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드리버산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윈드리버 산맥은 미국 와이오밍주에 위치한 산맥으로, 쇼쇼니족과 압사로카족 등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수천 년 전부터 거주해 온 곳이다. 1800년대 초 유럽계 미국인들이 탐험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등반과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현재는 국립 야생 보호 시스템에 의해 광범위하게 보호받고 있으며, 156개의 빙하와 수많은 호수가 존재한다. 그린강, 윈드강 등 주요 강의 발원지이며, 다양한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윈드리버 산맥은 하이킹, 등반, 스키 등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인기가 높지만, 곰, 낙석 등 위험 요소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키산맥의 산맥 - 와사치 산맥
와사치 산맥은 유타주 중북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산맥으로, 세비어 조산운동으로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지형적 특징과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중심지이자 고유한 생태계를 지니고 있다. - 대옐로스톤 생태계 - 옐로스톤 국립공원
옐로스톤 국립공원은 미국 와이오밍주를 중심으로 몬태나주와 아이다호주에 걸쳐 있는 세계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빼어난 지열 지형과 다양한 야생동물, 풍부한 생태계를 자랑하며 자연재해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기도 했다. - 대옐로스톤 생태계 - 그랜드티턴 국립공원
그랜드티턴 국립공원은 와이오밍주에 위치하며 티턴 산맥과 잭슨 홀을 포함하고,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제공하는 국립공원이다.
윈드리버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일반 정보 | |
이름 | 윈드리버산맥 |
국가 | 미국 |
주 | 와이오밍주 |
모산맥 | 로키산맥 |
면적 | 6,475 km2 |
길이 | 160 km |
길이 방향 | 북서/남동 |
폭 | 48 km |
폭 방향 | 남서/북동 |
최고봉 | 개닛 피크 |
해발고도 | 4,207 m |
좌표 | 43°11′04″N 109°39′12″W |
2. 역사
윈드리버 산맥은 수천 년 전 아메리카 원주민의 거주지였으며, 쇼쇼니족과 압사로카족 등이 이곳에 거주했다.[2] 19세기 초,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의 존 콜터와 같은 유럽계 미국인들의 탐험이 시작되었고, 오리건 트레일의 중요한 경로가 된 사우스 패스가 발견되었다.[3] 이후 존 C. 프리몬트 등에 의한 측량 목적의 등반과 20세기 초부터는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등반이 이어졌으며, 와이오밍주 최고봉인 개닛 피크가 등정되기도 했다.[3] 20세기 들어 산맥의 자연 보호를 위해 연방 정부 차원에서 야생 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그레이트 베이슨 원주민인 쇼쇼니족과 압사로카족(크로우) 아메리카 원주민은 약 7,000년에서 9,000년 전부터 이 산맥 지역에 거주해 왔다. 최근 고고학자들은 기원전 700년부터 2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해발 약 3048.00m 높이에 위치한 마을 유적들을 연구했다. 이 마을들은 파인 너트 수확 시기에 쇼쇼니족의 한 부족인 Sheepeater에 의해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High Rise"라고 불리는 한 마을 유적은 26 에이커 면적에 60개의 거주지 흔적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국립 역사 유적지로 지정되었다.[2]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의 일원이었던 존 콜터는 1807년경 이 지역을 방문하면서 산맥을 처음 본 유럽계 미국인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가 이 지역을 어떻게 통과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1812년에는 윌슨 프라이스 헌트가 이끄는 탐험대가 산맥 남쪽 끝에 있는 사우스 패스를 처음으로 넘었다. 이 고개는 로키 산맥의 정상 부근이자 대륙 분기점을 나타내며, 이후 오리건 트레일의 중요한 경로가 되었다.[3]
1800년대 중후반에는 존 C. 프리몬트와 같은 탐험가들이 측량을 목적으로 이 지역을 등반했다. 순수하게 여가 활동을 위한 등반가들은 1920년대부터 찾아오기 시작했다. 윈드리버 산맥이자 와이오밍주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개닛 피크는 1922년 아서 테이트와 플로이드 스탈나커에 의해 처음으로 등정되었다. 초기 등반 활동은 주로 티트콤 분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점차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오늘날 티트콤 분지는 남쪽의 타워의 서크와 함께 이 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레크리에이션 장소 중 하나이다.[3]
윈드리버 산맥의 상당 부분은 1931년에서 1932년 사이에 국립 삼림 내 원시 지역으로 지정되어 연방 정부의 보호를 받기 시작했다. 현재 윈드리버 산맥은 세 개의 연방 야생 지역으로 광범위하게 보호받고 있다. 서쪽 사면의 브리저 야생 지역(1964년 지정)과 동쪽 사면의 피츠패트릭 야생 지역(1976년 지정), 포포 아지 야생 지역(1984년 지정)이 이에 해당한다. 이 야생 지역들의 총면적은 728020acres에 달하며, 윈드리버 산맥은 미국 본토에서 가장 큰 도로 없는 지역 중 하나로 남아 있다. 또한, 산맥의 동쪽 사면 일부는 윈드리버 인디언 보호 구역에 포함되어 보호받고 있다.
