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근 (인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근은 북위 말기부터 북주 시대에 걸쳐 활약한 장군으로,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바탕으로 서위 건국에 기여했다. 그는 철륵어를 구사하며 유목 민족과의 외교에도 능통했고, 하교 전투와 망산 전투에서 서위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팔주국에 이름을 올리고 대사구, 연국공을 역임하며 북주의 개국 공신으로 존경받았으며, 사후에는 태사로 추증되었다.

2. 생애

우근의 가문은 증조부 우인생(于仁生), 조부 우안정(于安定)으로 이어진다. 아버지 우자제(于子提)는 칙륵(敕勒)으로 사신을 갔으며, 공적으로 정북장군농서태수무평현백(征北將軍·隴西太守·茂平縣伯)이 되었다. 북주(北周) 보정(保定) 2년, 아들 우근의 공훈으로 태보건평군공(太保·建平郡公)에 추증되었다.[1]

우근은 위 효무제(魏孝武帝)가 장안(長安)으로 천도하자, 우문태(宇文泰)를 따라 동관(潼關)으로 출정하여 회락성(回洛城)을 격파하고 북옹주자사(北雍州刺史)에 임명되었으며, 남전현공(藍田縣公)으로 작위가 올라갔다. 대통(大统) 3년(537년)에는 서위의 동벌에 선봉으로 나서 홍농(弘農)을 함락하고 동위(東魏) 섬주자사(陝州刺史) 이휘백(李徽伯)을 사로잡았다.[1] 537년 10월, 사원전투(沙苑之戰)에 참가하여 상산군공(常山郡公)으로 작위가 올랐으며, 대승상부장사겸대행대상서(大丞相府長史兼大行臺尙書)에 임명된 후 태자태보(太子太保)로 옮겼다.[1]

538년, 하교전투(河橋之戰)와 망산전투(邙山之戰)에서 서위가 패배했을 때, 우근은 거짓 항복으로 고환의 군대를 혼란에 빠뜨려 서위군을 보전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이후 태자태보(太子太保)를 맡았다.[1] 대통 12년(546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임명되어 사농경(司農卿)을 거느렸고, 대통 14년(548년)에는 팔주국(八柱國) 중 한 명으로 임명되어 6군(六軍)을 통솔했다.[1]

서위 공제(西魏恭帝) 원년(554년), 옹주자사(雍州刺史)에 임명되었고, 강릉(江陵)을 공격하여 함락시킨 후 양 원제(梁元帝)를 살해하고 소찰(蕭詧)을 양의 황제로 세웠다. 우문태는 우근에게 많은 상을 내리고 신야군공(新野郡公)에 봉했다.[1]

557년, 북주(北周) 건국 후 연국공(燕国公)으로 승진, 식읍 1만호를 받았고, 태부태종백(太傅·太宗伯)으로 옮겨졌다. 보정(保定) 3년(563년) 삼로(三老)로 임명되었고, 우문옹(宇文邕)은 태학(太學)에서 경삼로례(敬三老禮)를 행하였다.[1]

천화 3년(568년), 우근은 76세로 사망하였다. 북주 무제는 직접 조문하고 성대한 장례를 치렀으며, 우근을 우문태 종묘에 함께 배향했다.[5][6]

2. 1. 초기 생애 및 북위에서의 활동

우근은 증조부 우인생(于仁生), 조부 우안정(于安定), 아버지 우자제(于子提)로 이어진다. 아버지 우자제는 칙륵(敕勒)에 사신으로 갔다가 정북장군농서태수무평현백(征北將軍·隴西太守·茂平縣伯)이 되었다. 북주(北周) 보정(保定) 2년, 아들 우근의 공훈으로 태보건평군공(太保·建平郡公)에 추증되었다.[1]

우근은 경사(經史)에 능통하고 『손자병법(孫子兵法)』을 좋아하였다. 정광(正光) 4년(523년) 대행대(大行臺) 원찬(元纂)은 황제를 알현하고 우근을 개조참군사(鎧曹參軍事)에 임명하여 유유(蠕蠕)를 북벌하게 하였다. 우근은 17번의 전투를 벌여 모두 유유인의 항복을 받았다.[1]

