서 가장 중요한 종교적 인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86] 특히 소위 "변형 조각상"에서 올멕 고고학 기록에서 무당에 대한 상당한 증거가 있다.[87]

올멕 족장 또는 왕. 타바스코의 라벤타 고고학 유적지의 부조


''포폴 부흐''와 유사한 올멕 종교적 서사와 인물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거나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올멕 종교적 서사와 인물에 대한 모든 해석은 생존해 있는 기념비적이고 휴대 가능한 예술품(예: 할라파 박물관의 ''세뇨르 데 라스 리마스'' 조각상)에 대한 해석과 인근 메소아메리카 문화 전반에서 발견된 다른 유사한 요소와의 비교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 올멕 예술은 깃털 달린 뱀과 초자연적인 비와 같은 신들이 이미 올멕 시대에 메소아메리카 판테온에 존재했음을 보여준다.[88]

==== 인신 공양 ====

고고학적 기록에는 올멕의 피 흘리기에 대한 명확한 묘사가 없다.[62] 그러나 연구자들은 올멕이 의례적으로 피 흘리기를 행했다는 다른 증거를 발견했다. 예를 들어, 수많은 자연산 및 세라믹 가오리 가시와 마게이 가시가 올멕 유적지에서 발견되었으며,[63] 특정 유물이 혈액 추출 도구로 확인되었다.[64]

올멕이 인신 제도를 시행했다는 주장은 훨씬 더 추측에 가깝다. 아직 올멕 또는 올멕의 영향을 받은 제물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올멕 또는 올멕의 영향을 받은 예술 작품에서 희생자(예: 몬테 알반의 ''댄잔테'' 인물)나 인신 제사 장면(예:
엘 타힌
의 유명한 구기장 벽화에서 볼 수 있음)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65]

엘 마나티에서는 다른 제물들 사이에서 분리된 두개골과 대퇴골, 그리고 신생아 또는 태아의 완전한 골격이 발견되어 영아 제사에 대한 추측을 불러일으켰다. 학자들은 영아가 어떻게 죽음을 맞이했는지 밝혀내지 못했다.[66] 일부 저자는 영아 제사를 라벤타의 제단 5 (
라벤타의 제단 5. 중앙 인물이 들고 있는 무력한 재규어 아기는 일부에서 어린이 제사의 징후로 여겨진다. 반대로, 그 옆면에는 생기 넘치는 재규어 아기를 안고 있는 인간의 부조가 새겨져 있다.
) 또는 라스 리마스 조각상에서 가장 유명하게 나타나는 축 늘어진 재규어 아기를 묘사한 올멕 의례 미술과 연관 짓는다.[67] 어떤 확실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발견이 필요하다.

6. 1. 인신 공양

고고학적 기록에는 올멕의 피 흘리기에 대한 명확한 묘사가 없다.[62] 그러나 연구자들은 올멕이 의례적으로 피 흘리기를 행했다는 다른 증거를 발견했다. 예를 들어, 수많은 자연산 및 세라믹 가오리 가시와 마게이 가시가 올멕 유적지에서 발견되었으며,[63] 특정 유물이 혈액 추출 도구로 확인되었다.[64]

올멕이 인신 제도를 시행했다는 주장은 훨씬 더 추측에 가깝다. 아직 올멕 또는 올멕의 영향을 받은 제물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올멕 또는 올멕의 영향을 받은 예술 작품에서 희생자(예: 몬테 알반의 ''댄잔테'' 인물)나 인신 제사 장면(예: 의 유명한 구기장 벽화에서 볼 수 있음)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65]

엘 마나티에서는 다른 제물들 사이에서 분리된 두개골과 대퇴골, 그리고 신생아 또는 태아의 완전한 골격이 발견되어 영아 제사에 대한 추측을 불러일으켰다. 학자들은 영아가 어떻게 죽음을 맞이했는지 밝혀내지 못했다.[66] 일부 저자는 영아 제사를 라벤타의 제단 5 () 또는 라스 리마스 조각상에서 가장 유명하게 나타나는 축 늘어진 재규어 아기를 묘사한 올멕 의례 미술과 연관 짓는다.[67] 어떤 확실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발견이 필요하다.

