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바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바 1세는 기원전 1세기에 누미디아 왕국의 왕으로, 로마 공화정 말기에 활동했다. 그는 아버지 히엠프살 2세와 함께 폼페이우스를 지지하며 카이사르와 대립했고, 로마 내전에서 폼페이우스파를 지원했다. 바그라다스 강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타프수스 전투에서 패배한 후 마르쿠스 페트레이우스와 함께 자결했다. 그의 사후 누미디아 왕국은 멸망하고 로마의 속주가 되었으며, 아들 유바 2세는 로마에서 성장하여 마우레타니아의 왕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누미디아 국왕 - 마시니사
마시니사는 기원전 3세기 누미디아의 왕으로,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 편에 서서 카르타고를 물리치는 데 기여하고 로마의 지원을 받아 누미디아를 통일했으며, 90세 넘게 통치하며 델로스에 동상이 세워질 정도로 업적을 남겼다. - 누미디아 국왕 - 유구르타
유구르타는 로마 공화정과 대립한 누미디아 왕족 출신으로, 왕위 쟁탈전과 유구르타 전쟁을 통해 로마에 저항하다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기원전 46년 사망 - 베르킨게토릭스
베르킨게토릭스는 기원전 1세기 갈리아의 아르베르니족 출신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 당시 갈리아 부족들을 규합하여 로마에 저항한 영웅이지만 알레시아 공방전에서 패배하여 로마에 항복 후 처형되었고 프랑스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기려진다. - 기원전 46년 사망 - 소 카토
소 카토는 기원전 95년에 태어나 기원전 46년에 자결한 고대 로마의 정치가로, 금욕적인 삶과 공화주의적 가치를 옹호하며 카이사르의 독재를 막으려 노력했다. - 기원전 1세기 아프리카의 통치자 - 프톨레마이오스 13세 테오스 필로파테르
프톨레마이오스 13세 테오스 필로파테르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이집트 파라오로서 클레오파트라 7세와 공동 통치했으나 권력 다툼과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개입으로 내전 끝에 사망했으며, 그의 생애는 여러 예술 작품에서 묘사되었다. - 기원전 1세기 아프리카의 통치자 - 클레오파트라 5세 트뤼파이나
클레오파트라 5세 트뤼파이나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인물로 프톨레마이오스 12세와 결혼했으나, 자료 부족으로 생애가 명확하지 않고 사망 시기, 클레오파트라 6세와의 관계, 클레오파트라 7세의 어머니 여부 등 역사적 논쟁의 중심에 있다.
유바 1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유바 1세 |
라틴어 이름 | Ivba I |
리비아어 이름 | Ywbʿy |
신분 | |
직함 | 누미디아 왕 |
재위 기간 | 기원전 85년 - 기원전 46년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히엠프살 2세 |
자녀 | 유바 2세 |
생애 | |
출생 | 기원전 85년경 |
사망 | 기원전 46년 4월 |
사망 장소 | 자마 |
2. 약력
기원전 81년, 히엠프살 2세가 왕위에서 쫓겨난 후, 술라는 폼페이우스를 누미디아로 보내 그를 왕으로 복위시켰다. 이로 인해 히엠프살 2세와 유바 1세는 폼페이우스의 동맹이 되었다. 유바 1세가 로마를 방문했을 때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재판에서 유바의 아버지에 대항하여 자신의 의뢰인을 변호하면서 유바의 수염을 잡아당기는 모욕을 가했고, 기원전 50년에는 호민관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가 누미디아를 사적으로 매각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제안하면서 이 동맹은 더욱 강화되었다.[1]
기원전 49년 8월, 카이사르는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를 보내 아프리카를 공화파로부터 탈환하도록 했다. 쿠리오는 지나치게 자신만만했고, 아프리카 총독인 푸블리우스 아티우스 바루스를 낮게 평가했다. 쿠리오는 그에게 주어진 것보다 적은 군단을 이끌었다. 같은 해 바그라다스 전투에서 쿠리오는 대담하게 언덕을 올라 공격하여 바루스의 군대를 신속하게 격파하고 바루스를 부상시켰다. 이 성공에 고무된 쿠리오는 잘못된 정보에 따라 행동하여 유바 군대의 분견대라고 믿었던 곳을 공격했으나, 실제로는 왕의 군대 주력이 그곳에 있었다. 초기 성공 이후 쿠리오의 군대는 사부라(유바의 군사령관)에게 매복되어 사실상 전멸했다. 쿠리오는 언덕 꼭대기에서 그의 군대 잔여 병력과 함께 포위되었고 전투에서 사망했다. 단지 소수만이 그들의 배로 탈출했고, 유바 왕은 몇몇 원로원 의원들을 포로로 잡아 누미디아로 데려가 전시하고 처형했다.[1]
카이사르가 아프리카에 도착하자, 유바는 퀸투스 카에킬리우스 메텔루스 피우스 스키피오 나시카에 합류할 계획이었지만, 그의 왕국은 카이사르의 동맹인 보쿠스 2세와 푸블리우스 시티우스에 의해 서쪽에서 침략당했다. 그래서 그는 30마리의 코끼리만 남겨두고 자신의 나라를 구하기 위해 집으로 진군했다.[1]
