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키장은 스키, 스노보드 등 겨울 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시설로, 활강로, 리프트, 편의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스키장은 1911년 일본 고시키온센 스키장이 개설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현재는 다양한 규모와 형태의 스키 리조트가 운영되고 있다. 스키장은 리프트, 슬로프, 숙박 시설, 식당, 상점 등 다양한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경제에도 기여한다. 최근에는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한 운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절약, 폐기물 감소, 서식지 복원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키장 - 인공눈
인공눈은 물과 에너지를 사용해 자연 강설을 모방하여 만들어지는 눈으로, 스키장 등에서 사용되며, 스키 시즌 연장과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지만, 많은 물과 에너지 소비, 환경 문제, 사회적 문제 등을 야기한다. - 여행과 관광에 관한 - 하노이
하노이는 베트남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 중 하나로,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기원전부터 정치적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해왔고, 프랑스 식민지 시대와 베트남 전쟁을 거쳐 통일 베트남의 수도가 되었으며, 현재는 현대적인 도시 개발과 함께 중요한 관광 명소이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스키장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종류 | 스키, 스노보드 및 기타 겨울 스포츠를 위해 개발된 리조트 |
주요 활동 | 스키 스노보드 기타 겨울 스포츠 |
시설 | |
리프트 | 곤돌라 의자 리프트 T-바 로프 토우 |
슬로프 | 다양한 난이도의 슬로프 제공 |
기타 시설 | 스키/스노보드 학교 장비 대여점 식당 숙박 시설 기타 편의 시설 |
관련 용어 | |
스키장 | 스키를 탈 수 있도록 특별히 만들어진 장소, 슬로프, 리프트 시설 등을 갖춘 곳 |
ゲレンデ (게렌데) | 일본어로 스키 슬로프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스키장 전체를 가리키는 데 사용 |
추가 정보 | |
주의 사항 | 출처 명시 필요 |
2. 역사
원래 스키는 겨울철 등산 시 교통편이 있는 산록의 마을에서 산으로 접근하는 데 이용되었고, 이를 즐기는 등산객들이 합숙하며 연습하기 위한 장소는 게렌데(Gelände|땅, 지형, 부지de)[10]라고 불렸다. 점차 연습장에서 스키를 즐기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스키장이라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고, 본래 목적에서 독립된 스포츠·레저가 되었다.
일본 최초의 스키장은 1911년에 개설된 고시키온센 스키장(야마가타현)이며, 민간용 체어리프트가 처음 설치된 곳은 1948년 군마현의 구사쓰 국제 스키장이다. 구사쓰 국제 스키장 이전에는 주둔군이 1946년에 건설한 삿포로 스키장과 1947년에 건설한 시가고원 마루이케가 있었다.
세계 최초의 실내 스키장은 1958년에 개설된 도시마엔 인도어 스키장(도쿄도)이다.
현재 스키장은 전국 각지에 산재해 있으며, 특히 나가노현 북부나 니가타현, 야마가타현 등의 폭설지대에서는 주요 산업이 되고 있다. 스키장 주변에는 숙박시설과 음식점, 기념품점 등이 있으며, 온천 시설이 잘 갖춰진 곳도 많다. 이러한 시설들은 겨울에는 스키, 여름에는 하이킹, 패러글라이딩 등의 아웃도어 스포츠의 거점으로, 또 리조트 시설이나 피서지로 이용된다.
2. 1. 스키의 기원과 발전
원래 스키는 겨울철 등산 시 교통편이 있는 산록 마을에서 산으로 접근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를 즐기는 등산객들이 합숙하며 연습하기 위한 장소는 게렌데(Gelände|땅, 지형, 부지de)라고 불렸다.[10] 점차 연습장에서 스키를 즐기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스키장이라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고, 본래 목적에서 독립된 스포츠·레저로서 거기서 스키를 타는 것을 스키라고 부르게 되었다.일본 최초의 스키장은 1911년에 개설된 고시키온센 스키장(야마가타현)이며, 민간용 체어리프트가 처음 설치된 곳은 1948년 군마현의 구사쓰 국제 스키장이다. 구사쓰 국제 스키장 이전에는 주둔군이 1946년에 건설한 삿포로 스키장과 1947년에 건설한 시가고원 마루이케가 있었다.
