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 (명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두는 음력 6월 15일에 지내는 한국의 명절이다. 신라 시대부터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불길함을 씻는 풍습이 있었으며, 고려 시대에는 수릿날과 함께 보편적인 명절로 자리 잡았다. 유두에는 유두면, 상화병, 수단과 같은 음식을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름날 세시 - 락샤 반단
락샤 반단은 자매가 형제의 손목에 라키를 묶어 형제 간의 사랑과 보호를 기원하는 힌두교 축제이며, 인도 북부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인도 전역과 주변 국가에서도 기념된다. - 보름날 세시 - 포살
포살은 불교 승가 공동체가 한 달에 두 번 계율을 점검하고 암송하는 의식으로, 재가 신자들이 팔계를 지키며 사찰을 방문하고 승려들이 빠띠목카를 암송하는 등 상호작용이 강화되는 날이며, 각 문화권에서 특별한 우포사타일을 기념한다. - 7월의 세시 - 칠석
칠석은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음력 7월 7일에 한국에서는 바느질 솜씨를 빌고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다나바타 축제로 소원을 적어 대나무에 매달고, 중국에서는 치차오제 또는 연인의 날로 기념한다. - 7월의 세시 - 대서
대서는 24절기 중 소서와 입추 사이에 위치하며 태양 황경이 120°인 때로, '큰 더위'라는 뜻처럼 보통 이 시기에 더위가 절정에 이르러 한국에서는 장마와 무더위, 농작물 관리에 힘쓰는 시기이며, 일본에서는 토용이 시작되어 장어를 먹고 소서문안을 보내는 풍습이 있다. - 한국의 민간풍속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한국의 민간풍속 - 칠석
칠석은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음력 7월 7일에 한국에서는 바느질 솜씨를 빌고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다나바타 축제로 소원을 적어 대나무에 매달고, 중국에서는 치차오제 또는 연인의 날로 기념한다.
유두 (명절) | |
---|---|
유두 정보 | |
공식 명칭 | 유두(流頭) |
다른 이름 | 유두날 |
주제 | 아시아 |
장소 | 한국 |
날짜 | 음력 6월 15일 |
축제 음식 | 유두면 상화병 수단 |
관련 행사 | (정보 없음) |
상징색 | (정보 없음) |
형태 | (정보 없음) |
중요도 | (정보 없음) |
시작일 | (정보 없음) |
종료일 | (정보 없음) |
2. 역사
2. 1. 신라 시대
2. 2. 고려 시대
고려 명종 때의 학자 김극기(金克己)의 문집을 인용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및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에서는 “경주 풍속에, 6월 보름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불길한 것을 씻어 버린다. 그리고 계음(禊飮)을 유두연(流頭宴)이라 한다.”라 하여 신라 시대의 풍속으로 설명하였다.1년 열두 달의 풍속을 노래한 고려가요 《동동》에서도 "六月ㅅ 보로매 아으 별해 바룐 빗 다호라/것거 바리신 後에 디니실 한 부니 업스샷다"(6월 보름에 벼랑에 버린 빗 같아라/꺾어 버려진 뒤로는 다시 주워 가질 사람이 없네)라는 구절이 있어, 고려 시대에는 이미 수릿날과 함께 보편적인 명절로 자리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사》(高麗史)에는 유두음(流頭飮)에 대해 “명종 15년 6월 계축일(14일)에 왕이 봉은사에 행차하였다. 병인일(15일)에 시어사(侍御史) 두 사람이 환관 최동수(崔東秀)와 함께 광진사에 모여서 유두음을 하였다. 당시 우리 나라 풍속에는 6월 15일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씻는다
3. 풍습
신증동국여지승람 및 대동운부군옥에서는 고려 명종 때의 학자 김극기의 문집을 인용해 “경주 풍속에, 6월 보름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불길한 것을 씻어 버린다. 그리고 계음(禊飮)을 유두연(流頭宴)이라 한다.”라 하여 신라 시대의 풍속으로 설명하였다.
1년 열두 달의 풍속을 노래한 고려가요 동동에서도 "六月ㅅ 보로매 아으 별해 바룐 빗 다호라/것거 바리신 後에 디니실 한 부니 업스샷다"(6월 보름에 벼랑에 버린 빗 같아라/꺾어 버려진 뒤로는 다시 주워 가질 사람이 없네)라는 구절이 있어, 고려 시대에는 이미 수릿날과 함께 보편적인 명절로 자리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사에는 유두음(流頭飮)에 대해 “명종 15년 6월 계축일(14일)에 왕이 봉은사에 행차하였다. 병인일(15일)에 시어사(侍御史) 두 사람이 환관 최동수(崔東秀)와 함께 광진사에 모여서 유두음을 하였다. 당시 우리 나라 풍속에는 6월 15일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씻는다"라고 기록되어있다.
4. 절식
- 유두면
- 상화병
- 수단
4. 1. 유두면
유두면은 유두에 먹는 절식이다. 유두에는 상화병, 수단 등과 같은 여러 음식을 먹는다.4. 2. 수단
유두날에는 멥쌀가루를 반죽하여 끓는 물에 삶아 건진 수단을 먹는다.4. 3. 상화병
유두에는 유두면 외에도 상화병이나 수단 등을 먹는다.5. 현대의 유두
6. 기타
6. 1. 한국의 명절
6. 2. 민간 풍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