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리케 마이파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리케 마이파르트는 독일의 육상 선수로, 높이뛰기 선수로 활동했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16세의 나이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최연소 올림픽 육상 금메달리스트가 되었고,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12년 만에 다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02m의 세계 신기록을 세웠으며,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은퇴 후에는 트레이너로 활동하며, 아르노 브레커의 조각상 모델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독의 유니버시아드 은메달리스트 - 자비네 바우
- 독일의 여자 높이뛰기 선수 - 말라이카 미함보
말라이카 미함보는 독일의 멀리뛰기 선수로, 201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20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 2022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연패를 달성했으며 개인 최고 기록은 7.30m이다. - 독일의 여자 높이뛰기 선수 - 하이케 헹켈
하이케 헹켈은 독일의 높이뛰기 선수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을 포함하여 세계 선수권, 세계 실내 선수권, 유럽 선수권, 유럽 실내 선수권에서 우승하며 여자 높이뛰기 5개 타이틀을 석권한 세 명 중 한 명으로, 은퇴 후에는 스포츠 캐스터와 강연자로 활동하고 있다. - 197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육상 참가 선수 - 나데즈다 올리자렌코
나데즈다 올리자렌코는 소련의 육상 선수로, 모스크바 올림픽 800m 금메달과 1500m 동메달, 유럽 선수권 800m 금메달 등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서 활약했고 은퇴 후 육상 코치로 활동하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으로 사망했다. - 197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육상 참가 선수 - 유리 세디흐
유리 세디흐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은퇴한 해머던지기 선수로,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1986년 세계 기록을 세웠고, 선수 은퇴 후 코치로 활동하다 2021년에 사망했다.
울리케 마이파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울리케 나세-마이파르트 |
출생일 | 1956년 5월 4일 |
출생지 | 서독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신장 | 1.88m |
체중 | 70kg |
국적 | 독일 |
거주지 | 독일 |
선수 정보 | |
종목 | 높이뛰기 |
소속 클럽 | LG 라인-빌레 ASV 쾰른 바이어 레버쿠젠 |
개인 최고 기록 (실외) | 2.03m (1983년) |
은퇴 | 은퇴 |
올림픽 메달 | |
1972 뮌헨 | 높이뛰기 금메달 |
1984 로스앤젤레스 | 높이뛰기 금메달 |
세계 선수권 메달 | |
1983 헬싱키 | 높이뛰기 은메달 |
유럽 선수권 메달 | |
1982 아테네 | 높이뛰기 금메달 |
유럽 실내 선수권 메달 | |
1982 밀라노 | 높이뛰기 금메달 |
1984 예테보리 | 높이뛰기 금메달 |
기타 메달 | |
1979 멕시코시티 | 높이뛰기 은메달 |
1973 뒤스부르크 | 높이뛰기 은메달 |
2. 선수 경력
울리케 마이파르트는 10대 시절 정점을 찍은 후 슬럼프를 겪다가 20대 후반에 다시 세계 정상에 오른, 특이한 선수 경력을 가지고 있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16세의 나이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를 놀라게 했으나, 이후 부상과 부진으로 긴 슬럼프를 겪었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예선 탈락,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불참(서독 보이콧) 등 시련을 겪었다.
1980년대 초반, 마이파르트는 다시 한번 세계를 놀라게 한다. 1982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와 198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연달아 우승하며 부활을 알렸고,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은메달로 건재함을 과시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마이파르트는 12년 만에 올림픽 금메달을 다시 목에 걸며, 선수 생활을 화려하게 마무리했다.