세계 최초의 실내 스키장은 1958년에 개설된 도시마엔 인도어 스키장(도쿄도)이다.
현재 스키장은 전국 각지에 산재해 있으며, 특히 나가노현 북부나 니가타현, 야마가타현 등의 폭설지대에서는 주요 산업이 되고 있다. 스키장 주변에는 숙박시설과 음식점, 기념품점 등이 산재해 있으며, 온천 시설이 잘 갖춰진 곳도 많다. 이러한 시설들은 겨울에는 스키, 여름에는 하이킹, 패러글라이딩 등의 아웃도어 스포츠의 거점으로, 또 리조트 시설이나 피서지로 이용되는 경향이 강하다.
2. 2. 대한민국 스키장의 역사
많은 스키장에서는 놀이공원처럼 입장료를 받지 않지만, 체어리프트나 곤돌라 리프트를 이용하려면 리프트권이라는 표를 구입해야 한다. 리프트권은 1회권, 회수권, 1일권, 반일권, 다양한 시간권, 야간권, 시즌권 등 여러 종류가 있다.많은 스키장에서는 잘 보이는 종이 리프트권을 사용하며, 이를 투명한 창이 있는 리프트권 홀더에 넣어 직원에게 보여주고 입장한다. 1회권, 회수권은 스키장에 따라 카드식 또는 종이 회수권 형태가 있으며, 카드식은 개찰기 카드 리더 삽입구에 넣거나, IC카드인 경우 카드 리더에 태그한다.
일부 스키장에서는 비접촉식 IC카드 기술을 이용한 IC 티켓을 리프트권으로 사용하며, 리프트 승강장 입구 게이트에 있는 카드 리더로 티켓을 인식시켜 입장한다. 대부분의 IC 티켓 리프트권은 가격이 비싸며, 구입 시 보증금을 징수하고 티켓 반환 시 보증금을 돌려주는 보증금 제도를 활용하기도 한다.
리프트권은 일반적으로 스키장의 리프트권 매표소에서 구입하며, 여행사 패키지 투어에 포함되거나, 편의점 단말기에서 미리 구입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온라인 결제를 통해 리프트권을 미리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2. 3. 세계 스키장의 역사
스키 리조트는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남반구와 북반구에 위치해 있다. 일반적으로 경사가 큰 산에 위치하며, 충분한 눈(인공 설상과 병행하는 경우도 있음)이 필요하다. 스키 리조트는 알프스, 스칸디나비아, 서부 및 동부 북아메리카, 그리고 일본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또한 안데스 산맥에도 스키 리조트가 있으며, 중앙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에도 산재해 있다.[10]실내가 아닌(최소한 하나의 스키 리프트가 실외에 있는) 극단적인 위치에 있는 스키 리조트는 다음과 같다.
- 가장 북쪽에 위치한 스키 리조트: 트롬쇠 근처, 노르웨이
- 가장 남쪽에 위치한 스키 리조트: 우수아이아 근처, 아르헨티나
- 적도에서 가장 가까운 북쪽에 위치한 스키 리조트: 리장 근처, 중국
- 적도에서 가장 가까운 남쪽에 위치한 스키 리조트: 마흘라셀라 근처, 레소토
원래는 겨울철 등산 시 교통편이 있는 산록의 마을에서 산으로 접근하는 데 스키를 이용하고 이를 즐기는 등산객들이 합숙하며 연습하기 위한 장소(=게렌데, Gelände|땅, 지형, 부지de)였지만, 점차 연습장에서 스키를 즐기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스키장이라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고, 본래 목적에서 독립된 스포츠·레저로서 거기서 스키를 타는 것을 스키라고 부르게 되었다.[10]
일본 최초의 스키장은 1911년에 개설된 고시키온센 스키장(야마가타현)이며, 민간용 체어리프트가 처음 설치된 곳은 1948년 군마현의 구사쓰 국제 스키장이다. 구사쓰 국제 스키장 이전에는 주둔군이 1946년에 건설한 삿포로 스키장과 1947년에 건설한 시가고원 마루이케가 있었다.
