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프카 코스타디노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테프카 코스타디노바는 불가리아의 육상 선수이자 스포츠 행정가이다. 198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09m를 기록하여 2024년 현재까지 여자 높이뛰기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85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것을 시작으로 세계 선수권 대회 2회, 유럽 선수권 대회 1회,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5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은메달,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9년 은퇴 후에는 불가리아 육상 연맹 부회장, 불가리아 올림픽 위원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2005년부터 현재까지 불가리아 올림픽 위원회 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로브디프 출신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는 CSKA 소피아와 FC 바르셀로나에서 맹활약하며 유러피언 골든 부츠, 라리가 우승,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1994년 FIFA 월드컵 득점왕, 발롱도르를 수상한 불가리아 출신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이자 논란이 많은 감독이다. - 플로브디프 출신 - 흐리스토 보네프
흐리스토 보네프는 PFC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에서 주로 활동하며 불가리아 올해의 선수상을 5회 수상하고 불가리아 국가대표팀에서 96경기 48골을 기록, FIFA 월드컵에 두 차례 참가한 불가리아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 불가리아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이반카 흐리스토바
이반카 흐리스토바는 불가리아의 포환던지기 선수로,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금메달, 1972년 뮌헨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1976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1967년과 1969년 유럽 실내 게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1976년 7월에는 포환던지기 세계 신기록을 두 차례 경신했다. - 불가리아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테레자 마리노바
테레자 마리노바는 불가리아의 세단뛰기 육상 선수로,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15.20m의 개인 최고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육상 강사와 해설가, 국립 스포츠 아카데미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스테프카 코스타디노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스테프카 게오르기에바 코스타디노바 |
원어명 | Стефка Георгиева Костадинова |
로마자 표기 | Stefka Georgieva Kostadinova |
국적 | 불가리아 |
출생일 | 1965년 3월 25일 |
출생지 |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플로브디프 |
신장 | 180cm |
체중 | 60kg |
종목 | 육상 |
세부 종목 | 높이뛰기 |
은퇴 | 1997년 |
선수 경력 | |
활동 연도 | 1985–1997 |
포지션 | 높이뛰기 |
개인 최고 기록 | |
실외 | 2.09m |
실내 | 2.06m |
올림픽 | |
금메달 | 1996 애틀랜타 |
은메달 | 1988 서울 |
세계 선수권 대회 | |
금메달 | 1987 로마 1995 예테보리 |
유럽 선수권 대회 | |
금메달 | 1986 슈투트가르트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
금메달 | 1985 파리 1987 인디애나폴리스 1989 부다페스트 1993 토론토 1997 파리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
금메달 | 1985 피레아스 1987 리에뱅 1988 부다페스트 1994 파리 |
은메달 | 1992 제노바 |
굿윌 게임 | |
금메달 | 1986 모스크바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
금메달 | 1985 로마 1987 브뤼셀 1993 런던 |
은메달 | 1991 바르셀로나 |
IAAF 월드컵 | |
금메달 | 1985 캔버라 |
유럽 컵 | |
금메달 | 1985 모스크바 1987 프라하 |
은메달 | 1995 빌뇌브 다스크 1996 마드리드 |
2. 선수 경력
스테프카 코스타디노바는 여자 높이뛰기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녀는 1987년 로마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2.09m라는 경이적인 세계 기록을 세웠는데, 이 기록은 2024년 7월 야로슬라바 마후치흐가 경신하기 전까지 약 37년간 깨지지 않은 대기록이었다. 선수 생활 동안 총 7번의 세계 기록(실외 3회, 실내 4회)을 세웠으며, 2m 이상을 무려 197번이나 넘는 놀라운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올림픽에서는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마침내 금메달을 목에 걸며 올림픽 기록(2.05m)까지 세웠다. 이 금메달 획득으로 코스타디노바는 여자 높이뛰기 역사상 전무후무하게 세계 기록 보유자, 세계 선수권 챔피언(1987, 1995년 우승), 올림픽 챔피언 타이틀을 동시에 거머쥔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이 외에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5회 우승,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및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다수 우승 등 화려한 경력을 쌓았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불가리아 올해의 스포츠 선수로 4차례(1985년, 1987년, 1995년, 1996년) 선정되었으며, 1999년에 공식적으로 은퇴했다.
