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코스카 진수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코스카 진수부는 1876년 일본 제국 해군이 요코스카에 설치한 진수부로, 도쿄만 입구의 전략적 요충지였다. 1871년 해군제독부 조항 마련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개칭 및 조직 개편을 거쳤다. 1884년 '요코스카 진수부'로 개칭되었으며, 요코스카 해군 조선소와 해군 병원을 관할했다.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해군 기지, 잠수함 기지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부대를 소속했으며, 1945년 종전 후 미군에 의해 접수되어 주일 미 해군 기지로 사용되다가, 1945년 11월 30일 폐지되었다. 현재는 해상자위대 요코스카 지방대가 그 역할을 일부 계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코스카시의 건축물 - 요코스카 해군 시설
    요코스카 해군 시설은 도쿠가와 막부 시대 조선소에서 출발하여 일본 제국 해군의 주요 기지로 성장,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 해군에 접수되어 현재 제7함대의 주요 기지로 운영되고 있으며, 다양한 시설과 지역 사회 교류를 포함하지만 핵추진 항공모함 배치 등 논란도 있다.
  • 요코스카시의 건축물 - 요코스카 해군공창
    요코스카 해군공창은 1865년 요코스카 제철소로 시작하여 메이지 유신 후 요코스카 조선소, 해군 조병창을 거쳐 1903년 요코스카 병기창과 합병, 대일본제국 해군의 핵심 기지로서 군함을 건조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군에 접수되어 폐쇄, 현재는 요코스카 미 해군 기지 통제 하에 일부 시설이 사용되고 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기지 - 진해 경비부
    진해 경비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진해 요항부를 확대 개편하여 설치한 2차 해군 기지로, 전략적 요충지를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해방 후 대한민국 해군이 기지를 인수하여 현재까지 주요 해군 기지로 사용하고 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기지 - 사세보 해군공창
    사세보 해군공창은 사세보항을 군항으로 정비하기로 결정한 1886년에 기원을 둔 일본 제국 해군의 공창으로, 함정 수리 및 보급 기지 역할을 수행하며 경순양함, 구축함, 보조 함정 등을 건조하고 항공모함 개장 공사를 담당했으며, 현재는 주사세보 미국 해군 시설과 사세보 중공업으로 재편되어 운영되고 있다.
  • 일본 해군의 기지 - 마이즈루 기지
    마이즈루 기지는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있는 해상자위대의 주요 기지로, 마이즈루 지방대, 제3호위대군, 제23항공대 등 여러 부대와 시설을 갖추고 일본해 방위 및 재해 대응 임무를 수행하며 환경 및 지역 안보에 대한 우려가 있다.
  • 일본 해군의 기지 - 사세보 해군 기지
    사세보 해군 기지는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미국 해군 기지로, 과거 일본 제국 해군 기지에서 출발하여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유엔군과 미군의 주요 출항 기지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는 미국 제7함대와 해상자위대의 모항으로 사용되며 급유 및 탄약 보급 시설을 갖추고 있다.
요코스카 진수부
개요
명칭요코스카 진수부
로마자 표기Yokosuka Chinju-fu
요코스카 진수부 본부 청사
요코스카 진수부 본부 청사
위치일본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
역사
설립1884년
해체1945년
배경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제국 해군 창설
프랑스 해군의 지원을 받아 건설
주요 역할도쿄 만 입구를 방어
함대 유지 및 보급
해군 기지 역할
조직
사령장관요코스카 진수부 사령장관
주요 시설본부 청사
조선소
병기창
해군 병원
해군 감옥
역할 및 기능
군사적 역할관할 해역 경비
소속 함정의 보급, 수리, 정비
해군 인력 양성
태평양 전쟁 기간 중 군수 지원 기지 역할
사회적 역할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주민과의 교류
관련 시설
현재미 해군 요코스카 해군 시설
해상자위대 요코스카 지방대
요코스카 해군 병원
기념 함정 미카사
기타
참고요코스카는 일본 해군의 중요한 거점이었음
현재도 미 해군과 해상자위대의 주요 기지가 위치

2. 역사

1871년 《해군규칙》에 ‘해군제독부’ 조항이 마련되었고, 1876년 '제독부'를 '진수부'로 개칭하면서 요코스카에 '동해진수부'를 설치하기로 결정했다.[15] 그러나 같은 해 9월 14일 ‘동해진수부’는 요코하마에 설치되었고, 나가사키에 설치하기로 한 '서해진수부'는 설치되지 못했다.

