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데게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데게어는 북부와 남부 방언군으로 나뉘며, 각 방언은 사용 지역의 강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30년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준 문어가 만들어졌으나 대숙청으로 인해 사용이 중단되었고, 1980년대 후반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어가 다시 형성되었다. 우데게어는 퉁구스어족 언어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나나이어에서 차용된 어휘를 포함한다. 20세기 초까지 오로치족, 우데게족, 타즈족은 하나의 민족 집단으로 여겨졌으나, 민족 명칭 변경 운동을 통해 분리되었다. 소련 정부의 강제 정착과 학교 시스템, 마을 통합 정책 등으로 인해 우데게어는 소멸 위기에 놓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데게족 - 타즈족
타즈족은 러시아 연해주에 거주하며 한족과 퉁구스족의 혼혈로 형성된 소수 민족으로, 고유 언어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고 수렵 채집 문화와 중국 북부 문화의 영향을 받은 생활 방식을 유지하며 2000년 러시아 소수 원주민으로 인정받았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문화 - 우수리스크 고려인문화센터
우수리스크 고려인문화센터는 러시아 우수리스크에 위치하여 고려인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 및 알리고, 최재형 선생 옛집 보존, 안중근 의사 기념비 건립 등 독립운동 역사 기림과 더불어 한국어 강좌, 전통 무용단 공연, 신문 발행, 도서관 및 식당 운영 등으로 고려인 정체성 유지와 한국 문화 소개에 힘쓰는 문화 센터이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문화 - 나나이어
나나이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과 중국 헤이룽장성의 우수리강 주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사용자 감소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고, 다양한 문자 체계와 어휘의 영향을 받았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문화 - 에벤어
에벤어는 동시베리아 에벤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키릴 문자로 표기되며, 모음 조화 규칙,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13개 격의 명사 굴절 등의 특징을 가진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문화 - 에벤크어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중국, 몽골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러시아와 중국에서는 각각 키릴 문자와 몽골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우데게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우데게어 |
자칭 | , |
다른 이름 | 우디헤 |
사용 국가 | 러시아 |
사용 지역 | 러시아 극동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
사용자 수 | 674명 (2020년 인구 조사) |
민족 | 우데게족 (1,325명, 2020년 인구 조사) |
언어 계통 | 알타이어족 |
어파 | 퉁구스어족, 북부 퉁구스어파, 우데게어군 |
문자 | 키릴 문자, 라틴 문자 (1931년 - 1937년) |
언어 상태 | 심각 (UNESCO 지정) |
ISO 639-3 | ude |
Glottolog | udih1248 (Udihe) |
방언 정보 | |
방언 | 쿠르-우르미 북부 남부/키야칼라 |
지도 정보 | |
![]() |
2. 방언
우데게어는 크게 북부 방언군과 남부 방언군으로 나뉜다. 전통적으로 우데게족은 제한된 지역 내에서 이동하는 반유목민이었으며, 각자 특정 강과 그 지류를 따라 이동하여 일반적으로 여러 가족으로 구성된 영토 집단을 형성했다. 이들 영토 집단은 주로 해당 강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언어학적 관점에서 볼 때, 우데게어 방언과 오로치어는 공통적인 연속체를 형성한다. 우데게어 연속체는 음운론, 형태론, 어휘, 구문 등 모든 수준에서 "남북" 선을 따라 나뉜다.
우데게어 방언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쿠르-우르미 방언
남부 방언은 ''케카르'' 또는 ''캬칼라''라고도 불린다. 러시아의 "캬칼라"는 여진어 "캬칼라"와 혼동해서는 안 되는데, 이는 중국에서 사용되며, "러시아 캬칼라"(즉, 케카르 또는 남부 우데게어)와 구별하기 위해 중국 캬칼라어라고도 불린다.[6] 캬칼라는 20세기 초에 사멸했다.
2. 1. 북부 방언군
- 호르 방언 (Khor)
- 아뉴이 방언 (Anyuy)
- 사마르가 방언 (Samarga)
- 훙가리 방언 (Khungari)
2. 2. 남부 방언군
비킨 방언(Bikin), 이만 방언(Iman), 나문카 방언(Namunka)이 남부 방언군에 속한다.연해(沿海, 프리모르스키)를 의미하는 '나문카'를 제외하면 방언 명칭은 모두 그것이 사용되는 지역의 강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남부 방언군은 케카르어(Kekar)나 캬칼라어(Kyakala)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6]
1930년대 예브게니 슈나이더(Евгений Шнейдер)에 의해 북부의 호르 방언을 기반으로 한 라틴 문자 표기의 표준 문어(文語)가 처음 만들어졌으나 그가 대숙청 중에 체포되어 사망한 이후 잘 쓰이지 않게 되었다. 80년대 후반 키릴 문자 표기의 우데게어 문어가 다시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크게 호르 방언을 바탕으로 한 북부판(하바롭스크 버전)와 비킨 방언을 바탕으로 한 남부판(페테르부르크 버전)이 있다.
