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공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공류는 배설, 배뇨, 생식 기관이 모두 총배설강으로 연결된 원시적인 포유류로, 오리너구리와 바늘두더지 등이 이에 속한다. 이들은 알을 낳고, 다리가 몸통 측면에 붙어 있는 등 파충류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단공류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주로 분포하며, 수중 무척추동물, 개미, 흰개미 등을 먹는다. 현존하는 포유류 중 유일하게 난생 번식을 하며, 젖꼭지 없이 피부에서 젖을 분비하여 새끼에게 수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판새류
판새류는 상어, 가오리, 홍어 등을 포함하는 연골어류 아강으로, 아가미구멍과 여러 열의 이빨을 가지며 기름으로 가득 찬 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턱 구조의 다양성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전 세계 해역과 일부 담수에 분포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 살아있는 화석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살아있는 화석 - 코알라
코알라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유칼립투스 잎을 주식으로 하는 유대류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의미의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 물을 마시기도 하고, 호주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로서 국제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단공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정보 | |
목 | 단공목 (Monotremata) |
학명 | Monotremata Bonaparte, 1837 |
로마자 표기 | Monotremata |
하위 그룹 | Kollikodontidae (멸종) Steropodontidae (멸종) Teinolophidae (멸종) Ornithorhynchoidea Opalionidae (멸종) Ornithorhynchidae Tachyglossidae |
형태 | |
특징 | 알을 낳는 포유류 |
어원 | 그리스어 'μονός' (모노스) (단일의) 그리스어 'τρῆμα' (트레마) (구멍) |
생물학적 특징 | |
턱 | 하악골이 갈라져 있음 |
서식 시기 | |
시대 | 바렘절 (백악기 초기) – 현재 |
2. 특징
단공류는 극히 적은 수의 포유류이다. 멸종된 단공류를 제외하면, 오리너구리와 여러 종류의 바늘두더지만이 현존한다. 오리너구리는 오리의 부리, 비버의 꼬리, 물갈퀴 달린 발을 가지고 있으며, 바늘두더지는 개미핥기를 닮았지만 뾰족한 털로 덮여 고슴도치처럼 보인다. 이들은 대부분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파푸아뉴기니에도 분포한다.
단공류는 다른 포유류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배설, 배뇨, 생식 기관이 모두 '총배설강'이라는 하나의 구멍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파충류와 유사한 특징이며, 단공류의 영어 이름인 Monotreme (Mono는 하나, trema는 구멍을 의미)도 여기에서 유래했다.[66] 단공류의 다리는 몸체 측면에 붙어 있어 파충류와 비슷한 걸음걸이를 보인다.
다른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단공류는 높은 신진대사율을 가진 온혈동물이지만(다른 포유류만큼 높지는 않음), 몸에 털이 나 있으며, 젖샘을 통해 젖을 생산하여 새끼를 먹이고, 아래턱에 뼈가 하나이며, 중이뼈가 세 개 있다. 유대류와 공통적으로, 단공류는 포유류에서 좌우 뇌 반구 사이의 주요 소통 경로인 결합 구조(뇌량)가 없다.[4] 하지만 전교련은 두 반구 사이의 대체 소통 경로를 제공하며, 단공류와 유대류에서는 교련 섬유를 모두 전달하지만, 태반 포유류에서는 이 섬유의 일부만 전달한다.[5]
현존하는 단공류는 성체가 되면 이빨이 없다. 화석 종과 현대 오리너구리 새끼는 어금니의 "삼첨치형"(세 개의 첨두가 삼각형으로 배열된 교합면을 형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현존하는 포유류의 특징 중 하나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단공류는 태반류와 유대류와 독립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어금니를 획득했다는 것을 시사하지만,[43] 이 가설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6] 현대 단공류의 이빨 상실은 전기 수용의 발달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7]
단공류의 턱은 다른 포유류와 다소 다르게 구성되어 있으며, 턱을 여는 근육도 다르다. 모든 진정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내이로 소리를 전달하는 작은 뼈는 비포유류 수궁류 및 기타 포유류 이전의 단궁류에서와 같이 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두개골에 완전히 통합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 또한 단공류와 수아강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다고 주장되고 있지만,[8] 삼첨치형 어금니의 유사한 진화와 마찬가지로 이 가설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9][10] 그럼에도 불구하고 멸종된 종인 ''테이놀로포스''에 대한 연구 결과는 현수된 귀뼈가 단공류와 수아강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음을 확인한다.[11] 귀의 외부 개구부는 여전히 턱 바닥에 있다.