7. 사회와 정치

올멕 사회의 사회적 또는 정치적 구조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거대한 머리 조각상과 다른 조각들이 통치자들을 나타낸다고 추정하지만, 특정한 통치자의 이름과 통치 연대를 제공하는 마야석비와 같은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89]

대신, 고고학자들은 대규모 및 소규모 현장 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에 의존했다. 이는 산 로렌소와 라 벤타에서 처음으로 올멕 지역 내 상당한 중앙 집권화의 증거를 제공했다. 다른 올멕 유적지는 면적, 건축물 및 조각품의 양과 질 측면에서 이에 근접하지 못한다.[90]

이러한 지리적 및 인구 통계학적 중앙 집권화의 증거는 고고학자들이 올멕 사회 자체가 계층적이며, 처음에는 산 로렌소에, 그 다음에는 라 벤타에 집중되어 물과 기념비적 석재와 같은 자원에 대한 통제를 사용하여 지배력을 행사하고 정권을 정당화할 수 있는 엘리트가 있었다고 제안하게 한다.[91]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멕 사회는 상비군이나 사제 계급과 같은 후기 문명의 많은 제도가 부족했던 것으로 생각된다.[92] 그리고 산 로렌소나 라 벤타가 전성기에도 올멕 핵심 지역 전체를 통제했다는 증거는 없다.[93] 예를 들어, 라 벤타가 불과 35 km 떨어진 아로요 손소까지 통제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94] 약 60 km 떨어진 시에라 데 로스 툭스틀라스 정착지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이 지역은 저지대 중심지의 통제를 벗어난 다소 평등주의적인 공동체로 구성되어 있었다.[95]

8. 문자 체계와 달력

올멕은 메소아메리카 문명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메소아메리카 최초의 문명으로서 여러 "최초"의 기록을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피 흘리기, 인신 제사, 문자, 금석문, 팝콘, 영(0)의 발명, 메소아메리카 달력, 메소아메리카 공놀이, 나침반 등이 포함된다.[60] 일부 연구자들은 올멕이 이후 메소아메리카 들의 선구자를 만들었다고 추정한다.[61]

올멕 문명은 서반구에서 가장 먼저 문자 체계를 개발했을 가능성이 있다. 2002년과 2006년에 발견된 상징들은 각각 기원전 650년[68]과 기원전 900년[69]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기원전 500년경으로 추정되는 사포텍 문자보다 앞선다.[70][71] 산 안드레스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은 새, 말풍선, 그리고 마야 문자와 유사한 상형 문자를 보여준다.[72] 카스카할 블록은 기원전 1100년에서 900년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28개의 고유한 형태를 포함한 62개의 상징이 뱀 모양의 블록에 새겨져 있다. 많은 고고학자들은 이를 "가장 초기의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문자"라고 칭송했다.[73]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이 돌의 특이성과 고고학적 맥락, 그리고 다른 중앙아메리카 문자 체계와의 유사성 부족으로 인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다.[74] 이스트미안 문자는 초기 올멕 문자와 마야 문자 사이의 과도기적인 문자를 나타낼 수 있다고 여겨지지만, 이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176x176px


롱 카운트 달력과 0의 개념은 올멕인에 의해 고안되었을 수 있다. 롱 카운트 달력 날짜가 가장 빠른 6개의 유물이 모두 마야의 본토 밖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 달력은 마야보다 앞섰으며 올멕의 발명품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이 6개의 유물 중 3개는 올멕의 중심지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올멕 문명이 기원전 4세기에 멸망했고, 이는 가장 오래된 롱 카운트 날짜 유물보다 수 세기 앞섰다는 사실은 올멕 기원설에 반하는 주장이 된다.[76] 롱 카운트 달력은 20진법 위치적 숫자 체계 내에서 자리 표시자로 0의 사용을 필요로 했다. 조개 기호 –
–는 롱 카운트 날짜에 대한 0 기호로 사용되었으며, 트레스 사포테스의 석비 C에는 기원전 32년의 날짜가 기록되어 있다. 이는 역사상 0의 개념을 가장 초기에 사용한 사례 중 하나이다.[77]

9. 구기(球技)