1884년 12월 15일 ‘동해진수부’를 요코스카로 이전하고 ‘요코스카 진수부’로 개칭했다.[1] 1886년 4월 22일 《해군조례》에 따라 전국을 5개의 ‘해군구’로 나누면서, 요코스카 진수부는 제1해군구로 지정되었다. 관할 구역은 리쿠추국 무쓰국 경계에서 기이국 미나미무로군히가시무로군 경계, 오가사와라 제도에 이르는 해안과 해수면이었다. 초기 진수부 조직은 참모부, 군의부, 경리부, 조선부, 무기부, 건축부, 군법회의, 감옥서 등으로 구성되었다.[1]

이후 요코스카 진수부에는 어뢰 전투국(1885년), 기뢰 전투국(1889년), 해군 공학 학교 및 해군 의료 센터(1907년, 1908년), 해군 항공 시설(1912년), 무선 통신 시설(1913년) 등이 설치되었다. 1917년 1월 14일에는 장갑순양함 쓰쿠바가 요코스카 항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1921년에는 해군 건설부, 1930년에는 해군 통신 학교, 1934년에는 해군 항공 학교가 설립되었다.

일본 항복 이후, 요코스카 진수부 시설 대부분은 미국 제7함대에 의해 승계되어 현재 주일 미 해군 기지로 사용되고 있다.[1] 이 지역의 작은 부분은 해상자위대가 계속 사용하며, 현재 해상자위대 요코스카 지방대로 알려져 있다.

2. 1. 설립 배경

1871년 《해군규칙》에 ‘해군제독부’ 조항이 마련된 것이 진수부 설치의 시초이다.[6] 1876년 '제독부'를 '진수부'로 개칭하고, 요코스카에 '동해진수부' 설치를 결정했다.[15] 도쿄만 입구에 위치한 요코스카시는 도쿠가와 막부와 초기 메이지 정부에 의해 매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인식되었다. 1866년, 도쿠가와 막부 정부는 프랑스의 해군 건축가 레옹 베르니를 포함한 어용 외국인들의 도움을 받아 군사 병기창이자 해군 기지인 ''요코스카 제철소''를 설립했다. 이 시설은 도쿠가와 해군을 위해 서구식 근대 군함과 장비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었다. 보신 전쟁메이지 유신 이후, 1871년 새로운 메이지 정부는 이 시설을 인수하여 ''요코스카 조센조''(요코스카 조선소)로 이름을 변경했다.

2. 2. 초기 발전 (1884년 ~ 1912년)

1884년 12월 15일 요코하마에 있던 ‘동해 진수부’를 요코스카로 이전하고 ‘요코스카 진수부’로 개칭했다.[1] 1886년 4월 22일 《해군조례》에 따라 전국을 5개의 ‘해군구’로 나누면서, 요코스카 진수부를 제1해군구로 지정했다. 초기에는 참모부, 군의부, 경리부, 조선부, 무기부, 건축부, 군법회의, 감옥서 등으로 구성되었다.[1]

1885년 6월 24일 요코스카 수뢰국이 문을 열었고, 1886년 1월 29일 나가우라(長浦)에 수뢰영 및 무기고가 설치되는 등 군사 시설 확충이 이루어졌다.[1] 1889년 5월 16일에는 요코스카 해병단 및 요코스카 수뢰 부설부가 설치되었다.[1]

1893년 11월 29일 해군기관학교 조례가 제정되고, 12월 1일 요코스카 해군포술 연습장과 해군 수뢰 기술 연습소가 설치되는 등 교육 기관도 설립되었다.[1]

1900년대에는 항무부, 경리부, 병기창 등이 설치되었고, 1907년에는 해군 포술 연습소와 해군 수뢰술 연습소가 해군 포술 학교와 해군 수뢰 학교로 개편되었다. 1912년 6월 26일에는 해군 항공술 연구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다음은 초기 발전 과정을 요약한 표이다.

