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웨일스 변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일스 변경은 13세기 중세 영어 단어 "marche"에서 유래되었으며, 잉글랜드와 웨일스 간의 국경 지역을 지칭하는 역사적 용어이다. 로마 제국 멸망 이후 웨일스 지역은 여러 독립 왕국으로 분열되었고, 머시아 왕국이 서쪽으로 확장하면서 오파의 제방과 같은 경계가 구축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노르만 정복 이후 변경 백작령이 형성되어 잉글랜드 왕실과 웨일스 공국 사이에 독자적인 지위를 유지했다. 16세기 헨리 8세 치하에서 웨일스 법이 통과되면서 변경 영주령은 폐지되고 잉글랜드와 웨일스가 통합되었다. 오늘날에는 웨일스와 접한 잉글랜드 카운티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웨일스 변경선, 변경 지역 길 등 관련 지명과 시설에도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일스의 중세사 - 칸트레브
    칸트레브는 중세 웨일스의 토지 구획 단위로 키미다우로 나뉘며, 웨일스어 방언 경계를 나타내고, 일부는 독립된 왕국이었으며, 하웰 법 하에서 행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웨일스의 중세사 - 앵글로색슨인의 브리타니아 정착
    앵글로색슨인의 브리타니아 정착은 5세기부터 잉글랜드 문화와 사회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게르만 민족의 이주, 정착, 융합 과정을 통해 앵글로색슨 문화를 발전시키고 잉글랜드의 언어, 법률, 문화, 사회 구조에 유산을 남겼다.
  • 변경 - 슈타이어마르크주
    오스트리아 남동부에 위치한 슈타이어마르크주는 켈트어에서 유래된 이름과 함께 "그린 마르크" 또는 "철 마르크"로도 불리며, 다양한 문화유산, 아름다운 자연, 청정기술 중심의 경제, 그리고 역동적인 정치적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 변경 - 라마르슈 백국
    라마르슈 백국은 프랑스의 옛 백국으로, 여러 가문에 의해 통치되다가 프랑스 왕실에 합병되었으며 현재는 오를레앙 가문에서 명목상의 작위로 사용된다.
  • 잉글랜드의 중세사 - 와트 타일러의 난
    와트 타일러의 난은 1381년 잉글랜드에서 발생한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장기화된 백년전쟁으로 인한 과중한 세금, 흑사병 이후 사회·경제적 혼란, 왕실과 귀족의 부패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와트 타일러와 존 볼 등의 지도하에 런던까지 확산되었으나, 와트 타일러의 사망으로 진압되며 봉건 제도 쇠퇴와 사회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 잉글랜드의 중세사 -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정복
    1066년 윌리엄 1세의 잉글랜드 침공과 점령으로 일어난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정복은 잉글랜드의 정치, 문화, 언어에 큰 영향을 미치며 앵글로색슨 귀족의 몰락과 노르만족의 지배 계층 부상,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 확립, 봉건 제도 확립, 앵글로-노르만 문화 발전 등 사회 전반의 변화를 가져왔다.
웨일스 변경
개요
지역웨일스와 잉글랜드 사이의 국경 지역
위치웨일스 동쪽과 잉글랜드 서쪽
설명웨일스 변경은 잉글랜드 왕국의 군주가 임명한 변경 지배인(Lords Marcher)들이 통치했던, 웨일스와 잉글랜드 사이의 국경 지역을 가리킨다.
주요 특징고유한 법률과 관습
상당한 자치권 행사
잉글랜드 왕의 직접적인 통치로부터 벗어남
역사
형성 시기11세기 노르만 정복 이후
배경잉글랜드 왕국의 확장에 따른 웨일스 통제 필요성 증대
역할웨일스에 대한 군사적 방어선 구축
웨일스 통일1536년과 1543년의 법령으로 잉글랜드 왕국에 합병
현재지리적, 문화적 경계로서의 의미 유지
지배 계층
지배자변경 지배인 (Lords Marcher)
특징상당한 권력 보유
자신만의 군대 유지
고유한 법률 시행
행정 및 법률
법률잉글랜드 법률과 다른 고유한 법률 체계 운영
자치권잉글랜드 왕의 직접적인 통치로부터 벗어난 자치권 행사
문화적 영향
건축물많은 성곽 건축 (군사적 요충지)
독특한 지역 문화 형성
언어웨일스어와 영어의 혼합 사용
현대적 의미
지리적 경계웨일스와 잉글랜드 사이의 역사적, 문화적 경계로서의 의미 유지
관광많은 역사적 유적지와 아름다운 자연 경관 보유
참고
관련 용어웨일스 변경 지배인 (Lords Marcher)