단공류는 유두가 없다는 점에서도 다른 포유류와 다르다. 젖을 먹여 새끼를 키우지만, 젖은 독특한 유두가 아닌 피부의 일부에서 분비된다.
오리너구리 게놈 시퀀싱 결과, 단공류는 5쌍의 성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X염색체 중 하나가 조류의 Z 염색체와 유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12] 이는 단공류가 조류와 유전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난황 생성 단백질 유전자(난황 형성에 필요한 단백질)의 존재는 조류와 공유된다.[17]
단공류는 쇄골간골과 오훼골을 포함하여 견갑대에 추가적인 뼈를 가지고 있으며, 파충류와 유사한 보행 방식을 유지한다. 수컷 오리너구리는 뒷다리 발목에 있는 박차를 통해 독을 분비한다. 이 독은 β-디펜신에서 유래하며, 파충류 독의 구성 성분과 유사하다.[17]
2. 1. 해부학적 특징
단공류는 다른 포유류와 구별되는 독특한 신체 기관을 가지고 있다. 단공류(Monotreme)라는 이름은 '하나'를 뜻하는 'mono'와 '구멍'을 뜻하는 'trema'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배변, 배설, 생식 기관이 모두 '총배설강'이라는 하나의 구멍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다른 포유류보다 파충류와 더 유사하며, 걸음걸이 또한 파충류와 비슷하다. 단공류의 다리는 몸체 측면에 붙어 있고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약간 짧아 네 발 달린 도마뱀과 흡사하게 걷는다.[66]모든 포유류는 아래턱이 하나의 뼈로 이루어져 있지만, 단공류는 다른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이도(耳道) 속에 진동을 전달하는 세 개의 작은 뼈가 두개골 안에 있다. 다 자란 단공류는 이빨이 없지만, 멸종된 단공류의 화석 증거와 오늘날의 오리너구리 새끼는 아주 어릴 때 이빨을 가지고 있다가 곧 빠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현생종은 두개골과 하악이 앞으로 돌출되어 있으며(오리너구리는 부리 모양, 가시두더지류는 원통형) 화석종에는 이빨이 있는 종도 있지만, 현생종의 성체에는 이빨이 없다.[64] 오리너구리는 어린 개체에서는 이빨이 한 번 발생하지만 성장에 따라 퇴화하며, 성체는 목구멍에 있는 각질판으로 먹이를 갈아서 먹는다. 가시두더지류는 혀 뒤쪽에 있는 가시와 구개에 있는 가시를 서로 문질러 먹이를 부순다.[64]
단공류는 유두가 없다는 점에서도 다른 포유류와 다르다. 젖을 먹여 새끼를 키우지만, 젖은 독특한 유두가 아닌 피부의 일부에서 분비된다.
다른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단공류는 높은 신진대사율을 가진 온혈동물이지만, 몸에 털이 나 있으며, 젖샘을 통해 젖을 생산하여 새끼를 먹이고, 아래턱에 뼈가 하나이며, 중이뼈가 세 개 있다. 유대류와 공통적으로, 단공류는 포유류에서 좌우 뇌 반구 사이의 주요 소통 경로인 결합 구조(뇌량)가 없다.[4] 하지만 전교련은 두 반구 사이의 대체 소통 경로를 제공하며, 단공류와 유대류에서는 교련 섬유를 모두 전달하지만, 태반 포유류에서는 이 섬유의 일부만 전달한다.[5]


단공류의 턱은 다른 포유류와 다소 다르게 구성되어 있으며, 턱을 여는 근육도 다르다. 귀의 외부 개구부는 여전히 턱 바닥에 있다.
