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즈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즈족은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으로, 19세기 한족과 퉁구스계 민족의 혼혈로 형성되었다. 러시아 제국 시대에 "타즈"라는 명칭으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에 의해 한족과는 구분되는 민족으로 정의되었다. 소련 시기에는 반중국 정서로 인해 문화적 손실을 겪었으나, 2000년 러시아 소수 원주민으로 공식 인정받았다. 타즈족은 북동부 만다린어를 기반으로 하는 방언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 주로 러시아 정교회를 믿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데게족 - 우데게어
우데게어는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과 프리모르스키 지방에서 사용되는 퉁구스어족 언어로, 소련 정부의 강제 정착 정책과 러시아어 우세로 사용이 급감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으며, 현재 러시아 정부의 소수 민족 언어 정책 변화로 존속에 위협을 받고 있다. - 한족 - 민난인
민난인은 푸젠성 남부 지역에 거주하며 민난어를 사용하는 한족 집단으로, 반람인, 푸젠인, 타이완의 호클로 등으로도 불리며 독특한 언어와 문화를 형성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간다. - 한족 - 화하족
화하족은 중국의 전설적인 부족으로, 황제 헌원씨와 염제 신농씨의 후손으로 여겨지며 황하 유역을 장악하고 한족으로 발전했다. - 나나이족 - 나나이스키군
나나이스키군은 하바롭스크 지방에 위치하며 1934년에 설립되었고, 하바롭스크와 인접한 지역으로 약 2만 명의 인구와 나나이족을 포함한 다양한 소수 민족이 거주하며 구르 늪이라는 중요한 습지 지역을 포함한다. - 나나이족 - 타생오랍총관아문
타즈족 | |
---|---|
기본 정보 | |
이름 | 타즈 |
원어명 | ru: Тазы zh: 塔兹 |
로마자 표기 | Tazy |
![]() | |
인구 | |
전체 | 274명 |
거주 지역 | 러시아 |
1979년 (일본어 위키백과) | 191명 |
언어 | |
사용 언어 | 러시아어 중국어 (타즈 방언) |
기타 | 터즈어 |
민족적 관계 | |
관련 민족 | 한족 우데게인 나나이족 오로치족 |
2. 역사
청나라가 외만주를 지배하던 시기, 한인 팔기군을 제외한 한족의 만주 정착은 금지되었으나, 만주족 지주들이 한족 농민에게 토지를 임대하면서 한족 이주가 계속되었다.[3][4] 1700년대 한족은 만주 도시 인구의 80%를 차지했지만, 외만주는 인구 밀도가 낮았다.[5]
한족은 퉁구스 민족을 "여진족"이라 불렀고, 명나라 시대에 이들을 건주 여진, 해서 여진, 야인 여진으로 분류했다. 건주 여진은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해서 여진은 몽골족의 영향을 받았다. 야인 여진은 외만주에 거주하며 전통적인 퉁구스족 생활 방식을 유지했다.[6] 해서 여진은 건주 여진에게 정복되어 만주족으로 흡수되었다. 야인 여진은 오늘날 우데게족, 네기달족, 에벤키족, 나나이족 등으로 인정받고 있다. 만주족은 한화되었지만, 외만주의 퉁구스족은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우데게족, 울치족, 나나이족은 중국 불교 등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7]
1830년대~1850년대 한족은 우수리강 주변에 정착하여 인삼 채취, 사슴 뿔 사냥, 해산물/버섯 채집을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는 영구 정착하여 농업과 무역을 시작했다. 한족 남성이 우세했고, 한족 남성과 현지 퉁구스족 여성(우데게족, 나나이족, 오로크족) 사이의 결혼으로 혼혈 인구가 나타났으며, 이들은 "타지"(토착, 원주민)로 불렸다.[2]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외만주가 러시아 제국에 합병된 후, 러시아인들은 "타즈"라는 용어를 채택하여 프리모리에 원주민(우데게족, 오로크족, 혼혈)을 지칭했다.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는 이들을 "한화된 우데게족"으로 묘사했다. 이들은 스스로를 한족이라고 여기지 않았으며, "타즈"라는 이름이 이 집단과 관련되었다.[2] 1872년 우수리 지방에 638명의 타즈가 살고 있었다.[2]
소련은 처음에는 타즈족을 지원했지만, 1950년대 후반~1970년대 중국과의 관계 악화로 타즈족의 전통 문화는 큰 손실을 입었다.[2] 반중국 정서와 중국인 추방 운동이 일어났고, 1936년 소련은 중국/한국인 국적자를 중앙아시아로 추방했는데, 타즈족도 포함될 뻔했으나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 덕분에 일부는 추방을 면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타즈족은 1938년 올긴스키 지역 미하일로프카 마을로 이주했다.[2]
