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외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과의는 질병, 부상, 기형을 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하는 의사를 의미한다. 외과의의 역사는 기원전 6세기의 인도 의사 수슈루타에서 시작되며, 이슬람 황금 시대의 알자라위는 중세 최고의 외과의로 평가받는다. 유럽에서는 이발사 외과의가 수술을 담당하다가, 19세기에 외과가 독립적인 의학 분야로 자리 잡았다. 외과는 심장흉부외과, 일반외과, 신경외과 등 다양한 전문 분야로 나뉘며, 각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많은 선구자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과 의사 - 가브릴 일리자로프
    가브릴 일리자로프는 소련의 정형외과 의사로, 외부 고정 장치인 일리자로프 기구를 개발하여 골절 치료 및 사지 뼈를 늘리거나 재형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뼈가 자라도록 하는 원리를 발견하고 쿠르간에 연구소를 설립하여 이 기법을 발전시켰다.
  • 외과 의사 - 미노와 노보루
    미노와 노보루는 홋카이도에서 8선 중의원 의원을 지낸 일본의 정치인이자 의사로, 스즈키 젠코 내각에서 우정대신을 역임했으며 홋카이도 신칸센 계획 추진과 자위대 이라크 파병 반대 운동에 참여했다.
  • 의료 관련 직업 -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이며,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의료법에 따라 응급처치 업무를 수행한다.
  • 의료 관련 직업 - 치과의사
    치과의사는 구강 건강을 책임지는 의료 전문가로서, 충치 치료, 치열 교정, 구강외과 수술 등 다양한 치료를 제공하며, 첨단 기술 발전과 함께 직무 스트레스 문제에도 직면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외과의
진료 분야
전문 분야외과
업무
주요 업무수술 집도
추가 정보
수술 건수 (2012년)약 3억 1300만 건
수술 안전 점검표세계 보건 기구의 수술 안전 점검표 활용

2. 역사

이슬람 황금기에 태어난 알자흐라위. 외과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사서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외과의는 기원전 6세기의 인도사람 수슈루타이다.[43] 그는 성형수술을 집도했고, 개방코성형술을 시술한 기록도 존재한다.[43] 그의 걸작인 《수슈루타 삼히타/सुश्रुतसंहिताsa》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학 서적 중 하나로, 외과술 뿐 아니라 아유르베다에 대해서도 가장 근본이 되는 문서로 인정받는다.[44]

수슈루타 이후 나타난 가장 유명한 외과의는 이슬람 황금기의 의사인 알자흐라위로, 중세시대 최고의 외과의라는 평가를 받는다.[45] 알자흐라위는 당시 의술에 대해 알려진 모든 것을 집대성한 30권의 의학백과 《알타스리프/كتاب التصريف لمن عجز عن التأليفar》를 편찬했다.[46] 자궁외 임신을 처음으로 발견했으며, 혈우병이 유전병이라는 것도 처음으로 알아냈다.[47] 알자흐라위의 발견은 이후 집도되는 모든 수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18세기에 영국에서 외과가 독립적인 의학 분야로 등장하기 전까지는 외과는 거의 간과되었다.[25]

유럽에서 수술은 대부분 결투현상에서 고용된 이발사 외과의가 집도했는데,[48] 이후 생리학과 의학에서도 수술을 일상적 의료행위의 하나로 집행하기 시작하면서 따로 분류되었다. 19세기가 되면 더 이상 이발사 외과의는 찾아볼 수 없으며, 대부분의 수술은 수술에 특화된 의사에 의해 집행되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말까지도 외과의는 군의관을 부르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2. 1. 세계 외과의 역사



사서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외과의는 기원전 6세기의 인도사람 수슈루타이다.[43] 그는 성형수술을 집도했고, 개방코성형술을 시술한 기록도 존재한다.[43] 그의 걸작인 《수슈루타 삼히타''सुश्रुतसंहिता''》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학 서적 중 하나로, 외과술 뿐 아니라 아유르베다에 대해서도 가장 근본이 되는 문서로 인정받는다.[44]

수슈루타 이후 나타난 가장 유명한 외과의는 이슬람의 황금 시대의 의사인 알자라위로, 중세시대 최고의 외과의라는 평가를 받는다.[45] 알자라위는 당시 의술에 대해 알려진 모든 것을 집대성한 30권의 의학백과 《알타스리프''Kitab al-Tasrif''》를 편찬했다.[46] 자궁외임신을 처음으로 발견했으며, 혈우병이 유전병이라는 것도 처음으로 알아냈다.[47]

