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츠 폭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츠 폭동은 1965년 8월 11일부터 16일까지 6일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와츠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동이다. 흑인 인구의 급증과 주택 차별, 경찰의 과잉 대응과 인종차별,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소외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 마케트 프라이의 체포 사건이 도화선이 되어 폭동으로 번졌으며, 34명이 사망하고 1,032명 이상이 부상, 3,438명이 체포되는 등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었다. 와츠 폭동은 미국 사회의 인종 갈등과 사회 불평등 문제를 드러냈으며, 민권 운동과 사회 개혁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인종폭동 -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은 로드니 킹 사건 무죄 판결에 대한 흑인 사회의 분노와 인종 간 긴장, 경찰의 과잉 진압, 경제적 불평등, 한인-흑인 사회 갈등 등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하여 6일간 로스앤젤레스 전역에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미국 사회의 인종 및 경찰 폭력 문제를 드러낸 사건이다.
  • 미국의 인종폭동 - 1866년 멤피스 폭동
    1866년 멤피스 폭동은 남북 전쟁 직후 멤피스에서 흑인 제대 군인과 아일랜드 이민자 출신 경찰 간의 갈등, 흑인 인구 증가에 대한 백인들의 적대감, 부패한 시 행정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여 흑인 사망자와 재산 피해를 야기하고 급진적 재건 지지를 강화했다.
  • 1965년 8월 - 인민혁명당 사건
    인민혁명당 사건은 1964년과 1975년에 발생한 두 차례의 사건으로, 박정희 정권 하에서 정치적 탄압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2000년대 조사 결과 조작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관련자들이 무죄 판결을 받았으나, 사건에 대한 해석은 여전히 대립하며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다.
  • 1965년 8월 - 제미니 5호
    제미니 5호는 1965년 미국에서 발사된 유인 우주 비행 임무로, 8일간의 우주 체류를 통해 장기간 우주 비행 기술을 실증하고 새로운 연료 전지 성능을 시험하며 아폴로 계획의 기반을 다졌고, 최초로 임무 패치를 사용했다.
  • 미국의 경찰 폭력 -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은 로드니 킹 사건 무죄 판결에 대한 흑인 사회의 분노와 인종 간 긴장, 경찰의 과잉 진압, 경제적 불평등, 한인-흑인 사회 갈등 등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하여 6일간 로스앤젤레스 전역에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미국 사회의 인종 및 경찰 폭력 문제를 드러낸 사건이다.
  • 미국의 경찰 폭력 - 마이클 브라운 총격 사건
    2014년 미주리주 페르거슨에서 발생한 마이클 브라운 총격 사건은 백인 경찰관 대런 윌슨이 흑인 청년 마이클 브라운을 총으로 쏴 사망하게 한 사건으로, 이로 인해 인종차별 및 경찰 폭력에 대한 논쟁과 시위가 촉발되었으며 흑인 생명 존중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와츠 폭동
위치 정보
기본 정보
명칭와츠 폭동
다른 명칭와츠 반란
일부1960년대 게토 폭동
날짜1965년 8월 11일 ~ 8월 16일
장소미국 로스앤젤레스 와츠
원인경찰의 부당한 대우, 주택, 고용 및 학교 시스템의 차별
목표경찰에 의한 학대 종식, 주택, 고용 및 학교 시스템 차별 종식
방법광범위한 폭동, 약탈, 폭행, 방화, 시위, 총격전, 재산 피해
참가 세력
시위대와츠 지역 주민
피해 규모
사망자34명
부상자1,032명
체포자3,438명
기타 정보
참고와츠 폭동은 1960년대 미국 전역에서 발생한 여러 게토 폭동 중 하나이다.
폭동은 경찰의 과잉 진압과 인종 차별에 대한 항의로 시작되었다.