세계 최초의 실내 스키장은 1958년에 개설된 도시마엔 인도어 스키장(도쿄도)이다.
3. 시설 및 서비스
스키장에서는 스키와 스노보드 장비를 대여할 수 있으며, 부츠, 스키복, 장갑, 고글 등도 함께 대여 가능하다. 따라서 빈손으로 스키장을 방문하여 스키와 스노보드를 즐길 수 있다. 스키장 내 매장에서는 장갑이나 고글 등의 소품을 판매하여 갑작스러운 파손에 대비할 수 있다.[3]
스키장 직영 대여점 외에도 스키장 근처에 여러 대여점이 있으며, 숙박 시설과 제휴된 대여점도 많다. 숙박 시설 직원에게 문의하면 대여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스키장에서는 스키스쿨, 스노보드스쿨 등 활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보통 1명부터 신청 가능하며, 여러 명이 함께 교육을 받는다. 장비는 스쿨에서 대여하거나 각자 준비한다. 초급, 중급, 상급 코스가 마련되어 있어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다.
스키 산업에서는 스키 리조트의 발전을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1][2]
- 1세대: 다보스, 생모리츠처럼 기존 여름 휴양지나 마을 주변에 개발.
- 2세대: 생탄톤 암 아를베르크, 쿠르슈벨처럼 관광객이 없는 마을이나 목초지에 조성.
- 3세대 (통합형): 세스트리에레, 플레인처럼 모든 편의시설과 서비스를 갖춘 목적형 스키 리조트.
- 4세대 (마을 리조트): 발메니에, 발모렐처럼 기존 마을 주변에 조성되지만 전통적인 용도를 고려.
유럽에서는 도시나 마을 근처에 있지 않은 스키 시설을 '스키 스테이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름에도 운영되는 스키 리조트는 산악 리조트라고 한다.
"애프터스키(après-ski)"(après-ski프랑스어)는 스키 리조트에서 발생하는 오락, 나이트라이프, 사교 행사 등을 의미한다.[4][5] 이는 스키 외의 즐길 거리를 제공하며, 알프스에서 시작된 문화이다. 스키어들이 하루의 마지막 활강 후 스키 장비를 착용한 채 바에 들르는 것이 일반적이다.[6]
3. 1. 리프트
리프트는 스키를 타기 위해 슬로프 꼭대기로 올라갈 때 필요한 시설이다. 리프트를 탈 때는 자기 실력에 맞는 슬로프의 리프트를 이용해야 한다. 슬로프는 초심자, 초급자, 중급자, 상급자, 최상급 등이 있으며 최상급으로 올라갈수록 경사도가 높다.[11][12]많은 스키장에서는 체어리프트, 로프웨이, 곤돌라 리프트 등으로 산 정상 부근까지 올라가 스키나 스노보드로 슬로프를 활강해 내려온다. 하지만 초보자에게는 체어리프트를 타는 것 자체가 어려운 경우도 있으며, 체어리프트 승하차에 실패하면 움직이는 시트에 몸이나 머리를 부딪히거나, 스키나 스노보드가 운반기에 끌려 발목이 골절되는 등의 위험이 있다. 또한 비상시에는 체어리프트가 긴급 정지하기 때문에 다른 손님에게도 피해가 갈 수 있다.