연도사건
1884년요코하마에서 요코스카로 ‘동해 진수부’ 이전, ‘요코스카 진수부’로 개칭[1]
1885년요코스카 수뢰국 개청[1]
1886년나가우라에 수뢰영 및 무기고 설치, 요코스카 진수부 제1해군구로 지정[1]
1889년요코스카 해병단, 요코스카 수뢰 부설부 설치[1]
1893년해군기관학교 조례 제정, 요코스카 해군포술 연습장, 해군 수뢰 기술 연습소 설치[1]
1900년항무부, 경리부 개설, 병기창 설치[1]
1907년해군 포술 연습소와 해군 수뢰술 연습소를 해군 포술 학교, 해군 수뢰 학교로 개편[1]
1912년해군 항공술 연구 위원회 설립[1]


2. 3. 확장과 재편 (1912년 ~ 1937년)

1912년 6월 해군 항공술 연구 위원회가 설립되고, 1913년 4월에는 해군 무선 전신소가 개설되는 등 신기술 도입에 발맞춰 시설이 확장되었다.[1]

1917년 1월 14일, 장갑순양함 쓰쿠바가 요코스카 항에서 사고로 폭발하여 침몰했다.[1] 1921년 해군 건축부가, 1923년 해군 군수부가 개설되는 등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1] 1930년 해군 통신 학교가 설립되고, 1934년 해군 항해 학교가 개교하는 등 전문 교육 기관이 확충되었다.[1]

2. 4. 태평양 전쟁 시기 (1937년 ~ 1945년)

1937년 해군 통신대가 설치되었고, 1941년에는 해군 기뢰 학교와 해군 공작 학교가 개교했으며, 잠수함 기지대가 설치되는 등 전쟁 준비가 가속화되었다.[1] 진주만 공격 당시 요코스카 진수부에는 요코스카 해군 기지, 요코스카 잠수함 기지, 요코스카 해군 항공대, 다테야마 해군 항공대, 기사라즈 해군 항공대 등이 소속되어 있었다.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요코스카 진수부의 주요 시설 및 부대는 다음과 같다.

시설/부대 종류세부 목록
요코스카 진수부 본부
요코스카 잠수함 기지
요코스카 경비 전대
기타 함선
해군 항공대
제11 연합 항공대 (훈련)



미드웨이 해전 이후에도 요코스카 진수부의 역할은 계속되었으며, 소속 부대는 지속적으로 변화, 강화되었다. 1945년 5월, 도즈카 미치타로가 요코스카 진수부의 마지막 사령관이 되었다.

요코스카는 태평양 전쟁의 마지막 단계에서 미국 해군미국 육군 항공대 항공기의 폭격을 받았는데, 특히 1945년 7월 18일의 요코스카 공습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설은 연합군에 의해 온전하게 점령되었다.

2. 5. 전후 (1945년 ~ 현재)

일본 항복 이후, 요코스카 진수부 시설 대부분은 미국 제7함대에 의해 승계되었으며 현재 주일 미 해군 기지로 알려져 있다.[1] 이 지역의 작은 부분은 해상자위대가 계속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해상자위대 요코스카 지방대로 알려져 있다. 해상자위대는 원래의 붉은 벽돌 문 일부를 보존하고 있으며, 해상자위대의 주요 거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3. 역대 사령장관