알자라위의 발견은 이후 집도되는 모든 수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18세기에 영국에서 외과가 독립적인 의학 분야로 등장하기 전까지는 외과는 거의 간과되었다.[25]

유럽에서 수술은 대부분 결투현상에서 고용된 이발사 외과의가 집도했는데,[48] 이후 생리학과 의학에서도 수술을 일상적 의료행위의 하나로 집행하기 시작하면서 따로 분류되었다. 19세기가 되면 더 이상 이발사 외과의는 찾아볼 수 없으며, 대부분의 수술은 수술에 특화된 의사에 의해 집행되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말까지도 외과의는 군의관을 부르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2. 2. 동아시아 외과의 역사

일본에서는 《태평기》에서 처음으로 외과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는데, 무로마치 시대에 수술의 빈도가 늘어남에 따라 외과의 별칭으로 외경(外境)이라는 용어도 사용되었다.[49] 1559년에 만들어진 일본어사전 《이로하 자서''いろは字書''》에서는 게키쿄샤(: 外痙者, 外經者, 外境者)를 외과의사라고 설명하고 있다.

16세기 중엽에는 전장의 상처를 외과적으로 처치하는 금창의라고 불리는 외과의사들이 등장했다.[49]

에도시대에는 금창이 발전하고 난학과 융합하여 기록에 남는 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전신마취수술을 성공시킨 하나오카 세이슈 등이 나왔다.

2. 3. 한국 외과의 역사

수술타는 기원전 6세기 인도의 의사이자 외과의로, 성형외과를 전문으로 하였으며 비강 개방 성형술의 절차를 문서화하였다.[21] 그의 대표 저서 『수술타 삼히타/Sushruta Samhita영어』는 현존하는 고대의 가장 중요한 의학 전문서 중 하나이며, 아유르베다와 외과학 모두에서 근간이 되는 문헌으로 여겨진다. 이 전문서는 일반 의학의 모든 측면을 다루고 있지만, 외과 치료에 대한 상세한 묘사로 인해 번역가 G. D. 신할은 수술타에게 "외과적 개입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붙였다.[22]

이슬람 황금기의 외과의 알자흐라위(936-1013)는 효과적인 의료 행위로 외과 치료를 재확립하였다. 그는 이슬람 세계에서 나타난 가장 위대한 중세 외과의로 여겨지며, "외과의 아버지"라고도 평가받는다.[23] 그의 가장 위대한 의학적 공헌은 30권에 달하는 의료 행위 백과사전 『해부학 서/Al-Tasrif영어』이다.[24] 그는 자궁외 임신을 기술하고, 혈우병의 유전적 특성을 규명한 최초의 의사였다.[25]

유럽에서는 외과학이 주로 이발사 외과의와 관련이 있었고, 그들은 이발 도구를 사용하여 외과적 처치를 했다.[26] 의학과 생리학의 발전에 따라 이발사와 외과의의 직업이 분리되었다. 19세기까지 이발사 외과의는 사실상 사라졌고, 외과의는 거의 항상 외과학을 전문으로 하는 자격을 갖춘 의사가 되었다.

3. 영연방 국가에서의 외과 의사 호칭

1950년, 런던의 영국 왕립 외과 의사 협회(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 RCS)는 외과의에게 RCS 회원 자격을 통해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하기 시작했다.[9] "미스터(Mister)"라는 호칭은 명예의 징표가 되었고, 오늘날 많은 영연방 국가에서는 최소 4년 이상의 수련을 거쳐 외과 자격증을 취득한 (이전에는 왕립 외과 의사 협회 펠로우(Fellow of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였지만, 현재는 왕립 외과 의사 협회 회원(Member of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 또는 기타 여러 가지 자격증을 포함) 의사에게는 전문적인 활동 중에 자신을 Mr, Miss, Mrs, 또는 Ms라고 부를 수 있는 영예가 주어졌다.[9] 하지만 이 경우 그 의미는 다르다. 때때로 호칭 변경이 컨설턴트 지위를 의미한다고 생각되지만 (일부는 비외과 컨설턴트도 Mr라고 생각하는 실수를 저지릅니다), 북미 이외 지역의 대학원 의학 수련 기간은 상당히 길어 자격을 갖춘 외과의가 그러한 직책을 얻기까지는 수년이 걸릴 수 있다.[9] 많은 의사들이 이전에 수석 의무 담당관(senior house officer) 직급에서 이러한 자격을 취득했고, 세부 전문 분야 수련을 시작했을 때도 그 직급을 유지했다.[9] "Mr"(및 기타 호칭)의 구분은 아일랜드 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의 일부 주, 바베이도스,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및 기타 일부 영연방 국가의 외과의들도 사용한다.[9] 2021년 8월, 왕립 오스트레일리아시아 외과의 협회(Royal Australasian College of Surgeons)는 이 관행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성 중립적인 호칭인 "Dr" 또는 "교수"와 같은 적절한 학술적 호칭을 사용할 것을 장려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다.[10]

