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스기 모치노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에스기 모치노리는 요네자와 번의 마지막 번주이자, 오키나와 현령, 귀족원 의원을 역임한 일본의 정치인이다. 1844년 요네자와 번의 번주 우에스기 나리노리의 장남으로 태어나, 1868년 보신 전쟁에서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했으나 패배 후 요네자와 번의 번주가 되었다. 1869년 판적봉환으로 요네자와 번 지사가 되었으며, 1871년 영국 유학 후 1881년 오키나와 현령으로 부임하여 교육 개혁에 힘썼으나, 중앙 정부와의 갈등으로 1883년 사임했다. 이후 원로원 의관, 백작, 귀족원 의원을 역임하며 중앙 정계에서 활동했고, 요네자와로 돌아가 산업 발전에 기여했으며, 1919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키나와현지사 - 다마키 데니
다마키 데니는 배우, 라디오 진행자, 음악가로도 활동한 일본의 정치인으로, 오키나와현 지사, 오키나와시 시의원, 중의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오키나와 미군 기지 문제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 오키나와현지사 - 야라 쵸뵤
오키나와현 출신 교육자이자 정치인인 야라 쵸뵤는 오키나와 교직원회 회장, 류큐 열도 행정수반, 초대 오키나와현 지사를 역임하며 오키나와 반환 운동을 주도하고 복귀 3대 사업을 추진했다. - 막말 요네자와번 사람 - 히라타 도스케
히라타 도스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농상무대신, 내무대신, 내대신 등을 역임하며 일본 법제 정비에 기여하고 무신조서 공포를 주도하는 등 사회 정책에도 관여했다. - 막말 요네자와번 사람 - 이케다 시게아키
이케다 시게아키는 미쓰이 재벌 총수, 일본은행 총재, 대장대신 겸 상공대신 등을 역임한 일본의 은행가이자 정치가이다. - 요네자와번주 -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에스기 가게카쓰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우에스기 겐신의 양자가 되어 오타테의 난을 겪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귀순하여 아이즈를 다스렸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패배 후 요네자와 번 초대 번주가 되어 에도 시대에 활약하다 사망했다. - 요네자와번주 - 우에스기 무네후사
우에스기 무네후사는 1718년에 태어나 1734년 요네자와 번의 7대 번주가 되었으며, 번 재정의 어려움을 해결하려 노력했으나 1746년에 사망했다.
우에스기 모치노리 | |
---|---|
기본 정보 | |
존칭 | 백작 |
이름 | 우에스기 모치노리 |
국적 | 일본 |
![]() | |
출생일 | 1844년 4월 15일 |
출생지 | 에도 |
사망일 | 1919년 4월 18일 |
사망지 | 도쿄, 일본 |
배우자 | 첫 번째 부인: 코우 (마쓰다이라 요시타케의 딸) 두 번째 부인: 유우 (다케마타 곤페이의 양녀) 세 번째 부인: 빈 (마쓰다이라 노리타카의 딸) 네 번째 부인: 겐 (이토 기요히사의 딸) |
자녀 | 우에스기 노리아키 우에스기 가쓰노리 오규 치카노리 기타 |
관직 | |
직함 | 요네자와 번 제13대 번주 제2대 오키나와현지사 원로원 의관 귀족원 백작 의원 요네자와 번지사 |
요네자와 번주 재임 시작 | 1869년 |
요네자와 번주 재임 종료 | 1871년 |
요네자와 번주 이전 | 우에스기 나리노리 |
요네자와 번주 이후 | 없음 |
오키나와현령 재임 시작 | 1881년 5월 18일 |
오키나와현령 재임 종료 | 1883년 4월 22일 |
오키나와현령 이전 | 나베시마 나오요시 |
오키나와현령 이후 | 이와무라 미치토시 |
원로원 의관 재임 시작 | 1883년 4월 24일 |
원로원 의관 재임 종료 | 1890년 10월 20일 |
귀족원 백작 의원 당선 횟수 | 2 |
귀족원 백작 의원 재임 시작 | 1890년 7월 10일 |
귀족원 백작 의원 재임 종료 | 1904년 7월 10일 |
미자와 번 지사 재임 시작 | 메이지 2년 (1869년) 6월 18일 |
미자와 번 지사 재임 종료 | 메이지 4년 (1871년) 7월 14일 |
작위 및 예우 | |
작위 | 정2위백작 |
예우 | 금계간지후 |
가족 관계 | |
친족 (정치가) | 오규 치카타카 |
2. 요네자와 번주 시대
고카 원년(1844년) 우에스기 나리노리의 장남으로 요네자와성에서 태어났다.[4] 어머니는 오반이며, 어릴 적 이름은 류센다이였다.[4] 1846년 후계자로 지명되었고, 1860년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알현하고 시종에 임명되었다.[4]
1868년 보신 전쟁이 발발하자 아버지와 함께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하여 신정부군과 싸웠지만 패배하여 항복했다. 같은 해 12월 18일 아버지의 처벌로 가독을 이었으나, 4만 석 감봉되었다.[4] 번의 실권은 아버지가 장악했고, 모치노리는 아버지로부터 정치 교육을 받았다.