2. 1. 초기 경력
플로브디프에서 태어나 체육 특수 학교에 다녔다. 6학년(12~13세) 때 처음으로 높이뛰기를 접했다. 1985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국제 무대에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냈다.1986년에는 대표팀 동료였던 류드밀라 안도노바가 보유하고 있던 여자 높이뛰기 세계 기록(2.07m)과 타이를 이룬 뒤, 며칠 지나지 않아 2.08m를 넘으며 새로운 세계 기록 보유자가 되었다. 같은 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1987년에는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09m를 성공시키며 자신의 세계 기록을 다시 한번 경신했다. 이 기록은 2024년 7월 7일 우크라이나의 야로슬라바 마후치흐에 의해 깨지기 전까지 약 37년간 유지된 대기록이었다. 또한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하며 실내외 대회를 모두 석권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미국의 루이스 리터와 2.03m로 같은 기록을 세웠고, 시기차와 도약 횟수까지 동일하여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높이뛰기 경기에서는 매우 드문 서든 데스 방식의 점프 오프(연장전)가 진행되었고, 접전 끝에 아쉽게 패하며 은메달에 머물렀다.
2. 2. 전성기
플로브디프에서 태어난 코스타디노바는 1985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1986년에는 대표팀 동료 선수였던 류드밀라 안도노바가 보유하고 있던 세계 기록 2.07m와 타이를 이루었고, 며칠 지나지 않아 2.08m를 넘으며 새로운 세계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1987년 로마에서 열린 198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2.09m를 넘으며 자신의 세계 기록을 다시 한번 경신했다. 이 기록은 약 37년 동안 깨지지 않고 유지되다가, 2024년 7월 7일 우크라이나의 야로슬라바 마후치흐에 의해 경신되었다. 코스타디노바는 선수 생활 동안 총 7번의 세계 기록(실외 3회, 실내 4회)을 세웠으며, 2m 이상을 197번 넘는 대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미국의 루이스 리터와 기록 및 시기, 도약 횟수까지 동일하여 육상 경기에서는 보기 드문 서든 데스 방식의 점프 오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아쉽게 은메달에 머물렀다. 이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꾸준히 우승(1985, 1987, 1989, 1993, 1997년 총 5회)했지만, 한동안 올림픽이나 세계 선수권에서는 정상에 오르지 못했다.
그러나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다시 한번 세계 정상에 올랐고, 이듬해인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2.05m의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마침내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로써 코스타디노바는 여자 높이뛰기 역사상 최초로 세계 기록 보유자, 세계 선수권 챔피언, 올림픽 챔피언이라는 세 가지 타이틀을 동시에 거머쥔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1997년 세계 실내 선수권에서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한 후, 주요 대회에 더 이상 참가하지 않았고 1999년에 공식적으로 은퇴했다. 선수 시절의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아 불가리아 올해의 스포츠 선수로 총 4회(1985년, 1987년, 1995년, 1996년) 선정되었다.
2. 3. 주요 대회 성적
스테프카 코스타디노바는 여자 높이뛰기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녀는 198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09m라는 경이적인 세계 기록을 세웠으며, 이 기록은 2024년 7월 야로슬라바 마후치흐가 경신하기 전까지 약 37년간 깨지지 않았다. 코스타디노바는 선수 생활 동안 총 7번의 세계 기록(실외 3회, 실내 4회)을 작성했고, 2m 이상을 197번 넘는 대기록을 세웠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강력한 우승 후보였으나, 미국의 루이스 리터와 기록, 시기, 도약 횟수까지 모두 같아 높이뛰기에서는 보기 드문 점프오프(서든데스 방식) 끝에 아쉽게 은메달에 머물렀다. 그러나 이후 꾸준히 세계 정상급 기량을 유지하며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마침내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2.05m의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로써 코스타디노바는 여자 높이뛰기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세계 기록 보유자, 세계 선수권 챔피언, 올림픽 챔피언 타이틀을 동시에 석권한 선수가 되었다.