올멕은 메소아메리카 지역의 후기 문화에서 널리 퍼졌고 오락 및 종교적 목적으로 사용된 메소아메리카 구기의 기원으로서 유력한 후보이다.[78] 기원전 1600년 또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12개의 고무 공이 산 로렌소 테노치티틀란에서 동쪽으로 10km 떨어진 늪인 엘 마나티에서 발견되었다.[79] 이 공들은 기원전 1400년경에 발견된 가장 오래된 구기 경기장인 파소 데 라 아마다보다 앞서지만, 구기 경기에 사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80]

10. 언어

라벤타 공원, 빌라에르모사, 타바스코에 있는 올멕 무덤


올멕의 실제 민족-언어적 관련성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1968년 마이클 D. 코는 올멕이 마야의 선구자였을 것이라고 추측했다.[81]

1976년, 언어학자 라일 캠벨과 테렌스 코프만은 핵심적인 차용어들이 여러 다른 메소아메리카 언어로 믹세-소케어족 언어에서 퍼졌다는 논문을 발표했다.[82] 캠벨과 코프만은 이러한 핵심 차용어들의 존재가 메소아메리카에서 최초로 "고도로 문명화된" 사회로 여겨지는 올멕이 믹세-소케어족의 조상 언어를 사용했음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문화에 특유한 이 어휘의 확산은 다른 메소아메리카 사회의 고고학적 기록에 나타나는 다른 올멕 문화 및 예술적 특징의 확산과 함께 이루어졌다.

믹세-소케어족 전문가 쇠렌 위크만은 처음에는 믹세-소케어족 차용어의 대부분이 이 언어족의 소케어 분파에서만 유래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을 들어 이 이론을 비판했다. 이는 차용어 전파가 언어족의 두 분파가 갈라진 ''이후''에 발생했음을 암시하며, 차용 시점을 올멕 시대 밖으로 밀어냈다.[83] 그러나 새로운 증거로 인해 믹세어와 소케어 언어의 분기 예상 시점이 올멕 시대 내로 늦춰졌다.[84] 이러한 시기를 바탕으로, 건축 및 고고학적 패턴과 믹세-소케어족에서 다른 메소아메리카 언어로 차용된 어휘의 특징을 근거로, 위크만은 현재 산 로렌소의 올멕은 원시 믹세어를, 라벤타의 올멕은 원시 소케어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84]

최소한 믹세-소케어족 언어가 올멕의 심장부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그곳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는 사실은 대부분의 학자들이 올멕이 하나 이상의 믹세-소케어족 언어를 사용했다고 추정하게 한다.[85]

11. 다른 문명과의 관계

올멕 양식의 유물, 디자인, 조각, 기념물, 도상학은 올멕 중심지에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유적의 고고학 기록에서 발견되었다.[55] 멕시코 계곡의 틀라틸코와 틀라파코야에서는 속이 빈 아기 얼굴 모티프 조각상과 도자기의 올멕 디자인이 출토되었다. 모렐로스 계곡에 있는 찰카칭고는 올멕 양식의 기념비적인 예술과 암각화가 특징이다. 2007년에는 모렐로스에서 올멕의 영향을 받은 도시인 사사카틀라가 발굴되었다.[56] 게레로 주의 테오판테쿠아니틀란은 올멕 양식의 기념비적 예술 작품과 도시 계획을 보여준다. 후스트라와카와 옥스토티틀란 동굴 벽화에도 올멕 디자인과 모티프가 나타난다.[57] 남부 마야 지역과 과테말라의 산 바르톨로, 타칼릭 아바흐, 라 데모크라시아에서도 올멕의 영향이 나타난다.