사령장관계급임명일비고
1나카무타 구라노스케중장1886년(메이지 19년) 4월 26일
2니레 카게노리중장1889년(메이지 22년) 3월 8일
3아카마쓰 노리요시중장1891년(메이지 24년) 6월 17일
4이토 스케유키중장1892년(메이지 25년) 12월 12일
5이노우에 요시카중장1893년(메이지 26년) 5월 20일
6아이우라 노리미치중장1895년(메이지 28년) 2월 16일
7쓰보이 고조중장1897년(메이지 30년) 4월 9일~ 1898년(메이지 31년) 1월 30일
8사메지마 가즈노리중장1898년(메이지 31년) 2월 1일
9아이우라 노리미치중장1899년(메이지 32년) 1월 19일재임
10이노우에 요시카중장1900년(메이지 33년) 5월 20일재임
11가미무라 히코노조중장1905년(메이지 38년) 12월 20일
12우류 소토키치중장1909년(메이지 42년) 12월 1일
13야마다 히코하치중장1912년(다이쇼 원년) 12월 1일
14이지치 스에타카중장1914년(다이쇼 3년) 5월 29일
15후지이 고이치중장1915년(다이쇼 4년) 9월 23일
16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중장1916년(다이쇼 5년) 12월 1일
17나와 마타하치로중장1917년(다이쇼 6년) 12월 1일
18야마야 타닌대장1920년(다이쇼 9년) 8월 24일
19다카라베 다케시대장1922년(다이쇼 11년) 7월 27일
20노마구치 가네오대장1923년(다이쇼 12년) 5월 15일
21호리노우치 사부로중장1924년(다이쇼 13년) 2월 5일
22가토 간지중장1924년(다이쇼 13년) 12월 1일
23오카다 게이스케대장1926년(다이쇼 15년) 12월 10일
24아보 기요카즈대장1927년(쇼와 2년) 4월 20일
25요시카와 야스히라중장1928년(쇼와 3년) 5월 16일
26야마모토 에이스케중장1928년(쇼와 3년) 12월 10일
27오스미 미네오중장1929년(쇼와 4년) 11월 11일
28노무라 기치사부로중장1931년(쇼와 6년) 12월 1일
29야마모토 에이스케대장1932년(쇼와 7년) 2월 2일재임
30노무라 기치사부로중장1932년(쇼와 7년) 10월 10일재임
31나가노 오사미중장1933년(쇼와 8년) 11월 15일
32스에쓰구 노부마사대장1934년(쇼와 9년) 11월 15일
33요나이 미쓰마사중장1935년(쇼와 10년) 12월 2일
34햐쿠타케 겐고중장1936년(쇼와 11년) 12월 1일
35하세가와 기요시중장1938년(쇼와 13년) 4월 25일
36오이카와 고시로대장1940년(쇼와 15년) 5월 1일
37시오자와 고이치대장1940년(쇼와 15년) 9월 5일
38시마다 시게타로대장1941년(쇼와 16년) 9월 10일
39히라타 노보루중장1941년(쇼와 16년) 10월 18일
40고가 미네이치대장1942년(쇼와 17년) 11월 10일
-미카와 군이치중장1943년(쇼와 18년) 4월 21일대리
41도요다 소에무대장1943년(쇼와 18년) 5월 21일
42요시다 젠고대장1944년(쇼와 19년) 5월 3일
43노무라 나오쿠니대장1944년(쇼와 19년) 8월 2일
44쓰카하라 니시조중장1944년(쇼와 19년) 9월 15일
45도쓰카 미치타로중장1945년(쇼와 20년) 5월 1일
-고무라 게이조소장1945년(쇼와 20년) 11월 20일대리 ~ 30일


3. 1. 도카이 진수부 사령장관 (1876년 ~ 1884년)

사령장관계급임명일비고
1이토 스케마로중장1876년(메이지 9년) 9월 5일
-하야시 기요야스소장1880년(메이지 13년) 3월 5일겸임
2나카무타 구라노스케중장1880년(메이지 13년) 12월 4일
3니레 카게노리소장1881년(메이지 14년) 6월 17일
-나카무타 구라노스케중장1882년(메이지 15년) 10월 12일겸임