2. 어원

"마치(March)"라는 용어는 13세기 중세 영어 "marche"("경계 지역, 국경")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는 고대 프랑스어 "marche"("한계, 경계")에서 빌려온 것이며, 다시 프랑크어에서 차용된 게르만 조어 "*markō"("경계, 지역")에서 파생되었다. 영어 "mark"의 이중어이며, 독일어 "Mark"("경계")와 어원 관련어이다.[2] 영어 지명 "머시아"와 "머지", 그리고 "mark"를 포함하는 대륙의 지명(예: "덴마크")에서도 어원 관련어를 찾을 수 있다.

이 용어는 동사 "march"와 멀리 관련된 용어이며, 둘 다 궁극적으로 인도유럽 조어 "*mereg-", "가장자리" 또는 "경계"에서 파생되었다.

3. 역사

로마 제국이 쇠퇴하면서 현재 웨일스 지역은 포위스 왕국 등 여러 독립 왕국으로 나뉘었다. 동쪽의 머시아 왕국은 웨일스 왕들과 동맹을 맺기도 했지만, 점차 서쪽으로 확장하며 오파의 제방과 같은 경계를 만들었다. 926년 애설스탠은 와이 강을 기준으로 웨일스와 잉글랜드 사이의 경계를 명확히 했다.[6] 11세기 중반 그루피드 압 류엘린이 웨일스를 통일했으나, 그의 사후 노르만족의 침입이 시작되었다.

잉글랜드 왕 윌리엄 1세는 측근들을 백작으로 임명해 웨일스 정복을 시도했고, 이 과정에서 '웨일스 변경'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노르만 영주들은 웨일스 지역에 변경 백작령을 세우고, 을 건설하며 정착민들을 유입시켰다. 이들은 잉글랜드 왕에게 충성하면서도 독자적인 권한을 행사했다. 웨일스 법과 잉글랜드 법이 혼용되면서 변경법이 발전하기도 했다.

1284년 러들란 법령 이후 웨일스 공국은 잉글랜드 왕실에 통합되었고, 변경 영주들의 권한은 점차 약화되었다. 1535-1542년 웨일스 법에 따라 변경 영주들의 관할권은 폐지되고 웨일스는 잉글랜드와 완전히 통합되었다. 웨일스 및 변경 평의회는 웨일스와 잉글랜드 접경 지역을 관리했으나, 1689년 명예 혁명 이후 폐지되었다.

3. 1. 기원: 머시아와 웨일스

서기 410년경까지 남부 브리타니아를 점령했던 로마 제국이 쇠퇴하고 멸망한 후, 현재 웨일스 지역은 동쪽에 포위스를 포함한 여러 개의 독립된 로마-브리튼 왕국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몇 세기 동안 앵글족, 색슨족 등이 점차 동부와 남부 브리튼을 정복하고 정착했다. 펜다 치하의 머시아 왕국은 리치필드 주변에 세워졌으며, 처음에는 웨일스 왕들과 강력한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그의 후계자들은 머시아를 현재의 체셔, 슈롭셔, 헤리퍼드셔까지 서쪽으로 확장하려 했다. 머시아의 세력이 커지면서 슈루즈버리와 헤리퍼드와 같은 요새화된 시장 도시들이 오파의 제방만큼이나 국경 지대를 규정했다. 오파의 제방은 서기 757년에서 796년 사이에 머시아의 오파의 명령에 의해 세워진 더 강력하고 긴 경계 토목 공사였다. 제방은 여전히 존재하며, 현대 국경 근처의 나이턴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다.[3] 포위스에서의 군사 작전과 습격으로 인해, 아마도 서기 820년경 오스웨스트리 근처 세번 강 계곡에서 디 강 하구까지 뻗어 있는 경계 토목 공사인 왓의 제방이 건설되었다.[4][5]

