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퉁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퉁관은 황하가 화산에 부딪혀 서쪽의 웨이허와 합류하는 지점 남쪽에 위치한 요충지이다. 험준한 지형으로 중원과 관중을 연결하며, 조위 시대부터 '통관'이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통관'이라는 명칭은 황하가 산에서 격류하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역사적으로는 도림새, 함곡관 등과 같은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퉁관은 중국 문명의 발전과 국가 간의 경계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211년 퉁관 전투, 안사의 난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20세기에는 싼먼샤 댐 건설로 인해 마을이 이전되었고, 현재는 유적지가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시성 (섬서성)의 지리 - 관중 (지명)
    관중은 중국 산시성 중앙부와 허난성 서북단을 포함하는 시안시 중심의 평원 지대로, 여러 왕조의 수도로서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에는 서부 지역의 경제 중심지이다.
  • 산시성 (섬서성)의 지리 - 허타오
    허타오는 황하가 지나는 지역으로,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가 발달했으며 농업과 자원 생산, 공업이 이루어진다.
  • 중국의 관문 - 산해관
    산해관은 허베이성 친황다오시에 위치한 만리장성의 중요한 관문으로, 군사적 요충지로서 명나라 때 건설되어 청나라 시대에는 수도의 관문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천하제일관" 현판이 걸린 진동문이 대표적인 볼거리로 남아있다.
  • 중국의 관문 - 우의관
    우의관은 중국과 베트남 국경 지점의 역사적 요충지로서, 프랑스-청 전쟁, 신해혁명 봉기, 중국 인민해방군 진주, 중월 전쟁 등 여러 사건의 무대가 되었으며, 국경 획정 과정에서 영토 분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퉁관
개요
통관 고대 도시 전경
통관 (명나라)
위치통관현, 산시 성, 중국
지리적 위치친링산맥과 타이항 산맥 사이의 틈
좌표34.606, 110.286
설명현대에 복원된 위치의 좌표임.
명칭
한자 (정체)潼關
한자 (간체)潼关
로마자 표기 (한어 병음)Tóngguān
로마자 표기 (웨이드-자일스)T'ung2-kuan1
종류높은 고개
통과 정보
통과 교통룽하이 철도,

2. 지리

퉁관은 황하가 남쪽으로 흐르다 화산과 만나 동쪽으로 꺾이는 지점이자, 서쪽에서 흘러오는 웨이허와 합류하는 곳이다. 험준한 지형 덕분에 중원(허난성, 뤄양 방면)과 관중(산시성, 장안 방면)을 잇는 핵심 요충지였다.

2. 1. 위치

황하는 남쪽으로 흐르다 화산(친링 산맥)에 부딪혀 서쪽에서 흐르는 웨이허와 합류하여 동쪽으로 꺾이는 지점에 퉁관이 위치한다.[6][5][7] 퉁관은 지형이 험준하며[4], 중원(허난성, 뤄양 방면)과 관중(산시성, 장안 방면)을 잇는 요충지였다.[7] 퉁관은 중국 북부 평원의 주요 도시인 뤄양과 장안(현재의 시안) 사이에 있다.

옛 사진


1941년의 퉁관

3. 명칭

"퉁관(潼關)"이라는 명칭은 조위 시대부터 문헌에 나타난다.[6] 이 지역의 관새(關塞)는 시대와 정치 상황에 따라 여러 차례 이전되거나, 여러 관새를 병용하기도 했다.

3. 1. 유래

북위 려도원이 저술한 『수경주』(6세기)에 따르면, 남쪽으로 흐르던 황하가 산에서 "통격(潼激)"하는 곳에서 "퉁관"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1]

河在關内南流,潼激關山,因謂之潼關중국어[1]

3. 2. 이전 명칭

조위 시대 이전에는 황하 굴곡점 부근을 "도림새(桃林塞)" 또는 "함곡관" 등으로 불렀다.[6][7] 이 외에 충관(衝関), 운통관(雲潼関)과 같은 명칭도 사용되었다.[6]

3. 3. 함곡관과의 관계

북위 려도원이 저술한 『수경주[4]와 『원화군현지』[6]에는 효산(崤山)에서 통진(潼津)에 걸친 지역을 통틀어 "함곡관"이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위 이전에 황하의 굴곡점 부근은 "도림새(桃林塞)" 또는 "함곡관"으로 불렸다.

역사지리학자 시오자와 히로히토는 "도림새", "함곡관", "퉁관"이 하나로 이해되었으며, 현재의 퉁관현에서 허난성 싼먼샤시 링바오시까지의 넓은 지역이 "함곡관"으로 불렸다고 주장한다. 그는 퉁관을 "네 번째 함곡관"이라고 칭했다.