올멕의 영향이 고고학 기록에서 나타나는 현재 멕시코의 주요 형성기(선 고전기) 유적지


올멕의 영향이 중심지 밖으로 퍼진 현상에 대해서는 올멕 상인들의 장거리 무역, 올멕의 식민지화, 올멕 장인들의 이동, 다른 도시들의 의도적인 모방, 군사적 지배, 혹은 올멕 도상학이 중심지 밖에서 개발되었다는 주장 등 여러 이론이 제시되었다.[58]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해석은 올멕 양식 유물이 엘리트 지위와 연관되어 비올멕 형성기 족장들이 자신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채택했다는 것이다.[59]

메소아메리카 전역에 걸쳐 올멕 유물과 "올멕형" 도상학이 광범위하게 확산된 것은 장거리 무역 네트워크의 존재를 나타낸다. 녹석 및 해양 조개류와 같은 재료가 장거리를 이동했다. 올멕인들은 흑요석을 많이 사용했는데, 대부분 과테말라에서 유래한 것으로 나타나 광범위한 무역을 보여준다.[96] 올멕 시대에는 지역 간 무역로가 크게 확장되었고, 교환되는 물품의 종류와 원천의 다양성이 더욱 커졌다.

12. 올멕 문명 기원 관련 가설

올멕 문명이 최초의 중앙아메리카 문명을 발전시켰고, 마야나 아즈텍과 같은 후기 중앙아메리카 문명에 비해 알려진 바가 적다는 사실 때문에 올멕 기원에 대한 여러 가지 다른 가설들이 제기되었다.[115] 이러한 가설 중 일부는 대중 문화에서 널리 알려졌지만, 대부분의 중앙아메리카 연구자와 과학자들은 이를 대중 문화적 유사 과학으로 일축하며 신뢰할 수 없다고 간주한다.[115] 특히 이반 반 서티마의 저서 『콜럼버스보다 먼저 온 사람들』에 의해 대중화된 올멕인이 아프리카 기원이라는 이론이 널리 알려졌다.

2018년 현재, 산 로렌소와 로마 델 사포테에서 발견된 올멕 유적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 결과, 두 경우 모두 "A" 모계 계통의 독특한 돌연변이가 명확하게 나타났다.[116] 즉, 올멕의 모계 조상은 아프리카가 아닌 아메리카에 있으며, 이들은 대륙 원주민 집단의 특징인 5가지 미토콘드리아 하플로그룹 중 가장 풍부한 A, B, C, D, X를 공유한다.[116]

13. 현대의 연구

올멕 문화는 19세기 중반까지 역사가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1869년, 멕시코 고대 유물 연구가이자 여행가인 호세 멜가르 이 세라노는 트레스 사포테스 A 기념비로 명명된 거대한 머리 조각에 대한 설명을 발표했는데, 이는 ''현장''에서 발견된 최초의 올멕 기념물이었다.[104] 19세기 후반에는 쿤츠 도끼(오른쪽)와 같은 올멕 유물이 발견되었고, 이후 독특한 예술적 전통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프란스 블롬과 올리버 라 파르게는 1925년 탐험 중에 라 벤타와 산 마르틴 파파판 기념비 1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설명을 했지만, 당시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올멕이 마야와 동시대라고 추정했다.[105] 스미소니언 협회의 매튜 스털링은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올멕 유적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과학적 발굴을 수행했고, 미술사학자 미겔 코바루비아스와 함께 올멕이 다른 대부분의 알려진 메소아메리카 문명보다 앞선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106]

그러나 마야 학자 J. 에릭 S. 톰슨과 실바누스 모리는 올멕 유물에 대한 고전기 시대를 주장했다. 올멕 연대기에 대한 문제는 1942년 투스트라 구티에레즈 회의에서 절정에 달했는데, 알폰소 카소는 올멕을 메소아메리카의 "모체 문화" (''cultura madre'')라고 선언했다.[107] 회의 직후,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올멕 문명의 고대성이 입증되었지만, "모체 문화" 문제는 60년 후에도 상당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08]

올멕이 주변 사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주장이 존재한다. 올멕 도상학 및 예술 작품은 재규어와 뱀과 같은 동물의 이미지, 그리고 그들의 지도자를 묘사하는 큰 머리를 사용한다. 이와 동일한 예술 작품과 이미지는 이후 문명의 예술과 창작물에서도 볼 수 있다. 많은 올멕 유물이 그들의 원래 영토 밖에서 발견되었다.