단공류는 또한 다른 포유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쇄골간골과 오훼골을 포함하여 견갑대에 추가적인 뼈를 가지고 있다. 단공류는 몸의 아래쪽이 아니라 옆쪽에 다리가 있는 파충류와 유사한 보행 방식을 유지한다. 단공류의 다리는 발목 부위에 박차를 가지고 있다. 현생종 수컷은 뒷다리 발꿈치에 각질의 발톱이 있다.[64] 오리너구리는 뒷다리에 독액을 분비하는 샘이 있으며, 이 발톱을 통해 관으로 독을 배출할 수 있다(가시두더지류도 독샘이 있지만 기능하지 않고 퇴화되어 있다).[64] 이 박차는 바늘두더지에서는 기능적이지 않지만 수컷 오리너구리에는 강력한 독을 포함하고 있다. 이 독은 β-디펜신에서 유래하는데, 이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병원체에 구멍을 만드는 포유류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다. 일부 파충류 독도 다른 유형의 β-디펜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파충류와 공유하는 또 다른 특징이다.[17]
암컷은 자궁이 두 개 있으며 요도에 연결된다.[64] 부드러운 껍질로 덮인 알을 낳는다.[63][64]
2. 2. 생리학적 특징
단공류는 다른 포유류와 다르게 배설, 배뇨, 생식 기관이 모두 '총배설강'이라는 하나의 구멍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파충류와 유사하며, 단공류의 영어 이름인 Monotreme(Mono는 하나, trema는 구멍을 의미)도 여기에서 유래했다.[66] 단공류의 다리는 몸체 측면에 붙어 있어 파충류와 비슷한 걸음걸이를 보인다.다른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단공류는 아래턱뼈가 하나이고, 중이에 세 개의 뼈가 있어 소리를 전달한다. 또한, 높은 신진대사율을 가진 온혈동물이며, 몸에 털이 있고, 젖을 분비하여 새끼를 키운다.[4] 하지만 단공류는 포유류에서 좌우 뇌 반구 사이의 주요 소통 경로인 뇌량이 없고, 전교련을 통해 뇌 반구 간 소통을 한다.[5]
현존하는 단공류는 성체가 되면 이빨이 없지만, 화석 종과 현대 오리너구리 새끼는 어금니의 "삼첨치형"(세 개의 첨두가 삼각형으로 배열된 교합면을 형성)을 가지고 있다.[43] 단공류의 턱은 다른 포유류와 다르게 구성되어 있으며, 턱을 여는 근육도 다르다. 귀의 외부 개구부는 턱 바닥에 위치한다.
오리너구리 게놈의 시퀀싱 결과, 단공류는 5쌍의 성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X염색체 중 하나가 조류의 Z 염색체와 유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12] 이는 단공류가 조류와 유전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난황 생성 단백질 유전자(난황 형성에 필요한 단백질)의 존재는 조류와 공유된다.[17]
단공류는 쇄골간골과 오훼골을 포함하여 견갑대에 추가적인 뼈를 가지고 있으며, 파충류와 유사한 보행 방식을 유지한다. 수컷 오리너구리는 뒷다리 발목에 있는 박차를 통해 독을 분비한다. 이 독은 β-디펜신에서 유래하며, 파충류 독의 구성 성분과 유사하다.[17]

단공류의 신진대사율은 포유류 기준으로 매우 낮다. 오리너구리의 평균 체온은 약 31°C로, 유대류(35°C) 및 태반류(37°C)보다 낮다.[27][28]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리너구리는 다양한 환경에서 일정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
단공류의 젖에는 다른 포유류에게서 발견되지 않는 항균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33] 또한, 단공류는 식단에 적응하여 위샘을 잃었으며, 신장에서만 L-아스코르브산을 합성한다.[34][35]
오리너구리와 가시두더지 종 모두 뒷다리에 발톱이 있다. 오리너구리의 발톱에는 독이 있다.[36] 분자 데이터는 오리너구리 독의 주요 성분이 오리너구리와 가시두더지의 분기 이전에 나타났음을 보여준다.[37]