4. 역사

중국 문명은 처음에는 웨이, 뤄, 황허 계곡을 따라 황토 고원에서 성장하여 주변 지역으로 확장되었다. 진나라는 퉁관 동쪽의 한구관을 동쪽 경계로 삼았고, 왕조 시대에도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중국의 중심지를 계속 보호했다. 왕망의 "신나라" 이후 동한 시대에는 한구관의 수비대가 반대로 서쪽에서 오는 공격으로부터 평야의 뤄양을 보호했다. 그러나 211년 퉁관 전투 이후 퉁관은 관중 지역과 화베이 평원 사이의 주요 전략적 요충지로서 한구관을 대체했다. 시대에는 퉁관이 안녹산의 반군에게 함락되면서 수도 장안(현재의 시안, 산시)이 직접적으로 점령당했다.[2]

4. 1. 춘추 시대 ~ 진나라

춘추 시대 진나라는 이 부근에 도림새를 쌓아 관중을 지키는 요새로 삼았다.[6][7] 한구관은 퉁관 동쪽에 위치하며, 진나라는 한구관을 동쪽 경계로 삼아 외부 공격으로부터 중국 중심부를 보호했다.[7]

4. 2. 한나라

왕조 시대에도 퉁관은 계속해서 중요한 방어 거점 역할을 했다. 왕망 이후 동한 시대에는 한구관의 수비대가 서쪽에서 오는 공격으로부터 뤄양을 방어했다.[2] 211년 퉁관 전투 이후 퉁관은 관중 지역과 화베이 평원 사이의 주요 전략적 요충지로서 한구관을 대체하였다.[2]

한대에는 함곡관이 낙양 부근으로 옮겨졌기 때문에,[7] 후한 말기(2세기 말경)에 새로운 관문이 설치되었고,[5][6][7] 퉁관이라고 불렸다.[6]

건안 16년(211년), 조조군과 마초, 한수 등 관중 군벌 사이에서 퉁관 전투가 벌어졌다.

4. 3. 삼국 시대

후한 말기(2세기 말경)에 새로운 관문이 설치되어 퉁관이라고 불렸다.[6][7][5] 건안 16년(211년), 조조군과 마초, 한수 등 관중 군벌 사이에서 퉁관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는 『삼국지』에 "퉁관"이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 사례이다.三國志|삼국지중국어

4. 4. 당나라

211년 퉁관 전투 이후 퉁관은 관중 지역과 화베이 평원 사이의 주요 전략적 요충지로서 한구관을 대체하였다. 시대인 천보 15재(756년) 안사의 난 초기에 당군이 퉁관을 잃으면서 수도 장안(현재의 시안, 산시)이 함락되고, 당 조정은 촉으로 피신하게 되었다.[2]

4. 5. 근현대

20세기까지 황하 강변에 있던 퉁관 마을(명청 시대 퉁관현의 현성)[6]은 강 건너편의 風陵渡|풍릉도중국어(현재의 산시성 윈청시 루이청현 风陵渡镇|풍릉도진중국어)과 함께 상업 지역으로 번성했으며,[6] 룽하이선 철도 노선도 통과했다.[7] 1950년대 싼먼샤댐이 황하 하류에 건설되면서 퉁관 마을은 남쪽으로 이전했고[6] 철도 노선도 변경되었다.[6]

5. 유적

싼먼샤 댐 건설로 포기된 명청 시대 퉁관현 현성(현재 퉁관현 친둥 진)은 "퉁관"으로 인식되며, 성벽 일부가 비교적 양호하게 남아있다.[1] 친둥 진 남쪽 대지 위에는 고대부터의 관문과 옛길을 짐작하게 하는 중요한 유적들이 여럿 있다.[1]

5. 1. 주요 유적지


  • '''난쉰 성터''' (별명 "쓰촨 성터", 타이야오 진 난쉰 촌.): ·대 유구로 추정되지만, 은주 시대 유구 위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 주변 쉰디자이촌에서는 전국 시대 유적도 확인되어, 도림새와의 관련성도 제기된다.[1]
  • '''십이련성''': 진거우강 서쪽에 있는 봉화대의 흔적이다. 축조 시기는 전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설도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1]

6. 문학 속 퉁관

서경』 무성편에 따르면, 주나라 무왕은 은나라 주를 멸망시킨 후 군사용 소와 말을 풀어 다시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천하에 알렸다(귀마방우). 이 중 소를 놓아준 장소가 복숭아 숲이다.

두보의 「삼리삼별시」 중 하나로 「통관리」가 꼽힌다. 이민족에 대비하여 통관을 견고하게 하는 공사를 묘사함과 동시에 가서한의 패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Tang Dynasty: The Rebellion of An Lushan http://www.chinaknow[...]
[3] 문서
[4] 웹사이트 潼関 https://kotobank.jp/[...] 2019-12-23
[5] 웹사이트 潼関 https://kotobank.jp/[...] 2019-12-23
[6] 웹사이트 潼関 https://kotobank.jp/[...] 2019-12-23
[7] 웹사이트 潼関 https://kotobank.jp/[...] 2019-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