정광 5년(524년), 행대광양왕(行臺·廣陽王) 원연(元淵)의 북벌에 참여하여 장류참군(長流參軍)이 되었고, 수령 곡률야곡록(斛律野谷祿) 등을 격파하였다. 철륵어(鐵勒語)에 능통하여 단기로 서부철륵(西部鐵勒)의 추장 야렬하(也列河) 등 3만여 호(戶)의 항복을 받아냈다. 석곽령(析郭嶺)에서 야렬하를 미끼로 삼아 매복한 후에 파륙한발릉(破六韓拔陵)을 대파하고 적야장군(積射將軍)으로 승진하였다.[1]

효창(孝昌) 원년(525년), 광양왕 원연을 수행하여 선우수례(鮮于修禮)를 정복하였다. 군대를 중산(中山)에 멈춘 일로 영태후(靈太后)가 방문(榜文)을 걸고 상금을 내걸었으나, 우근은 낙양으로 달려가 군대를 멈춘 원인을 진술하여 영태후에게 풀려났다.[1]

이후 군대를 이끌고 남량(南梁) 장수 조의종(曹義宗)과 양성(穰城) 부근에서 교전하였고, 도독선위장군(都督·宣威將軍)으로 승진하였다.[1]

건의(建義) 원년(528년), 진원장군(鎭遠將軍)이 되었다가 직침(直寝)으로 바뀌었다. 원천목(元天穆)을 따라 갈영(葛榮)과 형고(邢杲)를 토벌하였으며, 이주천광(爾朱天光)을 따라 묵기추노(萬俟醜奴)를 격파하여 석성현백(石城縣伯)에 봉해지고 대도독(大都督)으로 승진하였다.[1]

태창(太昌) 원년(532년), 이주천광과 고환(高歡)을 따라 한릉산(韓陵山)에서 전투하였으나 패배하였다. 우근은 서쪽으로 가서 하발악(賀拔岳)에게 의탁하였고, 하발악은 우근을 위장군함양군수(衛將軍·咸陽郡守)에 추천하였다.[1]

우문태(宇文泰)는 우근을 방성대도독겸하주자사(防城大都督·兼夏州長史)에 임명하였다.[1]

534년, 하발악이 후막진열(侯莫陳悅)에게 살해당하자 우문태는 우근을 관내대도독(關內大都督)으로 삼았고, 우근은 관중에 도읍을 세우는 책략을 올렸다.[1]

2. 2. 서위 건국과 활약

우근은 경사(經史)에 능통하고 『손자병법(孫子兵法)』을 좋아하였다. 정광(正光) 4년(523), 대행대(大行臺) 원찬(元纂)이 황제를 알현하고 개조참군사(鎧曹參軍事)에 임명되어 유유(蠕蠕)를 북벌, 전후 17번의 전투를 벌여 모두 유유인의 항복을 받았다.[1]

정광 5년(524), 행대광양왕(行臺·廣陽王) 원연(元淵)의 북벌에 참여하여 장류참군(長流參軍)이 되었고, 수령 곡률야곡록(斛律野谷祿) 등을 격파하였다. 철륵어(鐵勒語)에 능통하여 단기로 서부철륵(西部鐵勒) 추장 야렬하(也列河) 등 3만여 호(戶)의 항복을 받아냈다. 석곽령(析郭嶺)에서 야렬하를 미끼로 매복한 후 파륙한발릉(破六韓拔陵)을 대파하고 적야장군(積射將軍)으로 승진하였다.[1]

효창(孝昌) 원년(525), 광양왕 원연을 따라 선우수례(鮮于修禮)를 정벌하였다. 군대를 중산(中山)에 멈춘 일로 영태후(靈太后)가 방문(榜文)을 걸고 상금을 내걸며 우근을 체포하려 하자, 낙양으로 달려가 원인을 진술하여 풀려났다.[1]