4. 군대에서의 외과 의사

많은 영어권 국가에서는 용어의 역사적 발전으로 인해 외과의를 뜻하는 "surgeon"이라는 군사적 경칭이 외과 전문의가 아니더라도 모든 의료 종사자에게 적용된다. 미 육군 의무병과(US Army Medical Corps)는 부상병에게 외과 치료를 전담하는 군인에게 장교 급여 계급으로 다양한 "surgeon"이라는 미군 직업 코드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미군의 "Surgeon General"은 군의총감으로 번역되는 직책이다.

일본에서는 전국 시대에 전쟁에서의 칼에 의한 상처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외과의를 "금창의"라고 불렀다. 상처 치료를 전문으로 다룬 의서가 이 시기에 나타나기 시작했고, 그 지혈 기술이 출산 시 처치에 응용될 수 있다고 여겨져 이 시대에 산과의가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메이지 시대가 되면 대일본제국군의 창설에 따라 군의 제도가 만들어졌고, 외과, 내과에 관계없이 그들은 "군의"라고 불렸다. 제2차 세계 대전의 패전을 거쳐 일본군이 해체됨과 함께 군의도 폐지되었다. 새롭게 전수방위를 기본으로 하는 자위대가 창설된 이후로는 자위대 활동에서 대원의 상병 치료를 담당하는 직책을 "의관"이라고 부르고 있다.

5. 외과의 전문 분야

『그로스 클리닉』(1875년). 필라델피아 미술관, 펜실베이니아 미술 아카데미 소장


외과의 전문 분야는 다음과 같다.[31][32][33][34][35][36]

  • 심장흉부외과 (미국에서는 심장외과와 통합, 일본에서는 심혈관외과의 일부)
  • 대장외과 (일본에서는 하부소화관외과, 대장, 항문, 소장 수술 담당)
  • 두개안면외과
  • 치과외과 (대부분의 치과 치료는 외과적 행위)
  • 내분비외과
  • 일반외과
  • 신경외과
  • 산부인과
  • 안과
  • 구강악안면외과
  • 정형외과
  • 이비인후과
  • 소아외과
  • 성형외과
  • 족부외과
  • 외과종양학
  • 흉부외과 (일본에서는 호흡기외과)
  • 이식외과
  • 외상외과
  • 상부위장관외과 (일본에서는 소장보다 위쪽에 있는 소화기관에 대응하며, 하부소화관외과와 함께 소화기외과로 묶는 경우가 많음)
  • 비뇨기과 (유럽과 미국에서는 외과의 한 분야)
  • 혈관외과 (일본과 미국에서는 심혈관외과의 일부)


일반의, 가정의학과 또는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 일부는 제한된 범위의 경미하거나 흔하거나 응급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마취는 종종 수술과 함께 이루어지며, 마취과 의사와 마취 간호사가 수술의 이 부분을 감독할 수 있다.[34] 외과 의사 조수, 외과 간호사, 외과 기술사는 외과 의사를 지원하는 훈련받은 전문가이다.

미국 노동부는 외과 의사를 "기구, 장치 또는 수동 조작을 사용하는 등 침습적, 최소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 수술 방법으로 질병, 부상 및 기형을 치료하는 의사"로 설명한다.[11][35] 일본 후생노동성은 외과의의 업무를 "주로 수술 등으로 환자의 질병이나 외상의 치료를 한다"고 설명한다.[36]

6. 선구적인 외과 의사

러시아 외과의 니콜라이 피로고프(Nikolay Pirogov) – 야전외과의 선구자


빅터 호즐리(Victor Horsley)는 신경외과의 선구자였다.