하지만, "모체 문화" 가설은 메소아메리카 문화의 다양성이 너무 커서 올멕이 이룩한 문화적 진보가 다른 문명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졌을 수 있기 때문에 불확실하다. 어떤 경우에는 올멕 고고학에서 보이는 모티프가 훨씬 더 오래된 문명에서 채택되었을 수 있다. 이러한 문명의 예로는 틀라틸코 문화의 중심지인 조아필코 유적, 사포텍족, 산 호세 모고테가 있다. 더 오래된 농업, 문자, 도자기 제작의 발견은 올멕을 둘러싼 문화가 더 발전했을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올멕이 가설로 제시된 "모체 문화"가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아필코 유적에서 메소아메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도자기 중 일부가 발견되었으며, 약 5,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09] 그곳에서 발견된 도자기 조각상은 임산부를 나타내며, 이는 이후 올멕 문명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110] 산 호세 모고테는 올멕이 채택했을 수 있는 문화적 진보의 요소를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유적지로, 기원전 1500-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산 호세 모고테는 초기 사포텍족[111]에 속하는 유적지로, 올멕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 유적은 농경지에서 물을 끌어와 관개하는 초기 징후를 보여준다.[112]

이러한 새로운 발견은 올멕이 메소아메리카의 "모체 문화"였을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대체로 반박한다. 사포텍족과 다른 문명의 더 오래된 증거는 한때 올멕의 기술 및 사회적 진보로 여겨졌던 것이 실제로 올멕이 가장 강력한 지점에 도달하기도 전에 이 지역 전체에 훨씬 더 널리 퍼져 있었음을 보여준다.

2018년에 수행된 미토콘드리아 DNA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는 산 로렌소와 로마 델 사포테에서 발견된 두 명의 올멕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두 경우 모두 모계 계통인 A 하플로그룹의 특징적인 돌연변이의 확실한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들은 아메리카 원주민 집단의 5가지 특징적인 미토콘드리아 하플로그룹(A, B, C, D, X) 중 가장 풍부한 하플로그룹을 공유한다.

참조

[1] 서적 The Olmecs : America's First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2] 문서 See, as one example, Diehl, p. 11.
[3] 문서 See Diehl, p. 108 for the "ancient America" superlatives. The artist and archaeologist Miguel Covarrubias (1957) p. 50 says that Olmec pieces are among the world's masterpieces
[4] 웹사이트 Rubber Processing http://web.mit.edu/o[...]
[5] 웹사이트 Olmecas http://library.think[...] 2012-09-20
[6] 문서 Coe (1968) p. 42
[7] 문서 Diehl, p. 14.
[8] 문서 Coe (2002) refers to an old Nahuatl poem cited by Miguel Leon-Portilla, which itself refers to a land called "Tamoanchan":