타즈 방언은 북동부 만다린어 기반에 우데게어와 나나이어 차용어가 많았다. 러시아 문화와 언어의 영향으로 동화가 가속화되었지만, 소련 시대 타즈족 군인들은 중국 군사 통신을 해독할 수 있었다. 1880년대 타즈 방언 사용자는 1,015명이었다.[8]
2000년 타즈족은 러시아 소수 원주민 목록에 포함되었다(2000년 3월 24일 정부 결의안 제255호). 2002년 인구 조사에서 타즈족은 276명이었고, 대부분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거주했다. 단 5명만이 모국어 능력을 보고했고, 276명 모두 러시아어를 구사했다.[8] 2010년 조사에서 타즈족은 274명이었고 모두 러시아어를 구사했다. 타즈어 구사자는 없었으며, 타즈 방언은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2] 2021년 타즈족은 235명이었다.[13]
2. 1. 기원
청나라가 외만주를 지배하던 시기에 타즈족의 기원이 시작되었다. 청나라는 한인 팔기군 일부를 제외하고는 한족이 만주에 정착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 그러나 만주족 지주들이 한족 농민에게 토지를 임대하고 곡물을 재배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불법적이고 합법적인 한족 이주가 계속되었다.[3][4] 1700년대에 한족은 만주의 주둔지와 도시 인구의 80%를 차지했지만, 외만주는 여전히 인구 밀도가 낮았다. 대부분의 한족이 내만주에 정착했기 때문이다.[5]한족은 만주에 거주하는 퉁구스 민족을 "여진족"이라고 불렀으며, 명나라 시대에 이들을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건주 여진은 내만주 남부에 거주했으며 정착 농업을 실천하고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6] 해서 여진은 내만주 북부 지역에 살았으며 반유목 민족으로 몽골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야인 여진은 외만주에 거주했으며, 보다 전통적인 퉁구스족 생활 방식을 유지했다.[6]
해서 여진은 건주에게 정복당하여 만주족으로 흡수되었다. 야인 여진은 오늘날 우데게족, 네기달족, 에벤키족, 나나이족과 같은 여러 다른 민족으로 인정받고 있다. 만주족은 결국 매우 한화되었지만, 외만주의 퉁구스족은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우데게족, 울치족, 나나이족은 특히 종교와 의복에서 특정 중국의 영향을 받아들였다. 이러한 영향에는 의례복에 있는 중국 용, 두루마리와 소용돌이 모양의 새 디자인, 괴물 가면 모티프, 중국 설날 축하, 실크, 면, 철 냄비, 난방 시설이 갖춰진 집, 중국 불교의 요소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로 인해 그들의 무속 신앙이 바뀌었다.[7]
1830년대에서 1850년대에 한족은 외만주의 우수리강 주변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따뜻한 계절에만 머물며 인삼 채취에 종사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는 영구적으로 정착하여 농업과 무역을 시작했다. 정착민 중에서는 한족 남성이 우세했고 한족 여성은 거의 없었으며, 이는 한족 남성과 현지 퉁구스족 여성 사이의 결혼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혼혈 인구가 나타났으며, 이는 중국어 용어 ''타지''(뜻: "토착, 원주민")로 불렸다.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외만주가 러시아 제국에 합병된 후, 러시아인들은 "타즈"라는 용어를 채택하여 프리모리에의 원주민, 주로 우데게족뿐만 아니라 오로크족, 혼혈 시니틱-퉁구스 공동체를 설명했다.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는 우데게족, 한족 정착민, 그리고 19세기 말에 나타난 새로운 혼혈 민족을 구별하여 이 집단을 "한화된 우데게족"이라고 묘사했다. 이 집단은 스스로를 한족이라고 여기지 않았으며, "타즈"라는 이름은 결국 이 집단과 관련되었다. 타즈 인구에 대한 첫 번째 비교적 신뢰할 만한 데이터는 1872년으로, 우수리 지방에 638명의 타즈가 살고 있다고 기록했다.[2]
소련은 처음에는 타즈족을 지원했지만,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 소련과 중국 간의 긴장된 정치적 관계로 인해 타즈족의 전통 문화는 심각한 손실을 입었다. 1936년 소련 당국이 소련의 중국 및 한국 국적자를 중앙 아시아로 추방하기 시작했을 때, 타즈족도 처음에는 포함되었다. 그러나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가 제공한 설명 덕분에 일부 타즈족은 추방을 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타즈족은 1938년에 올긴스키 지역의 미하일로프카 마을로 이주했다.