2. 1. 초기 경력 (1971-1972)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태어난 마이파르트는 1971년 15세의 나이로 서독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위를 차지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5] 같은 해 헬싱키에서 열린 1971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 서독 국가대표로 참가했다.1972년 뮌헨 올림픽에 서독 국가대표 선수로 출전한 마이파르트는 4년 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딕 포스버리가 처음으로 고안한 새로운 높이뛰기 기술인 배면뛰기를 이미 도입한 선수들 중 한 명이었다. 개인 기록은 1.85m로 입상 기준에 미치지 못해 메달 획득 가능성은 낮게 점쳐졌으나, 홈 관중들의 응원에 힘입어 1.90m를 넘어 금메달을 확정지었다. 나아가 기존 세계 기록보다 2cm 높은 1.92m를 기록하며 16세의 나이로 최연소 올림픽 육상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2. 2. 뮌헨 올림픽 금메달 (1972)
마이파르트는 1972년 하계 올림픽에 서독 국가대표 선수로 출전했다. 마이파르트는 4년 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딕 포스버리가 처음으로 고안한 새로운 높이뛰기 경기 스타일을 이미 도입한 선수들 중 한 명이었으나, 개인 기록이 입상 기준보다 떨어지는 1.85m였기 때문에 메달 획득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국 관중들 앞에서 5cm를 늘린 1.90m의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확정지었다. 이후 기존의 세계 기록보다 2cm를 능가하는 1.92m를 기록하면서 16세의 나이로 최연소 올림픽 육상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3]2. 3. 슬럼프와 좌절 (1973-1980)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깜짝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 마이파르트는 부상과 부진으로 힘든 시기를 보냈다. 1978년까지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하지 못했고,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1974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7위, 1978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에 그쳤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동독의 로즈마리 아커만을 꺾을 대항마로 주목받았지만, 예선에서 탈락하는 아픔을 겪었다.[3]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은 서독의 보이콧으로 인해 참가하지 못했다.
2. 4. 재기와 두 번째 전성기 (1981-1984)
1982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와 198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198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2.02m의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3]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타마라 비코바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런던에서 열린 유러피언컵에서 비코바와 함께 2.03m를 기록하며 다시 세계 신기록을 세웠으나[3], 비코바는 4일 후 이 기록을 경신했다.1984년 하계 올림픽은 마이파르트의 마지막 메이저 대회였다. 동구권의 보이콧으로 인해 비코바 같은 강력한 경쟁 상대들이 올림픽에 불참하면서, 마이파르트는 1980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이탈리아의 사라 시메오니를 꺾고 2.02m를 기록하며 뮌헨 올림픽 이후 12년 만에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이는 당시 올림픽 여자 높이뛰기 최고령 기록이었으며, 이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스테프카 코스타디노바가 31세로 우승하며 경신되었다.
3. 주요 경기 결과
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기록 |
---|---|---|---|---|
1971 | 유럽 선수권 대회 | 헬싱키, 핀란드 | 30위 (예선) | 1.68 m |
1972 | 올림픽 | 뮌헨, 서독 | 1.92 m | |
1973 |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 뒤스부르크, 서독 | 1.80 m | |
1974 | 유럽 선수권 대회 | 로마, 이탈리아 | 7위 | 1.83 m |
1976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뮌헨, 서독 | 1.89 m | |
올림픽 | 몬트리올, 캐나다 | 22위 (예선) | 1.78 m | |
1978 | 유럽 선수권 대회 | 프라하, 체코슬로바키아 | 5위 | 1.91 m |
1979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빈, 오스트리아 | 1.80 m | |
유니버시아드 | 멕시코시티, 멕시코 | 1.92 m | ||
1980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진델핑겐, 서독 | 11위 | 1.80 m |
1981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그르노블, 프랑스 | 4위 | 1.88 m |
월드컵 | 로마, 이탈리아 | 1.96 m1 | ||
1982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밀라노, 이탈리아 | 1.99 m | |
유럽 선수권 대회 | 아테네, 그리스 | 2.02 m (WR) | ||
1983 | 세계 선수권 대회 | 헬싱키, 핀란드 | 1.99 m | |
1984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예테보리, 스웨덴 | 1.95 m | |
올림픽 | 로스앤젤레스, 미국 | 2.02 m (OR) |
1 유럽 대표
3. 1. 국제 대회
마이파르트는 15세 때인 1971년 서독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위를 차지했고, 헬싱키에서 열린 1971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 서독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이듬해 뮌헨에서 열린 1972년 하계 올림픽에 서독 국가대표 선수로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당시 16세였던 마이파르트는 올림픽 육상 역사상 최연소 개인 종목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3]1972년 하계 올림픽 이후, 마이파르트는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 결승 진출에 실패하고, 서독의 1980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으로 인해 참가하지 못하는 등 부진을 겪었다. 그러나 1982년에 다시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시작했다.