1869년 판적봉환으로 요네자와 번 지사가 되었고,[4] 구 번사들에게 10만엔 이상을 분여했다.[5] 1871년 폐번치현으로 도쿄로 이주했다.[4]
2. 1. 보신 전쟁과 오우에쓰 열번 동맹
우에스기 겐신의 먼 친척인 우에스기 모치노리의 아버지 나리노리는 보신 전쟁 동안 오우에쓰 열반 동맹 결성에 참여했다.[1] 이 동맹은 에도 막부를 지지하는 세력이었으며, 신정부군에 대항하여 전투를 벌였으나 결국 패배했다. 요네자와 번은 신정부군에 의해 감봉되는 처분을 받았다.[1]오우에쓰 열번 동맹은 메이지 유신에 반대하는 보수적인 세력의 연합체였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구시대적 저항은 개혁과 발전을 가로막는 행위로 평가될 수 있다.
3. 오키나와 현령 (현 지사) 시대
1871년 영국 유학을 거쳐, 1881년 5월 오키나와 현령(현 지사)으로 부임했다. 오키나와 현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현 전체를 순회하며 실정을 조사했고, 그 기록은 '우에스기 현령 순회 일지'로 불리우며 현재까지 중요한 사료로 남아있다. 산업 발전과 인재 육성을 위해 교육 개혁을 추진하고, 현비 유학생 제도를 도입했다. 메이지 정부에 여러 개혁을 위한 허가와 지원을 요청했지만, 당시 오키나와를 둘러싼 청나라와의 주권 분쟁이 남아있던 상황에서 그의 개혁 프로그램의 광범위성에 대한 도쿄의 불승인 때문에 거절당했다.[1][2] 1883년 오키나와 현령에서 물러났다.
3. 1. 오키나와 현황 조사와 순회
우에스기 모치노리는 1881년 5월, 오키나와현의 두 번째 지사로 부임한 후 현 전체를 순회하며 섬들의 상황과 생활 방식을 조사했다.[1] 이 순회 기록은 '우에스기 현령 순회 일지'로 불리며, 당시 오키나와의 사회, 경제, 문화적 상황과 주민들의 생활상을 상세히 보여주는 귀중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모치노리는 이 조사를 바탕으로 메이지 정부에 여러 개혁을 위한 허가와 지원을 요청했지만, 오키나와를 둘러싼 중국과의 주권 분쟁이 남아있던 상황에서 그의 개혁 프로그램의 광범위성에 대한 도쿄의 불승인 때문에 거절당했다.[2]3. 2. 교육 개혁과 현비 유학생 제도
우에스기 모치노리는 메이지 유신 이후 오키나와현의 교육 개혁에 힘쓴 인물이다. 1881년 오키나와 현의 두 번째 지사로 부임한 후, 현을 순회하며 섬들의 상황과 생활 방식을 직접 조사했다.[1] 이를 바탕으로 메이지 정부에 여러 개혁을 위한 허가와 지원을 요청했지만, 당시 일본과 청나라 사이에 오키나와를 둘러싼 분쟁이 계속되던 상황이라 그의 개혁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2]하지만 모치노리는 포기하지 않고 오키나와 현 내에서 교육 개혁을 추진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많은 수의 초등학교가 설립되었고,[1] 오키나와 현 출신 학생들이 도쿄에서 유학할 수 있도록 현 정부가 지원하는 현비 유학생 제도를 도입했다.[1] 이 제도를 통해 샤바나 노보루와 같은 인재들이 배출되어 오키나와 현의 발전에 기여했다.
모치노리의 교육 개혁은 단순히 학교를 세우고 학생들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오키나와 현의 미래를 위한 인재를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는 당시 일본 사회에서 근대화를 추진하며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던 시대적 흐름과도 맞닿아 있었다.
3. 3. 중앙 정부와의 갈등과 개혁 좌절
모치노리는 1881년 5월 오키나와현의 두 번째 지사로 부임한 후 현을 순회하며 섬들의 상황과 생활 방식을 조사했다. 그는 메이지 정부에 여러 개혁을 위한 허가와 지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1] 당시 섬을 둘러싼 중국과의 주권 분쟁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그의 개혁 프로그램이 광범위하다는 이유로 도쿄에서 승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키나와 지사 재임 기간은 짧았다.[2]그러나 모치노리의 재임 기간 동안 많은 수의 초등학교가 설립되었고, 도쿄에서 유학하는 학생들을 현 정부가 지원하는 시스템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1] 1883년, 오키나와 지사에서 물러나 겐로인의 구성원이 되었고, 1884년에는 백작(伯爵, ''하쿠샤쿠'')이 되었다.[2] 지사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그는 일본에서 오키나와 학생들의 복지와 교육을 위해 지속적으로 기여했다.[3]
4. 중앙 정계 활동과 말년
우에스기 모치노리는 오키나와 현령에서 물러난 후 중앙 정계에서 활동했다. 1883년 원로원 의관이 되었고,[4] 1884년 화족령 시행에 의해 백작 (백작)이 되었다. 1890년 원로원이 폐지되자, 같은 해 10월 20일 킨케이칸 시코가 되었다.
