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암갈매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암갈매기는 척삭동물문 조류강 갈매기과에 속하는 종으로, 몸길이 51~55cm의 독특한 외형을 지닌 갈매기이다.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제도의 고유종으로, 산타크루스 섬, 이사벨라 섬, 산크리스토발 섬 등지에서 발견되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갈매기로 여겨진다. 육식성이며 어류, 갑각류, 파충류, 조류의 알 등을 먹고, 해안이나 암반에서 서식한다. 둥지를 짓는 동안 경계심이 강하며, 모래 해변이나 암반에 둥지를 만들고, 연중 번식하며 한 번에 2개의 알을 낳는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의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갈라파고스 군도의 인구 및 관광객 증가, 외래종 유입 등으로 개체수 감소가 우려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매기과 - 붉은부리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는 갈매기과의 새로서, 여름에는 초콜릿 갈색 머리를, 겨울에는 흰색 머리에 검은 반점을 가지며, 해안, 호수 등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잡식성을 띠고, IUCN 적색 목록에 관심대상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 갈매기과 - 집게제비갈매기류
집게제비갈매기류는 아랫부리가 윗부리보다 긴 독특한 부리 구조를 이용하여 물 표면을 스치듯이 먹이를 잡는 조류로, 검은집게제비갈매기, 아프리카집게제비갈매기, 인도집게제비갈매기의 세 종이 속하며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인해 인도집게제비갈매기는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1841년 기재된 새 - 까마귀
까마귀는 한국 문화에서 다양한 상징으로 나타나며, 때로는 불길한 존재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높은 지능과 깨끗한 습성을 지닌 조류이다. - 1841년 기재된 새 - 노란눈펭귄
노란눈펭귄은 뉴질랜드 남섬과 아남극 제도에 서식하며 눈 주위에 노란색 깃털띠가 특징인 중간 크기의 펭귄으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갈라파고스 제도의 고유종 동물 - 갈라파고스가마우지
갈라파고스가마우지는 갈라파고스 제도의 특정 섬에만 서식하며, 비행 능력이 퇴화되었고, 방수 기능이 없는 깃털과 훔볼트 해류의 해양 생물을 먹이로 삼는 특징을 가진 가마우지과 조류이다. - 갈라파고스 제도의 고유종 동물 - 갈라파고스펭귄
갈라파고스펭귄은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제도 고유종으로, 적도를 넘어 북반구까지 분포하는 유일한 펭귄 종이며, 작은 몸집에 주로 작은 어류와 갑각류를 먹지만, 엘니뇨 현상과 인간 활동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용암갈매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Leucophaeus fuliginosus |
| 명명자 | Gould, 1841 |
| 이명 | Larus fuliginosus |
| 생물학적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강 |
| 목 | 도요목 |
| 아목 | 갈매기아목 |
| 과 | 갈매기과 |
| 속 | 갈매기속 |
| 종 | 용암갈매기 (L. fuliginosus) |
| 분포 | |
![]() | |
| 보존 상태 | |
| IUCN Red List | 취약종 |
| 참고 | BirdLife International (2018). Larus fuliginosus. IUCN 적색 목록. 2018: e.T22694452A132552501. doi:10.2305/IUCN.UK.2018-2.RLTS.T22694452A132552501. 2024년 9월 4일에 확인함. |
| 일반 정보 | |
| 영어 이름 | Lava gull, Dusty gull |
2. 분류
척삭동물문, 조류강, 도요목, 갈매기과, 갈매기속으로 분류되는 조류이다. 속내에서는 붉은부리갈매기(래핑갈매기)와 가장 가깝다.[1] 1841년 존 굴드가 갈라파고스 제도의 산티아고 섬에서 수집된 표본을 토대로 처음 기술하였다. 이 종은 때때로 ''갈매기속''(Larus)에 속하기도 하며, 웃음갈매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속 내에서는 웃음갈매기와 가장 근연종으로 여겨진다.[9]
길이 51~55cm이다. 몸 전체가 회갈색 또는 암회색 깃털로 덮여 있으며, 머리는 흑갈색 깃털로 덮여있다. 꼬리털은 연회색이고 가운데 꼬리털은 회색이다. 눈 위아래에 하얀 초승달 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끝이 빨갛다. 뒷다리는 갈색이나 보라색이다. 어린 새끼는 온 몸이 갈색 깃털로 덮여 있다.[7][8][9][10][11]
용암갈매기는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제도 고유종이다.[7][8][9] 전체 개체군은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며, 주로 산타크루스 섬, 이사벨라 섬, 산크리스토발 섬, 제노베사 섬에서 발견된다. 산타 크루스 섬, 이사벨라 섬, 산티아고 섬, 헤노베사 섬, 마르체나 섬, 세이모어 섬에서도 서식하며[6], 산 크리스토발 섬 등 여러 섬의 만과 모래사장에서 관찰된다.[10] 이전에는 개체수가 300~400쌍으로 추정되었으나,[3] 2015년에는 300~600개체로 하향 조정되었다.[4] 현재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갈매기로 여겨진다.[1]
용암갈매기는 모래와 암초 해안에 서식하며, 육식성이다. 어류, 갑각류, 작은 파충류(바다이구아나의 새끼), 조류의 알 등을 먹는다. 캘리포니아 강치가 남긴 음식이나 출산 때 나오는 태반도 먹고, 다른 새들이 잡은 먹이를 빼앗기도 한다. 해안을 저공 비행하면서 먹이를 찾아 해변이나 암석 지대에서 먹이를 잡는다.[7][9]
3. 형태
용암갈매기는 독특한 갈매기로, 크기는 51cm~55cm이며 무게는 380g이다. 성체의 깃털은 그을린 갈색에서 검은색 머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다른 어두운 후드 갈매기와 달리 계절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날개는 어두운 회색이며 앞쪽 가장자리에 흰색 선이 대비되어 있어 과시 및 위장에 기능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어두운 회색 몸통은 더 옅은 회색 배와 대조를 이룬다. 위꼬리는 흰색이고 아래쪽은 회색이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며, 입 안쪽은 진홍색이다. 위 눈썹과 아래 눈썹은 흰색이며, 눈꺼풀은 붉다. 미성숙한 갈매기는 일반적으로 짙은 갈색이다.