in a certain era
which no one can reckon
which no one can remember
[where] there was a government for a long time".
Coe interprets Tamoanchan as a Mayan language word meaning 'Land of Rain or Mist' (p. 61).
[9] 간행물 American Anthropologist
[10] 문서 Dates from Pool, p. 1. Diehl gives a slightly earlier date of 1500 BCE (p. 9), but the same end-date. Any dates for the start of the Olmec civilization or culture are problematic as its rise was a gradual process. Most Olmec dates are based on radiocarbon dating (see e.g. Diehl, p. 10), which is only accurate within a given range (e.g. ±90 years in the case of early El Manatí layers), and much is still to be learned concerning early Gulf lowland settlements.
[11] 문서 See Pool (2007) p. 2. Although there is wide agreement that the Olmec culture helped lay the foundations for the civilizations that followed, there is disagreement over the extent of the Olmec contributions, and even a proper definition of the Olmec "culture". See "Olmec influences on Mesoamerican cultures" for a deeper treatment of this question.
[12] 서적 The Olmecs – America's First Civilization Thames & Hudson
[13] 문서 Diehl, 2004: pp. 23–24.
[14] 서적 World History: Patterns of Interaction https://archive.org/[...] McDougal Littell
[15] 문서 Pool, pp. 26–27, provides a great overview of this theory, and says: "The generation of food surpluses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and political hierarchies and there is no doubt that high agricultural productivity, combined with the natural abundance of aquatic foods in the Gulf lowlands supported their growth."
[16] 문서 Pool, p. 151.
[17] 문서 Diehl, p. 132, or Pool, p. 150.
[18] 문서 Pool, p. 103.
[19] 서적 Archaeology of Ancient Mexico and Central Americ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 문서 Diehl, p. 9.
[21] 문서 Coe (1967), p. 72. Alternatively, the mutilation of these monuments may be unrelated to the decline and abandonment of San Lorenzo. Some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mutilation had ritualistic aspects, particularly since most mutilated monuments were reburied in a row.
[22] 문서 Pool, p. 135. Diehl, pp. 58–59, 82.
[23] 문서 Diehl, p. 9. Pool gives dates 1000 BCE – 400 BCE for La Venta.
[24] 문서 Pool, p. 157.
[25] 문서 Pool, p. 161–162.
[26] 문서 Diehl, p. 82. Nagy, p. 270, however, is more circumspect, stating that in the Grijalva river delta, on the eastern edge of the heartland, "the local population had significantly declined in apparent population density ... A low-density Late Preclassic and Early Classic occupation ... may have existed; however, it remains invisible."
[27] 문서 Quote and analysis from Diehl, p. 82, echoed in other works such as Pool.
[28] 문서 Vanderwarker (2006) pp. 50–51
[29] 문서 Coe (2002), p. 88.
[30] 문서 Coe (2002), p. 62.
[31] 문서 Coe (2002), p. 88 and others.
[32] 문서 Pool, p. 105.
[33] 문서 Pool, p. 106. Diehl, pp. 109–115.
[34] 문서 Grove, 1973.
[35] 문서 Pool, pp. 106–108, 176.
[36] 서적 Diehl
[37] 서적 Pool, Diehl, Coe (2002)
[38] 서적 Grove
[39] 서적 Pool
[40] 서적 Williams and Heizer, Scarre
[41] 서적 Williams and Heizer
[42] 서적 Scarre, Pool
[43] 서적 Diehl
[44] 논문 Inter-and Intrapopulational Racial Differentiation of Tlatilco, Cerro de Las Mesas, Teothuacan, Monte Alban and Yucatan Maya
[45] 서적 Voyagers to the New World, Fantastic Archaeology, Frauds, Myths, and Mysteries. Science and Pseudoscience in Archaeology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Trade Mayfield
[46] 서적 Mexico South
[47] 서적 Ortiz de Montellano, et al.
[48] 논문 Robbing Native American Cultures: Van Sertima's Afrocentricity and the Olmecs
[49] 웹사이트 The Olmecs: America's First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2004-01-01
[50] 간행물 Pre-Columbian Jade and Hard Stone 2018-03-17
[51] 서적 The Art of Mesoamerica From Olmec to Aztec Thames & Hudson 2006-10-20
[52] 웹사이트 University of East Anglia collections http://artworld.uea.[...] 2023-11-01
[53] 웹사이트 Olmec Stone Mask https://smarthistory[...] The British Museum
[54] 웹사이트 Ceremonial Ax ("Kunz Ax") Olmec https://www.metmuseu[...] 2024-02-01
[55] 서적 Pool, Diehl
[56] 뉴스 Ancient City Found in Mexico; Shows Olmec Influence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News 2007-01-26
[57] 서적 Diehl, Pool
[58] 서적 Flannery et al.
[59] 서적 Reilly; Stevens (2007); Rose (2007)
[60] 서적 Carlson