현생종은 두개골과 하악이 앞으로 돌출되어 있으며(오리너구리는 부리 모양, 가시두더지류는 원통형) [64] 화석종에는 이빨이 있는 종도 있지만, 현생종의 성체에는 이빨이 없다.[64] 암컷은 자궁이 두 개 있으며 요도에 연결된다.[64] 부드러운 껍질로 덮인 알을 낳는다.[63][64]
2. 3. 생식
단공류와 다른 포유류의 주요 해부학적 차이점은 그들의 이름에서 알 수 있다. "단공류(monotreme)"는 그리스어로 "단일 개구부"를 의미하며, 이는 요로, 배설 및 생식계를 위한 단일 관(총배설강)을 가리킨다. 조류와 파충류처럼 단공류는 단일 총배설강을 가지고 있다.[19] 유대류는 분리된 생식 기관을 가지고 있는 반면, 대부분의 태반 포유류 암컷은 생식(질), 배뇨(요도), 배변(항문)을 위한 별도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단공류에서는 정액만이 음경을 통해 통과하고 소변은 수컷의 총배설강을 통해 배출된다.[19] 단공류의 음경은 거북이의 음경과 유사하며 포피낭으로 덮여 있다.[20][21]단공류의 알은 어미의 몸 안에 일정 시간 머무르며 어미로부터 직접 영양분을 받고, 일반적으로 낳은 지 10일 이내에 부화한다. 이는 파충류 및 조류 알의 잠복 기간보다 훨씬 짧다.[22][23] 갓 태어난 유대류와 마찬가지로, "퍼글(puggles)"이라고 불리는[25] 갓 태어난 단공류는 유충 및 태아와 유사하며 비교적 잘 발달된 앞다리를 가지고 있어서 기어 다닐 수 있다. 단공류는 젖꼭지가 없기 때문에 퍼글은 젖을 찾아 유대류의 새끼보다 더 자주 기어다닌다.
단공류는 젖꼭지 대신 피부의 구멍을 통해 젖샘에서 젖을 분비한다. 현존하는 5종 모두 새끼에 대한 장기적인 부모 돌봄을 보이며, 번식률이 낮고 수명이 비교적 길다.
단공류는 또한 그들의 접합자 발달에서 주목할 만하다. 대부분의 포유류 접합자는 난자가 여러 개의 분할 가능한 딸세포로 분할되는 전할 분열을 거칩니다. 반대로, 조류와 파충류의 접합자와 마찬가지로 단공류 접합자는 부분분할(부분적) 분열을 겪는다. 이는 노른자의 가장자리에 있는 세포가 난자의 세포질과 연속적이어서 노른자와 배아가 주변 세포질과 노폐물과 영양분을 교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17]
암컷은 자궁이 두 개 있으며 요도에 연결된다.[64] 부드러운 껍질로 덮인 알을 낳는다.[63][64]
현생종 수컷은 뒷다리 발꿈치에 각질의 발톱이 있다.[64] 오리너구리는 뒷다리에 독액을 분비하는 샘이 있으며, 이 발톱을 통해 관으로 독을 배출할 수 있다(가시두더지류도 독샘이 있지만 기능하지 않고 퇴화되어 있다).[64]
현존하는 포유강 중 유일하게 난생 번식 방식을 가진다. 오리너구리는 물가의 제방 등에 판 굴 속에서 2개의 알을 낳고, 적어도 가시두더지는 1개의 알을 낳아 복부에 있는 주머니(부화낭)에 넣는다.[67] 오리너구리와 가시두더지의 포란 기간은 약 10일이다.[67] 유방과 유두는 없지만 유선에서 젖을 분비하여 수유 행위를 한다. 오리너구리는 굴 속에서 앙와위(仰臥位, 바로 누운 자세)로 누워 유선에서 스며 나온 젖을 새끼에게 주고, 적어도 가시두더지는 부화낭 속에서 유선에서 스며 나온 젖을 새끼에게 준다.[67]
3. 하위 분류
이 절에 나열된 동물들은 오리너구리(*Ornithorhynchus anatinus*)를 제외하고 모두 화석으로만 알려져 있다. 표본이 단편적이기 때문에 일부 과의 분류는 불확실하다.[3]
단독류(원수하강) Prototheria를 단일 목으로 구성하는 견해도 있다.[61] 1997년에 본 목을 오리너구리목 Platypoda와 바늘두더지목 Tachyglossa의 2목으로 분할하는 견해가 제시된 적도 있다.[61]
이하, 현생 분류군은 Groves(2005)를 따른다.[61] 과의 한국어 명칭은 川田ら(2018)를 따른다.[62]
- 오리너구리과
- 바늘두더지과
- †Steropodontidae|스테로포돈티대영어과
- †Teinolophidae|테이놀로피대영어과
- †Kollikodontidae|콜리코돈티대영어과
- Incertae sedis
- * †Kryoryctes|크리오릭테스영어
