웡원하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웡원하오는 청나라 말기에 태어나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활동한 지질학자이자 정치인이다. 벨기에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지질학 박사 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베이양 정부와 국민정부에서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중화민국 행정원장을 지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도 지질학 연구와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현대 중국 지리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베이징 원인 연구와 중국 석유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츠시시 출신 - 한정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 한정은 상하이시 시장과 당 서기를 거쳐 국무원 부총리를 역임하고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을 맡고 있으며, 상하이 방파의 일원으로서 시진핑 지도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츠시시 출신 - 쉬쉬
쉬쉬는 20세기 중국 저장성 출신으로 홍콩에서 활동한 소설가로서, 문학잡지 편집, 파리 유학 중 작품 발표, 중일 전쟁 시기 대중적 인기, 홍콩 이주 후 망명과 소외를 다룬 작품 활동,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박사 학위 취득 및 교수 활동, 노벨 문학상 후보 거론 등의 경력을 지녔으며, 그의 작품은 서정적 이국주의, 코스모폴리탄적 전망, 망명과 소외, 환상적인 경험 등을 특징으로 한다. - 중화민국의 행정원장 - 쑹쯔원
쑹쯔원은 중화민국 시대 정치가이자 경제학자로, 국민정부 재정부장과 중앙은행 총재를 역임하며 중국 경제에 기여하고 중일전쟁 시 미국 지원을 확보했으나, 관료 자본주의 논란 속에 국공내전 후 미국으로 망명했다. - 중화민국의 행정원장 - 리환
리환은 중화민국 정치인이자 교육자로, 중국 국민당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행정원장으로서 대만 계엄령 해제와 국민대회 개혁에 기여했으며, 국립 중산 대학 학장과 교육부 부장을 지내며 교육 개혁을 추진했다. - 1971년 사망 - 임흥순
임흥순은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국회의원과 서울시장을 역임했으며,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파 명단에 등재되었다. - 1971년 사망 - 카를로스 P. 가르시아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변호사, 시인이었던 카를로스 P. 가르시아는 부통령를 거쳐 대통령직을 승계받아 필리피노 우선 정책과 긴축 정책을 추진하고 미군 기지 임대 기간 단축, 국제 벼 연구소 설립 제안, 공화국 문화상 제정 등 외교적, 문화적 발전에 기여했다.
웡원하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웡원하오 |
원어 이름 | 翁文灝 |
로마자 표기 | Wēng Wénhào |
출생일 | 1889년 7월 26일 |
출생지 | 청나라 저장성 닝보 |
사망일 | 1971년 1월 27일 |
사망지 | 베이징, 중국 |
국적 | 중화민국 |
학력 | |
모교 | 루뱅 가톨릭 대학교 |
경력 | |
소속 정당 | 중국 국민당 |
직업 | 지질학자, 정치인 |
재직 기관 | 베이징 대학, 칭화 대학 |
정치 경력 | |
직책 | 중화민국 행정원장 |
임기 시작 | 1948년 5월 25일 |
임기 종료 | 1948년 11월 26일 |
대통령 | 장제스 |
이전 | 장췬 |
다음 | 쑨커 |
직책 | 중화민국 행정원 부원장 |
임기 시작 | 1945년 6월 4일 |
임기 종료 | 1947년 4월 18일 |
행정원장 | 쑹쯔원 장제스 (대행) |
이전 | 쿵샹시 |
다음 | 왕윈우 |
2. 생애
웡원하오는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시기까지 활동한 지질학자이자 정치인이다. 벨기에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지질학을 전공하고 중국 최초로 서양 지질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5][6]
중화민국 시기에는 베이양 정부와 국민정부에서 광업, 농상, 산업, 교육, 경제 등 여러 분야의 장관직을 역임했다. 특히 중일 전쟁 기간에는 자원위원회를 이끌며 중국의 후방 지원에 크게 기여했다.[10][5][6] 1948년 중화민국 행정원장(총리)을 역임했으나, 국공 내전으로 인한 경제 혼란을 수습하지 못하고 사임했다.[11][5][6]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CPPCC)에서 활동하며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민혁) 중앙 상무 위원,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문화 대혁명 기간 저우언라이의 보호를 받았으며, 1971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13][5][6]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웡원하오는 1889년 청나라 저장성 츠시에서 지역 사업가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자는 융니(咏霓)였다. 1902년 13세의 나이로 과거 시험에서 수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상하이에 있는 프랑스 가톨릭 학교에서 공부했다.1906년(광서 32년) 상하이 진단학원에서 프랑스어, 수학 등을 배웠다. 1908년(광서 34년) 유럽으로 유학하여 벨기에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지질학(특히 암석학)을 전공했다. 1912년(중화민국 원년), 중국 역사상 최초로 서양 지질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5][6]
2. 2. 중화민국 시기 활동
1912년 중국으로 돌아온 웡원하오는 베이양 정부에서 광업부 장관과 농상부 장관을 역임했다. 딩원장과 함께 국립 지질 조사를 설립했다.[1]베이징 대학과 칭화 대학에서 지질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1931년 7월 칭화 대학 총장 대행으로 임명되었다. 1928년에는 캐나다 고인류학자 데이비드슨 블랙을 도와 저우커우뎬 베이징 원인 화석 연구 및 평가를 위한 신생대 연구소를 설립했다.