2. 사건의 배경

1965년 8월 11일 수요일 저녁 7시경, 로스앤젤레스 와츠 지역에서 흑인 청년 마케트 프라이와 그의 형 로널드 프라이가 백인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순찰대에 의해 음주 운전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의 과잉 진압과 인종차별적 언행이 발생했고, 이를 목격한 주민들이 분노하여 항의하면서 폭동이 시작되었다.[62]

프라이 형제 체포 사건은 단순한 교통 단속이 아니라, 오랫동안 쌓여온 흑인 사회의 불만이 폭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1964년 뉴욕주 로체스터, 할렘, 필라델피아, 시카고 등 미국 전역의 여러 도시에서 발생한 폭동과 마찬가지로, 와츠 폭동 역시 열악한 생활 환경, 기회 불균등, 경찰과 주민 간의 뿌리 깊은 불신과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1961년 그리피스 파크에서 발생한 흑인 남성 체포 사건, 1962년 네이션 오브 이슬람 모스크 급습 사건 등 와츠 지역에서는 경찰의 과잉 진압과 흑인 차별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다. 폭동 발생 전 2년 동안 경찰에 의해 총격을 받은 65명의 흑인 주민 중 27명은 등에 총을 맞았고, 25명은 비무장 상태였다는 사실은 경찰의 폭력성과 인종차별 문제를 여실히 보여준다.

와츠 폭동은 단순한 우발적 사건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축적된 사회적, 경제적, 인종적 불평등의 결과였다. 특히, 1940년대 제2차 대이동으로 흑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심화된 주거 분리, 윌리엄 H. 파커 당시 로스앤젤레스 경찰국(LAPD) 서장 체제하에서의 경찰의 과잉 대응과 차별, 그리고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소외는 흑인 사회의 분노를 촉발하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2. 1. 주거 분리

1940년대 제2차 대이동으로 흑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로스앤젤레스는 인종차별적 주택 정책과 관행으로 인해 심각한 주거 분리 현상을 겪었다. 20세기 초, 로스앤젤레스는 다양한 지역에서 이주해온 사람들로 인해 인종에 따라 지역이 분리되기 시작했다. 1910년대에는 도시 부동산의 80%가 인종 차별적 계약으로 묶여 있었다.[13] 1940년대에는 로스앤젤레스와 남부 캘리포니아 주택의 95%가 특정 소수 민족에게 금지되었다.[15][14]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연방 정부는 일본계 미국인 7만 명을 강제 수용소로 이송하여 일본인 소유 지역에 빈 공간을 만들었다. 제2차 대이동 중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한 흑인 주민들은 리틀 도쿄와 같은 빈 공간을 차지했다. 사우스 로스앤젤레스의 주택은 부족해졌고, 부동산 개발업자들은 미개발 토지에 대규모 주택 단지를 건설하여 흑인 중산층의 교외 생활을 가능하게 했다.[15]

그러나 대부분의 교외 지역은 흑인 거주를 금지했다. 흑인 지역과 인접한 지역의 백인 중산층은 새로운 주택이 제공되는 교외로 이주했다. 도시 로스앤젤레스 전역에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확산된 것은 블록버스팅이라는 부동산 투기 기법을 통해서였다.[16]

주택 분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럼퍼드 공정 주택법(Rumford Fair Housing Act)이 제정되었으나, 1964년 14번 법안에 의해 무효화되었다. 정신과 의사이자 시민권 운동가인 앨빈 포산트는 14번 법안을 와츠 흑인 반란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했다.[17] 이러한 주택 차별은 흑인들의 교육, 경제적 기회를 제한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켰으며, 흑인 사회의 분노를 촉발하는 요인이 되었다.

2. 2. 경찰의 과잉 대응과 차별

윌리엄 H. 파커 당시 로스앤젤레스 경찰국(LAPD) 서장 체제에서 흑인 및 라틴계 주민들에 대한 과잉 대응과 차별적인 법 집행은 심각한 문제였다. 파커 서장은 경찰을 범죄 억제의 최전선으로 묘사하며 "씬 블루 라인(The Thin Blue Line)"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지만, 이는 오히려 경찰과 지역 사회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50]

폭동 발생 전 2년 동안 65명의 흑인 주민이 경찰에 의해 총격을 받았으며, 그중 27명은 등에 총을 맞았고, 25명은 비무장 상태였다. 이는 경찰의 과잉 대응과 인종차별 문제를 여실히 보여준다. 같은 기간 동안 생활 환경에 항의하는 250건의 시위가 있었다.

1962년 경찰이 네이션 오브 이슬람 모스크를 급습하여 무장하지 않은 한 남성을 살해한 사건은 대규모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사건들은 경찰과 지역 주민들 사이의 오랜 긴장을 보여주는 예시 중 하나였다.