- * †Patagorhynchus|파타고린쿠스영어
4. 계통 분류
계통 분류 |
---|
단공류(원수하강)를 단일 목으로 구성하는 견해도 있다.[61] 1997년에는 이 목을 오리너구리목과 바늘두더지목의 2목으로 분할하는 견해가 제시되기도 했다.[61]
현생 분류군은 Groves(2005)를 따른다.[61] 과의 한국어 명칭은 川田ら(2018)를 따른다.[62]
5. 화석 기록
현존하는 단공류는 성체가 되면 이빨이 없다. 화석 종과 현대 오리너구리 새끼는 어금니의 "삼첨치형"(세 개의 첨두가 삼각형으로 배열된 교합면을 형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현존하는 포유류의 특징 중 하나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단공류는 태반류와 유대류와 독립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어금니를 획득했다는 것을 시사하지만,[43] 이 가설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6] 현대 단공류의 이빨 상실은 전기 수용의 발달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7]
최초로 발견된 중생대 단공류는 뉴사우스웨일스주 라이트닝 릿지에서 발견된 세노마늄세(1억~9660만 년 전)의 ''Steropodon galmani''이다.[54] 생화학적 및 해부학적 증거는 단공류가 유대류와 태반류가 출현하기 전에 포유류 계통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것을 시사한다. 중생대 단공류로는 오스트레일리아 지층에서 발견된 ''Teinolophos''(바렘절, 1억 2600만 년 전), ''Sundrius'' 및 ''Kryoryctes''(알비절, 1억 1300만~1억 800만 년 전), 그리고 ''Dharragarra'', ''Kollikodon'', ''Opalios'', ''Parvopalus'', ''Steropodon'', ''Stirtodon''( 모두 세노마늄세, 1억 200만 년~9660만 년 전)과 백악기 파타고니아 지층에서 발견된 ''Patagorhynchus''(마스트리히트절)이 있다. 이는 단공류가 백악기 후기 초기까지 다양화되었음을 나타낸다.[55] 단공류는 남아메리카 남부의 가장 최근 백악기와 팔레오세 지층에서 발견되었는데, 이에 대한 한 가지 가설은 단공류가 쥐라기 후기 또는 백악기 초기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생하여 일부가 남극 대륙을 가로질러 남아메리카로 이동했으며, 당시 이 두 대륙은 오스트레일리아와 여전히 연결되어 있었다는 것이다.[56][60] 이러한 이동 방향은 남아메리카에서 남극 대륙을 가로질러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다른 주요 포유류 그룹인 유대류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이다.[57]
2024년, 뉴사우스웨일스주 라이트닝 릿지의 세노마늄세 지층(1억~9660만 년 전)인 그리먼 크릭 지층에서 초기 단공류의 중요한 집단이 발견되었다. 이 중 ''Dharragarra''의 화석 턱 조각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오리너구리와 유사한 화석이다.[58][3][59] 단단한 먹이를 먹는 ''Kollikodon'', 의사삼첨치형인 ''Steropodon'', 그리고 ''Stirtodon'', ''Dharragarra'', ''Opalios'', ''Parvopalus''는 같은 세노마늄세 지층에서 발견된다. 이빨이 있는 오리너구리 ''Obdurodon''의 올리고세-마이오세 화석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되었고, 6300만 년 전 오리너구리의 친척 화석이 남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되었다 (''Monotrematum''). 아래의 화석 단공류를 참조. 현존하는 오리너구리 속인 ''Ornithorhynchus''는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도 알려져 있으며, 가장 오래된 화석 짧은꼬리오리너구리는 플라이스토세(170만 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다.[58]