그 이후 수세기 동안 오파의 제방은 웨일스인과 잉글랜드인 사이의 국경으로 남아 있었다. 종종 잉글랜드 통일 왕국의 첫 번째 왕으로 여겨지는 애설스탠은 서기 926년 헤리퍼드에서 브리튼 왕들을 소집하여 윌리엄 오브 말름즈베리에 따르면 웨일스와 잉글랜드 사이의 경계를 정했으며, 특히 와이 강이 경계를 이루어야 한다고 명시한 분쟁 지역인 남부 지역의 경계를 정했다.[6]

11세기 중반까지 웨일스는 그루피드 압 류엘린의 기네스 아래 통일되었다가 1063년 그루피드 압 류엘린이 사망하였다.

3. 2. 중세 시대의 변경

노르만 정복 직후, 잉글랜드 왕 윌리엄 1세는 가장 신뢰하는 측근 3명인 휴 다브란슈, 로저 드 몽고메리, 윌리엄 피츠오스번을 각각 체스터 백작, 슈루즈베리 백작, 헤리퍼드 백작으로 임명하여 웨일스인을 억제하고 정복하는 책임을 맡겼다. 이 과정은 1세기 동안 지속되었지만 영구적으로 효과를 보지는 못했다.[7]

"웨일스 변경"이라는 용어는 1086년 둠즈데이 북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4세기 동안 노르만 영주들은 디 강과 세번 강 사이, 그리고 더 서쪽으로 대부분 작은 변경 백작령을 세웠다. 군사적 모험가들은 노르망디 등지에서 웨일스로 건너와 웨일스 지역을 약탈한 후 그곳을 요새화하고 지지자들에게 땅을 하사했다.[8] 베르나르 드 뇌프마르셰는 브리체이니오그의 웨일스 왕국을 정복하고 평정하는 책임을 맡았다. 백작령의 형성 시기와 방식은 크기와 마찬가지로 다양했다.

14세기 웨일스, 변경 백작령 표시


변경(March, 또는 ''Marchia Wallie'')은 잉글랜드 왕실과 웨일스 공국(''Pura Wallia'')으로부터 어느 정도 독립된 상태였다. 웨일스 공국은 웨일스 북서부의 고중세 기네스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1100년경에는 변경이 몬머스셔, 플린트셔, 몽고메리셔, 래드노셔, 브레크노크셔, 글라모르간, 카마던셔, 펨브로크셔의 대부분을 포함했다. 결국 이 지역은 웨일스의 약 3분의 2에 달했다.[4][9][10]

이 기간 동안 변경은 모든 의미에서 변방 사회였으며, 산업 혁명 시대까지 이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12세기와 13세기에 노르만 영주들은 주로 웨일스 약탈자와 반란에 대한 방어뿐만 아니라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수백 개의 작은 을 국경 지역에 건설했다. 이 지역에는 여전히 영국에서 가장 밀집된 목책 요새가 있다. 변경 영주들은 모든 노르만-앙주 왕국에서 이민을 장려했고, 카디프와 같은 "안전한 항구"에서 무역을 장려했다. 농민들은 대규모로 웨일스로 이주했다. 잉글랜드 왕 헨리 1세는 브르타뉴, 플랑드르, 노르만, 잉글랜드 정착민들이 웨일스 남부로 이주하도록 장려했다. 체프스토우, 몬머스, 루들로, 뉴타운과 같은 많은 새로운 도시들이 세워져 성공적인 무역 중심지가 되었고, 이들 역시 잉글랜드 정착의 중심지가 되었다. 동시에 웨일스인들은 잉글랜드 영토를 계속 공격하고 노르만에 대항하는 반란을 지원했다.[4]