러시아의 외과의 니콜라이 피로고프(ニコライ・ピロゴフ) - 야전 의료의 선구자


화가 청주(華岡青洲), 세계 최초로 전신마취를 이용한 수술에 성공

  • 크리스티안 바르나르 (심장 수술, 최초의 심장 이식)
  • 알프레드 블래록 (1944년 최초의 성공적인 현대식 개심술)
  • 니나 스타르 브라운왈드 (최초의 여성 심장외과의)
  • 도로시-라비니아 브라운 (최초의 흑인 여성 외과의)
  • 빅터 창 (심장 이식의 호주 선구자)
  • 하비 커싱 (현대 신경외과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선구자)
  • 엘리너 데이비스-콜리 (외과의이자 사우스 런던 여성 및 어린이 병원 설립자)
  • 마이클 드베이키 (심장 수술 분야의 교육자이자 혁신가)
  • 르네 파발로로 (우회 수술을 최초로 시행한 외과의)
  • 스비아토슬라브 표도로프 (각막방사상절개술의 창시자)
  • 해롤드 길리스 (성형외과의 선구자)
  • 제시 그레이 (존스홉킨스 병원 최초의 여성 외과과장)
  • 윌리엄 스튜어트 홀스테드 (미국에서 외과 레지던트 교육을 시작한 다양한 분야의 선구자)
  • 마이클 R. 해리슨 (태아 수술의 선구자)
  • 빅터 호즐리 경 (신경외과)
  • 존 헌터 (스코틀랜드 출신, 현대 외과의 아버지로 여겨짐. 수백 건의 해부를 실시했으며 지킬 박사의 모델이 됨.)
  • 가브릴 일리자로프, 사지 뼈 연장과 그 이름을 딴 수술법인 일리자로프 수술을 위한 일리자로프 장치의 발명가
  • 찰스 켈먼 (현대 백내장 수술 기법인 초음파 유화술을 발명함)
  • 라스 렉셀 (신경외과, 방사선 수술 발명가)
  • C. 월턴 릴레히 ("현대 개심술의 아버지"로 불림)
  • 조셉 리스터 (외과 패혈증 발견자,[12] 그의 이름을 딴 리스테린[12])
  • B. K. 미스라 – 세계 최초로 동맥류에 대한 영상 유도 수술을 시행한 신경외과의, 남아시아 최초로 정위 방사선 수술을 시행, 인도 최초로 각성 두개골 절개술과 복강경 척추 수술을 시행.[13]
  • 이오아니스 팔리카리스 (그리스 외과의. 인간의 눈에 최초로 LASIK 시술을 시행.[14] 에피-LASIK 개발.[15])
  • 피델 파헤스 (경막외 마취의 선구자)
  • 와일더 펜필드 (신경외과)
  • 고람 A. 페이만 (LASIK 발명가,[16])
  • 니콜라이 피로고프 (야전외과의 창시자)
  • 제니 시밀리 로버트슨 (캐나다 최초의 여성 외과의)
  • 발레리 슈마코프 (인공 장기 이식의 선구자)
  • 마리아 시미오노프 (거의 전면적인 안면 이식 수술의 선구자)
  • 토마스 E. 스타즐 (간 이식 개발의 선구자[17])
  • 수술타 (개방형 코성형술 수술을 최초로 기록한 사람[3])
  • 폴 테시에 (두개안면 수술 분야의 프랑스 외과의)
  • 메리 에드워즈 워커 (미국 최초의 여성 외과의)
  • 가지 야사르길 (터키 신경외과의, 현미경 신경외과의 창시자)
  • 알자라위 (가장 위대한 중세 외과의 중 한 명이자 외과의 아버지로 여겨짐.[18])
  • 테오도어 빌로트 - 위암 절제 수술에 최초로 성공.

7. 외과 관련 단체


  • ACFAS
  • FACS
  • FRACDS
  • FRACS
  • FRCS
  • FRCS (Canada)
  • FRCS (Edinburgh)
  • FRCSI (Ireland)
  • MRCS
  • 대한외과학회
  • 대한여성외과의사회 - 2009년 11월 발족[42]
  • 미국외과의사회(ACS)
  • 영국왕립외과의사회 펠로우(FRCS)
  • 오스트레일리아왕립외과의사회(RACS)
  • 캐나다왕립의과대학(RCS (Canada))