아래에 나열된 동물들은 오리너구리(*Ornithorhynchus anatinus*)를 제외하고 모두 화석으로만 알려져 있다. 표본이 단편적이기 때문에 일부 과의 분류는 불확실하다.[3]
과 | 속 | 종 | 시대 | 비고 | |
---|---|---|---|---|---|
†콜리코돈과 | †콜리코돈 | †콜리코돈 리치아이 | 세노마늄세(1억~9660만 년 전) | ||
†콜리코돈과 | †크리오릭테스 | †크리오릭테스 캐드버리아이 | 알비절(1억 1300만~1억 800만 년 전) | ||
†콜리코돈과 | †선드리우스 | †선드리우스 지글러리 | 알비절(1억 1300만~1억 800만 년 전) | ||
†스테로포돈과 | †파르보팔루스 | †파르보팔루스 클리티아이 | 세노마늄세(1억 200만 년~9660만 년 전) | ||
†스테로포돈과 | †스테로포돈 | †스테로포돈 갈마니 | 세노마늄세(1억~9660만 년 전) | ||
†테이놀로피드과 | †스티르토돈 | †스티르토돈 엘리자베타이 | 세노마늄세(1억 200만 년~9660만 년 전) | ||
†테이놀로피드과 | †테이놀로포스 | †테이놀로포스 트러슬러리 | 바렘절(1억 2600만 년 전) | 가장 오래된 단공류 표본 | |
오리너구리상과 | †오팔리오니드과 | †오팔리오스 | †오팔리오스 스플렌덴스 | 세노마늄세(1억 200만 년~9660만 년 전) | |
오리너구리상과 | 오리너구리과 | †다라가라 | †다라가라 아우로라 | 세노마늄세(1억~9660만 년 전) | |
오리너구리상과 | 오리너구리과 | †모노트레마툼 | †모노트레마툼 수다메리카눔 | 6100만 년 전 | 남아메리카 남부 |
오리너구리상과 | 오리너구리과 | 오리너구리속 | 오리너구리 | 플라이스토세(1만 년 전) | 가장 오래된 오리너구리 표본 900만 년 전 |
오리너구리상과 | 오리너구리과 | †옵두로돈 | †옵두로돈 딕소니 | 올리고세-마이오세 | |
오리너구리상과 | 오리너구리과 | †옵두로돈 | †옵두로돈 인시그니스 | 올리고세-마이오세 | |
오리너구리상과 | 오리너구리과 | †옵두로돈 | †옵두로돈 타랄쿠스칠드 | 중기 마이오세 및 후기 마이오세(1500만 년 전~500만 년 전) | |
오리너구리상과 | 오리너구리과 | †파타고린쿠스 | †파타고린쿠스 파스쿠알리 | 마스트리히트절 | 가장 오래된 남아메리카 단공류[60] |
오리너구리상과 | 개미핥기과 | 에키드나속 | †자글로수스 로부스투스 | 상부 플라이스토세(180만 년 전~10만 년 전) | |
오리너구리상과 | 개미핥기과 | †머레이글로수스 | †머레이글로수스 해케티 | ||
오리너구리상과 | 개미핥기과 | †메갈리브길리아 | †메갈리브길리아 람사이( *Megalibgwilia ramsayi*) | 후기 플라이스토세 | |
오리너구리상과 | 개미핥기과 | †메갈리브길리아 | †메갈리브길리아 로부스타( *Megalibgwilia robusta*) | 마이오세 |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뉴기니[64] |
6. 분포
오리너구리와 여러 종류의 바늘두더지를 포함하는 단공류는 대부분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그 외 지역에서는 파푸아뉴기니에 분포한다.[64]
화석 기록도 거의 오스트레일리아에 한정되지만, 1992년에 아르헨티나에서 단공류의 이빨 화석이 보고되었다.[65]
7. 생태
단공류는 포유류 중에서 매우 적은 수를 차지한다. 멸종된 단공류를 제외하면, 현존하는 종은 오리너구리와 여러 종류의 바늘두더지뿐이다. 오리너구리는 오리의 부리, 비버의 꼬리, 물갈퀴 달린 발을 가지고 있다. 바늘두더지는 개미핥기와 비슷하지만 뾰족한 털로 덮여 있어 고슴도치처럼 보인다. 이들은 대부분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파푸아뉴기니에도 분포한다.