스포츠·레저로 자리 잡을 무렵에는 초보자나 가족 이용자를 염두에 둔 코스 정비가 진행되었고, 붐이 되었을 무렵에는 하나의 스키장에 초보자용부터 상급자용까지 다양한 코스가 갖춰진 광대한 스키장이 일반적인 존재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곤돌라리프트나 체어리프트도 다종다양한 것이 탄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곤돌라리프트는 4~12명 정도가 동시에 탈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장거리를 비교적 고속으로 올라가는 수송 능력이 높은 것이 많다. 승하차 시에는 메인 와이어에서 떨어져 천천히 진행되며(자동 순환식이라고 불린다), 스키나 보드는 곤돌라리프트 외부에 설치된 전용 스키·스노보드 거치대에 세워두고 안으로 들어간다.[13]
체어리프트는 스키나 스노보드를 신은 채 운반기(의자)에 앉는 것이 주류이며, 일반적으로 1~8명이 탑승할 수 있다. 1~4인승은 각각 싱글, 페어(로맨스), 트리플, 쿼드라는 명칭이 붙지만, 6인 이상의 리프트는 현재 일본에서는 독자적인 명칭이 없다.
후술하는 로프투·리프트, J바 리프트, T바 리프트, 플래터 리프트, 매직 카펫이라고 불리는, 설면을 미끄러지면서 상승하는 활주식 리프트라는 것도 있다.
일본에서 가장 긴 곤돌라리프트는 나에바 스키장과 카구라 스키장을 잇는 드래곤드라이며, 그 거리는 5481m이고, 약 15분 만에 연결된다.
- 체어리프트(가장 일반적인 의자식 리프트)
- * 싱글 리프트(1인용)
- * 페어 리프트/로맨스 리프트(2인용)
- * 트리플 리프트(3인용)
- * 쿼드 리프트(4인용)
- * 6인승 리프트
- * 8인승 리프트
- 곤돌라 리프트
- * 푸니텔
- 로프웨이
- * 3S 로프웨이
- 활주식 리프트
- * 로프투 리프트(영어): 케이블에 달린 바 또는 손잡이 등의 지지대를 잡거나, 바를 몸 옆에 걸거나, 또는 기존 로프 타입의 경우 로프 자체를 잡는 1인용.
- * J바 리프트(영어): J자 모양의 바를 잡거나, 바를 몸 옆에 걸어서 사용하는 1인용.
- * T바 리프트(영어): T자 모양의 바를 잡거나, 바를 몸 옆에 걸어서 사용하는 2인용.
- * 플래터 리프트(버튼 리프트)(영어): 플래터(버튼이라고도 함)라고 불리는 원반이 달린 바를 넘어서거나, 스노보더가 옆구리에 안거나 산 쪽 다리의 무릎 뒤에 걸어서 사용하는 1인용.
- * 매직 카펫(스키·스노보드용 무빙워크)(영어): 설면과 거의 같은 높이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 형태의 벨트 위에 올라타서 이동한다.
알프스 산맥에서는 DIN 32912에 따라 슬로프 난이도가 다음과 같이 정해져 있다.
기호 | 색/ 대상 | 설명 |
---|---|---|
파랑/ 초급자용 | 매우 짧은 구간을 제외하고, 가로세로 모두 최대 경사가 25% 이하 | |
빨강/ 중급자용 | 매우 짧은 구간을 제외하고, 가로세로 모두 최대 경사가 40% 이하 | |
검정/ 상급자용 | 경사가 40% 이상 |
3. 2. 슬로프
스키장에는 활강로, 트레일 또는 피스테(piste)라고 불리는 표시된 스키 경로가 있다. 스키장에는 일반적으로 스키어를 언덕 꼭대기로 빠르게 이동시키고 다양한 트레일을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어리프트가 있다. 로프토우(rope tow)는 짧은 슬로프(보통 초보자 언덕 또는 버니 슬로프)에도 사용할 수 있다. 대규모 스키장에서는 곤돌라 리프트나 에어리얼 트램웨이(aerial tramway)를 사용하여 스키장 내에서 더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리조트에서는 리프트, 트레일, 서비스 및 스키장 경계의 위치를 보여주는 트레일 지도(trail map)를 게시하고, 스키 시즌(ski season) 동안에는 개방된 트레일, 운영 중인 리프트 및 날씨 상태를 나열하는 일일 눈 상태 보고서를 발행한다.스키장에는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응급 처치 시설(first aid facility)과 부상당한 스키어를 구조하기 위한 일종의 스키 순찰대(ski patrol) 서비스가 있다. 스키 순찰대는 일반적으로 규칙 시행, 위험(hazard) 표시, 상황에 따라 개별 활강로 또는 지역 폐쇄, 위험한 참가자 제거(퇴장)를 담당한다.