2. 3.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소외

와츠 폭동은 1964년1965년 전국적으로 벌어진 여러 도시 폭동들과 함께 고립된 사건이 아니었다. 1940년대 제2차 대이동 당시, 흑인 노동자와 가족들은 서해안으로 대거 이주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방위 산업체의 채용 노력에 따른 것이었다.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은 8802호 행정명령을 발표하여 방위 산업체에 고용 또는 승진에서 차별하지 말 것을 지시하여 소수 민족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었다. 그 결과, 로스앤젤레스의 흑인 인구는 1940년 약 63,700명에서 1965년 약 350,000명으로 급증하여, L.A. 인구의 4%에서 14%로 증가했다.[11][12]

당시 와츠 지역 주민의 99%가 흑인이었던 반면, 담당 경찰관 중에는 흑인이 거의 없었고,[62] 지역 주민들은 인종차별적인 사상을 가진 경찰에 대한 불신이 깊었다. 여기에 더해 실업률도 높고 고등교육을 받은 주민도 적어 일종의 슬럼가가 된 상황 등 지역 주민들의 불만은 매우 높았다.[63]

3. 폭동의 전개

1965년 8월 11일,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순찰대 경찰관이 흑인 청년 마케트 프라이를 음주운전 혐의로 체포하는 과정에서 과잉 대응 논란이 발생하며 폭동이 시작되었다.

저녁 7시경, 마케트와 로널드 프라이 형제는 로스앤젤레스의 와츠 지역에서 어머니의 차를 몰고 가던 중 백인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순찰대원에게 체포되었다. 마케트는 음주 테스트에 실패했고, 체포 과정에서 경찰관과 몸싸움이 벌어졌다. 이복형제 로널드 또한 싸움에 가담하였다.

현장에 도착한 프라이 형제의 어머니 레나 프라이스까지 체포되면서 상황은 악화되었다. 관중들은 경찰의 과잉 대응에 분노하여 더 많은 경찰 병력이 투입되었고, 이 과정에서 한 여성이 침을 뱉었다는 이유로 체포되면서 긴장은 더욱 고조되었다. 저녁 7시 45분까지, 폭동은 격화되어 교통 체증에 갇힌 차량에 돌과 병이 던져지는 등 심각한 상황으로 번졌다.

다음날 아침, 경찰, 전미 흑인 지위 향상 협회 등 와츠의 지도자들이 주관한 공동체 모임이 있었지만, 상황을 진정시키는 데는 실패하였다. 레나 프라이스 또한 참석하여 관중들을 진정시키려 하였으나, 한 10대 소년이 폭도들이 로스앤젤레스의 백인 거주 지역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선포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이후 폭동은 며칠간 계속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프라이 형제 체포 사건" 및 "폭동의 확산"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프라이 형제 체포 사건

1965년 8월 11일 수요일 저녁, 21세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마케트 프라이는 술에 취한 상태로 어머니의 1955년식 뷰익 차량을 운전하다가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순찰대의 백인 경찰관 리 미니쿠스에게 과속 혐의로 정지당했다.[5] 프라이가 현장 음주 측정에 실패하자, 미니쿠스는 그를 체포하고 차량 압수를 요청했다.[20] 프라이의 형인 로널드는 차에 동승하고 있었는데, 집으로 걸어가 어머니 레나 프라이스를 데리고 현장으로 돌아왔다.

레나 프라이스가 아발론 대로와 116번가 교차로에 도착했을 때, 그녀는 프라이에게 음주운전을 한 것을 나무랐다.[21] 그러나 상황은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누군가 프라이스를 밀었고, 프라이는 맞았으며, 프라이스는 경찰관에게 달려들었고, 다른 경찰관은 산탄총을 꺼냈다. 지원 경찰관들은 프라이를 제압하기 위해 물리력을 사용했다. 지역 주민들은 경찰이 프라이를 거칠게 다루었고 임신한 여성을 발로 찼다는 소문을 퍼뜨리면서 분노한 군중이 형성되었다.[22][23]

상황이 악화되면서, 지역 주민들의 군중이 커지며 경찰관들에게 소리 지르고 물건을 던지기 시작했다.[24] 프라이의 어머니와 형제는 경찰관들과 싸웠고, 결국 마케트 프라이와 함께 체포되었다.[25][9][24]

경찰이 폭동 중에 남성을 체포하는 모습


프라이스와 그녀의 아들들인 프라이 형제들이 체포된 후에도, 아발론 대로를 따라 군중은 계속해서 불어났다. 경찰은 그날 밤 여러 차례 군중을 해산시키려고 현장에 왔지만, 사람들이 돌과 콘크리트 덩어리를 던지자 공격을 받았다.[27]

