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인민혁명당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인민혁명당 사건은 1964년과 1974년에 발생한 두 차례의 반공 조작 사건으로, 국가정보원과 군사정권에 의해 조작되어 많은 인명 피해를 냈다. 제1차 사건은 1964년 41명이 검거되었으나, 재판 과정에서 무죄 판결이 나오기도 했다. 제2차 인혁당 사건은 1974년 유신 체제 하에서 발생, 민청학련 사건과 연계되어 관련자 8명이 사형당했다. 이후 진실 규명 과정에서 사건이 조작되었음이 밝혀졌고, 재심을 통해 무죄가 선고되었으며, 국가의 배상 판결이 이루어졌다. 이 사건은 한국 민주주의와 인권 탄압의 어두운 역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민혁명당 사건 - 민복기
    민복기는 친일파 아버지 아래 일제강점기 판사로 활동 후 해방 후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 최장수 대법원장을 역임하며 사법계에 기여했으나, 인혁당 사건과 친일 행적, 권력 유착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인민혁명당 사건 - 신직수
    신직수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법무관,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거쳤으며, 중앙정보부장 재직 시 울릉도 간첩단 사건 등 여러 논란에 휘말렸고, 이후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핀들레이 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 1965년 8월 - 와츠 폭동
    1965년 로스앤젤레스 와츠 지역에서 인종차별, 경찰 폭력, 사회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해 발생한 와츠 폭동은 6일간 지속되며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했고, 미국 사회의 인종 갈등과 불평등을 드러낸 중요한 사건이다.
  • 1965년 8월 - 제미니 5호
    제미니 5호는 1965년 미국에서 발사된 유인 우주 비행 임무로, 8일간의 우주 체류를 통해 장기간 우주 비행 기술을 실증하고 새로운 연료 전지 성능을 시험하며 아폴로 계획의 기반을 다졌고, 최초로 임무 패치를 사용했다.
  • 국가배상청구소송 -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은 1999년 사이타마현 오케가와시에서 발생한 스토킹 살인 사건으로, 스토커 고마츠 카즈히토가 사주한 야쿠자에게 피해자 이노 시오리가 살해당했으며, 경찰의 부실한 대응과 언론 보도로 사회적 파장을 일으켜 스토킹 방지법 제정의 계기가 되었다.
  • 국가배상청구소송 - 우키시마 호 침몰 사건
    우키시마 호 침몰 사건은 1945년 8월 24일 일본 해군 소속 우키시마 호가 아오모리현 오미나토 항을 출발하여 부산으로 향하던 중 교토부 마이즈루항 근해에서 침몰한 사건으로, 강제징용된 조선인 노동자 7,000여 명이 희생되었으며, 침몰 원인에 대한 일본 정부의 기뢰 폭발 주장과 대한민국 측의 고의 폭침 의혹 속에 진상 규명과 사과 및 배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인민혁명당 사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글인민혁명당 사건, 인혁당 사건
한자人民革命黨事件, 人革黨事件
로마자 표기Inminhyeongmyeongdang sageon, Inhyeokdang sageon
일본어 표기インミンヒョンミョンダン사コン, インヒョクタン사コン
사건 개요
사건 명칭인민혁명당 사건, 인혁당 사건
관련 사건민청학련 사건
주요 연루자인민혁명당 관계자
사건 배경
발생 시기1974년
주도 세력당시 박정희 정권
국가정보원 발표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조작된 사건
사건의 진행
주요 내용인민혁명당 관련자들을 국가 전복 시도 혐의로 기소 및 처형
사법살인 논란"사법살인"이라는 강한 비판 제기
재심 및 진실 규명
재심 결과사건 조작 및 무죄 판결
진실 규명 노력국가정보원 과거사 진실규명위원회 조사
관련자 명예 회복피해자 및 유족들에게 사과 및 명예 회복 조치
관련 단체
관련 단체인민혁명당
민청학련
대법원
국가정보원
기타
관련 기사국가정보원, '인혁당·민청학련 사건은 날조' 발표
朝鮮新報 - 国家情報院、「人民革命党事件」捏造を認める
인민혁명당 사건
인혁당 사건 관련 기사

2. 제1차 인민혁명당 사건 (1964년)