를 정비하는 작업을 이라고 하고, 정비된 슬로프를 그루밍번이라고 한다.[21] 정비에는 슬로프 정비차, 압설차 등으로 불리는 설상차가 사용된다.
눈이 적을 경우 인공제설기가 사용된다.[22]
눈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스키장 개장 전에 눈사태 제어(아발란치 컨트롤)라는 인공 눈사태 유발을 위해 폭파 등이 실시된다.[23]
; 패트롤 대
: 구조하거나, 사전에 위험이 없도록 로프를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하는 직원인 을 고용하는 경우가 있다.[24]
; 백컨트리
: 스키장 관할 구역 외의 장소를 백컨트리라고 한다. 신설을 타고 싶어하는 스키어들을 막는 법률은 없고, 경고나 로프 설치 등으로 안전에 배려는 하지만, 자기 책임 하에 활강이 이루어진다. 이때 눈사태나 조난이 발생하여 스키 패트롤이 출동하는 경우도 있다.[24]
3. 3. 기타 시설 및 서비스
스키장에는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응급 처치 시설과 부상당한 스키어를 구조하기 위한 일종의 스키 순찰대(ski patrol) 서비스가 있다.[3] 스키 순찰대는 일반적으로 규칙 시행, 위험 표시, 상황에 따라 개별 활강로 또는 지역 폐쇄, 위험한 참가자 제거(퇴장)를 담당한다.일반적인 스키장 기지는 매표소, 스키 로지(ski lodge), 스키 스쿨(ski school), 장비 대여/수리점, 레스토랑/바, 쇼핑, 셔틀 버스 정류장 및 주차장을 포함한다.[3]
일부 스키 리조트는 슬로프 자체에 숙박 시설(lodging)을 제공하며, 스키인 & 스키아웃(ski-in and ski-out) 접근 방식을 통해 투숙객이 문 앞까지 스키를 타고 갈 수 있다. 스키 리조트는 종종 스노모빌(snowmobiling), 썰매(sledding), 말이 끄는 썰매, 개썰매(dog-sledding), 아이스 스케이팅, 실내 또는 실외 수영, 온수 욕조, 게임룸 및 클럽, 영화관, 극장, 캬바레(cabarets)와 같은 지역 오락 등의 다른 활동을 제공한다.
"애프터스키(après-ski)"(프랑스어로 "스키 후")는 스키 리조트에서 특히 발생하는 오락, 나이트라이프 또는 사교 행사를 가리키는 용어이다.[4][5] 이러한 활동은 리조트 이용객의 즐거움을 더하고 스키와 스노보드 외에 할 수 있는 일을 제공한다. 이 문화는 알프스에서 시작되었으며, 가장 인기가 많고 스키어들이 하루의 마지막 활강에서 스키 장비를 모두 착용한 채 바에 들르는 곳이다.[6] "스키"라는 단어는 노르웨이어를 거쳐 고대 노르드어 skíðnon에서 유래했지만, 프랑스어를 선택한 것은 이러한 활동이 초기 인기에 기여한 프랑스 알프스와 관련이 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7]
4. 지역별 스키장
스키 리조트는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 위치해 있다. 주로 경사가 큰 산에 위치하며, 충분한 눈(인공 설상과 병행하는 경우도 있음)이 필요하다. 드라이 스키 슬로프를 사용하는 리조트는 포함되지 않는다.