타즈 방언은 북동부 만다린어를 기반으로 하며 우데게어와 나나이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사용한다. 1860년 외만주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된 후 러시아 정착민이 극동에 도착하기 시작했고, 타즈 정체성은 러시아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1880년대에는 타즈 방언 사용자가 1,015명이었다.[8]
연해주에 러시아인이 진출했을 무렵, 이미 이 지역에서는 청나라의 지배 아래 한민족의 문화와 언어가 널리 퍼져 있었다. 특히 연해주 남부에서는 한민족의 영향이 매우 커서, 일부 주민은 자신의 모어를 잃고 한민족의 언어와 문화를 받아들였다. 19세기 중반에 퉁구스계 우데게와 나나이가 혼합된 비교적 젊은 민족이 바로 현대 타즈의 조상으로 여겨진다.[14] 타즈는 한민족의 언어와 문화를 받아들였지만 독자적인 민족 의식을 계속 유지했다.
"타즈(韃子)"는 처음에는 몽골인(타타르인)을 지칭하는 호칭이었지만, 이윽고 국외의 이민족을 널리 지칭하게 되었고 "미개인"을 의미하는 보통 명사가 되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타즈(韃子)"는 한족과 북방 민족의 잡다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람들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변화했다.
V.K. 아르세니예프는 조사를 통해 타즈를 "한민족화된 우데게"로 규정했다. 그러나 아르세니예프는 타즈를 독립된 민족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했기 때문에, 타즈라는 민족명은 선주민 기원이지만 한민족화된 집단을 부르는 것으로 확립되었다. 1930년대 소련에서 외국인의 국외 추방이 이루어졌고, 한민족으로 간주된 타즈도 추방당했지만, 아르세니예프의 설명으로 인해 일부 타즈는 추방을 면했다.
2. 2. 한족과의 혼혈
19세기 중반, 청나라가 외만주를 통치하던 시기에 한족과의 혼혈이 진행되었다. 청나라는 한족의 만주 정착을 공식적으로 금지했지만, 만주족 지주들이 한족 농민에게 토지를 임대하면서 불법적이고 합법적인 한족 이주가 계속되었다.[3][4] 1700년대에 한족은 만주의 주둔지와 도시 인구의 80%를 차지했지만, 외만주는 여전히 인구 밀도가 낮았다.[5]한족은 만주에 거주하는 퉁구스 민족을 "여진족"이라고 불렀으며, 명나라 시대에는 이들을 건주 여진, 해서 여진, 야인 여진의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건주 여진은 정착 농업을 실천하며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해서 여진은 반유목 생활을 하며 몽골족의 영향을 받았다. 야인 여진은 외만주에 거주하며 전통적인 퉁구스족 생활 방식을 유지했다.[6]
해서 여진은 건주 여진에게 정복되어 만주족으로 흡수되었다. 야인 여진은 건주 여진과 해서 여진보다 덜 발전된 것으로 여겨졌으며, 그들의 수렵 채집 생활 방식은 건주 여진이 그들을 정착시키고 만주족으로 동화시키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야인 여진은 오늘날 우데게족, 네기달족, 에벤키족, 나나이족과 같은 여러 다른 민족으로 인정받고 있다.[6] 만주족은 한화되었지만, 외만주의 퉁구스족은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우데게족, 울치족, 나나이족은 종교와 의복에서 중국의 영향을 받아들였다. 이러한 영향에는 의례복에 있는 중국 용, 두루마리와 소용돌이 모양의 새 디자인, 괴물 가면 모티프, 중국 설날 축하, 실크, 면, 철 냄비, 난방 시설이 갖춰진 집, 중국 불교의 요소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로 인해 그들의 샤머니즘이 바뀌었다.[7]
1830년대에서 1850년대에 한족은 외만주의 우수리강 주변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따뜻한 계절에만 머물며 인삼 채취에 종사했다. 나중에는 사슴 뿔을 사냥하는 사람, 해산물 채집가, 버섯 채집가가 합류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는 영구적으로 정착하여 농업과 무역을 시작했다. 정착민 중에서는 한족 남성이 우세했고 한족 여성은 거의 없었으며, 이는 한족 남성과 현지 퉁구스족 여성(남부 지역의 우데게족 여성과 북부 지역의 나나이족 여성, 그리고 오로크족 여성과의 일부 혼인) 사이의 결혼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혼혈 인구가 나타났으며, 이는 중국어 용어 ''타지''(뜻: "토착, 원주민")로 불렸다.