2. 2. 유럽계 미국인의 탐험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의 일원인 존 콜터는 1807년경 이 지역을 방문했을 때 이 산맥을 처음 본 유럽계 미국인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 지역을 통과하는 그의 여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1812년, 윌슨 프라이스 헌트(Wilson Price Hunt)가 이끄는 일행은 이 산맥 남쪽 끝에 있는 사우스 패스를 처음으로 건넜다. 이 패스는 대륙 분기점을 표시하고 로키 산맥의 정상이며 오리건 트레일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3]1800년대 중후반에는 존 C. 프리몬트와 같은 탐험가들이 이 지역을 측량할 목적으로 등반을 했다. 순수하게 레크리에이션을 위해 온 초기 등반가들은 1920년대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이 산맥이자 와이오밍주에서 가장 높은 개닛 피크는 1922년 아서 테이트(Arthur Tate)와 플로이드 스탈나커(Floyd Stalnaker)에 의해 처음 등반되었다. 이 지역의 초기 등반은 대부분 티트콤 분지(Titcomb Basin)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점차 바깥쪽으로 퍼져나갔다. 오늘날 티트콤 분지는 남쪽에 있는 타워의 서크(Cirque of the Towers)와 함께 이 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레크리에이션 명소 중 하나로 남아 있다.[3]
2. 3. 20세기 이후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순수하게 레크리에이션을 목적으로 윈드리버 산맥을 찾는 등반가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산맥이자 와이오밍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개닛 피크는 1922년 아서 테이트(Arthur Tate)와 플로이드 스탈나커(Floyd Stalnaker)에 의해 처음으로 등정되었다. 초기 등반 활동은 주로 티트콤 분지(Titcomb Basin)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점차 주변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오늘날에도 티트콤 분지는 남쪽에 위치한 타워의 서크(Cirque of the Towers)와 함께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찾는 레크리에이션 명소 중 하나로 남아 있다.[3]윈드리버 산맥의 상당 부분은 1931년부터 1932년 사이에 국립 삼림의 원시 지역으로 지정되어 연방 정부의 보호를 받기 시작했다. 현재 윈드리버 산맥은 세 곳의 연방 야생 지역으로 지정되어 광범위하게 보호받고 있다. 서쪽 사면에는 1964년에 지정된 브리저 야생 지역(Bridger Wilderness)이 있으며, 동쪽 사면에는 각각 1976년과 1984년에 지정된 피츠패트릭 야생 지역(Fitzpatrick Wilderness)과 포포 아지 야생 지역(Popo Agie Wilderness)이 있다. 이들 야생 지역의 총 면적은 728020acres에 달하며, 덕분에 윈드리버 산맥은 미국 본토에서 가장 큰 도로 없는 지역 중 하나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윈드리버 산맥 동쪽 사면의 일부는 윈드리버 인디언 보호 구역(Wind River Indian Reservation)에 포함되어 보호받고 있다.
3. 지질
윈드리버 산맥은 주로 10억 년 전 지구 깊은 곳에서 형성된 화강암의 일종인 거정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랜 세월 동안 이 거정질암을 덮고 있던 암석들은 침식 작용으로 사라졌다. 이후 라라미드 조산운동 시기에 지형이 융기하면서 침식이 더욱 활발해졌고, 결국 단단한 화강암층만 남게 되었다.[4] 약 50만 년 전에 시작된 빙하기 동안 빙하의 침식 작용은 암석을 현재의 모습으로 깎아내렸으며, 산맥 곳곳에 독특한 빙하 지형을 형성했다.[4]
3. 1. 빙하 작용
50만 년 전 시작된 빙하기는 윈드리버 산맥의 암석을 현재의 모습으로 만들었다.[4] 이 시기 빙하는 수많은 호수를 만들고, 암석을 깎아 둥근 계곡 형태의 권곡을 형성했다. 산맥 남부에 있는 타워스 권곡(Cirque of the Towers)이 대표적인 예이다. 현재 쇼쇼니 국유림에 따르면 윈드리버 산맥 동쪽에는 이름이 붙은 빙하 16개와 이름 없는 빙하 140개를 합쳐 총 156개의 빙하가 있다. 브리저-티턴 국유림이 관리하는 산맥 서쪽 사면에도 27개의 빙하가 추가로 보고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미국 로키 산맥에서 가장 큰 규모의 빙하에 속한다. 특히 가넷 봉 북쪽 사면을 따라 흐르는 가넷 빙하는 미국 로키 산맥에서 가장 큰 단일 빙하로, 쇼쇼니 국유림 내 피츠패트릭 황무지에 위치한다.4. 수문
윈드리버 산맥은 콜로라도강과 옐로스톤강 유역의 중요한 발원지 역할을 하며, 수많은 호수와 하천을 포함하는 풍부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산맥의 동쪽과 서쪽 경사면에서 발원한 강들은 주변 지역의 생태계와 인간 활동에 필수적인 물을 공급한다.