스키 리조트는 알프스, 스칸디나비아, 서부 및 동부 북아메리카, 그리고 일본에 많이 분포한다. 또한 안데스 산맥에도 스키 리조트가 있으며, 중앙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도 일부 존재한다.
실외 스키 리조트 중 극단적인 위치는 다음과 같다.
4. 1. 대한민국
동고서저의 지형으로 인해 스키장은 대부분 강원도 지역에 밀집해 있으며, 호남 지방(전라도)이나 영남 지방(경상도)에는 거의 없다. 서울 시민의 수요를 위하여 경기도에 스키장을 열기도 한다. 보통 11월이나 12월에 개장해서 이듬해 3월이나 4월에 폐장한다.4.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마식령스키장 (강원도 원산시)4. 3. 일본
일본의 스키장은 나가노현, 니가타현, 아오모리현 등 주부 산간 지방과 도호쿠 지방, 홋카이도에 많다. 반면 오사카 이서로는 스키장이 잘 없다. 개장 시기는 지역마다 다르나, 9월~12월에 개장하고 폐장은 2월~5월에 한다.[10]일본 최초의 스키장은 1911년 (메이지 44년)에 개설된 고시키온센 스키장(야마가타현)이며, 민간용 체어리프트가 처음 설치된 곳은 1948년 (쇼와 23년) 군마현의 구사쓰 국제 스키장이다.
현재 일본의 스키장은 전국 각지에 있으며, 특히 나가노현 북부나 니가타현, 야마가타현 등의 폭설지대에서는 주요 산업이 되고 있다. 스키장 주변에는 숙박시설과 음식점, 기념품점 등이 있으며, 온천 시설이 잘 갖춰진 곳도 많다. 이러한 시설들은 겨울에는 스키, 여름에는 하이킹, 패러글라이딩 등의 아웃도어 스포츠 거점으로, 또 리조트 시설이나 피서지로 이용된다.
4. 4. 미국
미국의 스키장은 주로 콜로라도주, 몬태나주, 와이오밍주, 네바다주, 아이다호주, 유타주 등 서부의 로키 산맥 근처에 밀집해 있다. 중부의 경우에는 노스다코타주에, 동부의 경우에는 버몬트주, 뉴햄프셔주, 메인주에 대부분의 스키장이 밀집해 있다. 남부에는 거의 없다. 미국은 땅이 넓기 때문에 지역마다 스키장 개장 시기와 폐장 시기는 다르다.4. 5. 중국
중국의 스키장은 주로 칭하이성, 간쑤성 등 서부 지역에 밀집해 있다. 적도에서 가장 가까운 북쪽에 위치한 스키 리조트는 리장 근처에 있다.4. 6. 유럽
유럽의 스키장은 주로 스위스, 오스트리아에 밀집해 있다.4. 7. 기타
스키 리조트는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남반구와 북반구에 위치해 있다. 일반적으로 경사가 큰 산에 위치하며, 충분한 눈(인공 설상과 병행하는 경우도 있음)이 필요하다. 드라이 스키 슬로프를 사용하는 리조트는 제외된다.
스키 리조트는 알프스, 스칸디나비아, 북아메리카, 그리고 일본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또한 안데스 산맥에도 스키 리조트가 있으며, 중앙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에도 산재해 있다.
실내가 아닌(최소한 하나의 스키 리프트가 실외에 있는) 극단적인 위치에 있는 스키 리조트는 다음과 같다.
5. 환경 문제 및 지속 가능한 노력
기온 상승, 빙하 후퇴, 강설량 감소 등은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스키 리조트 개발 및 운영 또한 육지, 호수, 하천 및 야생 동물에 환경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8] 콘크리트 건물, 스키 리프트, 진입로, 주차장, 철도와 같은 편의시설과 기반 시설은 산악 지역의 도시화에 기여해 왔다.