주요 국제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기록 | 비고 |
---|---|---|---|---|---|
1984 | 프렌드십 게임 | 프라하, 체코슬로바키아 | 4위 | 1.93m | |
1985 | 세계 실내 선수권 | 파리, 프랑스 | 1위 | 1.97m | |
유럽 실내 선수권 | 피레아스, 그리스 | 1위 | 1.97m | ||
월드컵 | 캔버라, 오스트레일리아 | 1위 | 2m | ||
1986 | 선의의 게임 | 모스크바, 소련 | 1위 | 2.03m | |
유럽 선수권 | 슈투트가르트, 서독 | 1위 | 2m | ||
1987 | 유럽 실내 선수권 | 리뱅, 프랑스 | 1위 | 1.97m | |
세계 실내 선수권 | 인디애나폴리스, 미국 | 1위 | 2.05m | ||
세계 선수권 | 로마, 이탈리아 | 1위 | 2.09m | WR | |
1988 | 유럽 실내 선수권 | 부다페스트, 헝가리 | 1위 | 2.04m | |
올림픽 | 서울, 대한민국 | 2위 | 2.01m | ||
1989 | 세계 실내 선수권 | 부다페스트, 헝가리 | 1위 | 2.02m | |
1991 | 세계 선수권 | 도쿄, 일본 | 6위 | 1.93m | |
1992 | 유럽 실내 선수권 | 제노바, 이탈리아 | 2위 | 2.02m | |
올림픽 | 바르셀로나, 스페인 | 4위 | 1.94m | ||
1993 | 세계 실내 선수권 | 토론토, 캐나다 | 1위 | 2.02m | |
세계 선수권 | 슈투트가르트, 독일 | 15위 (q) | 1.9m | 예선 |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런던, 영국 | 1위 | 1.98m | ||
1994 | 유럽 실내 선수권 | 파리, 프랑스 | 1위 | 1.98m | |
1995 | 세계 선수권 | 예테보리, 스웨덴 | 1위 | 2.01m |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몬테카를로, 모나코 | 4위 | 1.93m | ||
1996 | 올림픽 | 애틀랜타, 미국 | 1위 | 2.05m | OR |
1997 | 세계 실내 선수권 | 파리, 프랑스 | 1위 | 2.02m |
현역 선수 은퇴 후 스포츠 행정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불가리아 육상 연맹 부회장을 지냈으며, 이후 불가리아 올림픽 위원회 부회장으로도 활동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불가리아 스포츠부 차관을 역임했다.
1995년 코스타디노바는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따기 몇 달 전 아들 니콜라이를 낳았다. 1999년에는 오랜 남편이자 코치였던 니콜라이 페트로프와 이혼했다. 2007년 코스타디노바는 사업가 니콜라이 팝바실레프와 결혼했다.
[1]
Sports-Reference
Stefka Kostadinova
http://www.sports-re[...]
2023-04-02
코스타디노바는 불가리아 올해의 스포츠 선수로 4차례(1985년, 1987년, 1995년, 1996년) 선정되었다. 1997년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5번째 우승을 마지막으로 주요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고, 1999년에 공식 은퇴했다.
3. 스포츠 행정가 경력
2005년 11월 11일, IOC의 윤리 기준 위반으로 제명된 이반 슬라프코프의 후임으로 불가리아 올림픽 위원회 회장에 선출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회장직을 맡고 있다.
4. 개인사
참조
[2]
IAAF profile
Stefka Kostadinova's IAAF profile
http://www.iaaf.org/[...]
[3]
웹사이트
Radostin Kishishev opened a new soccer field in kindergarten "Andersen"
http://movetoimprove[...]
[4]
웹사이트
На тази дата преди 29 г. Стефка Костадинова поставя световен рекорд
http://www.vesti.bg/[...]
[5]
문서
All-time women's best high jump
http://www.alltim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