3. 문자
1930년대 소련의 라틴 문자화 정책의 일환으로 예브게니 슈나이더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준 우데게어 문어를 만들었다.[7] 그러나 대숙청 시기인 1937년 이후 우데게어 문어 사용이 금지되었다.[8] 1980년대 후반부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문어 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했으며,[9] 현재는 주로 호르 방언을 바탕으로 한 하바롭스크판 키릴 문자가 사용된다. 비킨 방언을 기반으로 한 상트페테르부르크판 키릴 문자도 존재한다.
3. 1. 라틴 문자 (1931-1937)
1931년 소련의 라틴 문자화 정책의 일환으로, 이전에는 구어였던 우데게어 표기를 위한 문자가 만들어졌다.[7] 이 문자는 1937년까지 6년 동안 사용되었다.A a | Ā ā | B в | Є є | D d | Ӡ ӡ | E e | Ē ē |
---|---|---|---|---|---|---|---|
Æ æ | F f | G g | H h | I i | Ī ī | J j | K k |
L l | M m | N n | Ņ ņ | Ŋ ŋ | O o | Ō ō | Ө ө |
P p | R r | S s | T t | U u | Ū ū | W w | X x |
Y y | Z z | ’ |
1938년 라틴 문자화 정책이 폐지되면서 우데게어 문어는 소련 당국에 의해 금지되었다. 우데게어로 된 책들은 수집되어 불태워졌다. 우데게어 작가이자 번역가인 Шнейдер, Евгений Робертович|예브게니 슈나이더ru는 인민의 적으로 선언되어 처형되었다.[8]
3. 2. 키릴 문자 (하바롭스크판)
우데게어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버전과 "하바롭스크" 버전의 두 가지 키릴 문자로 표기되는데, 이는 우데게어의 서로 다른 방언을 나타낸다. 코르 방언에 사용되는 하바롭스크 버전이 더 자주 사용된다.[9] 현재 우데게어 교육 및 출판물에 주로 사용되는 표기 체계이다.А а | ʻА ʻа | А̄ а̄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Ғ ғ |
---|---|---|---|---|---|---|---|
Д д | Ӡ ӡ | И и | Ӣ ӣ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Њ њ | Ӈ ӈ | О о | ʻО ʻо | О̄ о̄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Ӯ ӯ | У̂ ŷ | Ф ф |
Х х | Ч ч | ь | Э э | ʻЭ ʻэ | Э̄ э̄ | Э̂ э̂ |
이 언어에서 사용된 몇 가지 오래된 문자: Ж ж, З з, Љ љ, Ц ц, Ш ш, Щ щ, Ъ ъ, Ы ы, ‘Ы ‘ы, Ы̄ ы̄, Ы̂ ы̂, Ю ю, ‘Ю ‘ю, Ю̄ ю̄, Ю̂ ю̂, Я я, ‘Я ‘я, Я̄ я̄, Я̂ я̂
3. 3. 키릴 문자 (상트페테르부르크판)
우데게어는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 버전과 "하바롭스크" 버전의 두 가지 키릴 문자로 표기되는데, 이 중 상트페테르부르크판은 비킨 방언을 기반으로 한 표기 체계이다.[9]아 | 베 | 베 | Ԝ ԝ | 게 | 데 | Ә ә | 예 |
---|---|---|---|---|---|---|---|
요 | 제 | 제 | Ӡ ӡ | 이 | 이 | 카 | 엘 |
엠 | 엔 | Ӈ ӈ | Њ њ | 오 | 페 | 에르 | 에스 |
테 | 우 | 에프 | 하 | 체 | 체 | 샤 | 샤 |
트베르디 즈낙 | 체 | 이 | 먀흐키 즈낙 | 에 | 유 | 야 |
1991년에 교사를 위한 우데게어 교육 매뉴얼이 제작되었고, 키릴 문자 모음의 상하에 보조 부호를 붙인 키릴 문자 표기가 설정되었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판"과 "하바롭스크판"의 두 종류 표기법이 존재하며, 현재는 하바롭스크판을 사용하여 교육하고 있다.
4. 음운 체계
우데게어의 음운 체계는 방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은 모음과 자음 체계에서 구성상의 차이가 나타난다.
4. 1. 모음
우데게어의 모음 체계는 방언에 따라 다르다. 북부 방언은 단모음, 장모음, 이중모음, 성문 폐쇄음화 및 유기음화 모음 등 다양한 모음 음소를 가진다.[6] 남부 방언은 유기음화 모음이 없고, 이중모음은 단모음화되는 경향이 있다.[6] 모든 방언에서 모음 조화가 나타난다.장모음 | /aː/, /oː/, /uː/, /əː/, /iː/, /iə/, /eæ/, /yø/, /yi/ |
---|---|
장 성문 폐쇄음화 (성문 폐쇄음화) | /aˀa/, /oˀo/, (əˀə) |
장 유기음화 (유기음화) | /aʰa/, /oʰo/, /uʰu/, /əʰə/, /iʰi/, (iʰe), /eʰæ/, /yʰø/, /yʰi/ |
우데게어에서 성문 폐쇄음화 및 유기음화 모음은 두 모음 사이에서 일부 자음이 소실되며 설명될 수 있다.[9] 북부 방언에서 성문 폐쇄음화 모음은 활에 의해 중단되어 "불연속"이라고 불리며, 유창한 발음에서는 활이 "쉰" 발성으로 대체된다.