이후 군대를 이끌고 남량(南梁) 장수 조의종(曹義宗)과 양성(穰城) 부근에서 교전하여 도독선위장군(都督·宣威將軍)으로 승진하였다.[1]

건의(建義) 원년(528), 진원장군(鎭遠將軍)이 되었다가 직침(直寝)으로 바뀌었다. 원천목(元天穆)을 따라 갈영(葛榮)과 형고(邢杲)를 토벌하고, 이주천광(爾朱天光)을 따라 묵기추노(萬俟醜奴)를 격파하여 석성현백(石城縣伯)에 봉해졌으며, 대도독(大都督)으로 승진하였다.[1]

태창(太昌) 원년(532), 이주천광과 고환(高歡)을 따라 한릉산(韓陵山)에서 전투하였으나 패배하였다. 우근은 서쪽으로 이동하여 하발악(賀拔岳)에게 의탁하였고, 하발악은 우근을 위장군함양군수(衛將軍·咸陽郡守)로 추천하였다.[1]

우문태(宇文泰)는 방성대도독겸하주자사(防城大都督·兼夏州長史)로 임명되었다.[1]

534년, 하발악이 후막진열(侯莫陳悅)에게 살해당하자 우문태는 우근을 관내대도독(關內大都督)으로 삼고, 관중에 도읍을 세우는 책략을 받았다.[1]

위 효무제(魏孝武帝)가 장안(長安)으로 이동하자, 우근은 우문태를 따라 동관(潼關)으로 출정하여 회락성(回洛城)을 격파하고, 북옹주자사(北雍州刺史)에 임명되었으며 남전현공(藍田縣公)으로 작위가 올라갔다.[1]

대통(大统) 3년(537), 서위의 동벌에 선봉으로 나서 홍농(弘農)을 함락하고, 동위(東魏) 섬주자사(陝州刺史) 이휘백(李徽伯)을 사로잡았다.[1]

537년 10월, 사원전투(沙苑之戰)에 참가하여 상산군공(常山郡公)으로 작위가 올랐다. 대승상부장사겸대행대상서(大丞相府長史兼大行臺尙書)에 임명된 후 태자태보(太子太保)로 옮겼다.[1]

538년, 동위와 서위의 하교전투(河橋之戰)와 망산전투(邙山之戰)에서 서위가 패배하자, 우근은 부하를 이끌고 거짓 항복한 후 길 왼편에 서 있었다. 고환이 신경쓰지 않고 진군하자 공격하여 적군을 놀라게 했다. 독고신(独孤信)이 후방에서 병사를 수습하여 분격하니 고환의 군대가 혼란에 빠졌고, 서위군은 이로 인해 보전될 수 있었다. 우근은 태자태보(太子太保)를 맡았다.[1]

대통 12년(546),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임명되어 사농경(司農卿)을 거느렸다.[1]

대통 14년(548), 조귀(趙貴), 이호(李虎), 이필(李弼), 우근, 독고신, 후막진숭(侯莫陳崇)과 함께 주국대장군(柱國大將軍)에 임명되어 6군(六軍)을 거느렸다. 우문태, 원흔(元欣)과 함께 팔주국(八柱國)으로 불렸다.[1]

대행대상서대승상부장사(大行臺尙書·大丞相府長史)를 겸하였고, 병사를 거느려 동관(潼關)에 주둔하였으며, 화주자사(華州刺史)에 추가로 임명되었다.[1]

사공(司空)에 임명되었다.[1]

서위 공제(西魏恭帝) 원년(554), 옹주자사(雍州刺史)에 임명되었다. 9월, 우근과 중산공(中山公) 우문호(宇文護), 대장군(大將軍) 양충(楊忠) 등이 강릉(江陵)을 공격하여 함락하였다. 양 원제(梁元帝)가 항복하였으나 곧바로 우근에게 피살되었고, 소찰(蕭詧)이 양의 황제로 세워졌다. 우문태는 노비 1천명과 양 황조의 보물 및 금석사죽악(金石絲竹樂) 1부(部)를 하사하고, 신야군공(新野郡公)에 봉하였다. 사악(司樂)에게 '상산공평량가(常山公平梁歌)' 10수를 짓게 하고 공인(工人)에게 노래하게 하였다.[1]