5. 1. 환경 문제
기온 상승, 빙하 후퇴, 강설량 감소 등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리조트 개발 및 운영 또한 육지, 호수, 하천 및 야생 동물에 환경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8] 콘크리트 건물, 스키 리프트, 진입로, 주차장, 철도와 같은 편의시설과 기반 시설은 산악 지역의 도시화에 기여해 왔다.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스키 리조트에서 설상기 사용이 증가하여 적은 강설량을 보완하고 있다.[9] 양질의 눈 피복을 유지하기 위해 인공 제설은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며 때로는 인공 호수를 조성하기도 한다. 설상기는 또한 소음 문제를 야기한다.
필요한 기반 시설은 불투수면의 면적 증가를 통해 침식에 영향을 미치고, 물 유출의 흐름을 바꿀 수 있다.
5. 2. 지속 가능한 노력
기온 상승, 빙하 후퇴, 강설량 감소 등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리조트 개발 및 운영 또한 육지, 호수, 하천 및 야생 동물에 환경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8] 콘크리트 건물, 스키 리프트, 진입로, 주차장, 철도와 같은 편의시설과 기반 시설은 산악 지역의 도시화에 기여해 왔다.많은 리조트들이 에너지 및 수자원 소비와 폐기물 발생량 감소, 재활용 증대, 서식지 복원을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환경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주요 활동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스노스포츠 산업 미국(SIA) 기후연합 (Snowsports Industries America (SIA) ClimateUnited)
- NSAA 지속 가능한 슬로프 이니셔티브 (NSAA Sustainable Slopes Initiative)
- 미국 국유림 재단 스키 보존 기금 (Ski Conservation Fund)
- 세레스 혁신적인 기후 및 에너지 정책을 위한 기업 네트워크 (Business for Innovative Climate and Energy Policy (BICEP) Network)
- FESI 동계 스포츠 지속 가능성 네트워크 (FESI Winter Sports Sustainability Network (WSN))
- 겨울을 보호하자 (POW)
6. 스키 장비 대여 및 스쿨
많은 스키장에서 스키와 스노보드 장비를 대여하고 있으며, 부츠, 스키복, 장갑, 고글 등도 함께 대여하여 스키와 스노보드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스키장 내 매장에서는 장갑이나 고글 등의 소품을 판매하여 갑작스러운 장비 파손에도 대응할 수 있다.[3]
스키장 직영 외에도 스키장 근처에 대여점이 있거나, 숙박 시설에서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대여점과 숙박 시설이 제휴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직원에게 문의하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3]
스키장에서는 스키스쿨(スキースクール), 스노보드스쿨(スノーボードスクール) 등을 통해 활강 교육을 받을 수 있다.[3]
일반적인 스쿨은 1명부터 신청 가능하며, 여러 명이 모여 교육을 받는다. 장비는 스쿨에서 대여할 수도 있지만, 보통 각자 준비한다.[3]
수강 신청은 시작 시간 전까지 사무실 등에서 예약해야 하며, 반일(2시간) 또는 일일(오전 2시간, 오후 2시간) 코스 중 선택할 수 있다.[3]
스쿨은 초급, 중급, 상급 코스로 나뉘어 있어, 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자신의 실력에 맞춰 학습할 수 있다. 초보자는 리프트 승하차, 장비 착용 및 사용법 등 기본적인 지식도 부족하여 위험하므로, 안전과 실력 향상을 위해 초급 스쿨 수강이 권장된다.[3]
프라이빗 스쿨(プライベートスクール)에서는 개인이나 그룹 단위로 교육받을 수 있다. 키즈 스쿨(キッズスクール) 등 어린이를 위한 스쿨이나, 시정촌 또는 스포츠 운영 기업 등이 운영하는 스키·스노보드 클럽도 있다.[3]
많은 스쿨에서는 전일본스키연맹(全日本スキー連盟)(SAJ)의 스키 배지 테스트(スキーバッジテスト)나 스노보드 배지(급별) 테스트 등 기술 검정회를 개최하여 실력 향상을 돕는다.[3]
7. 스노보드 금지
초기에는 스노보드의 인지도가 낮아 특별한 주행 규제가 필요 없었지만, 스노보더 인구가 증가하면서 스키장마다 대응이 달라졌다. 스노보드를 전면 금지하거나 부분적으로 허용하는 등 다양한 조치가 취해졌다. 현재는 스노 스포츠로서 스키와 견줄 만큼 대중화되었기 때문에, 영업적인 측면도 고려하여 규제가 순차적으로 완화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스키장에서 스노보드를 전면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스노보드 금지 스키장의 예로는 브랑슈 타카야마 스키 리조트, 기소후쿠시마 스키장, 아이즈고원 타카하타 스키장 등이 있다.[25][26]
참조
[1]
서적
The Skier's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Paddington Press
[2]
서적
Les Stations intégrées de sports d'hiver dans les Alpes françaises
Masson
[3]
서적
The Great North American Ski Book
Scribners
[4]
백과사전
2012-11-26
[5]
서적
The History of Skiing and Other Winter Sports
Methuen
[6]
학술지
Tea Dance To Disco: Après-Ski Through the Ages
https://books.google[...]