노르만 영주들은 웨일스 공들과 유사한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각자는 전쟁 시에 지원해야 할 잉글랜드 왕에게 신하로서 개인적인 충성을 맹세했지만, 그들의 땅은 왕실 과세에서 면제되었고 숲, 시장, 자치구 등을 만들 수 있는 권리와 같이 다른 곳에서는 왕실에 부여된 권한을 소유했다.[10]

백작령은 지리적으로 좁고 관할권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그들의 특권은 잉글랜드 백작령과 차별화되었다. 변경 영주들은 자신의 법, 즉 길버트 드 클레어가 말했듯이 "왕과 같다"라는 의미의 ''sicut regale''로 통치했다.[11] 반면에 잉글랜드에서는 봉건 영주들이 왕에게 직접 책임을 져야 했다. 변경에서 왕실의 권한은 일반적으로 왕이 반역죄로 몰수되거나 적법한 상속자 없이 영주가 사망하여 그 권한이 몰수되어 왕실로 귀속되는 경우와 같이 왕이 자신의 손으로 백작령을 보유하고 있는 기간으로 제한되었다.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강도 높은 봉건제와 지역 사회의 최상위 계층에서 변경 남작들은 노르만인들 사이에서 봉건 영주와 왕의 가신으로서의 권위와 정복한 웨일스인들 사이에서 전통적인 ''티위소그''를 대체하는 권위를 결합했다. 그러나 웨일스 법은 때때로 잉글랜드 법보다 변경에서 선호되어 특정 사건을 결정하기 위해 어떤 법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분쟁이 있었다. 여기서 독특한 변경법이 발전했다.[4][5][11]

1284년 러들란 법령은 에드워드 1세에 의한 공국 정복 이후에 제정되었다. 이 법령은 "웨일스 공"이라는 명칭으로 기네스의 공들이 소유한 토지를 왕실의 토지로 간주하고, 해당 지역에 잉글랜드 모델의 샤이어 카운티를 설립했다. 변경 영주들은 통제가 더 엄격해졌고, 많은 변경 영주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 잉글랜드의 토지와 백작령을 하사받고, 잉글랜드 왕들이 대영주들과 맺은 왕조 동맹을 통해 점차 잉글랜드 왕들에게 묶였다. 웨일스 변경 위원회는 루들로 성에서 관리되었으며, 처음에는 1472년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4세에 의해 13세기에 에드워드 왕의 웨일스 정복 이후 잉글랜드 왕실이 직접 관리하게 된 웨일스 공국 아래의 토지를 통치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2]

3. 3. 변경 영주령의 종말과 잉글랜드-웨일스 통합

1535-1542년 웨일스 법에 따라 1536년에 변경 영주들의 관할권이 폐지되었다. 이 법은 웨일스를 잉글랜드 왕국과 합병하여 단일 국가와 법적 관할권을 만들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잉글랜드와 웨일스로 불리게 되었다.[4] 변경 영주들의 권한은 없어졌고, 그들의 지역은 덴비셔, 몽고메리셔, 래드노셔, 브레크노크셔, 먼머스셔, 카마던셔와 같은 새로운 웨일스 카운티로 재편되었다. 펨브로크셔와 글래모건 카운티는 기존의 영지에 다른 지역을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잉글랜드의 재판소 대신에 웨일스 대재판소가 설치되었는데, 이 재판소들은 웨일스 법을 적용했던 변경 영주들과는 달리 잉글랜드 법을 시행했다.[4]

일부 영지는 인접한 잉글랜드 카운티에 추가되었다. 예를 들어 루들로, 클룬, 코스, 몽고메리의 일부는 슈롭셔에, 위그모어, 헌팅턴, 클리포드, 이위어스의 대부분은 헤리퍼드셔에, 체스터의 와이 강 동쪽 부분은 글로스터셔에 편입되었다.[4]

루들로 성에 기반을 둔 웨일스 평의회는 웨일스 및 변경 평의회로 재구성되어, 처음에는 체셔, 슈롭셔, 헤리퍼드셔, 우스터셔, 글로스터셔를 포함한 전체 웨일스에 대한 법적 책임을 맡았다. 브리스틀 시는 1562년에, 체셔는 1569년에 이 평의회 관할에서 면제되었다.[13][14] 이 평의회는 제임스 2세 (스코틀랜드의 제7대)를 전복하고 윌리엄 3세 (오렌지의 윌리엄)를 왕으로 세운 "명예 혁명" 이후인 1689년에 결국 폐지되었다.