3. 2. 폭동의 확산

8월 12일, 경찰과 흑인 지역 사회 지도자들은 진정을 위한 회의를 열었으나 결렬되었다. 같은 날, 윌리엄 H. 파커 로스앤젤레스 경찰국 서장은 캘리포니아 주 방위군의 지원을 요청했다.[28] 파커 서장은 폭동을 베트콩과의 싸움에 비유하며 "준군사적" 대응을 선포했고, 패트 브라운 주지사는 법 집행 기관이 "갱스터들과 싸우는 게릴라"에 맞서고 있다고 말했다.[7]

8월 13일, 약 2,300명의 주 방위군이 경찰에 합류하여 질서 유지를 시도했다. 벤 던 상사는 "와츠의 거리는 마치 먼 외국의 전쟁터 같았습니다."라고 말했다.[29][30] 같은 날 밤, 흑인 민간인이 경찰과 폭도들 간의 총격전 중 사망하면서 첫 폭동 관련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후 폭동은 파사디나, 파코이마, 몬로비아, 롱비치, 샌디에이고까지 확산되었지만, 와츠에 비해 규모는 작았다. 롱비치 경찰서를 지원하기 위해 약 200명의 주방위군과 LAPD가 투입되었다.

토요일 저녁, 16,000명의 법 집행 인원이 동원되어 도시를 순찰했다.[7] 검문소가 설치되었고, 폭동 지역에 치명적인 무력 사용 경고 표지판이 게시되었다. 와츠 주민들은 응급 구조대와 전면전을 벌였다. 폭도들은 보도와 벽돌을 뜯어 주방위군과 경찰에게 던지고 차량을 부쉈다.[7] 폭동 참여자들은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고, 로스앤젤레스 소방국 소방대원들이 불을 끄는 것을 막았다. 방화약탈은 주로 백인 소유 상점과 사업체에 집중되었다.[31]

파커 서장은 대규모 체포 정책을 시행했다.[7] 주방위군 배치 후, 남중부 로스앤젤레스에 통행금지령이 선포되었다.[32] 934명의 LAPD 경찰관과 718명의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보안관국 경찰관도 투입되었다.[28] 와츠와 로스앤젤레스의 모든 흑인 다수 지역에 통행금지령이 내려졌고, 오후 8시 이후 집 밖에 있는 주민은 체포될 수 있었다. 약 3,500명이 주로 통행금지 위반으로 체포되었다. 8월 15일 일요일 아침, 폭동은 대부분 진압되었다.[7]

6일 동안 31,000명에서 35,000명의 성인이 폭동에 참여했고, 약 7만 명은 동조적이었지만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았다.[27]

4. 폭동의 결과

6일간의 폭동으로 34명이 사망하고, 1,032명 이상이 부상당했으며, 3,438명이 체포되었다.[46] 건물 769채와 여러 사업체가 피해를 보거나 약탈당했으며, 건물 208채가 완전히 파괴되는 등 재산 피해액은 4000만달러가 넘었다.[46] 사망자 대부분은 흑인 시민이었으며, 경찰관 2명과 소방관 1명도 사망했다. 로스앤젤레스 경찰국과 주 방위군의 과잉 진압으로 인한 사망 사건은 정당방위로 처리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5. 폭동 이후

팻 브라운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폭동의 원인을 조사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매코니 위원회(McCone Commission)를 구성하도록 지시했다. 학교, 고용, 주택, 보건 및 경찰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몇몇 공동체 향상 제안들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후속 조치는 거의 없었으나, 흑표당과 같이 경찰 과잉을 재건하고 감시하기 위한 DIY 지방 활동이 와츠에서 새롭게 나타났다.

1960년대에는 와츠 폭동과 같이 흑인 거주 지역이 슬럼화된 상황이 미국 전역에서 나타났고, 당시 고조되던 민권운동에 따른 인종차별에 대한 반발[67]로 인해 이와 유사한 폭동이 전국적으로 발생[68]했다. 정부와 주 정부는 폭동 진압에 힘썼지만, 거주 지역의 삶의 질 개선과 인종차별 해소[69]라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데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마퀘트 프라이는 음주 운전, 폭행, 고의적 재물 손괴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1966년 2월 18일, 90일의 구치소 수감과 3년의 보호 관찰을 선고받았고[53], 같은 해 5월 18일 배심원단이 그를 폭행 및 공공장소에서의 소란죄로 유죄 판결한 후 90일의 추가 구금형을 선고받았다.[54] 그는 폭동 이후 10년 동안 34차례 체포되었으며,[55] 1986년 12월 20일 42세의 나이로 폐렴으로 사망했다.[56] 그의 어머니 레나 프라이스는 2013년 6월 10일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7] 그녀는 아들이 운전하던 1955년식 뷰익 차량을 보관료가 차량 가치를 초과했기 때문에 결코 되찾지 못했다.[58] 오토바이 경찰관 리 미니쿠스는 2013년 10월 19일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5. 1. 매코니 위원회 보고서