2012-11-26
[7]
웹사이트
ski (n.)
http://www.etymonlin[...]
2014-11-21
[8]
보고서
Effects of the Skiing Industry on the Environment
http://www.laviniaes[...]
2010-12-00
[9]
뉴스
How climate change threatens to close ski resorts
https://www.bbc.com/[...]
BBC
[10]
웹사이트
「ゲレンデ」って何語?【意外と知らない外国語雑学】
https://ananweb.jp/a[...]
[11]
웹사이트
国際スキー連盟が定めるルール
http://www.nikokyo.o[...]
全国スキー安全対策協議会
[12]
서적
2019年度教育本部メモ
山と溪谷社
2018-11-01
[13]
웹페이지
스키장 정보
[14]
웹사이트
ニセコユナイテッドゲレンデマップ 2021-2022
https://hanazononise[...]
ニセコHANAZONOリゾート
2021-10-20
[15]
웹사이트
ニセコビレッジスキーリゾートコースマップ
https://www.niseko-v[...]
ニセコビレッジ
2021-12-03
[16]
블로그
索道入門5 ~索道の輸送能力 その2
http://cable.cocolog[...]
2018-10-20
[17]
웹페이지
곤돌라 탑승 정보
[18]
웹사이트
ニセコユナイテッド/オンラインリフト券販売
https://www.niseko.n[...]
[19]
웹사이트
Lift Ticket Prices Niseko Grand HIRAFU / HANAZONO リフト料金(ニセコ東急 グラン・ヒラフ、HANAZONO共通) 및 Lift Ticket Prices Niseko All Mountain リフト料金(ニセコ全山)
https://www.grand-hi[...]
[20]
뉴스
『共通リフト券ネットで販売』ニセコ4スキー場
北海道新聞
2019-11-26
[21]
웹사이트
〈北海道のスキー場〉北海道のサラサラなパウダースノーを満喫しよう!!(季節・暮らしの話題 2023年01月09日)
https://tenki.jp/sea[...]
2023-02-18
[22]
웹사이트
富士山のふもとのスキー場でゲレンデ作り本格化 山梨 鳴沢村|NHK 山梨県の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3-02-18
[23]
비디오
雪崩からスキーヤーを守れ! アバランチコントロール ニセコで約20年続く爆破作業とは
https://www.youtube.[...]
2023-02-18
[24]
웹사이트
関西人気1位のスキー場で『安全守るパトロール隊』密着取材...次々やってくるケガ人対応で大忙し「傷病者をいかに早く病院まで運ぶか」
https://www.mbs.jp/n[...]
[25]
웹사이트
快適にスキーを楽しめる!日本全国のスキーヤー専用スキー場6選
https://jp.wamazing.[...]
2024-08-01
[26]
웹사이트
当スキー場は「スノーボードでの滑走」はできません。 イベント&ニュース
https://kisofukushim[...]
2024-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