3. 2. 요코스카 진수부 장관 (1884년 ~ 1886년)

이름계급임명일
1나카무타 구라노스케해군 중장1884년 12월 15일


3. 3. 요코스카 진수부 사령장관 (1886년 ~ 1945년)

번호이름계급임기 시작임기 종료
1나카무타 구라노스케해군 중장1886년 4월 26일1889년 3월 8일
2니레 카게노리해군 중장1889년 3월 8일1891년 6월 17일
3아카마쓰 노리요시해군 중장1891년 6월 17일1892년 12월 12일
4이토 스케유키해군 중장1892년 12월 12일1893년 5월 20일
5이노우에 요시카해군 중장1893년 5월 20일1895년 2월 16일
6아이우라 노리미치해군 중장1895년 2월 16일1897년 4월 9일
7쓰보이 고조해군 중장1897년 4월 9일1898년 1월 30일
8사메지마 가즈노리해군 중장1898년 2월 1일1899년 1월 19일
9아이우라 노리미치해군 중장1899년 1월 19일1900년 5월 20일
10이노우에 요시카해군 중장1900년 5월 20일1905년 12월 20일
11가미무라 히코노조해군 중장1905년 12월 20일1909년 12월 1일
12우류 소토키치해군 중장1909년 12월 1일1912년 12월 1일
13야마다 히코하치해군 중장1912년 12월 1일1914년 5월 29일
14이지치 스에타카해군 중장1914년 5월 29일1915년 9월 23일
15후지이 고이치해군 중장1915년 9월 23일1916년 12월 1일
16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해군 중장1916년 12월 1일1917년 12월 1일
17나와 마타하치로해군 중장1917년 12월 1일1920년 8월 24일
18야마야 타닌해군 대장1920년 8월 24일1922년 7월 27일
19다카라베 다케시해군 대장1922년 7월 27일1923년 5월 15일
20노마구치 가네오해군 대장1923년 5월 15일1924년 2월 5일
21호리노우치 사부로해군 중장1924년 2월 5일1924년 12월 1일
22가토 간지해군 중장1924년 12월 1일1926년 12월 10일
23오카다 게이스케해군 대장1926년 12월 10일1927년 4월 20일
24아보 기요카즈해군 대장1927년 4월 20일1928년 5월 16일
25요시카와 야스히라해군 중장1928년 5월 16일1928년 12월 10일
26야마모토 에이스케해군 중장1928년 12월 10일1929년 11월 11일
27오스미 미네오해군 중장1929년 11월 11일1931년 12월 1일
28노무라 기치사부로해군 중장1931년 12월 1일1932년 2월 2일
29야마모토 에이스케해군 대장1932년 2월 2일1932년 10월 10일
30노무라 기치사부로해군 중장1932년 10월 10일1933년 11월 15일
31나가노 오사미해군 중장1933년 11월 15일1934년 11월 15일
32스에쓰구 노부마사해군 대장1934년 11월 15일1935년 12월 2일
33요나이 미쓰마사해군 중장1935년 12월 2일1936년 12월 1일
34햐쿠타케 겐고해군 중장1936년 12월 1일1938년 4월 25일
35하세가와 기요시해군 중장1938년 4월 25일1940년 5월 1일
36오이카와 고시로해군 대장1940년 5월 1일1940년 9월 5일
37시오자와 고이치해군 대장1940년 9월 5일1941년 9월 10일
38시마다 시게타로해군 대장1941년 9월 10일1941년 10월 18일
39히라타 노보루해군 중장1941년 10월 18일1942년 11월 10일
40고가 미네이치해군 대장1942년 11월 10일1943년 4월 21일
임시미카와 군이치해군 중장1943년 4월 21일1943년 5월 21일
41도요다 소에무해군 대장1943년 5월 21일1944년 5월 3일
42요시다 젠고해군 대장1944년 5월 3일1944년 8월 2일
43노무라 나오쿠니해군 대장1944년 8월 2일1944년 9월 15일
44쓰카하라 니시조해군 중장1944년 9월 15일1945년 5월 1일
45도즈카 미치타로해군 중장1945년 5월 1일1945년 11월 20일
임시고무라 게이조해군 소장1945년 11월 20일1945년 11월 30일


4. 소속 부대

(요약)에서 주어진 정보와 같이, 요코스카 진수부에는 다양한 부대가 소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소속 부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요약문의 내용 이상을 덧붙일 수 없다.