참조

[1] 논문 Estimate of the global volume of surgery in 2012: An assessment supporting improved health outcomes
[2]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Used to Enhance Implementation of and Compliance wit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urgical Safety Checklist in Adult Surgery https://eprints.mdx.[...] 2023-02-28
[3] 서적 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Thieme Medical Pub.
[4] 서적 Diagnostic considerations in ancient Indian surgery: (based on Nidāna-Sthāna of Suśruta Saṁhitā) Singhal Publications
[5] 논문 Al-Zahrawi – The Father of Surgery
[6] 서적 Albucasis on surgery and instrumen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05-16
[7] 서적 Handbook to Life in the Medieval World Infobase Publishing
[8] 웹사이트 Surgeons and Surgical Spaces #The barbers shop https://www.sciencem[...] 2020-05-05
[9] 웹사이트 Patients: The Surgical Team: Qualifications of a surgeon https://www.rcseng.a[...] 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 2015-06-13
[10] 웹사이트 RACS phases out gendered titles for surgeons https://www.surgeons[...] Royal Australasian College of Surgeons 2021-08-31
[11] 웹사이트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 Occupational Employment and Wages, May 2015: 29-1067 Surgeons http://www.bls.gov/o[...] 2016-04-26
[12] 웹사이트 Joseph Lister's antisepsis system https://www.sciencem[...] 2024-04-28
[13] 웹사이트 Basant Kumar Misra, President NSI 2008 http://www.neurosoci[...] Neurological Society of India
[14] 웹사이트 A Look at LASIK Past, Present and Future http://www.aao.org/e[...]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2009-06-01
[15] 웹사이트 When Cornea Transplants Fail. What Next? http://www.eri.harva[...] Harvard University
[16] 특허 Method for modifying corneal curvature
[17] 웹사이트 The Transplanted Organs: The Liver https://www.starzl.p[...]
[18] 논문 Neuroscience in al Andalus and its influence on medieval scholastic medicine
[19] 논문 Estimate of the global volume of surgery in 2012: an assessment supporting improved health outcomes
[20]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Used to Enhance Implementation of and Compliance Wit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urgical Safety Checklist in Adult Surgery
[21] 서적 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22] 서적 Diagnostic considerations in ancient Indian surgery: (based on Nidāna-Sthāna of Suśruta Saṁhitā) Singhal Publications
[23] 논문 Al-Zahrawi - The Father of Surgery
[24] 서적 Albucasis on surgery and instrumen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05-16
[25] 서적 Handbook to Life in the Medieval World Infobase Publishing
[26] 웹사이트 Surgeons and Surgical Spaces #The barbers shop https://www.sciencem[...] 2020-05-05
[27] 웹사이트 Patients: The Surgical Team: Qualifications of a surgeon https://www.rcseng.a[...] 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 2015-06-13
[28] 웹사이트 RACS phases out gendered titles for surgeons https://www.surgeons[...] Royal Australasian College of Surgeons 2021-08-31
[29] 웹사이트 医師にお礼の手紙を書く際、敬称を何とつければいいのか https://crd.ndl.go.j[...] さいたま市立中央図書館 2019-07-05
[30] 웹사이트 金創医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31] 웹사이트 下部消化管外科ご紹介 https://www.hosp.ncg[...] 国立国際医療研究センター病院 2022-10-09
[32] 웹사이트 公式サイト https://www.jscmfs.o[...] 日本頭蓋顎顔面外科学会 2022-10-12
[33] 웹사이트 公式サイト https://www.jssf.jp/ 日本足の外科学会 2022-10-12
[34] 웹사이트 オペ室の様子と主な医療スタッフの紹介 https://www.kiharaho[...] 手術室看護師ガイド 2022-10-09
[35] 웹사이트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 Occupational Employment and Wages, May 2015: 29-1067 Surgeons http://www.bls.gov/o[...] 2016-04-26
[36] 웹사이트 外科医 https://shigoto.mhlw[...] 2022-10-09
[37] 논문
[38] 웹사이트 RK(アールケー)Radial Keratotomy https://www.sangubas[...]
[39] PDF http://www.neurosoci[...] 2022-03-00
[40] 웹사이트 A Look at LASIK Past, Present and Future http://www.aao.org/e[...] 2022-10-09
[41] 웹사이트 When Cornea Transplants Fail. What Next? http://www.eri.harva[...]
[42] 웹사이트 日本女性外科医会 発足式 http://jaws.umin.jp/[...] 2022-10-10
[43] 서적 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44] 서적 Diagnostic considerations in ancient Indian surgery: (based on Nidāna-Sthāna of Suśruta Saṁhitā) Singhal Publications
[45] 논문 Al-Zahrawi - The Father of Surgery
[46] 서적 Albucasis on surgery and instrumen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05-16
[47] 서적 Handbook to Life in the Medieval World Infobase Publishing
[48] 웹사이트 Surgeons and Surgical Spaces #The barbers shop https://www.sciencem[...] 2020-05-05
[49] 웹사이트 九州大学付属図書館展「東西の古医書に見られる病と治療 - 附属図書館の貴重書コレクションより」 https://www.lib.ky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