단공류라는 이름은 이들의 특이한 체내 기관 때문에 붙여졌다. 다른 포유류는 배변, 배설, 생식 기관이 আলাদা আলাদা(별도) 구멍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단공류는 이 모든 기관이 '총배설강'이라는 하나의 구멍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와 걸음걸이 때문에 단공류는 다른 포유류보다 파충류와 더 비슷해 보인다. 단공류의 다리는 몸체 측면에 붙어 있고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약간 짧아, 네 발 달린 도마뱀과 비슷한 걸음걸이를 보인다.
단공류는 아래턱이 하나의 뼈로 이루어져 있고, 이도(耳道) 속에 진동을 전달하는 세 개의 작은 뼈들이 두개골 안에 있다는 점은 다른 포유류와 같다. 하지만 다 자란 단공류는 이빨이 없고, 유두가 없어 피부의 일부에서 젖을 분비하여 새끼를 키운다.
현생종 중에서 오리너구리는 주로 수중 무척추동물을, 가시두더지는 개미와 흰개미를, 바늘두더지는 곤충이나 지렁이 등을 먹는다.[64][67]
현존하는 포유강 중 유일하게 난생 번식을 한다. 오리너구리는 물가 굴 속에 2개의 알을 낳고, 가시두더지는 1개의 알을 낳아 복부 주머니(부화낭)에 넣는다.[67] 포란 기간은 약 10일이다.[67] 유방과 유두는 없지만 유선에서 젖을 분비하여 수유한다. 오리너구리는 굴 속에서, 가시두더지는 부화낭 속에서 젖을 먹인다.[67]
참조
[1]
간행물
MSW3 Groves
[2]
논문
A New Systematic Arrangement of Vertebrated Animals
https://www.biodiver[...]
1837
[3]
논문
A diverse assemblage of monotremes (Monotremata) from the Cenomanian Lightning Ridge fauna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2024-05-26
[4]
웹사이트
Order Monotremata
http://www.seaworld.[...]
2009-09-06
[5]
서적
Comparative Vertebrate Neuroanatomy: Evolution and Adaptation
https://books.google[...]
Wiley
2005
[6]
논문
Mammalian evolution: Relationships to chew over
2001-01-04
[7]
논문
Comparative cranial morphology in living and extinct platypuses: Feeding behavior, electroreception, and loss of teeth
[8]
논문
Independent origins of middle ear bones in monotremes and therians (I)
2005
[9]
논문
Comment on "Independent Origins of Middle Ear Bones in Monotremes and Therians" (I)
[10]
논문
Comment on "Independent Origins of Middle Ear Bones in Monotremes and Therians" (II)
[11]
논문
The mandible and dentition of the Early Cretaceous monotreme ''Teinolophos trusleri''
[12]
웹사이트
Platypus genome explains animal's peculiar features; holds clues to evolution of mammals
https://www.scienced[...]
2008-05-07
[13]
논문
Bird-like sex chromosomes of platypus imply recent origin of mammal sex chromosomes
2008-06-01
[14]
논문
Origins and functional evolution of Y chromosomes across mammals
2014-04-24
[15]
논문
Genome analysis of the platypus reveals unique signatures of evolution
[16]
논문
Loss of egg yolk genes in mammals and the origin of lactation and placentation
[17]
논문
Interpreting Shared Characteristics: The Platypus Genome
https://www.nature.c[...]
2008
[18]
논문
Were mammals originally venomous?
[19]
서적
The Biology of the Monotremes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2012-12-02
[20]
논문
Reproductive biology in egg-laying mammals
https://www.research[...]
[21]
서적
Comparative Vertebrate Reproduc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22]
보고서
Monotreme Reproductive Biology and Behavior
Iowa State University
2004-04-14
[23]
웹사이트
Short-beaked echidna (''Tachyglossus aculeatus'')
http://www.arkive.or[...]
Arkive.org
2016-07-05
[24]
서적
The Evolution of the Human Placenta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2
[25]
논문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timing of development of the cerebellum and precerebellar nuclei in monotremes, metatherians, rodents, and humans
[26]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olfactory organs in newly hatched monotremes and neonate marsupials
[27]
웹사이트
Thermal Biology of the Platypus
http://www.bio.david[...]
Davidson College
2006-09-14
[28]
웹사이트
Control Systems Part 2
http://faculty.benni[...]