장제스의 초청으로 국민정부에서 행정원 비서장(1935년 12월 13일 – 1937년 9월 9일), 산업부 장관(1938년 1월 1일까지), 교육부 장관(1932년 10월 28일 – 1933년 4월 21일), 경제부 장관(1938년 1월 1일 – 1947년)을 역임했다.[9][5][6]
중일 전쟁 기간 동안 국민정부 경제부 부장, 자원위원회 주임 위원, 공광 조정 처 처장, 전시 생산국 국장 등 실업 부문 주관을 역임했다. 웡원하오가 이끄는 자원위원회는 중국 국내의 생산과 자원 배분 등 후방 지원에서 크게 활약했다.[10][5][6]
1948년 3월, 중국 학술원의 창립 멤버로 선출되었으며, 5월부터 11월까지 중화민국 행정원장(총리)을 역임했다. 중화민국 헌법 시행 후 초대 행정원장이었다.[11][5][6]
국공 내전으로 인한 경제 혼란을 수습하려 노력했으나, 금원권 발행 등 여러 시책에도 불구하고 실패하여 11월에 행정원장직을 사임했다. 12월 중국 공산당으로부터 국민당 정권의 43명 전범 중 한 명으로 지명되었다.[12][5][6]
2. 3.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활동
중국 내전 이후, 웡원하오는 베이징으로 이주하여 오랜 동료인 첸창자오와 함께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CPPCC)에서 활동했다.[13][5][6]1950년 겨울,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의 초청을 받아 1951년 3월에 귀국했다. 귀국 후에는 전범으로 죄를 묻지 않고, 국민 정부 시대와 마찬가지로 전문가로서 우대받았다.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민혁) 중앙 상무 위원, 제2기부터 제4기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또한, 지질학계에 복귀하여 연구에 전념했다.[13][5][6]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그는 저우언라이의 특별 보호를 받았다.[13][5][6] 1971년 1월 27일, 베이징에서 병사했다. 향년 83세(만 81세)였다.[13][5][6]
3. 학문적 업적 및 활동
웡원하오는 현대 중국 지리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벨기에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지질학을 전공하고 중국 역사상 최초로 지질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4][5][6] 귀국 후 농상부 지질 조사소 소장, 중국지질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7] 베이징 대학, 칭화 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지질학, 광물학, 지진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했다.[7] 1934년 중국 지리학회 초대 회장, 국제지질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8][5][6]
베이징 원인 연구에 참여했고, 중국 지진 연구 분야를 개척했다. 또한 현대 중국 석유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3. 1. 주요 저서
제목 | 원제 | 비고 |
---|---|---|
간쑤 성 지진 연구 | 《甘肃地震考》 | |
중국 광물 간략 기록 | 《中国矿产志略》 | 농상부 지질조사소, 1919년 |
추지집 | 《椎指集》 | 지질도서관, 1930년 |
딩자이쥔 선생을 추모하며 | 《追悼丁在君先生》 | |
지진 | 《地震》 | |
중국의 사족 영장류 화석 | 《中国灵长类动物化石》 | |
중국 광업에 관한 첫 번째 기록 | 《第一次中国矿业纪要》 | |
산시 성 중부 고생대 식물 화석 | 《山西中部古生代植物化石》 | |
지진 개론 | 《地震浅说》 | |
지질학 강의 | 《地质学讲义》 | |
중국광법요의 | 1920년 | |
광정관견 | 딩원장 공저, 1920년 | |
중화민국 신지도 | 딩원장 공저 | |
중국 분성 신도 | 딩원장·쩡세잉 공편, 신보관, 1939년 | |
화북의 침식 및 퇴적 현상 | 菅野一郎|스가노 이치로일본어 역, 화북산업과학연구소 화북농사시험장, 1942년 |
그 외 다수의 저서가 있다.
4. 가족 관계
장남 翁心源|웡신위안중국어은 석유 공학자로 문화 대혁명 때 사망했다. 차남 翁心翰|웡신한중국어은 중국 공군 조종사로 중일 전쟁에 참전했다가 사망했다.[2][3]
그의 사촌 翁文波|웡원보중국어는 중국 현대 지구 물리학의 창시자이다. 조카 翁心植|웡신즈중국어는 중국 공학원 원사이다.
5. 평가 및 유산
웡원하오는 과학자이자 정치가로서 중국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의 지질학 연구와 석유 산업 발전 기여는 중국의 과학 기술 발전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국민정부와 중화인민공화국 양쪽에서 활동한 그의 독특한 이력은 중국 현대사의 복잡성을 반영한다.
참조
[1]
논문
Shen, 2014; Fiskesjö, 2011; Fiskesjö and Chen 2004
[2]
웹사이트
Shanghai 1937 – Where World War II Began
http://www.shanghai1[...]
2021-01-11
[3]
서적
翁烈士心翰 ~ 1944年9月16日,浙江省鄞县人,生于1917年3月15日。在空军军官学校第八期毕业。历任空军第三大队第七队队员,第七中队飞行员及第八中队飞行员,分队长,空军第十一大队第四十四,第四十二中队分队长及第四十一中队副队长,升至上尉二级。1944年9月16日,第十一大队P-40机12架,自湖南芷江起飞,侦察广西桂林与安间敌军情况并相机攻击,因天气恶劣,钻云航进,4架失去联络,中途返航。其余8机达成任务,返航时,天气仍恶劣,烈士机迷航,油尽,迫降贵州三穗县境,重伤殉职。生前有战绩八次。奉颁乙种一等楷模奖章,三等宣威奖章。追赠少校。遗妻周氏。
2016
[4]
서적
1996
[5]
서적
2007
[6]
서적
2005
[7]
문서
1931年7月に、清華大学校長代理を一時務めている。
[8]
서적
1996
[9]
서적
1996
[10]
서적
1996
[11]
서적
1996
[12]
서적
1996
[13]
서적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