우문태가 육관(六官) 제도를 신설하자 우근은 대사구(大司寇)에 올랐다.[1]

2. 3. 팔주국으로서의 위상과 북주 건국

대통 14년(548년), 우근은 조귀(趙貴), 이호(李虎), 이필(李弼), 독고신(独孤信), 후막진숭(侯莫陳崇)과 함께 주국대장군(柱國大將軍)에 임명되어 우문태(宇文泰), 원흔(元欣)과 더불어 팔주국(八柱國)으로 불렸다.[1] 이들은 6군(六軍)을 통솔했다.[1]

2. 4. 말년과 죽음

천화 3년 3월 무오일(양력 568년 5월 5일), 우근은 향년 76세로 사망하였다.[1][2][3][4] 북주 무제는 친히 조문하고, 조서를 내려 초왕(譙王) 우문검에게 상례를 감독하게 하였다. 또한 증채(繒彩) 1천단(段), 속맥(粟麥) 5천곡(斛)을 하사하고, 우근에게 원래 관직과 함께 사지절태사옹항등이십주제군사옹주자사(使持節·太師·雍恒等二十州諸軍事·雍州刺史) 관직을 더하였으며, 시호(谥号)를 문(文)으로 하였다. 우근이 매장될 때 왕공(王公) 이하 관원들이 모두 교외까지 나가 영구를 보냈으며, 조정은 우근을 우문태 종묘 안에 함께 제사지냈다.[5][6]

3. 가문

중화서국본 『북사』 교감기는 우근의 생년에 의거하여 증조부 우천은이 우경의 동생일 수 없다고 추측하였고, 나아가 『북사』 기재의 신뢰성을 의심하였으며, 『북사』의 기재는 우씨 집안의 전승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다.[7][8]

3. 1.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증조부우천은(于天恩)
조부우경(于勁)
숙부우식(于寔)수(隋) 상주국연안공(上柱國·燕安公)
숙부우익(于翼)수(隋) 상주국태위임목공(上柱國·太尉·任穆公)
숙부우의(于義)수(隋) 상주국건평강공(上柱國·建平剛公)
숙부우의(于儀)수(隋) 대장군조주자사안평평공(大將軍·趙州刺史·安平平公)
숙부우지(于智)북주(北周) 주국대사공제국공(柱國·大司空·齊國公)
숙부우소(于紹)상개부수주자사화양군공(上開府·綏州刺史·華陽郡公)
숙부우필(于弼)상의동평은현공(上儀同·平恩縣公)
숙부우란(于蘭)상의동양양현공(上儀同·襄陽縣公)
숙부우광(于曠)상의동증항주자사(上儀同·贈恒州刺史)
고모우씨(于氏)주국낙평군개국공흘두씨세자의동삼사(柱國·樂平郡開國公紇豆氏世子, 儀同三司) 흥두봉지(纥豆奉志)에게 시집 감



중화서국(中華書局)본 『북사(北史)』 교감기(校勘記)는 우근의 생년에 의거하여 증조부 우천은(于天恩)이 우경(于勁)의 동생일 수 없다고 추측하였고, 나아가 『북사』 기재의 신뢰성을 의심하였으며, 『북사』의 기재는 우씨 집안의 전승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다.[7][8]

참조

[1] 서적 周书·卷五·帝纪第五
[2] 서적 北史·卷十·周本纪下第十
[3] 서적 周书·卷五·帝纪第五
[4] 서적 北史·卷十·周本纪下第十
[5] 서적 周书·卷十五·列传第七
[6] 서적 北史·卷二十三·列传第十一
[7] 서적 北史校勘记·卷二十三·列传第十一·三
[8] 간행물 《嫁接世系与望托东海——北周隋唐虏姓于氏谱系建构之考察》 http://www.cnki.com.[...] 2017-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