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리스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리스선은 인도네시아 지역의 생물 분포 경계선으로,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생물 지리학적 특징을 구분하는 가상의 선이다. 19세기 중반, G.W. 얼은 동식물상의 차이를 관찰하고,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는 발리섬 동쪽에 이 선을 제안했다. 토머스 헉슬리는 필리핀 서쪽으로 경계선을 설정하고 '월리스선'이라고 명명했다. 월리스선은 순다 대륙붕과 사훌 대륙붕을 구분하며, 왈라세아 지역을 형성한다. 이 지역은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생물상의 전이지대로, 조류, 포유류 등 다양한 생물들의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술라웨시해 - 인도네시아실러캔스
인도네시아실러캔스는 1997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에서 발견된 *Latimeria menadoensis*라는 학명의 실러캔스 종으로, 코모로실러캔스와 유사하지만 갈색을 띠며 최대 1.4m까지 성장하고 심해에 서식하며 난태생으로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개체 수와 서식지 제한으로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술라웨시해 - 마카사르 해협
마카사르 해협은 술라웨시 해와 자바 해를 연결하며 보르네오 섬과 술라웨시 섬 사이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해협으로, 넓은 폭과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해상 운송로 및 과거 해전의 무대로 활용되었다.
월리스선 | |
---|---|
지도 | |
개요 | |
이름 | 월리스 선 |
정의 |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의 동물군을 분리하는 경계선 |
위치 | 인도네시아 군도 |
주요 특징 | 생물 지리학적 경계 동물 분포의 급격한 변화 |
중요성 | 생물 진화 연구 지역 생태계 연구 |
역사 | |
발견자 |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 |
발표 시기 | 1859년 |
배경 | 말레이 제도 탐험 동식물 분포 연구 |
상세 설명 | |
구분 | 아시아 생물군: 호랑이, 코뿔소, 오랑우탄 오스트레일리아 생물군: 유대류, 주머니쥐, 코알라 |
관련 지역 | 왈라세아 (월리스 선과 리데커 선 사이의 지역) |
변동 | 지질학적 변화 해수면 변동 |
의미 | |
생물 다양성 | 생물 다양성의 급격한 변화 |
진화 연구 | 생물 진화 과정 연구에 기여 |
생물 지리학 | 생물 지리학 연구에 중요한 기준점 |
논란 및 한계 | |
선의 정확성 | 일부 종의 분포는 정확히 일치하지 않음 생태학적 복잡성 |
수정 | 헉슬리 선 리데커 선 베버 선 |
관련 정보 | |
관련 인물 |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 토머스 헨리 헉슬리 막스 카를 빌헬름 베버 |
참고 자료 | Biological Reviews, 2021년 6월호 내셔널 지오그래픽, 2011년 10월 31일 일본대백과전서, 와라스선 |
같이 보기 | 왈라세아 |
2. 역사적 맥락
인도-오스트레일리아 제도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초기 기록은 1521년 베네치아 탐험가 피가페타가 마젤란의 항해 도중 필리핀과 말루쿠 제도 사이의 생물학적 차이를 기록하면서 시작되었다.[13] 이후 영국의 항해사 G. W. 얼은 인도-오스트레일리아 제도 섬들 간의 동물상 차이를 관찰했다.