1964년 김형욱 중앙정보부도예종, 양춘우 등 41명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령을 받고 반정부 조직인 인민혁명당을 결성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실제 기소된 인원은 13명이었고, 이 중 도예종, 양춘우 등 6명만이 1년~3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17] 사건 관련자 김배영은 일본을 거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월북한 뒤 공작원으로 남파되었다가 체포되어 사형당했다.[18]

2. 1. 사건 전개

1964년 8월 14일, 김형욱 중앙정보부 부장은 도예종, 양춘우 등 언론인, 학생 41명을 검거했다고 발표했다. 중앙정보부는 이들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노동당으로부터 지령을 받아 반정부 조직인 인민혁명당을 결성하여 각계 인사를 모으면서 국가 사변(事變)을 기획했다고 주장했다.[17]

검찰은 이 중 13명만 기소했고, 1심에서는 도예종과 양춘우에게 2~3년의 실형이 선고되고 나머지 11명은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러나 2심에서는 도예종, 양춘우, 박현채 등 6명이 징역 1년의 실형을, 나머지 5명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17]

사건 관련자 김배영은 1962년 10월 일본으로 밀항했다가 일본 경시청의 수배를 받자 1964년 11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를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월북했다. 이후 1967년 10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작원으로 남파되었다가 1971년 체포되어 사형이 집행되었다.[18]

2. 2. 사건의 의의와 논란

인민혁명당 사건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역사 인식이 존재한다.

박정희 정권은 1971년에 사형이 집행된 김배영이 196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남파된 공작원이며, 제2차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 자금이 월북한 김배영으로부터 받은 것이라고 주장하였다.[18]

1차 인혁당 사건에 연루되었던 박범진 전 국회의원은 2010년 인터뷰에서 "1963년 서울대 정치학과 4학년 때 인혁당에 입당할 때 문서로 된 당의 강령과 규약을 직접 봤고 북한산에 올라가서 오른손을 들고 입당선서도 했다"고 증언하며, 인혁당이 실제로 국가 변란을 기도한 지하조직이었다는 사실을 긍정했다. 그는 "당시 인혁당의 강령 내용은 민족 자주적인 정권을 수립해서 북한과의 협상으로 통일을 시도한다는 것이었다"고 밝히며, 과거사 위원회의 발표처럼 지하당이 아닌 이념 서클이었다면 구성원을 비밀로 할 필요가 있었겠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25]

안병직 교수는 2011년 5월 26일에 출간한 책 《보수가 이끌다-한국 민주주의 기원과 미래》에서 인혁당은 남한에서 자발적으로 생긴 공산혁명을 위한 조직이었다고 증언했다.[26]

한기홍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대표는 저서 ‘진보의 그늘’에서 “인혁당은 혁신계 인사들의 실체 없는 써클 수준의 모임보다는 강령과 규약을 갖추고 혁명운동을 시도한 비합법 지하조직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었다.[27]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는 2012년 9월 10일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다음날 국회 본회의에 출석하면서 기자들 앞에서 '인혁당 사건에는 두 가지 판결이 존재한다'는 취지의 주장을 했다.[28]

3. 제2차 인민혁명당 사건 (1974년, 인혁당 재건위 사건)

1974년, 유신 체제에 대한 반대 운동이 거세지던 중, 중앙정보부는 민청학련 사건을 발표하며, 그 배후에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가 있다고 발표했다.

제2차 인민혁명당 사건은 인혁당 재건위 사건으로도 알려져 있다. 1972년 박정희 정부는 유신 체제를 출범시켰고, 1973년 발생한 김대중 납치 사건은 유신 체제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를 더욱 키웠다. 1973년 10월부터 박정희 정부에 대한 시위가 거세졌다.

1974년 4월 3일 박정희 대통령은 인민혁명당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금지했다. 중앙정보부는 1974년 4월 25일 국가보안법에 따라 도예종을 포함한 1024명을 영장 없이 체포했고, 그중 253명이 투옥되었다.

1975년 4월 8일, 대법원도예종, 여정남, 김용원, 이수병, 하재완, 서도원, 송상진, 우홍선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사형 선고 18시간 만에 이들에 대한 사형이 집행되었다.