[2]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외만주가 러시아 제국에 합병된 후, 러시아인들은 이 용어를 채택하여 음성적으로 "타즈"로 변경하여 프리모리에의 원주민, 주로 우데게족뿐만 아니라 오로크족, 혼혈 시니틱-퉁구스 공동체를 설명했다.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는 우데게족, 한족 정착민, 그리고 19세기 말에 나타난 새로운 혼혈 민족을 구별하여 이 집단을 "한화된 우데게족"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이들이 정착 생활을 하고, 정원 가꾸기를 실천하며, 북부 중국 방언을 사용했지만, 한족과는 다른 민족으로 간주했다. 이 집단은 문화적, 경제적으로 한족과 구별되었으며, 스스로를 한족이라고 여기지 않았다. "타즈"라는 이름은 결국 이 집단과 관련되었다.[2]
2. 3. 소련 시대
소련은 초기에는 타즈족을 지원했지만,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 타즈족의 전통 문화는 심각한 손실을 입었다.[2] 이 시기 소련과 중국 사이의 긴장된 정치적 관계는 광범위한 반중국 정서를 불러일으켰고, 소련 영토에서 중국인 주민들을 추방하는 운동으로 이어졌다.[2]1936년, 소련 당국은 소련 내 중국인 및 한국인 국적자들을 중앙아시아로 추방하기 시작했는데, 이때 타즈족도 처음에는 포함되었다.[2] 그러나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의 설명 덕분에 일부 타즈족은 추방을 면할 수 있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올긴스키, 카발레롭스키, 테튜힌스키 지역의 마을에 살았던 대부분의 타즈족은 1938년에 올긴스키 지역의 미하일로프카 마을로 이주해야 했다.[2] 이 마을은 한국인 주민들이 추방된 후 비어 있었다.[2]
미하일로프카로 이주한 후, 타즈족은 나무집에서 살기 시작했다.[2] 정원 가꾸기 외에도 소, 돼지, 닭, 오리를 기르기 시작했다.[2] 타즈족의 의상은 현지 러시아 인구와 거의 구별할 수 없게 되었지만, 타즈족 여성들은 가끔 전통 의상(검은색 재킷과 바지)을 입었고, 장로들은 장례식에 전통 의상을 보관했다.[2]
타즈 방언은 북동부 만다린어를 기반으로 하며, 우데게어와 나나이어에서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8] 1860년 외만주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된 후, 러시아 정착민들이 극동 지역에 도착하기 시작하면서 타즈족의 정체성은 러시아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8] 소련 시대에 타즈족 군인들은 전문적인 훈련 없이도 만다린어로 진행되는 중국 군사 통신을 가로챌 수 있었다.[8] 그러나 러시아어로 의무 교육이 도입되면서 동화가 가속화되었다.[8] 1930년대에는 소련에서 외국인 국외 추방이 이루어졌고, 한민족으로 간주된 타즈족도 추방 대상이 되었지만, 아르세니예프의 "타즈는 독립된 민족으로 간주해야 한다"라는 설명 덕분에 일부는 추방을 면했다.[14]
2. 4. 현대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우스리강 동쪽이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면서, 러시아인들은 이 지역 원주민들을 한족을 따라 '타즈'라고 불렀다. 이 명칭은 우데게족, 오로치족 등 여러 민족을 포괄하는 개념이었다.[14]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는 조사 결과 우데게족과 오로치족, 그리고 타즈족을 구별하고, 타즈족을 "한화된 우데게족"으로 정의했다. 그러나 그는 타즈족을 독립된 민족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로 인해 '타즈'라는 명칭은 한화된 원주민 집단을 가리키는 용어로 확립되었다.[14]
소련 초기에는 타즈족을 지원했지만,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 소련과 중국의 관계 악화로 인해 타즈족의 전통문화는 큰 타격을 입었다. 반중국 정서와 중국인 추방 운동이 벌어졌고, 1936년 소련 당국은 중국 및 한국 국적자들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켰다. 이때 타즈족도 포함될 뻔했으나, 아르세니예프의 설명 덕분에 일부는 추방을 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타즈족은 1938년에 올긴스키 지역의 미하일로프카 마을로 이주해야 했다.[2]
미하일로프카로 이주한 후, 타즈족은 나무집에서 살며 농업, 축산업을 시작했다. 의상은 러시아인과 거의 구별되지 않았지만, 타즈족 여성들은 가끔 전통 의상을 입었고, 장로들은 장례식에 전통 의상을 보관했다.
