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촌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촌역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전철역이다. 월촌역 사거리에 위치하며, 1997년 11월 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역명은 주변 지명인 "월촌"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인근에 대구공업대학교가 위치해 있으나, 실제로는 서부정류장역이 더 가깝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달서구의 전철역 - 대곡역 (대구)
대곡역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과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경계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월배차량사업소와 여러 시설이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달서구의 전철역 - 송현역
송현역은 1997년 개통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역으로, 솔고개에서 유래된 역명과 참조은병원 부역명을 가지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인근의 송현시장, 앞산 등산로가 특징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방화로 인해 192명이 사망하고 151명이 부상당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는 방화범의 범행, 안전 불감증, 부실한 시설 관리, 미흡한 초기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지하철 참사로 기록되며 사회 안전망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월촌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배로 지하 311 |
운영 정보 |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역 번호 | 121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
개업일 | 1997년 11월 26일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인접한 역 | |
이전 역 | 상인 |
다음 역 | 송현 |
역간 거리 (상인역) | 0.9km |
역간 거리 (송현역) | 1.0km |
기타 | |
로마자 역명 | Wolchon |
2. 특징
월촌역 사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 아파트 단지와 학교가 많다. 큰 사거리에 자리 잡고 있어 유동 인구가 많은 편이며, 이로 인해 이용객 수도 적지 않다. 인근에 대구시청소년수련원이 있다.
역명은 이 역 주변의 옛 지명인 "월촌"에서 따왔다. 현재도 이 주변 지역을 월촌이라고 부른다. 월촌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141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단양 우씨 판서공 우흥명의 손자이자 정략장군이었던 우전이 정도전의 난을 피해 이곳으로 낙향할 때, 그들을 비추던 달이 보름달처럼 유난히 밝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하여 "월촌"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역 출구 정보에는 대구공업대학교가 표기되어 있으나, 실제 대구공업대학교와의 거리는 서부정류장역이 더 가깝고, 서부정류장역의 안내방송에서도 언급된다. 하지만 실제로 대구공업대학교에서 가장 가까운 역은 송현역이다.
이 역에서 간선 618번 버스로 환승하면 대구공업대학교를 비롯하여 본동, 본리동, 성당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3. 역명의 유래
4. 역사
5. 역 구조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 벽면 색상은 하늘색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 구조가 곡선으로 약간 휘어져 있어 승강장과 열차 사이에 틈새가 넓고 단차가 있다.[1]
5.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승강장 번호는 없으며,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6. 역 주변
월촌역 사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주변에 대구공업대학교가 있어 출구 정보에도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서부정류장역과 더 가깝고 안내방송도 서부정류장역에서 언급된다. 대구공업대학교에서 거리가 가장 가까운 역은 송현역이다.
역 인근에서 간선 618번 버스로 환승하면 대구공업대학교, 본동, 본리동, 성당동 방면으로 갈 수 있다. 큰 사거리에 역이 자리 잡고 있어 유동 인구가 많으며, 아파트 단지와 여러 학교가 밀집해 있어 이용객이 적지 않은 편이다.
주요 시설로는 상인동 및 송현동 행정복지센터, 송현119안전센터, 상인동 우체국, 대구축산농협 송현지점, iM뱅크 월촌역지점, 송현주공시장, 송현시장, 대구광역시청소년수련원, 학산공원, 월곡역사공원 등이 있다.
6. 1. 출구 정보
월촌역에는 총 8개의 출구가 있다.출구 번호 | 사진 | 목적지 |
---|---|---|
1 | 대구공업대학교, 우방송현타운, 효성초등학교, 봉덕주공아파트, 송현우방맨션 | |
2 | 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 대서중학교 | |
3 | 화성파크드림1차아파트, 송현주공3단지 | |
4 | 상인동 우체국, 달서어린이도서관, 월곡역사공원, 월곡역사박물관, 낙동서원, 화성파크드림2차아파트, 대서초등학교, 월촌보성화성타운아파트 | |
5 | ![]() | 대구광역시 청소년수련원, 대남초등학교, 전원공원 |
6 | ![]() | 앞산청구아파트, iM뱅크 월촌역지점, 신한의원, 서진한의원 |
7 | 송현클래식타운, 구암공원 | |
8 | 송현2동, 송현월성아파트, 대구송현초등학교 |
7. 승차량 변동
역 주변에 아파트와 학교가 많이 있어서 이용객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4,472 | 4,611 | 4,676 | 미공개 | 4,539 | 4,696 | 3,169 | 4,415 | 4,313 | 4,766 | [2] |
노선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1호선 | 4,351 | 4,263 | 4,126 | 4,593 | 5,097 | 5,205 | 5,278 | 5,157 | 5,259 | 5,308 | [3] |
노선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1호선 | 5,255 | 5,269 | 5,255 | 3,573 |
8. 인접한 역
(설화명곡 방면)
(하양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