1845년 G. W. 얼은 서쪽 섬들(수마트라, 자와 등)은 얕은 바다를 통해 아시아 대륙과 연결되어 유사한 야생 동물상을 가지는 반면, 동쪽 섬들인 뉴기니 등은 오스트레일리아와 연결되어 유대류가 존재한다는 점을 설명했다.[2]
1859년, 월리스는 인도네시아 지역을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리 동쪽에 생물 분포 경계선을 제안했다. 그는 보르네오와 자와 동쪽의 모든 섬들이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태평양 대륙의 일부였으며, 이후 분리되었다고 주장했다.[3]
2. 1. 월리스의 생물지리학 연구와 진화론
월리스의 인도네시아 연구는 다윈의 가설을 지지하는 논문이 발표된 시기와 거의 동시에 진화론의 출현을 보여주었다.[15] 그러나 당시에는 판 구조론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고, 필리핀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월리스의 이론에는 몇 가지 모순점이 남아 있었다.[12]월리스는 1859년 논문에서 필리핀을 포함시키지 않았으며, '월리스선'이라는 이름은 헉슬리가 1868년에 제안한 것이다.[16][17] 헉슬리는 필리핀의 닭목 조류 분포를 연구하여 필리핀 종들이 아시아 영역의 종들과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고, 월리스의 경계를 필리핀 서쪽으로 조정하여 "월리스선"이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월리스 자신은 필리핀을 이 선의 동쪽에 포함하는 것을 거부했다.[12]
2. 2. 헉슬리의 월리스선 제안과 이후의 수정
헉슬리는 필리핀의 닭목 조류 분포를 연구하면서 필리핀의 종들이 아시아 영역의 종들과 현저히 다르다는 점을 알아챘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월리스의 경계를 필리핀 서쪽으로 재조정하고 "월리스선"이라고 명명했다.[16][17] 그러나 월리스 자신은 필리핀을 이 선의 동쪽에 포함시키는 것을 거부했었다.[12]월리스 이후에도 동물상과 식물상의 경계를 특징짓기 위한 지속적인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학자 | 내용 |
---|---|
스클레이터 | 스클레이터선 (1894년) |
라이데커 | 라이데커선 (1896년) |
펠세니어 | 펠세니어의 동물상 균형 (1904년) |
마이어 | 마이어의 동물상 균형 (1944년) |
최근의 연구들은 생물다양성 집합체와 계통을 평가하고, 컴퓨터 기반 지리공간 도구를 사용하여 이전 경계들을 분석함으로써 19세기에 제안된 것과 유사한 구분 패턴을 도출해냈다. 예를 들어, 월리스의 영역에서 육상 포유류, 조류, 양서류의 분포를 평가하여 월리스가 제안한 경계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결론을 내렸다.[18]
3. 생물지리학
인도-오스트레일리아 제도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초기 기록은 1521년 피가페타가 마젤란 사후 항해 중 필리핀과 말루쿠 제도(향신료 제도) 사이의 생물학적 차이를 기록하면서 시작되었다. 1845년 G. W. 얼은 서쪽 섬들(수마트라, 자와 등)은 아시아 대륙과 얕은 바다로 연결되어 유사한 동물상을, 동쪽 섬들(뉴기니 등)은 오스트레일리아와 연결되어 유대류가 존재한다는 점을 설명하였다.[13]
1859년 월리스는 발리 동쪽에 선을 제안하며 보르네오와 자와 동쪽 섬들이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태평양 대륙의 일부였다가 분리되었다고 주장했다.[14] 그의 연구는 다윈의 진화론과 유사한 시기에 이루어졌으며, J. D. 후커와 아사 그레이의 지지를 받았다.[15] 1868년 T. H. 헉슬리는 필리핀 닭목 조류 분포 연구를 통해 필리핀 종들이 아시아 영역과 다르다는 점을 발견하고, 월리스의 경계를 필리핀 서쪽으로 재조정하여 "월리스선"이라고 명명했다.[16][17] 이후에도 스클레이터선(1894년), 라이데커선(1896년) 등 동물상과 식물상의 경계를 짓기 위한 시도가 이어졌다.[12] 최근 연구들은 육상 포유류, 조류, 양서류 분포를 평가하여 월리스가 제안한 경계가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주었다.[18]
이 지역의 생물지리학적 이해는 고대 해수면과 대륙붕의 관계에 기반한다. 월리스선은 순다 대륙붕과 사훌 대륙붕 사이의 깊은 수로로 나타난다.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해수면이 낮았을 때도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는 연결되지 않아, 두 지역의 생물상은 오랜 기간 분리되어 진화했다.[19]
3. 1. 왈라세아 (Wallacea)
월리스선과 라이데커선 사이의 지역은 '왈라세아'라고 불리며,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생물상의 전이 지대이다. 왈라세아는 순다 대륙붕과 사훌 대륙붕 사이의 깊은 바다로 인해 5천만 년 이상 고립되어 있었으며, 섬 사이의 해협을 건널 수 있는 생물들만이 서식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했다.[20]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해수면이 낮았을 때에도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는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왈라세아는 두 대륙의 생물상이 섞이는 지역이 되었다. 베버선은 왈라세아 내에서 아시아 기원 종과 오스트레일리아 기원 종의 비율이 거의 같은 지점을 나타낸다.[10]
3. 2. 베버선 (Weber Line)