유기음화 및 불연속 모음은 자음과 모음의 세 가지 음소 조합에 해당한다. 유기음화 장모음은 '''V-s-V''' 조합, 성문 폐쇄음화 장모음은 '''V-q-V''' 조합에서 형성된다.[9]
4. 2. 자음
우데게어 북부 방언에는 20개의 자음 음소가 있고, 남부 방언에는 19개(연구개 마찰음 /ɣ/가 없음)가 있다.[1]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p | b | t | d | colspan="2" | | k | ɡ | ʔ | |
마찰음 | colspan="2" | | s | colspan="2" | | x | ɣ | h | |||
파찰음 | colspan="2" | | (t͡s) | (d͡z) | t͡ʃ | d͡ʒ | colspan="2" | | |||
비음 | m | n | ɲ | ŋ | |||||
접근음 | w | colspan="2" | | j | colspan="2" | | |||||
설측음 | colspan="2" | | l | colspan="2" | | colspan="2" | |
- 남부 방언의 /d͡z/는 [z]의 이음(소리가 바뀌는 현상)을 가질 수 있다.
- 중간 위치의 /p/는 [f]로 들릴 수 있다.
5. 어휘
나나이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으며, 이로 인해 일부 고유 어휘가 대체되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원래 단어 | 현재 단어 | 차용된 나나이어 | 의미 |
---|---|---|---|
usasa|우사사ude | banixe|바니허ude | banixa|바니하nan | 고맙습니다 |
etete|에테테ude | dœlbo|될보ude | dœbo|되보nan | 일 |
(없음) | daŋsa|당사ude | daŋsa|당사nan 檔子|档子|dāngzi중국어 (档子)에서 차용 | 책 |
비킨강 지역에서는 우데게어와 나나이어 간의 상호 동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우데게어는 나나이어 비킨 방언의 음운 체계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비음 모음의 비음 제거, 약모음의 삭제,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를 방지하기 위한 삽입 모음 추가, 모음 사이의 [w] 삭제 등이 그 예이다.
6. 역사
20세기 초까지 오로치족, 우데게족, 타즈족은 하나의 민족 집단으로 여겨졌지만, 공통된 자칭은 없었고 각 집단은 자체적인 지역 명칭을 사용했다. 민족 정체성은 이방인(중국인, 만주족, 한국인 등)에 반대할 때 "암묵적으로" 나타났다.[5]
장 프랑수아 드 라페루즈 백작은 1787년 세계 일주 여행 중 타타르 해협과 동해 연안, 데 카스트리 만에 거주하는 원주민들을 "오로촌" (les orotchys프랑스어)으로 처음 명명했다.[5] 이 명칭은 20세기 초까지 문헌에서 사용되었다.
20세기 초 러시아 민족학자 브라일로프스키는 북부 우데게족의 한 집단이 사용하던 "우디헤"(udihe)라는 자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우데게족과 오로치족을 분리하지 않았고, "우디헤"와 "타즈"를 동의어로 사용했다. 1920년대 후반, 민족 명칭 변경 운동이 시작되어 오로촌은 오로치, 우데게, 타즈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이러한 분할은 아르세니예프의 저술에서 처음 나타난다.
1930년대에 소련 정부는 우데게족을 강제 정착시켰다. 각 지역 집단은 특별히 건설된 영구 정착지에 정착되었다. 1950년대에는 우데게족 어린이들을 위한 기숙 학교 시스템이 구축되어 세대 간 언어 전승을 단절시키고 젊은 세대의 빠른 러시아화를 초래했다. 1960-70년대 "마을 통합" 정책으로 더 작은 우데게 마을들이 사라졌다. 비킨 우데게족은 크라스니 야르로, 아뉴이와 이만 우데게족은 인접한 러시아 마을로 이주했다. 이러한 정책의 결과, 단일 민족 우데게족 정착지는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Удиэ кэйэни (Удегейский язык)
Хабаровск
2018
[2]
웹사이트
Электронные - Удиэ кэйэвэни (Удэгейский язык)
http://etop.portalkh[...]
2024-11-12
[3]
웹사이트
Росстат —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20
https://rosstat.gov.[...]
2024-11-12
[4]
문서
Том 5.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и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Таблица 7. Население наиболее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https://rosstat.gov.[...]
[5]
서적
Voyage de La Pérouse
L'an vi de La République
1798
[6]
웹사이트
UNESCO RED BOOK ON ENDANGERED LANGUAGES: NORTHEAST ASIA
http://www.helsinki.[...]
2024-09-24
[7]
서적
Алфавит Октября. Итоги введения нового алфавита среди народов РСФСР
1934
[8]
간행물
Language Death in Siberia
https://unesdoc.unes[...]
Unesco
2022-05-25
[9]
서적
Словарь удэгейского языка (хорский диалект). Препринт
[10]
서적
Удиэ кэйэни (Удегейский язык)
Хабаровск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