팻 브라운 주지사 하에 구성된 매코니 위원회는 중앙정보국(CIA) 국장 존 A. 매코니를 수장으로 하여 폭동을 조사했다.[50] 위원회는 1965년 12월 2일, "도시의 폭력끝인가, 시작인가?: 1965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에 관한 주지사 위원회 보고서"라는 제목의 101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발표했다.[51]

매코니 위원회는 폭동의 근본 원인을 와츠 지역 흑인들이 겪는 높은 실업률, 열악한 학교 시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열악한 주거 환경으로 규정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권고안으로는 "긴급 문해력 및 유아 교육 프로그램, 경찰과 지역 사회 간의 관계 개선, 저소득 주택 증가, 직업 훈련 프로젝트 확대, 의료 서비스 개선, 대중교통 효율 증대 등"이 포함되었다.[52] 그러나 이러한 권고안의 대부분은 실행되지 않았다.[52]

5. 2. 사회적 변화와 영향

와츠 폭동은 미국 사회의 인종 갈등과 사회 불평등 문제를 수면 위로 드러냈으며, 이후 민권 운동과 사회 개혁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폭동 이후, 와츠 지역에서는 흑표당과 같이 경찰의 과잉 대응을 재건하고 감시하기 위한 지방 활동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45]

폭동 직후 몇 년 동안 실시된 여론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폭동이 높은 실업률과 인종 차별에 항의하며 활동하던 지역의 공산주의자 단체들과 관련이 있다고 믿었다.[46] 미국 시민권위원회는 경찰과 소수 민족 간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청문회를 열기도 했다.[46]

와츠 폭동 이후, 컴프턴, 헌팅턴 파크, 사우스 게이트와 같은 인근 교외 지역에서 백인 가족들이 대거 이주하는 화이트 플라이트 현상이 발생했다.[47] 주택 파괴 문제로 인해 흑인 가족들은 포모나와 같은 다른 도시들로 이주하기 시작했고, 이는 또 다른 화이트 플라이트 현상을 야기했다.[49]

1960년대에는 와츠 폭동과 같이 흑인 거주 지역이 슬럼화된 상황이 미국 전역에서 나타났고, 당시 고조되던 민권운동에 따른 인종차별에 대한 반발[67]로 인해 이와 유사한 폭동이 전국적으로 발생했다.[68] 정부와 주 정부는 폭동 진압에는 힘썼지만, 삶의 질 개선과 인종차별 해소[69]라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데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5. 3.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와츠 폭동은 인종차별과 사회적 불평등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1960년대 미국에서는 흑인 거주 지역이 슬럼화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민권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인종차별에 대한 반발[67]로 와츠 폭동과 유사한 폭동이 전국적으로 발생했다.[68] 정부와 주 정부는 폭동 진압에 힘썼지만, 거주 지역의 삶의 질 개선과 인종차별 해소[69]라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데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는 한국에서 인종, 출신, 지역 등에 따른 차별과 불평등을 해소하고, 사회 구성원 모두가 동등한 기회와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일깨워준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와츠 폭동을 통해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불평등 해소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정책 마련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다.

6. 문화적 참조

1972년 로스앤젤레스 콜리세움에서 열린 왓츠 폭동 7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된 왓츠택스 음악 축제와 그 후속작인 1973년 다큐멘터리 영화가 제작되었다.[59] 휴즈 형제 감독의 영화 ''메나스 II 소사이어티''(1993년)는 1965년 폭동 당시의 이미지로 시작하며, 영화 전체는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왓츠를 배경으로 한다.

프랭크 자파는 왓츠 폭동에서 영감을 받은 "트러블 에브리 데이"라는 노래를 작곡했다. 이 노래에는 "수요일에 폭동을 지켜봤어/경찰들이 거리에 나와 있는 걸 봤어/그들이 돌을 던지고/더위에 숨 막히는 걸 봤어" 와 같은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 이 노래는 그의 데뷔 앨범 ''프릭 아웃!''(원래 마더스 오브 인벤션과 함께)에 수록되었고, 나중에 "More Trouble Every Day"로 약간 수정되어 ''록시 앤 엘스웨어''와 ''더 베스트 밴드 유 네버 허드 인 유어 라이프''에 수록되었다.