타즈 방언은 북동부 만다린어를 기반으로 우데게어와 나나이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러시아 문화와 언어의 영향으로 동화가 가속화되었지만, 소련 시대 타즈족 군인들은 만다린어로 된 중국 군사 통신을 해독할 수 있었다. 1880년대에는 1,015명의 타즈 방언 사용자가 있었다.[8]
2000년, 타즈족은 공식적으로 인정받아 러시아 소수 원주민 목록에 포함되었다(2000년 3월 24일 정부 결의안 제255호).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타즈족 인구는 276명이었고, 대부분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거주했다. 이들 중 단 5명만이 모국어 능력을 보고했고, 276명 모두 러시아어를 구사했다.[8]
2010년 인구 조사에서는 타즈족 인구가 274명으로 감소했고, 이들 모두 러시아어를 구사했다. 타즈어를 구사하는 사람은 없었으며, 타즈 방언은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2] 2021년에는 타즈족 인구가 235명이었다.[13]
현대의 타즈족은 주변의 우데게족 등에 비해 언어 유지 비율이 높았고, 자신들의 언어가 한어가 아닌 독자적인 언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3. 문화
타즈족은 19세기 말 '판자'라는 영구적인 집에서 정착 생활을 했다. 이들은 정원을 가꾸고 중국식 옷을 입었지만, 중국 문화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중국 여성들과 달리 타즈족 여성들은 남성과 함께 정원 일을 하고, 타이가에서 사냥도 했다. 중국인들이 날 것을 피한 반면, 타즈족은 우데게족, 나나이족과 같이 날고기와 생선 요리를 즐겼다.[2]
프리모르예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기 전, 타즈족의 종교는 불교, 조상 숭배, 만주 민속 종교, 샤머니즘 등 중국 북동부 관습과 지역 요소의 영향을 받았다. 이들은 불교와 중국 조상 숭배를 결합하여 인간에게 99개의 영혼이 순차적으로 죽어간다는 믿음을 가졌다. 1860년 이 지역이 병합된 후, 타즈족은 기독교로 개종했다. 오늘날 종교를 가진 타즈족은 주로 러시아 정교회 신자이다.
3. 1. 전통 생활 방식
타즈족은 초기에 퉁구스족의 풍습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수렵 채집 생활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타즈족은 주로 창, 그물, 갈고리를 사용하여 연어류를 잡는 어업에 종사했고, 창, 총, 덫을 사용하여 사슴, 엘크, 멧돼지, 털가죽 동물을 사냥했으며, 인삼, 나무 버섯, 해초, 해삼, 가리비 껍질과 같은 자원을 채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작물 이름, 농업 기술, 경작 방법을 포함한 농업 관습을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였다.[2]19세기 말경 타즈족은 '판자'라고 불리는 영구적인 집에서 정착 생활을 했다. 그들은 정원을 가꾸고, 중국식 옷을 입었으며, 중국 문화 규범과는 눈에 띄는 차이를 보였다. 중국 여성들과 달리 타즈족 여성들은 남성과 함께 정원 일을 하고, 타이가에서의 사냥에도 참여했다. 중국인들이 날 것의 동물성 제품을 피한 반면, 타즈족은 우데게족과 나나이족과 마찬가지로 날고기와 생선 요리를 먹었다. 타즈족의 요리 전통은 중국 북부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인기 있는 요리로는 만터우, 바오쯔, 자오쯔 등이 있다.