[61] 서적 Covarrubias
[62] 서적 Taube (2004)
[63] 논문 Olmec Bloodletting: An Iconographic Study
[64] 서적 Taube (2004)
[65] 서적 Pool
[66] 서적 Ortiz et al.
[67] 서적 Pool, Joralemon (1996)
[68] 서적 Pohl et al.
[69] 뉴스 Writing May Be Oldest in Western Hemispher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6-09-15
[70] 뉴스 'Oldest' New World writing found http://news.bbc.co.u[...] BBC 2006-09-14
[71] 뉴스 Oldest Writing in the New World http://www.sciencema[...] 2008-03-30
[72] 논문 Pohl et al. (2002)
[73] 문서 Skidmore. These prominent proponents include Michael D. Coe, Richard Diehl, Karl Taube, and Stephen D. Houston.
[74] 논문 Bruhns, et al.
[75] 서적 Diehl, p. 184.
[76] 서적 "Mesoamerican Long Count calendar & invention of the zero concept" section cited to Diehl, p. 186.
[77] 서적 Haughton, p. 153. The earliest recovered Long Count dated is from Monument 1 in the Maya site El Baúl, Guatemala, bearing a date of 37 BCE.
[78] 논문 Miller and Taube (1993) p. 42. Pool, p. 295.
[79] 논문 Ortiz C.
[80] 서적 See Filloy Nadal, p. 27, who says "If they [the balls] were used in the ballgame, we would be looking at the earliest evidence of this practice".
[81] 서적 Coe (1968) p. 121.
[82] 논문 Campbell & Kaufman (1976), pp. 80–89. For example, the words for "incense", "cacao", "corn", many names of various fruits, "nagual/shaman", "tobacco", "adobe", "ladder", "rubber", "corn granary", "squash/gourd", and "paper" in many Mesoamerican languages seem to have been borrowed from an ancient Mixe–Zoquean language.
[83] 논문 Wichmann (1995).
[84] 논문 Wichmann, Beliaev & Davletshin, (in press Sep 2008).
[85] 서적 See Pool, p. 6, or Diehl, p. 85.
[86] 서적 Diehl, p. 106. See also J. E. Clark, p. 343, who says "much of the art of La Venta appears to have been dedicated to rulers who dressed as gods, or to the gods themselves".
[87] 서적 Diehl, p. 106.
[88] 서적 Diehl, pp. 103–104.
[89] 서적 See, for example, Cyphers (1996), p. 156.
[90] 서적 See Santley, et al., p.4, for a discussion of Mesoamerican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See Cyphers (1999) for a discussion of the meaning of monument placement.
[91] 서적 See Cyphers (1999) for a more detailed discussion.
[92] 서적 Serra Puche et al., p. 36, who argue that "While Olmec art sometimes represents leaders, priests, and possibly soldiers, it is difficult to imagine that such institutions as the army, priest caste, or administrative-political groups were already fully developed by Olmec times." They go on to downplay the possibility of a strong central government.
[93] 서적 Pool, p. 20.
[94] 서적 Pool, p. 164.
[95] 서적 Pool, p. 175.
[96] 논문 Early Olmec obsidian trade and economic organization at San Lorenzo
[97] 웹사이트 Chiapa de Corzo Archaeological Project https://web.archive.[...] Brigham Young University 2012-03-18
[98] 서적 Except where otherwise (foot)noted, this Village life and diet section is referenced to Diehl (2004), Davies, and Pope et al.
[99] 논문 Pohl.
[100] 서적 VanDerwarker, p. 195, and Lawler, Archaeology (2007), p. 23, quoting VanDerwarker.
[101] 서적 VanDerwarker, pp. 141–144.
[102] 서적 Davies, p. 39.
[103] 서적 Benson (1996) p. 263.
[104] 서적 See translated excerpt from Melgar y Serrano's original 1869 report, reprinted in Adams (1991), p. 56. See also Pool (2007), pp. 1, 35 and Stirling (1968), p. 8.
[105] 서적 Quoted in Coe (1968), p. 40.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웹사이트 Interaction and Exchange in Early Formative Western and Central Mesoamerica: New Data from Coastal Oaxaca http://www.jstor.org[...]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2024-11-18
[110] 서적 Ancient Mexico and Central America: Archaeology and Culture History Thames and Hudson
[111] 서적 Ancient Mexico and Central America: Archaeology and Culture History Thames and Hudson
[112] 서적 Zapotec Civilization: How Urban Society Evolved in Mexico's Oaxaca Valley Thames and Hudson
[113] 웹사이트 Genetic Affiliation of Pre-Hispanic and Contemporary Mayas Through Maternal Linage https://pubmed.ncbi.[...]
[114] 웹사이트 Estudios de ADN y el origen de los olmecas https://arqueologiam[...]
[115] 서적
[116] 잡지 Estudios de ADN y el origen de los Olmecas https://arqueologiam[...] Editorial Raices 2023-12-26
[117] 서적 古代マヤ 密林に開花した神秘の文明の軌跡をたどる BL出版
[118] 서적 メキシコの歴史 新評論
[119] 서적 ラテンアメリカ美術史 現代企画室
[120] 서적 メキシコの歴史 創土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