베버선은 아시아 종과 오스트레일리아 기원 종 사이의 전환점인 이 전이 지역(중앙 동쪽)을 통과한다.[10]
4. 동물지리학
많은 조류는 월리스선을 넘지 않고 각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데, 이는 많은 조류가 짧은 바다조차 건너지 않기 때문이다. 박쥐는 월리스선을 넘어 분포하지만, 대형 육상 포유류는 일반적으로 한쪽에만 국한된다. 오스트레일리아 쪽에는 많은 유대류 종과 일부 단공류, 그리고 토착 설치류가 서식한다. 다만 설치류는 비교적 최근에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12]
반면 아시아 쪽에서는 태반 포유류인 영장류, 고양잇과, 코끼리, 원숭이, 코뿔소 등이 발견되며, 유대류는 없다.[12] 술라웨시에는 마카크원숭이, 돼지, 안경원숭이 등 예외적인 동물들이 서식한다.[12]
식물상은 동물상만큼 월리스선을 엄격하게 따르지 않는다. 월리스선을 넘지 않는 식물 속 중 하나는 오스트레일라시아의 유칼립투스속이지만, 유칼립투스 디글럽타는 예외적으로 필리핀 민다나오섬에서 자생한다.[14]
5. 식물지리학
식물상은 동물상만큼 월리스선을 엄격히 따르지 않는데, 이는 식물의 정착 양상이 수역을 가로지르는 능력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월리스선을 넘지 않는 식물 속 중 하나는 오스트레일라시아의 유칼립투스속이지만, 예외적으로 유칼립투스 디글럽타는 필리핀 민다나오섬에서 자생한다.[14] 다른 식물군과 동물군의 분포 패턴은 서로 다르지만, 전반적인 패턴은 놀랍고 상당히 일관적이다.
6. 현대적 연구
최근 연구는 생물다양성 집합체와 계통을 평가하고, 컴퓨터 기반 지리공간 도구를 사용하여 이전의 경계들을 분석하여 19세기에 제안된 것과 유사한 구분 패턴을 도출했다. 다만 이전에 설명되지 않았던 일부 특수한 경우들이 이러한 현대적 분석을 통해 강화되었다.[18] 예를 들어, 월리스 영역에서 육상 포유류, 조류, 양서류의 분포를 평가하여 월리스가 제안한 경계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알리 등(2020)은 크리스마스 섬의 동물상을 연구하여 이 섬의 육상 포유류와 양서류 대부분의 조상 정착자들이 롬복 해협에서 사라졌음을 밝혔다. 따라서 이들은 크리스마스 섬이 동양 쪽이 아닌 오스트레일라시아 쪽의 생물지리학적 구분선에 위치하도록 월리스선을 재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12]
참조
[1]
논문
Wallace's line, Wallacea , and associated divides and areas: History of a tortuous tangle of ideas and labels
https://onlinelibrar[...]
2021-06-01
[2]
서적
On the Physical Geography of South-Eastern Asia and Australia
1845
[3]
harvnb
1863
[4]
서적
Evolution: The history of an idea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5]
논문
December 10, 1868
1868-01-01
[6]
논문
Evolution, biogeography, and maps: An early history of Wallace's line
https://www.journals[...]
1993-12-01
[7]
논문
La ligne de Weber, limite zoologique de l’Asie et de l’Australie
1904-01-01
[8]
논문
Identifying global zoogeographical regions: lessons from Wallace
2013-01-01
[9]
서적
Zoology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874
[9]
book review
''Zoology'' by Alfred Newton, M.A., F.R.S. ... 1874
1875-04-01
[10]
논문
Wallace's Line in the Light of Recent Zoogeographic Studies
https://www.journals[...]
1944-03-01
[11]
Kotobank
2021-08-30
[12]
논문
Wallace's line, Wallacea , and associated divides and areas: History of a tortuous tangle of ideas and labels
https://onlinelibrar[...]
2021-06-01
[13]
서적
On the Physical Geography of South-Eastern Asia and Australia
1845
[14]
harvnb
1863
[15]
서적
Evolution: The history of an idea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16]
논문
December 10, 1868
1868-01-01
[17]
논문
Evolution, biogeography, and maps: An early history of Wallace's line
https://www.journals[...]
1993-12-01
[18]
논문
Identifying global zoogeographical regions: lessons from Wallace
2013-01-01
[19]
서적
Zoology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874
[19]
book review
''Zoology'' by Alfred Newton, M.A., F.R.S. ... 1874
1875-04-01
[20]
논문
Wallace's Line in the Light of Recent Zoogeographic Studies
https://www.journals[...]
1944-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