4. 1. 1941년 12월 10일 (태평양 전쟁 개전 시)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요코스카 진수부는 다음과 같은 시설을 포함했다.

시설 종류세부 시설
요코스카 진수부 본부
요코스카 잠수함 기지
요코스카 경비 전대
잠수함 모함 고마하치
구축함
해군 항공대
제11 연합 항공대 (훈련)



이는 대동아 전쟁 개전 시의 편제를 반영하며,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요코스카 제1, 2 해병단
  • 요코스카 잠수함 기지대
  • 요코스카 해군 항무부
  • 요코스카 해군 통신대
  • 요코스카 해군 항공대
  • 다테야마 해군 항공대
  • 기사라즈 해군 항공대
  • 잠수모함 고마바시
  • 구축함 사와카제, 유구모
  • 구잠정 제22호, 제23호
  • 요코스카 해군 경비대
  • 요코스카 경비전대
  • * 특설 순양함 노시로마루
  • * 특설 포함 쇼에이마루, 제1호 메이지마루
  • 요코스카 방비전대
  • * 요코스카 방비대
  • ** 특설 포함 겸 부설함 가사기마루, 금강산마루
  • * 소해정 제25호, 제26호
  • 제11 연합 항공대
  • * 가스미가우라 해군 항공대
  • * 쓰쿠바 해군 항공대
  • * 야타베 해군 항공대
  • * 햐쿠리가하라 해군 항공대
  • * 가시마 해군 항공대
  • * 스즈카 해군 항공대
  • * 쓰치우라 해군 항공대
[4]

4. 2. 1945년 3월 1일 (국화 작전 직전)

1941년 진주만 공격 이후, 그리고 미드웨이 해전 이후 요코스카 진수부의 편제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주어진 자료와 요약 정보를 바탕으로 1945년 3월 1일(국화 작전 직전)의 요코스카 진수부 편제를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자료에 나타난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여 당시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은 부대들을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 요코스카 해병단
  • 다케야마 해병단
  • 요코스카 잠수함 기지대
  • 요코스카 해군 항무부
  • 요코스카 해군 통신대
  • 요코스카 해군 항공대
  • 제302 해군 항공대
  • 제1001 해군 항공대
  • 제1081 해군 항공대
  • 잠수 모함 고마바시
  • 구축함 사와카제, 하타카제
  • 잠수함 로 57, 로 58, 로 59
  • 수뢰정 치도리
  • 구잠정 제50호, 제51호, 제52호, 제54호
  • 초계정 제46호
  • 특설 구난선 게이가와마루
  • 특설 전선 포설선 하루시마마루
  • 미나미토리섬 경비대
  • 구레 진수부 제101 특별 육전대
  • 사세보 진수부 제102 특별 육전대
  • 제89, 90, 121~129 방공대 (구레 진수부 소관)
  • 제141~146 방공대 (사세보 진수부 소관)
  • 제204, 206, 207 설영대
  • 요코스카 해군 경비대
  • 요코스카 방비 전대
  • 다테야마 해군 항공대
  • 제1 기뢰 제거대
  • 기뢰 제거정 제25호, 제27호
  • 구잠정 제14호, 제42호, 제44호, 제47호, 제48호
  • 부설정 사루시마
  • 요코스카 방비대
  • 제26 기뢰 제거대
  • 이세 방비대
  • 메가와 방비대
  • 아버지 섬 방면 특별 근거지대
  • 아버지 섬 해군 항공대
  • 제17 기뢰 제거대
  • 이오 섬 경비대
  • 제11 연합 항공대
  • 가스미가우라 해군 항공대
  • 쓰쿠바 해군 항공대
  • 야타베 해군 항공대
  • 백리원 해군 항공대
  • 나고야 해군 항공대
  • 가시마 해군 항공대
  • 기타우라 해군 항공대
  • 오쓰 해군 항공대
  • 칸노이케 해군 항공대
  • 제2 고리야마 해군 항공대
  • 제2 가와와 해군 항공대
  • 제13 연합 항공대
  • 오이 해군 항공대
  • 스즈카 해군 항공대
  • 상하이 해군 항공대
  • 칭다오 해군 항공대
  • 도쿠시마 해군 항공대
  • 스노자키 해군 항공대
  • 스이잔 해군 항공대
  • 제2 가노야 해군 항공대
  • 고치 해군 항공대
  • 제18 연합 항공대
  • 사가미노 해군 항공대
  • 제2 사가미노 해군 항공대
  • 오이도 해군 항공대
  • 가와와 해군 항공대
  • 고리야마 해군 항공대
  • 가토리 해군 항공대
  • 히토요시 해군 항공대
  • 오카자키 해군 항공대
  • 구시라 해군 항공대
  • 제19 연합 항공대
  • 쓰치우라 해군 항공대
  • 미에 해군 항공대
  • 가고시마 해군 항공대
  • 미호 해군 항공대
  • 마쓰야마 해군 항공대