필 오크스의 1965년 노래 "In the Heat of the Summer"은 주디 콜린스가 가장 유명하게 녹음한 왓츠 폭동을 다룬 곡이다. 길 스콧-헤론의 노래 ''텔레비전으로는 혁명을 볼 수 없다''는 왓츠 폭동을 직접적으로 언급한다.

커트 젠트리의 1968년 소설 ''캘리포니아 주의 마지막 날들''은 사실에 기반한 반(半)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폭동을 상세히 분석했다. 조앤 디디온1968년 에세이 "산타 아나 바람"은 산타 아나 푄 바람의 결과로 폭동을 언급한다. 찰스 부코우스키는 그의 시 "도대체 톰 존스는 누구인가?"에서 왓츠 폭동을 언급했고, 소설 ''우체국''의 끝 부분에서도 간략하게 언급했다.

폴 매카트니1983년 노래 "피프스 오브 피스"의 후렴구 "...“불타올라, 베이비, 불타올라” 대신 기쁨의 노래를..."에서 “불타올라, 베이비, 불타올라!”는 왓츠 폭동의 구호였다.

1990년 영화 ''히트 웨이브''는 왓츠 거주민이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기자인 밥 리차드슨의 관점에서 왓츠 폭동을 묘사한다. 1994년 영화 ''내 베이비가 저리로 간다''는 폭동 중 고등학생 그룹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혹성탈출'' 시리즈 제작진은 폭동이 영화 ''혹성탈출: 진격의 시작''에 등장하는 유인원의 봉기를 고무시켰다고 밝혔다.[60] 1990년 11월 9일 방영된 TV 시리즈 ''퀀텀 립''의 에피소드 "흑백의 불"에서 샘 베켓은 폭동 중 왓츠에 살면서 백인 여성과 약혼한 흑인 의대생의 몸으로 이동한다. TV 시리즈 ''다크 스카이스''의 에피소드 "Burn, Baby, Burn, Baby, burn, burn, bird"의 장면들은 폭동 당시 로스앤젤레스를 배경으로 한다.

영화 ''C.S.A.: 남부 연합 미국''은 왓츠 폭동을 폭동이 아닌 노예 반란으로 언급한다. 월터 모즐리의 소설 ''리틀 스칼렛''은 왓츠 폭동 이후를 배경으로 하며, 백인 수사관들이 환영받지 못하는 지역에서 인종적으로 긴장된 살인 사건을 조사하라는 요청을 받은 주인공 이지 롤린스가 등장한다. ''비포 왓치맨: 코미디언'' 만화책의 세 번째 권에서 폭동이 묘사되어 있다.

2000년 영화 ''타이탄을 기억하라''에서 왓츠 폭동이 언급된다.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의 한 학교 이사회 대표는 학교 이사회가 그렇지 않으면 알렉산드리아가 "...왓츠처럼 불타오를까 봐" 흑인 코치인 허먼 분으로 헤드풋볼 코치 빌 요스트를 대체할 것이라고 빌 요스트에게 말한다.

마야 앤젤루의 자서전 6권인 ''하늘로 던져진 노래''의 9장에서 앤젤루는 폭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녀는 당시 이웃에 직장이 있었고 폭동이 일어나는 것을 직접 목격했다. 조셉 웜보의 소설 ''더 뉴 센추리온스''(1971년)와 같은 이름의 1972년 영화 각색은 왓츠 폭동 중 일부를 배경으로 한다.

프라이 형제의 체포와 폭동은 만화 미니 시리즈 ''주피터스 서클''의 두 번째 권에서 조지 허천스 캐릭터에 의해 계급 투쟁의 예로 언급된다.[61] ''O.J.: 미국에서 만들어짐'' 첫 번째 에피소드, 리처드 파워스의 소설 ''우리가 노래하던 시대''(2003년), 마이클 코넬리1999년 소설 엔젤스 플라이트의 분실 장과 그의 2005년 소설 ''더 클로저스''에서 폭동이 언급된다.