전체 길이는 51~55cm, 날개를 펼친 길이는 125~140cm이다.[6][12]
4. 분포
5. 생태
번식기가 되면 쌍을 이루어 세력권을 형성한다.[7][9] 둥지 근처에서는 경계심이 강해 약 1km 이내에 침입자가 있으면 둥지를 떠난다.[7][9] 다른 개체의 둥지와 3km 이상 떨어진 모래사장이나 바위에 둥지를 만들고, 주로 5-10월에 번식하여 한 번에 두 개의 알을 낳는다.[7][8][9] 알은 약 33일 동안 품고, 새끼는 부화 후 약 9주 뒤에 독립한다. 어미 새는 독립한 새끼에게 2-3주 동안 먹이를 준다.[7][9]
대부분의 갈매기들이 서로 가깝게 둥지를 트는 것과는 달리, 용암갈매기는 외롭게 둥지를 튼다. 드물게 100미터 이내로 둥지를 트는 경우가 있다. 번식 영토는 약 2,000제곱미터 (지름 70m) 정도이며, 동족으로부터 이를 방어한다. 땅에 둥지를 틀며, 종종 해안 식물의 보호를 받으며, 둥지를 식물 재료로 채운다. 올리브색을 띠고 위장이 잘 된 알 두 개를 낳으며, 부화하는 데 32일이 걸린다. 잔잔한 물 근처, 종종 석호 근처에 둥지를 튼다. 번식은 기회주의적인 것으로 보이며, 특정 계절에 국한되지 않는다. 어린 새끼는 55일이 되면 둥지를 떠나고, 어른 새에게 몇 주 동안 계속해서 보살핌을 받는다.
잠재적인 둥지 포식자로는 올빼미, 군함조 및 다른 용암 갈매기뿐만 아니라 도입된 포유류가 있다.
5. 1. 다른 개체에게 기생하는 행동
대부분의 갈매기류처럼 용암갈매기는 잡식성이며, 둥지나 어부로부터 먹이를 훔치거나, 물고기, 작은 갑각류, 갓 부화한 도마뱀, 이구아나, 거북이를 잡아먹는다. 바다사자의 태반을 먹기도 한다.[7] 제노베사 섬에서는 군함조가 다른 바닷새의 둥지에서 물고기를 훔치려다 실패하는 경우를 이용하여 군함조의 다른 개체에게 기생하는 행동을 이용한다.[9] 또한 다른 조류가 잡은 먹이도 빼앗는다.[7]
6. 인간과의 관계
항구나 민가 등에서 남긴 고기를 먹기도 하고, 어항이나 민가 등에서 남은 음식을 찾아다니기도 한다.[7][9]
갈라파고스 제도는 대부분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어 개체수는 안정적이다.[7][9] 그러나 갈라파고스 군도의 인구와 관광객 증가에 따른 번식지 침입, 인위적으로 이입되는 동물(개, 고양이, 쥐, 돼지)에 의한 포식, 엘니뇨 등에 의한 개체수 감소가 우려되고 있다.[7][9]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의 적색 목록에서는 용암갈매기를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Larus fuliginosus
2024-09-04
[2]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Laridae (Charadriiformes: Ave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markers
[3]
논문
Observations on the Lava Gull (''Larus fuliginosus'')
[4]
논문
Observations on the breeding and distribution of Lava Gull ''Leucophaeus fuliginosus''
http://wordpress.neo[...]
2015-04-18
[5]
서적
Handbook of Birds of the World Alive
https://www.hbw.com/[...]
Lynx Edicions
2019-12-25
[6]
서적
ガラパゴス博物学
データハウス
2001
[7]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3 中央・南アメリカ
講談社
[8]
서적
動物大百科8 鳥類II
平凡社
[9]
서적
絶滅危惧動物百科1 アイアイ-ウサギ(アラゲウサギ)
朝倉書店
[10]
서적
A Guide to The Birds of the Galápagos Islands
Prinston University Press
[11]
서적
Seabirds: An Identification Guide
Houghton Mifflin
[12]
서적
Birds, Mammals and Reptiles of the Galápagos Islands
Christopher Hel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