1896년 요네자와로 이주하여[4] 양잠, 제사, 직물 산업 개량에 힘썼다. 그는 요네자와와 오키나와에서 투자와 장학금 지원에 사재를 아끼지 않았다. 1919년 요네자와에서 사망했다.[4] 그의 사회 공헌 활동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5. 가계 및 친족
항목 | 내용 |
---|---|
출생 | 1844년 (고카 원년), 우에스기 나리노리의 장남으로 요네자와 성에서 출생[4] |
어머니 | 오반 |
어릴 적 이름 | 류센다이[4] |
후계자 지명 | 1846년 (고카 3년)[4] |
쇼군 알현 및 개명 | 1860년 (만엔 원년), 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 알현 후 모치노리로 개명[4] |
보신 전쟁 참전 | 1868년 (게이오 4년/메이지 원년), 아버지와 함께 오우에쓰 열번 동맹 가담, 패배 후 항복 및 가독 상속 (4만 석 감봉)[4] |
부인 | 자료에 명시되지 않음 |
자녀 | 넷째 딸 류 (오키나와 현령 재직 시절 출생, 류큐의 류를 따서 작명)[4] |
증손자 | 우에스기 구니노리 (현대 천문학자) |
6. 평가
우에스기 모치노리는 메이지 시대의 관료이자 교육자로서, 특히 오키나와 현령 시절의 활동과 말년의 사회 공헌으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그는 우에스기 겐신의 먼 친척으로, 보신 전쟁 이후 가문을 이어받아 요네자와 번의 마지막 번주가 되었다.
모치노리는 1871년 도쿄로 이주한 후 영국 유학을 다녀왔으며, 1881년 오키나와 현령으로 부임했다. 그는 오키나와 현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현령 재임 기간 동안 그는 현 내 거의 모든 섬을 직접 순회하며 주민들의 생활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메이지 정부에 여러 개혁안을 제시했다.[1] 그의 순회 기록인 『우에스기 현령 순회 일지』는 당시 오키나와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사료로 남아있다.
그러나 그의 개혁 노력은 중앙 정부의 반대에 부딪혀 좌절되었다. 당시 오키나와는 중국과의 영토 분쟁이 계속되던 상황이었고, 중앙 정부는 급진적인 개혁보다는 현상 유지를 선호했기 때문이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치노리는 오키나와 현의 교육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그는 재임 기간 동안 많은 초등학교를 설립하고, 오키나와 출신 학생들이 도쿄에서 유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마련했다.[1] 또한, 현령에서 물러난 후에도 일본 본토에서 오키나와 학생들의 복지와 교육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다.[3]
모치노리는 1883년 오키나와 현령에서 물러난 후 원로원 의원이 되었고, 1884년에는 백작 작위를 받았다. 말년에는 요네자와로 이주하여 양잠, 제사, 직물 산업 발전에 힘썼으며, 사재를 털어 장학 사업에 헌신했다.
이러한 모치노리의 생애는 진보적 개혁가이자 지역 사회 발전에 헌신한 인물로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오키나와 현령 시절 보여준 그의 노력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 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면서도 지역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고자 했던 그의 의지를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People of Okinawan History
Okinawa Bunka-sha
1996
[2]
서적
Okinawa: the History of an Island People
Tuttle Publishing
2000
[3]
문서
[4]
웹사이트
上杉 茂憲
https://www.city.yon[...]
米沢市
2023-08-30
[5]
문서
後の米沢義社の礎となる。現在は山形銀行と合併。
[6]
문서
池田成彬の父。
[7]
문서
清国との琉球帰属問題が完全に解決するのは日清戦争後である。
[8]
문서
沖縄県の資料・出版物では1500円と3000円の2説があって定まっていない。ただし離任後に賞勲局より、「県への1500円寄付」についての褒状が贈られている。伊波普猷は回想録で、上杉県令の寄付金「1500円」を校長が無駄にしたことを、中学でのストライキのきっかけの一つと記している。なお、県令の月俸は200円であった。
[9]
간행물
日本弘道會評議員 子爵 大給近孝
https://dl.ndl.go.jp[...]
大分県人士録発行所
1914
[10]
논문
近代日本(1868-1941)におけるハンセン病対策と3人の来日女性宣教師のハンセン病者救済活動
https://ci.nii.ac.jp[...]
金城学院大学社会学部
2015-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