4. 변경 영주령 목록과 후임 자치주

"웨일스 변경"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전통적인 자치주를 보여주는 지도


변경 영주령 목록 및 후임 자치주는 다음과 같다.[8]

플린트셔덴비셔몽고메리셔래드노셔브레크노크셔먼머스셔



글래모건카마덴셔펨브로크셔잉글랜드 자치주로 이관


5. 현대의 웨일스 변경

현대에는 웨일스 변경 지역의 범위에 대한 법적 또는 공식적인 정의는 없다. 그러나 웨일스 변경 지역(또는 단순히 변경 지역)이라는 용어는 웨일스와의 국경을 따라 위치한 영국의 카운티, 특히 슈롭셔와 헤리퍼드셔를 설명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6] 이 용어는 때때로 파워스, 몬머스셔, 렉섬의 일부 지역에도 적용된다.[17]

웨일스 변경선 지도, 해당 지역 표시
웨일스 변경선


175형 'Coradia' 열차가 웨일스 변경선 상의 딘모어 철도역을 통과하고 있다. 이 역은 현재 운영이 중단된 Arriva Trains Wales의 운행 구간이다.


웨일스 변경선은 웨일스 남부의 뉴포트에서 애버게버니, 헤리퍼드, 크레이븐 암스를 거쳐 슈루즈버리로 이어지는 철도 노선이다.

변경 지역 길은 잉글랜드 북부의 체스터에서 화이트처치, 슈루즈버리, 레오민스터, 애버게버니를 거쳐 웨일스 수도인 카디프까지 연결되는 장거리 도보 여행길이다.

변경 지역 학교는 슈롭셔의 오스웨스트리에 있는 중등학교이다. 이 학교에는 웨일스어로 된 여러 개의 회의실이 있으며, 양쪽 국경에서 온 학생과 교직원이 있다.

참조

[1] 문서 Often rendered Marcia Wallie in documents.
[2] 웹사이트 march https://www.etymonli[...] 2023-11-01
[3] 서적 Offa's Dyke – history and guide Tempus Publishing 2003
[4] 서적 A History of Wales Penguin 1993
[5] 서적 The Welsh Border – archaeology, history and landscape Tempus Publishing 1986
[6] 논문 The feudal relation between the English crown and the Welsh princes https://onlinelibrar[...] 2020-08-27
[7] 웹사이트 Norman Castles http://www.castlewal[...] 2008-12-20
[8] 서적 The March of Wales, 1067–1300: a borderland of medieval Britain University of Wales Press 2008
[9] 서적 The Age of Conquest: Wales 1063–1415 Oxford 1987
[10] 서적 The Marcher Lordships: Origins, Descent and Organization University of Wales Press, Cardiff 2008
[11] 웹사이트 The Normans in South Wales http://www.ku.edu/ca[...] University of Texas Press 1966
[12] 서적 A History of English Law Little, Brown, and Company 1912
[13] 웹사이트 Welsh Joint Education Committee: The Council of Wales and the Marches http://www.ngfl-cymr[...] 2008-12-20
[14] 서적 This Realm of England; Monarchy, Aristocracy, Democracy https://books.google[...] Books for Libraries Press 2016-02-07
[15] 간행물 Whittington Castle: The marcher fortress of the Fitz Warin family 2004
[16] 웹사이트 The Marches http://www.marchesle[...] 2016-06-30
[17] 웹사이트 The Welsh Marches http://www.ludlow.or[...] 2016-06-30
[18] 뉴스 The Autumn Epic, Welsh Marches, Powys https://www.theguard[...] 2016-06-30
[19] 웹사이트 Discover Herefordshire and the Southern Marches http://www.countryfi[...] 2016-06-30
[20] 웹사이트 Chirk Castle – Magnificent medieval fortress of the Welsh Marches http://www.nationalt[...] 2016-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