코미디언 크리스토퍼 타이투스의 2009년 코미디 특집 "Love is Evol"에서 타이투스는 그의 아버지 켄 타이투스가 왓츠 폭동 당시 캘리포니아 주방위군 소속이었고 돌을 던지는 폭도들로부터 주류 판매점을 방어했다고 언급한다. 미국 힙합 그룹 사이프레스 힐의 2010년 앨범 ''라이즈 업''의 타이틀곡은 "1965년 왓츠 폭동 이후로 도시가 이렇게 통제 불능 상태에 있었던 적이 없다. 로스앤젤레스는 여전히 불안하다"는 구절로 시작한다. TV 쇼 ''아이 엠 더 나이트''의 5, 6화에서 폭동이 일어나고 있다. 브릿 베넷의 2020년 소설 ''소멸하는 절반''에서 폭동이 언급된다.

1960년대에는 왓츠 폭동과 같이 흑인 거주 지역이 슬럼화된 상황이 미국 전역에서 나타났고, 당시 고조되던 민권운동에 따른 인종차별에 대한 반발[67]로 인해 이와 유사한 폭동이 전국적으로 발생[68]했다. 정부와 주 정부 모두 폭동 진압에 힘썼지만, 거주 지역의 삶의 질 개선과 인종차별 해소[69]라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데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참조