한국 이름한자나이
도예종都禮鐘52
여정남呂正男32
김용원金鏞元41
이수병李銖秉40
하재완河在完44
서도원徐道源53
송상진宋相振48
우홍선禹洪善46


3. 1. 사건 전개

1972년 유신 체제 발족과 1973년 김대중 납치 사건박정희 정부에 대한 국민적 저항을 불러일으켰고, 1973년 10월부터 시위 등을 통한 박정희 정부의 유신 체제에 대한 반대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이러한 와중에 1974년 4월 3일, 박정희 대통령은 '민청학련이라는 지하 조직이 불순 세력의 배후 조종 아래 사회 각계각층에 침투해 인민 혁명을 기도한다'는 요지의 특별 담화를 발표하고, 민청학련과 관련된 일체의 활동을 금지하는 긴급조치 제4호를 공포했다.

4월 25일, 중앙정보부민청학련 사건 수사 상황 발표에서 민청학련을 '공산주의 사상을 가진 학생을 주축으로 한, 정부를 전복하려는 불순 반정부 세력'으로 규정했다. 이와 관련하여 긴급조치 제4호 및 국가보안법 등을 위반한 혐의로 1,024명이 영장 없이 체포되고, 그 중 253명이 군법회의 검찰부에 구속 송치되었다. 5월 27일, 비상보통군법회의 검찰부는 민청학련 사건 추가 발표에서 민청학련의 배후에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가 있으며, 이들이 인민혁명당을 재건해 민청학련의 국가 전복 활동을 지휘한 것으로 발표했다. 소위 '''인혁당 재건위(제2차 인민혁명당) 사건'''이다.

7월 11일, 민청학련(1심 판부), 인혁당 재건위(2심 판부), 일본인(3심 판부)으로 분리하여 재판을 진행한 비상보통군법회의 재판부는 7월 8일 군 검찰부가 구형한 그대로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 관련자 21명 중 서도원, 도예종 등 8명에게는 사형, 김한덕 등 7명에게는 무기징역, 나머지 피고인 6명에게는 징역 20년을 선고하였다.[19] 7월 13일에는 7월 9일 구형과 같이 민청학련 사건 관련자 32명 중 이철, 유인태 등 7명에 사형, 7명에 무기징역, 12명에 징역 20년, 6명에 징역 15년이 선고됐다. 2명의 일본인에게도 징역 20년이 선고됐다. 다만, 민청학련 사건 관련자들은 대부분 1975년 2월 15일 대통령 특별 조치에 의한 형 집행 정지로 석방되었다.[20]

1975년 4월 8일, 민복기 대법원장을 재판장으로 한 대법원 전원합의체에서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의 상고가 기각되어 사건 관련자 23명 중 서도원 등 8명에게는 사형, 김한덕 등 7명에게는 무기징역, 나머지 피고인에게는 징역 15~20년의 중형이 확정되었다. 이때 참여한 13명의 대법관들 가운데 이일규 대법관 혼자만이 원심 재판의 불법성을 들어 판결에 반대했다.(74도3323 판결)

1975년 4월 9일 새벽, 황산덕 법무부 장관의 서명으로 대법원에서 사형 선고를 받은 지 겨우 18시간 만에 사형 판결을 받은 8명 전원에 대한 사형이 집행되었다.

한국 이름한자나이
도예종都禮鐘52
여정남呂正男32
김용원金鏞元41
이수병李銖秉40
하재완河在完44
서도원徐道源53
송상진宋相振48
우홍선禹洪善46


3. 2. 관련 사건 및 영향

목요기도회 등에서 신원운동을 펼친 개신교 성직자 조지 오글 목사는 1974년 12월에 추방되었고, 인혁당 구명운동을 펼쳤던 가톨릭 성직자 제임스 시노트 신부는 1975년 4월 30일에 추방되었다.[21] 경찰은 사형 집행 다음 날인 1975년 4월 10일, 함세웅 신부의 응암동성당으로 향하던 송상진의 주검을 가져가 화장 처리했다. 이를 막으려던 문정현 신부는 영구차 바퀴에 깔려 다리에 큰 부상을 입었다.[22]

일본 외무성의 한 관료는 인혁당 관련 사건에 대해 한국을 야만국이라고 발언했다가 실언으로 지적되어 철회하였다.[23]

국제사면위원회 엠네스티는 비난 성명을 발표했고, 동아일보1975년 4월 11일 자 1면에 이를 보도했다.[24]