4. 3. 최종

1945년 5월, 도즈카 미치타로가 요코스카 진수부의 마지막 사령관이 되었다. 요코스카는 태평양 전쟁의 마지막 단계에서 미국 해군미국 육군 항공대 항공기의 폭격을 받았는데, 특히 1945년 7월 18일의 요코스카 공격이 대표적이지만, 많은 시설이 연합군에 의해 온전하게 점령되었다.[4] 요코스카 지역은 일본 점령 기간 동안 미국군의 점령 하에 들어갔으며, 옛 요코스카 진수부의 대부분의 시설은 미국 제7함대에 의해 승계되었으며 현재 주일 미 해군 기지로 알려져 있다.[4] 이 지역의 작은 부분은 현대의 전후 일본 해상자위대에 의해 계속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해상자위대 요코스카 해군 기지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의 붉은 벽돌 문 일부를 보존하고 있다.[4]

참조

[1] 서적 Evans 1979, p. 29.
[2] 웹사이트 Order of Battle, 1941 as found on niehorster.orbat.com http://niehorster.or[...]
[3] 서적 Senshi Sōsho (1975), appendix table "Order of battle of the Combined Fleet on 10 December 1941".
[4] 웹사이트 Kriegsmarinewerft La Pallice http://www.axishisto[...]
[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7]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8] 문서 「海軍条例ヲ定ム」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1100、件名番号:014、太政類典・第二編・明治四年~明治十年・第二百九巻・兵制八・武官職制八(第3画像目)
[9] 문서 「癸3套秘事大日記 寺西積外1名達 任官分課等の件」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9110187300、公文類纂 明治5年 巻7 本省公文 黜陟部3(防衛省防衛研究所)(第2画像目)
[10] 문서 「省中布告 仁禮景範外1名達 横須賀提督府詰申付」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9110251100、公文類纂 明治5年 巻9 本省公文 黜陟部5(防衛省防衛研究所)
[11] 문서 「癸3套秘事大日記 増田少佐達 横須賀提督府在勤申付」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9110251200、公文類纂 明治5年 巻9 本省公文 黜陟部5(防衛省防衛研究所)
[1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3]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5] 문서 「単行書・大政紀要・下編・第六十六巻」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04017113000、単行書・大政紀要・下編・第六十六巻(国立公文書館)(第25画像目、第42画像目)
[16] 뉴스 関東大震災 軍港横須賀の被災空撮写真 旧海軍関係者保管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7-01-05
[17] 문서 昭和20年7月11日付 秘海軍辞令公報 甲 第1853号。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レファレンスコード C13072106000 で閲覧可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