2016-07-06
[29]
논문
Monotreme Cell-Cycles and the Evolution of Homeothermy
[30]
논문
Standard Metabolism of Monotremes and the Evolution of Homeothermy
[31]
논문
Monotremes and the evolution of rapid eye movement sleep
[32]
논문
The echidna manifests typical characteristics of rapid eye movement sleep
https://figshare.com[...]
[33]
논문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monotreme-specific antibacterial protein expressed during lactation
2013-01-09
[34]
논문
Loss of genes implicated in gastric function during platypus evolution
2008-05-01
[35]
웹사이트
Ascorbic acid biosynthesis in the mammalian kidney
https://sciencescape[...]
2014-11-14
[36]
논문
Tracing Monotreme Venom Evolution in the Genomics Era
2014-04-00
[37]
논문
Tracing Monotreme Venom Evolution in the Genomics Era
2014-04-00
[38]
서적
Mammalogy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2011-00-00
[39]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Monotremata
http://www.ucmp.berk[...]
Ucmp.berkeley.edu
2011-06-09
[40]
웹사이트
Lecture 3
http://www.webpages.[...]
University of Idaho
[41]
논문
The platypus is in its place: Nuclear genes and indels confirm the sister group relation of monotremes and therians
2005-00-00
[42]
논문
Monotremes
http://tolweb.org/tr[...]
2011-06-09
[43]
논문
Dual origin of tribosphenic mammals
2001-00-00
[44]
논문
In quest for a phylogeny of Mesozoic mammals
2002-00-00
[45]
서적
The Timetree of Lif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0-00
[46]
논문
Molecules, morphology, and ecology indicate a recent, amphibious ancestry for echidnas
2009-00-00
[47]
서적
The Timetree of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0-00
[48]
서적
Vertebrate Palaeontology
https://books.google[...]
Wiley
2004-00-00
[49]
서적
Amniote Paleobiology: Perspectives on the Evolution of Mammals, Birds, and Repti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6-00-00
[50]
논문
Inferring the mammal tree: Species-level sets of phylogenies for questions in ecology, evolution and conservation
2019-00-00
[51]
논문
DR_on4phylosCompared_linear_richCol_justScale_ownColors_withTips_80in
https://github.com/n[...]
2019-00-00
[52]
논문
A species-level timeline of mammal evolution integrating phylogenomic data
2022-00-00
[53]
논문
4705sp_colours_mammal-time.tree
https://figshare.com[...]
2022-00-00
[54]
서적
Neurobiology of Monotremes
CSIRO Publishing
2013-00-00
[55]
웹사이트
Fossil Record of the Monotremata
http://www.ucmp.berk[...]
Ucmp.berkeley.edu
2011-06-09
[56]
서적
Vertebrate Palaeontology
https://books.google[...]
Wiley
1997-00-00
[57]
논문
Tracking marsupial evolution using archaic genomic retroposon insertions
2010-07-00
[58]
논문
A review of monotreme (Monotremata) evolution
2022-01-02
[59]
웹사이트
'Echidnapus' fossil of potential echidna and platypus ancestor may point to Australian 'age of monotremes'
https://www.abc.net.[...]
2024-05-27
[60]
논문
First monotreme from the Late Cretaceous of South America
2023-02-16
[61]
서적
Order Monotremat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00-00
[62]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2018-00-00
[63]
서적
独自に進化したカモノハシとハリモグラ、多くの門歯を持つフクロネコとオポッサム
朝日新聞社
1992-00-00
[64]
서적
単孔類
平凡社
1986-00-00
[65]
논문
First discovery of monotremes in South America
https://doi.org/10.1[...]
1992-00-00
[66]
논문
Tachyglossus aculeatus (Monotremata: Tachyglossidae)
https://doi.org/10.1[...]
2019-00-00
[67]
서적
卵を産む哺乳類 カモノハシとハリモグラ類
朝日新聞社
1992-00-00
[68]
논문
A New Systematic Arrangement of Vertebrated Animals
https://www.biodiver[...]
1837-00-00
[69]
논문
Retroposon analysis and recent geological data suggest near-simultaneous divergence of the three superorders of mammals
2009-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