4. 사건 관련자

1975년 4월 9일,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으로 8명이 사형 집행되었고, 그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중형을 선고받았다.[31]

형량이름
무기징역이태환, 유진곤, 전창일, 이성재, 김한덕, 라경일, 강창덕
징역 20년정만진, 이재형, 조만호, 김종대
징역 15년전재권, 황현승, 이창복, 임구호


4. 1. 사형 집행자

1975년 4월 9일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 사건으로 사형이 집행된 여덟 명은 다음과 같다.[7]

이름한자당시 나이직업
서도원徐道源53전 대구매일신문 기자
김용원金鏞元41경기여고 교사
이수병李銖秉40일어학원 강사
우홍선禹洪善46한국골든스템프사 상무
송상진宋相振48양봉업
여정남呂正男32경북대학교 학생회장
하재완河在琓44건축업
도예종都禮鍾52삼화토건 회장


4. 2. 사형 판결 대법관

1975년 4월 8일 이들에게 사형을 판결한 대법원 판사들은 다음과 같다.[31]

성명한자직책
민복기閔復基대법원장
민문기閔文基대법원판사
안병수安秉洙대법원판사
양병호梁炳皓대법원판사
한환진韓桓鎭대법원판사
주재황朱宰璜대법원판사
임항준任恒準대법원판사
이일규李一珪대법원판사


  • 이 중에서 이일규 판사만 소수의견을 냈다.

4. 3. 기타 관련자

5. 사건 이후의 평가와 논란

사건 발생 초기부터 사건 관계자 및 민주화 운동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인민혁명당 사건이 한국 정부, 특히 중앙정보부(KCIA)에 의해 조작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2]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사건 직후 '진실 고백'에서 인민혁명당 사건이 정부 당국의 조작에 불과하며, 민청학련 사건과 연동시켜 공산주의자에 의한 음모로 이용한 사실을 밝혔다고 발표했다.

노무현 정부는 2004년 11월 2일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에 "과거사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위원장 오충일)를 설치하여 진상 규명에 나섰다. 위원회는 약 1년간의 조사를 통해 2005년 12월 7일 "인민혁명당 사건은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3]

이에 한국 사법부는 2005년 12월 27일 인민혁명당 사건의 재심 청구를 받아들여 재심을 시작했다. 2007년 1월 23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대한민국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8명이 사형 선고를 받았던 "인민혁명당 사건"의 재심 판결에서 8명 전원에게 무죄를 선고했다.[5] 유족들은 "32년 만에 법적으로 명예회복되었다"며 환영했다.

2007년 8월 21일 유족들이 한국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국가배상 청구 소송에서 한국 정부에 총 637억의 손해배상금을 유족들에게 지급하라는 판결이 내려졌다.[13] 유족들은 판결 직후 기자회견에서 배상금을 바탕으로 기금을 만들어 희생자 추모 사업과 인권·통일 사업에 사용할 것을 밝혔다.

2008년 1월 23일 인민혁명당 사건으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한 14명에 대해서도 서울중앙지방법원은 무죄 판결을 내렸다.[14]

5. 1. 보수 진영의 시각

제1차 인민혁명당 사건에 연루되었던 박범진 전 국회의원은 2010년 인터뷰에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4학년 때인 1963년 입당할 때 문서로 된 당의 강령과 규약을 직접 봤고 북한산에 올라가서 오른손을 들고 입당선서도 했다"고 증언하며 인혁당이 실제로 국가 변란을 기도한 지하조직이었다는 사실을 긍정했다. 그는 "당시 인혁당의 강령 내용은 민족 자주적인 정권을 수립해서 북한과의 협상으로 통일을 시도한다는 것이었다"고 밝히며, 과거사 위원회의 발표처럼 지하당이 아닌 이념서클이었다면 구성원을 비밀로 할 필요가 있었겠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25]

안병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2011년 5월 26일에 출간한 저서 《보수가 이끌다-한국 민주주의 기원과 미래》에서 인혁당은 남한에서 자발적으로 생긴 공산혁명을 위한 조직이었다고 증언했다.[26]

한기홍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대표는 저서 ‘진보의 그늘’에서 “인혁당은 혁신계 인사들의 실체 없는 써클 수준의 모임보다는 강령과 규약을 갖추고 혁명운동을 시도한 비합법 지하조직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27]

5. 2. 진보 진영의 시각

민주당과 그 지지자들, 한겨레, 경향, MBC 등 좌익 성향 언론들은 인혁당 사건을 사법살인이자 박정희 정권 시기에 일어난 인권 탄압의 대표적인 사례로 강력하게 비판한다.[29] 이들은 이 사건을 국가가 법을 이용하여 무고한 국민들을 희생시킨 비극적인 사건으로 규정한다.