3. 2. 주거와 의복
19세기 말경 타즈족은 '판자'라고 불리는 영구적인 집에서 정착 생활을 했다. 이들은 정원을 가꾸고, 중국식 옷을 입었으며, 중국 문화 규범과는 눈에 띄는 차이를 보였다. 중국 여성들과 달리 타즈족 여성들은 남성과 함께 정원 일을 하고, 타이가에서의 사냥에도 참여했다. 중국인들이 날 것의 동물성 제품을 피한 반면, 타즈족은 우데게족과 나나이족과 마찬가지로 날고기와 생선 요리를 먹었다.[2] 타즈족의 요리 전통은 중국 북부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인기 있는 요리로는 만터우, 바오쯔, 자오쯔 등이 있다.[2]3. 3. 음식
타즈족은 수렵 채집 생활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어업과 사냥, 채집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이들은 창, 그물, 갈고리 등을 이용해 연어류를 잡았고, 창, 총, 덫으로 사슴, 엘크, 멧돼지 등을 사냥했다. 또한 인삼, 나무 버섯, 해초, 해삼, 가리비 껍질과 같은 자원도 채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중국으로부터 농업 기술과 경작 방법을 받아들였다.[2]타즈족은 우데게족과 나나이족처럼 날고기와 생선 요리를 즐겨 먹었다. 타즈족의 요리는 중국 북부 요리의 영향을 받았으며, 만터우, 바오쯔, 자오쯔 등이 인기 있는 음식이다.
3. 4. 종교
타즈족의 종교적 신념은 프리모르예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기 전, 불교, 조상 숭배, 만주 민속 종교, 샤머니즘을 포함한 중국 북동부의 관습과 지역 요소의 영향을 주로 받았다. 이들의 종교적 신념은 불교와 중국의 조상 숭배 요소를 결합했는데, 인간이 99개의 순차적으로 죽어가는 영혼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이 있었다.[2] 1860년 이 지역이 병합된 후 타즈족은 기독교화되었다. 오늘날 종교적인 정체성을 가진 타즈족은 주로 러시아 정교회 신자이다.4. 거주 지역
타즈족은 주로 연해주 남부, 올긴스키군의 미하일로프카 마을을 중심으로 거주한다. 1979년 조사에서 러시아 내 타즈족 중 174명이 올긴스키군에, 115명이 미하일로프카 마을에 거주하고 있었다.[14]
2002년 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타즈족은 총 276명이었으며, 그중 256명이 프리모르스키 지방, 특히 우수리강 상류 유역과 올긴스키 지역에 거주했다. 이 중 71명이 프리모르스키 지방 올긴스키 지역 미하일로프카 마을에 거주했다.[10] 바슈코르토스탄에는 4명이,[11] 하바롭스크 지방에는 3명(남성 1명, 여성 2명, 모두 도시 지역)이 타즈족으로 확인되었다.[10]
2010년 인구 조사에서는 타즈족 인구가 274명으로 소폭 감소했으며, 그중 253명이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거주했다. 2021년에는 타즈족 인구가 235명이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www.perepis-2[...]
[2]
웹사이트
Хранители языка
https://regnum.ru/ar[...]
2024-12-15
[3]
Encyclopedia
Manchuria in Modern East Asia, 1600s–1949
https://oxfordre.com[...]
2024-12-16
[4]
서적
Richards 2003
https://books.google[...]
[5]
학술지
The Willow Palisade
[6]
학술지
The Study on the Manchus Mixed Economy towards the End of the Ming Dynasty and How This Mixed Economy Contributed to the Manchus Successful Conquest of China
https://www.ewadirec[...]
2023-05-17
[7]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8]
링크
http://lingsib.unesc[...]
[9]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www.perepis20[...]
[10]
웹사이트
Untitled
http://www.khabstat.[...]
[11]
웹사이트
Краткие итоги всероссийско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02 года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бюллетень часть ii
http://www.bashstat.[...]
2006-12-21
[12]
웹사이트
Natsionalny sostav naseleniya Rossiyskoy federatsii
http://www.perepis-2[...]
2019-07-06
[13]
학술지
Редкие люди. «Красная книга» коренных народов России
http://www.aif.ru/so[...]
2013
[14]
웹사이트
ロシアの超少数民族:人口が500人以下で消滅が危惧
https://jp.rbth.com/[...]
RUSSIA BEYOND
2022-11-11
[15]
웹인용
http://www.perepis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