[1] 웹사이트 Watts Rebellion (Los Angeles) {{!}} The Martin Luther King, Jr.,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https://kinginstitut[...] 2018-10-22
[2] 서적 Policing Los Angeles: Race, Resistance, and the Rise of the LAP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8
[3] 뉴스 Watts Riots: Traffic stop was the spark that ignited days of destruction in L.A. http://www.latimes.c[...] 2015-07-29
[4] 뉴스 How Legacy Of The Watts Riot Consumed, Ruined Man's Life https://www.orlandos[...] 2018-03-02
[5] 뉴스 To CHP Officer Who Sparked Riots, It Was Just Another Arrest https://www.latimes.[...] 1990-08-19
[6] 웹사이트 Watts Rebellion (Los Angeles) https://kinginstitut[...] 2017-06-12
[7] 서적 From the War on Poverty to the War on Crime: The Making of Mass Incarceration in Americ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
[8] 서적 Black Against Empire: The History And Politics Of The Black Panther Par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
[9] 뉴스 How Legacy of the Watts Riot Consumed, Ruined Man's Life https://www.orlandos[...] 1990-08-05
[10] 웹사이트 Photos: Black Los Angeles During The First 'Great Migration' https://laist.com/20[...] 2016-02-14
[11] 웹사이트 The Great Migration: Creating a New Black Identity in Los Angeles http://www.kcet.org/[...]
[12] 웹사이트 Population http://www.laalmanac[...]
[13] 서적 Toxic Communities: Environmental Racism, Industrial Pollution, and Residential Mobility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14
[14] 서적 Rethinking Los Angeles https://books.google[...] Sage 1996
[15] 서적 Bridges of Reform: Interracial Civil Rights Activism in Twentieth-Century Los Angel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6] 웹사이트 Blockbusting https://www.blackpas[...] 2013-01-07
[17] 서적 The Black Power Movement: Rethinking the Civil Rights–Black Power Era Routledge
[18] 뉴스 Chief Parker Molded LAPD Image – Then Came the '60s : Police: Press treated officers as heroes until social upheaval prompted skepticism and confrontation. https://www.latimes.[...] 2014-05-25
[19] 웹사이트 Watts Riots (August 1965) | The Black Past: Remembered and Reclaimed http://www.blackpast[...] 1965-08-11
[20] 잡지 Burn, Baby, Burn! https://books.google[...] 1966-07-15
[21] 뉴스 How Legacy of the Watts Riot Consumed, Ruined Man's Life https://www.orlandos[...] 1990-08-05
[22] 뉴스 To CHP Officer Who Sparked Riots, It Was Just Another Arrest https://www.latimes.[...] 1990-08-19
[23] 뉴스 Rena Price dies at 97; her and son's arrests sparked Watts riots http://www.latimes.c[...] 2013-06-22
[24] 서적 Race, Space, and Riots in Chicago, New York, and Los Angel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5]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History, 1896 to the Present: From the Age of Segregation to the Twenty-first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Rebuilding Los Angeles: A Lesson of Community Reconstruction http://www.streetga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998
[27] 서적 Revolts, Protests, Demonstrations, and Rebellions in American History, Volume 3 ABC-CLIO
[28] 웹사이트 Violence in the City: An End or a Beginning? https://web.archive.[...]
[29] 서적 The Revolt Against the Masses: How Liberalism Has Undermined the Middle Class https://books.google[...] Encounter Books 2014
[30] 서적 Shall We Wake the President?: Two Centuries of Disaster Management from the Oval Office https://books.google[...] Rowman and Littlefield
[31] 학술지 The Los Angeles Riot of August 1965
[32] 웹사이트 A Report Concerning the California National Guard's Part in Suppressing the Los Angeles Riot, August 1965 http://www.militarym[...]
[33] 웹사이트 The Watts Riots of 1965, in a Los Angeles newspaper... http://www.rarenewsp[...]
[34] 뉴스 Watts Riots, 40 Years Later https://www.latimes.[...] 2005-08-11
[35] 웹사이트 Watts Riot begins – August 11, 1965 http://www.history.c[...]
[36] 웹사이트 Finding aid for the Watts Riots records 0084 http://www.oac.cdlib[...] 2016-02-03
[37] 뉴스 Inside the Watts curfew zone https://graphics.lat[...] 2023-05-20
[38] 뉴스 Watts Riots: Traffic stop was the spark that ignited days of destruction in L.A.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5-07-29
[39] 뉴스 The Watts http://www.commentar[...] 1966-03-00
[40] 웹사이트 Fireman Warren E. Tilson, Los Angeles Fire Department https://www.lafire.c[...] Los Angeles Fire Department Historical Archive
[41] 웹사이트 Deputy Sheriff Ronald E. Ludlow https://www.odmp.org[...] Officer Down Memorial Page
[42] 웹사이트 Police Officer Richard R. LeFebvre https://www.odmp.org[...] Officer Down Memorial Page
[43] 잡지 A Haunting Story Behind the 1965 Watts Riots https://time.com/587[...] 2020-11-14
[44] 웹사이트 Watts Rebellion ‑ Riots, Summary & 1965 https://www.history.[...] 2024-12-13
[45] 웹사이트 Miracle at Malibu Materialized http://graphic.peppe[...] 2002-11-14
[46] 논문 Interracial Social Contact and Middle-Class White Reaction to the Watts Riot Social Problems 1969-00-00
[47] 뉴스 On Race, Housing, and Confronting History https://www.thedowne[...] 2020-08-23
[48] 뉴스 Cultures Follow Separate Paths in Huntington Park https://www.latimes.[...] 2020-08-23
[49] 뉴스 Watts riots: Inland Valley African-Americans faced same problems https://www.dailybul[...] 2022-12-05
[50] 뉴스 King and Yorty Feud Over Causes of Roiting in LA https://www.newspape[...] 1965-08-20
[51] 웹사이트 Violence in the CityAn End or a Beginning?: A Report by the Governor's Commission on the Los Angeles Riots, 1965 http://digitallibrar[...] 2014-08-21
[52] 뉴스 25 Years After the Watts Riots : McCone Commission's Recommendations Have Gone Unheeded https://www.latimes.[...] 2011-11-22
[53] 뉴스 (제목 없음) https://www.newspape[...] 1966-02-19
[54] 뉴스 (제목 없음) https://www.newspape[...] 1966-05-19
[55] 뉴스 (제목 없음) https://www.newspape[...] 1975-08-17
[56] 뉴스 Marquette Frye Dead; 'Man Who Began ///..Riot https://www.nytimes.[...] 2013-06-23
[57] 웹사이트 Rena Price, woman whose arrest sparked Watts riots, dies at 97 https://www.presstel[...] 2013-06-23
[58] 뉴스 Rena Price dies at 97; her and son's arrests sparked Watts riots http://www.latimes.c[...] 2013-06-22
[59] 뉴스 Loud and proud https://www.theguard[...] 2002-07-20
[60] 웹사이트 The Apes of Wrath http://www.slate.com[...] Slate.com 2011-08-30
[61] 만화 Jupiter's Circle Image Comics 2015-12-00
[62] 기타 (제목 없음)
[63] 기타 (제목 없음)
[64] 뉴스 To CHP Officer Who Sparked Riots, It Was Just Another Arrest http://articles.lati[...] 2011-11-23
[65] 뉴스 Rena Price dies at 97; her and son's arrests sparked Watts riots http://www.latimes.c[...] 2013-06-22
[66] 기타 (제목 없음)
[67] 기타 (제목 없음)
[68] 기타 (제목 없음)
[69] 기타 (제목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