김형욱은 자신의 회고록 《혁명과 우상》에서 이 사건이 박정희이후락의 직접적인 지령에 따라 신직수와 그의 심복 이용택이 조작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10년 전에 증거 부족으로 석방되었던 사람들을 다시 정부 전복 혐의로 잡아넣었다고 폭로했다.[30]

6. 진상 규명과 재심

2002년 9월 12일,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인혁당 사건이 중앙정보부의 조작이라고 발표하였다.[1] 2004년 11월 2일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과거사위)는 인혁당 사건의 진상 규명 조사를 개시하였다. 2005년 12월 7일, 과거사위는 "인혁당 사건은 조작"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3]

2005년 12월 27일, 재판부는 2차 인혁당 사건(인혁당 재건위 사건)에 대한 재심 소를 받아들였다. 2007년 1월 23일, 서울 중앙지법은 인혁당 재건위 사건 관련자 8명에게 무죄를 선고하였다.[5] 이는 32년 만의 법적 명예회복이었다. 2007년 8월 21일, 인혁당사건 희생자 유족들이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서울지방법원은 국가가 총 6370억을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13] 유족들은 배상금을 바탕으로 기금을 만들어 희생자 추모 사업과 인권·통일 사업에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1차 인혁당 사건에 대해서도 재심이 청구되어, 2013년 11월 28일 재심에서 무죄 판결이 내려졌다. 다만, 9명만 무죄 판결을 받았고 4명은 여전히 유죄 판결을 받았다.

2010년 1월 28일에는 민청학련사건에 연루되어 10개월간 복역했던 일본인 다치카와 마사키(太刀川正樹)에 대한 재심 판결에서도 무죄가 선고되었다.

7. 사건의 의의와 영향

현재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인민혁명당 사건의 의의와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충분히 담겨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기에는 정보가 부족합니다. 다만, 원본 소스에 나타난 내용을 바탕으로 간략하게 서술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970년대 초,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 체제와 김대중 납치 사건으로 인해 대한민국 내에서는 유신 반대 여론과 시위가 거세게 일어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KCIA는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관련자들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했고, 이 과정에서 도예종 등 23명이 인민혁명당 재건 혐의로 구속되었다.[7] 1975년 대법원도예종을 포함한 8명에게 사형을 선고했고, 이 판결은 18시간 만에 집행되었다.[7]

이 사건은 유신 체제 하에서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억압받았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원본 소스 보강 후 작성 가능)

7. 1.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영향

1972년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정부 출범과 1973년 김대중 납치 사건으로 인해, 1970년대 초반 대한민국에서는 유신체제에 반발하는 국내 여론이 급증하고 시위가 활발해졌다. 이러한 가운데, KCIA는 "공산주의 정권 수립을 노리는 반정부 단체"인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관계자들을 검거하기 시작했고(민청학련 사건), 그 과정에서 1974년 4월 8일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도예종을 포함한 23명을 체포했다. 그들의 죄명은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를 설립하여 인혁당을 재건하고, 민청학련의 국가 전복 활동을 지휘한 것"이었다.[7]

1975년 4월 8일, 대법원도예종과 7명의 피고인에게 사형을 선고하고, 다른 피고인들에게는 징역 15년의 유죄 판결을 내렸다.[7] 사형수들의 사형 집행은 판결 후 불과 18시간 후인 9일 아침에 이루어졌다.