4. 1. 호수와 하천
윈드리버 산맥 양쪽에는 여러 주요 강의 발원지가 있다. 그린강과 빅샌디강은 산맥 서쪽에서 남쪽으로 흘러가고, 윈드강은 쇼쇼니 분지를 거쳐 동쪽으로 흐른다. 그린강은 콜로라도강의 가장 큰 지류이고, 윈드강은 이름을 빅혼강으로 바꾼 뒤 옐로스톤강의 가장 큰 지류가 된다. 산맥 양쪽에는 여러 협곡이 있으며, 동쪽에는 사일러스 협곡과 싱크스 협곡이 대표적이다. 이 협곡들은 윈드강으로 흘러드는 포포 아지강의 미들포크와 같은 강에 의해 형성되었다.브리저 야생 지역에는 1,300개가 넘는 호수가 있다. 호수의 크기는 약 1.2ha 미만부터 81ha 이상까지 다양하며, 평균 크기는 약 4ha이다. 역사적으로 브리저 야생 지역의 호수와 하천에는 물고기가 서식하지 않았는데, 이는 로키 산맥 전역의 고산 호수 대부분과 마찬가지였다. 이 지역에 처음으로 물고기가 도입된 것은 1907년으로, 노스포크 호수에 콜로라도강 컷스로트 송어를 방류한 것이 시초였다. 이후 1924년부터 1935년까지 개인, 미국 산림청, 와이오밍주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에 의해 상당한 양의 물고기가 방류되었다.[5]
5. 생태
윈드리버 산맥은 다양한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이다. 특히 최북단 지역에는 소수의 그리즐리 곰 개체군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흰머리수리, 매, 매 등을 포함하여 약 300종의 조류가 이 지역에 서식한다.
시냇물과 호수에는 다양한 어종이 살고 있다.
종류 | 비고 |
---|---|
옐로스톤 컷스로트 연어 | |
무지개송어 | |
브룩 송어 | |
브라운 송어 | |
레이크 송어 | |
금송어 |
이 중 약 250만 마리는 대공황 시기 지역 탐험가였던 피니스 미첼과 그의 아내가 방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숲은 주로 장엽 소나무, 백송, 분비나무, 가문비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산맥은 미국의 여러 동물 이동 경로에 인접해 있으며, 중요한 고갯길들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산맥 남쪽 끝에 있는 사우스 패스(해발 2301m)는 과거 오리건 트레일이 로키 산맥을 통과하는 주요 경로 중 하나였다. 사우스 패스를 제외하면 산맥 북쪽 끝의 유니언 패스(해발 2807m)까지는 도로가 없다. 대륙 분기점을 가로지르는 높은 봉우리 사이에는 산맥 전체를 통과하는 많은 고갯길이 존재한다.
6. 레크리에이션
윈드리버 산맥은 하이킹, 등반, 스키 등 다양한 야외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다. 광활한 황야 지역은 많은 방문객을 끌어들이며, 특히 배낭여행과 암벽 등반을 위한 주요 목적지로 알려져 있다. 산맥 내에는 스키장도 운영되고 있다. 자세한 등산로나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는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6. 1. 등산로
윈드리버 산맥은 하이킹, 등반, 스키 등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레크리에이션 장소이다. 광활한 황야 지역은 많은 방문객을 끌어들이는데, 등산로 입구가 비교적 외진 곳에 있고 실제 등반 지점까지의 접근 거리가 긴 편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특히 인기 있는 배낭여행 목적지로는 티트콤 분지(주로 엘크하트 공원 등산로 입구를 통해 접근)와 타워의 서크(주로 빅 샌디 등산로 입구를 통해 접근)가 있다. 산맥 고지대에 드러난 화강암은 등반가들에게 매력적인 요소이며, 특히 남부 지역의 타워의 서크와 같은 곳은 이로 인해 과도한 이용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윈드리버 산맥 내에는 화이트 파인 스키 리조트라는 스키장이 하나 있다. 파인데일 근처에 위치한 이 스키장은 와이오밍주에서 가장 오래된 곳이며, 산맥 내에서 리프트를 이용하여 스키와 스노보드를 즐길 수 있는 유일한 장소이다.