198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와 1982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우승했으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2.02m의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3]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타마라 비코바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런던에서 열린 유러피언컵에서는 비코바와 함께 2.03m를 기록하며 다시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3]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동구권 국가들의 보이콧으로 인해 유력한 경쟁자들이 불참한 가운데, 이탈리아의 사라 시메오니를 꺾고 2.02m를 기록하며 1972년 뮌헨 올림픽 이후 12년 만에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기록 |
---|---|---|---|---|
1971 | 유럽 선수권 대회 | 헬싱키, 핀란드 | 30위 (예선) | 1.68 m |
1972 | 올림픽 | 뮌헨, 서독 | 1.92 m | |
1973 |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 뒤스부르크, 서독 | 1.80 m | |
1974 | 유럽 선수권 대회 | 로마, 이탈리아 | 7위 | 1.83 m |
1976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뮌헨, 서독 | 1.89 m | |
올림픽 | 몬트리올, 캐나다 | 22위 (예선) | 1.78 m | |
1978 | 유럽 선수권 대회 | 프라하, 체코슬로바키아 | 5위 | 1.91 m |
1979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빈, 오스트리아 | 1.80 m | |
유니버시아드 | 멕시코시티, 멕시코 | 1.92 m | ||
1980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진델핑겐, 서독 | 11위 | 1.80 m |
1981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그르노블, 프랑스 | 4위 | 1.88 m |
월드컵 | 로마, 이탈리아 | 1.96 m1 | ||
1982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밀라노, 이탈리아 | 1.99 m | |
유럽 선수권 대회 | 아테네, 그리스 | 2.02 m (WR) | ||
1983 | 세계 선수권 대회 | 헬싱키, 핀란드 | 1.99 m | |
1984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예테보리, 스웨덴 | 1.95 m | |
올림픽 | 로스앤젤레스, 미국 | 2.02 m (OR) |
1 유럽 대표
3. 2. 서독 국내 대회
마이파르트는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태어났으며, 15세의 나이로 1971년 서독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위에 올랐다.[5] 1972년에는 동메달을 획득했다.[5] ASV 쾰른으로 옮긴 후, 1973년, 1975년, 1979년, 1980년부터 1983년까지 서독 챔피언이 되었다.[5] 1976년에는 다시 동메달을 획득했고, 1978년과 1984년에는 은메달을 획득했다.[5]연도 | 순위 | 기록 |
---|---|---|
1971년 | 2위 | - |
1972년 | 3위 | - |
1973년 | 1위 | - |
1975년 | 1위 | - |
1976년 | 3위 | - |
1978년 | 2위 | - |
1979년 | 1위 | - |
1980년 | 1위 | - |
1981년 | 1위 | - |
1982년 | 1위 | - |
1983년 | 1위 | - |
1984년 | 2위 | - |
4. 개인 최고 기록
5. 은퇴 후
1983년 아르노 브레커의 청동 조각상 "The High Jumper"의 모델로 활동했다.[6] 1987년 쾰른 출신의 변호사 롤랜드 나세와 결혼하여 슬하에 두 딸을 두고 있다.[7] 쾰른 스포츠 대학교에서 스포츠 교사 자격증을 취득했으며, 1997년부터 TSV 바이어 04 레버쿠젠에서 트레이너 및 인재 발굴 담당자로 활동하고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Ulrike Meyfarth
https://www.olympedi[...]
OlyMADmen
2023-02-04
[2]
IAAF
Ulrike Meyfarth
http://www.iaaf.org/[...]
[3]
Trackfield
Ulrike Meyfarth
http://trackfield.br[...]
[4]
웹사이트
Ulrike Meyfarth
https://web.archive.[...]
2023-02-04
[5]
웹사이트
Leichtathletik – Deutsche Meisterschaften (Hochsprung – Damen)
http://www.sport-kom[...]
2011-07-11
[6]
웹사이트
Ulrike Meyfarth biographical notes
http://www.ulrike-me[...]
2010-12-30
[7]
웹사이트
Infos about Ulrike Meyfarth
http://www.wissen-di[...]
[8]
웹사이트
Bekannte Studierende und Alumni
https://www.dshs-ko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