참조

[1] 뉴스 In Seoul, marking a somber anniversary of executions https://www.nytimes.[...] 2005-04-11
[2] 웹사이트 〈今日は何の日?〉4月9日版 http://www1.korea-np[...]
[3] 웹사이트 国家情報院、「人革党・民青学連事件はねつ造」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05-12-08
[4] 신문 74年の韓国政府転覆事件『朴政権のでっちあげ』 情報院究明委 2005-12-08
[5] 뉴스 ‘인혁당’ 사형 8명 재심서 무죄판결 (‘人革党’死刑8名再審査 無罪判決) http://news.khan.co.[...] 2007-01-23
[6] 신문 北傀받고 國家變亂陰謀 革新系・言論人・教授・學生・會社員등 人民革命黨41名拘束(北傀より国家変乱陰謀 革新系・言論人・教授・学生・会社員など人民革命党41名拘束) http://gonews.kinds.[...] 1965-08-14
[7] 신문 36명上告기각 2명還送 大法 人革黨사건등 36명 上告審판결 8명死刑 9명無期확정(36名上告棄却 大法人革党事件など36名上告審判決 8名死刑、9名無期確定) http://gonews.kinds.[...] 1975-04-08
[8] 뉴스 “인혁당 사건…왜 법관됐나 후회도 했다” (“人革党事件・・・なぜ法官になったのか後悔もした”) http://news.khan.co.[...] 2007-01-29
[9] 뉴스 남민전 삐라와 RO(?) 전단지(南民戦ビラとRO(?)チラシ) http://www.newstown.[...] 2015-02-27
[10] 뉴스 오늘속으로(11월22일) http://news.naver.co[...] 2003-11-21
[11] 뉴스 남민전 사건 29명 명예회복…총 밀반출도 민주화 인정 논란(南民戦事件29人の名誉回復...銃不法搬出も民主化認定で議論) http://news.donga.co[...] 2006-03-15
[12] 서적 분단후의 한국정치 1945~1986 木鐸社
[13] 뉴스 “인혁당 유족에 245억 배상하라” (“人革党遺族に245億賠償せよ”) http://news.khan.co.[...] 2007-08-21
[14] 뉴스 [200자 뉴스]‘인혁당 복역’ 14명 무죄 선고([200字ニュース]‘人革党服役’14名無罪宣告) http://news.khan.co.[...] 2008-01-23
[15] 뉴스 인혁당 배상금 이자합쳐 637억.." 일부 재단 출연 https://news.naver.c[...] 2007-08-21
[16] 웹인용 http://news.khan.co.[...]
[17] 뉴스 인혁당 및 민청학련 사건 주요 일지 https://news.v.daum.[...] 2005-12-07
[18] 뉴스 ‘인혁당’ 기소 검사 승승장구…항명 검사 좌천-사표 http://www.hani.co.k[...] 2010-04-25
[19] 뉴스 민청학련(下)-속전속결 군사재판 http://news.hankooki[...] 2003-10-16
[20] 뉴스 "유신 저항 확산되자 긴급조치로 인혁당 재건위 사건 조작" https://news.v.daum.[...] 2012-09-11
[21] 서적 인혁당 재심 무죄판결의 경과와 의의
[22] 뉴스 세계 최악의 사법살인, 조작부터 사형까지 박정희 작품 http://media.daum.ne[...] 2011-11-14
[23] 웹인용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4] 웹인용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5] 뉴스 “인혁당 實在했다”는 박범진 씨의 용기 있는 증언 https://www.donga.co[...] 2010-06-30
[26] 뉴스 안병직 교수 증언록을 통해 본 '5대 시국사건' http://news.donga.co[...] 2010-05-25
[27] 뉴스 인혁당 사건의 진실은? http://www.newstown.[...] 2012-09-12
[28] 뉴스 "인혁당 논란"에 캠프도 당혹…박근혜는 요지부동 https://news.v.daum.[...] 2012-09-11
[29] 뉴스 '인혁당 통일열사 43주기' 문 대통령 화환 https://news.naver.c[...] 2018-04-09
[30] 서적 혁명과 우상 인물과사상사 2009
[31] 문서 인혁당 재건위 사건의 경과와 의미 http://ktruth2.wizem[...] 2012-09-12
[32] 뉴스 절체절명의 이 순간, 열사들의 뜨거운 투지가 함께 하길 http://www.tongilnew[...] 2019-04-09
[33] 뉴스 ‘인혁당 사건’ 김한덕 범민련 전 부의장 별세 https://news.naver.c[...] 2020-11-09
[34] 뉴스 '인혁당 사건' 등 7번 체포…강창덕 민주당 대구시당 고문 별세(종합) https://www.yna.co.k[...] 2021-09-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