배낭여행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주요 트레일 헤드(등산로 입구)는 다음과 같다.
등산로 입구 이름 | 해발 고도 |
---|---|
빅 샌디 | 약 2767.58m |
볼더 호수 | 약 2371.34m |
번트 호수 | 약 2438.40m |
엘크하트 공원 | 약 2828.54m |
그린 리버 호수 | 약 2450.59m |
하프 문 호수 | 약 2316.48m |
메도우 호수 | 약 2450.59m |
뉴 포크 | 약 2404.87m |
스캐브 크릭 | 약 2398.78m |
스프링 크릭 공원 | 약 2584.70m |
오랫동안 야외 활동 애호가들에게 사랑받아 온 윈드리버 산맥은 다양한 야생 및 야외 교육 프로그램의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다양한 지형과 여러 등산로 입구는 학습과 탐험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한다.[9]
6. 2. 위험 요소
곰을 만나는 것은 윈드리버 산맥에서 우려되는 사항이다.[10] 벌레, 산불, 악천후, 밤의 추위 등 다른 우려 사항도 있다.[11]특히, 사망 사고를 포함한 주목할 만한 사고들이 있었는데, 이는 가파른 절벽에서의 추락(4/5급 지형에서 발을 헛디디는 것은 치명적일 수 있다)과 낙석으로 인한 것이며, 1993년,[12] 2007년(숙련된 NOLS 리더가 관련됨),[13] 2015년[14], 2018년[15] 등에 발생했다. 다른 사고로는 2005년 스퀘어탑 산 근처에서 심각한 부상을 입은 배낭여행자가 공중 수송된 사건[16], 2006년 주 수색 및 구조대가 관련된 치명적인 하이커 사고(명백한 추락으로 추정)가 있었다.[18] 미국 산림청은 윈드리버 산맥의 사망자 수에 대한 최신 집계 기록을 제공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Wyoming 13,000-foot Peaks
http://www.peakbagge[...]
Peakbagger
2007-04-06
[2]
뉴스
Wyoming site reveals more prehistoric mountain villages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3-10-20
[3]
서적
Climbing and Hiking in the Wind River Mountains
The Sierra Club
[4]
간행물
Post-Laramide (Oligocene) uplift in the Wind River Range, Wyoming
http://geology.geosc[...]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5]
문서
A Guide to Bridger Wilderness Fishing Lake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1979
[6]
웹사이트
Titcomb Basin – Wind River Range, WY (40 mile route)
https://backpackers-[...]
2019-11-19
[7]
웹사이트
Cirque of the Towers Loop – Wind River Range, WY (45 mile loop)
https://backpackers-[...]
2019-08-07
[8]
웹사이트
White Pine Ski Resort
http://www.whitepine[...]
2012-11-09
[9]
웹사이트
Wind River Mountain Range: Higher, Longer, Deeper – Woming's Largest Range
http://www.visitpine[...]
2016
[10]
뉴스
Bear Safety in Wyoming's Wind River Country
https://windriver.or[...]
2017-04-24
[11]
뉴스
Wind River Range condition update - Fires, trails, bears, Continental Divide
http://www.pinedaleo[...]
2005-07-27
[12]
뉴스
Falling Rock, Loose Rock, Failure to Test Holds, Wyoming, Wind River Range, Seneca Lake
http://publications.[...]
1993
[13]
뉴스
Trundled Rock Kills NOLS Leader
https://www.climbing[...]
2007-08-14
[14]
뉴스
Officials rule Wind River Range climbing deaths accidental
https://trib.com/out[...]
2015-12-09
[15]
뉴스
Deadly underestimation
https://www.wyofile.[...]
2018-08-24
[16]
웹사이트
Squaretop Mountain Rock Climbing
https://www.mountain[...]
2009
[17]
뉴스
Injured man rescued from Square Top Mtn - Tip-Top Search & Rescue helps 2 injured on the mountain
http://www.pinedaleo[...]
2005-07-22
[18]
뉴스
Incident Reports - September, 2006 - Wind River Search
http://www.1.wildern[...]
2006-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