스키피오는 더 많은 병력이 없이는 싸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유바에게 절박한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유바는 즉시 사부라에게 왕국의 방어를 맡기고 스키피오에게 세 개의 군단, 약 15,000명의 경보병, 1,000명의 기병, 그리고 탑수스 전투를 위한 30마리의 코끼리와 함께 합류했으나, 스키피오의 주력 부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야영했다. 스키피오 군대의 확실한 패배를 보고 유바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3만 명의 병력과 함께 도망쳤다. 마르쿠스 페트레이우스와 함께 도망쳐 후퇴로가 끊기자, 그들은 자살 협정을 맺고 일대일 전투를 벌였다. 명예로운 죽음을 맞이하기 위함이었는데, 페트레이우스가 유바를 죽이고 노예의 도움을 받아 자살했을 가능성이 높다.[1]
2. 1. 로마와의 관계
기원전 81년, 히엠프살 2세가 왕위에서 쫓겨난 후, 술라는 폼페이우스를 아프리카로 보내 그를 누미디아 왕으로 복위시켰다. 이로 인해 히엠프살 2세와 유바 1세는 폼페이우스의 동맹이 되었다. 유바 1세가 로마를 방문했을 때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재판에서 유바 1세의 아버지에 대항하여 자신의 의뢰인을 변호하면서 유바의 수염을 잡아당기는 모욕을 가했고, 기원전 50년에는 호민관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가 누미디아를 사적으로 매각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제안하면서 동맹은 더욱 강화되었다.[1]기원전 49년 8월, 카이사르는 쿠리오를 보내 아프리카를 공화파로부터 탈환하도록 했다. 쿠리오는 지나치게 자신만만했고, 아프리카 총독인 푸블리우스 아티우스 바루스를 낮게 평가했다. 쿠리오는 그에게 주어진 것보다 적은 군단을 이끌었다. 같은 해 바그라다스 전투에서 쿠리오는 대담하게 언덕을 올라 공격하여 바루스의 군대를 신속하게 격파하고 바루스를 부상시켰다. 이 성공에 고무된 쿠리오는 잘못된 정보에 따라 행동하여 유바 군대의 분견대라고 믿었던 곳을 공격했다. 사실, 왕의 군대 주력이 그곳에 있었고, 초기 성공 이후 쿠리오의 군대는 사부라(유바의 군사령관)에게 매복되어 사실상 전멸했다. 쿠리오는 언덕 꼭대기에서 그의 군대 잔여 병력과 함께 포위되었고 전투에서 사망했다. 단지 소수만이 그들의 배로 탈출했고, 유바 왕은 몇몇 원로원 의원들을 포로로 잡아 누미디아로 데려가 전시하고 처형했다.[1]
카이사르가 아프리카에 도착하자, 유바는 원래 퀸투스 카에킬리우스 메텔루스 피우스 스키피오 나시카에 합류할 계획이었지만, 그의 왕국은 카이사르의 동맹인 보쿠스 2세와 이탈리아 모험가 푸블리우스 시티우스에 의해 서쪽에서 침략당했다. 그래서 그는 30마리의 코끼리만 남겨두고 자신의 나라를 구하기 위해 집으로 진군했다.[1]
스키피오는 더 많은 병력이 없이는 싸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유바에게 절박한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유바는 즉시 사부라에게 왕국의 방어를 맡기고 스키피오에게 세 개의 군단, 약 15,000명의 경보병, 1,000명의 기병, 그리고 탑수스 전투를 위한 30마리의 코끼리와 함께 합류했다. 그러나 그는 스키피오의 주력 부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야영했다. 스키피오 군대의 확실한 패배를 보고 유바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3만 명의 병력과 함께 도망쳤다. 로마 장군 마르쿠스 페트레이우스와 함께 도망쳐 후퇴로가 끊기자, 그들은 자살 협정을 맺고 일대일 전투를 벌였다. 그 생각은 한 명이 명예로운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었다. 결과에 대해 자료는 다르지만, 페트레이우스가 유바를 죽이고 노예의 도움을 받아 자살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1]
2. 2. 로마 내전 참전
기원전 81년, 히엠프살 2세가 왕위에서 쫓겨난 후, 술라는 폼페이우스를 누미디아로 파견하여 히엠프살 2세를 복위시켰다. 이로 인해 히엠프살 2세와 유바 1세는 폼페이우스의 동맹이 되었다. 유바 1세가 로마를 방문했을 때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재판에서 유바의 아버지에 대항하여 자신의 의뢰인을 변호하면서 유바의 수염을 잡아당기는 모욕을 가했고, 기원전 50년에는 호민관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가 누미디아를 사적으로 매각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제안하면서 이 동맹은 더욱 강화되었다.[1]폼페이우스와 율리우스 카이사르 간의 내전에서 유바 1세는 폼페이우스파(원로원파)를 지지했다. 기원전 49년 8월, 카이사르파의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가 이끄는 군대를 폼페이우스파와 협력하여 바그라다스 강 전투에서 격파하고 쿠리오를 죽였다.[1] 유바 1세는 원로원파로부터 "로마 국민의 동맹자·친구"로 불렸지만, 카이사르파로부터는 "로마의 적"으로 선언되었다.[1]
기원전 48년 8월 9일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원로원파가 패배하고 폼페이우스가 이집트에서 암살된 후에도 유바 1세는 원로원파와 협력하여, 북아프리카·우티카로 침공한 카이사르 군에 대항했다. 그러나 본국 누미디아에 카이사르와 손을 잡은 마우레타니아 왕 복쿠스 2세와 이탈리아인 푸블리우스 시티우스 등에 의한 영토 침범이 잇따르자, 총 군의 절반을 누미디아로 보내고 나머지 절반의 군대로 원로원파를 지원했지만, 타프수스 전투에서 패배했다.[1]
유바 1세는 재기를 도모하고자 도망쳤지만 카이사르 군의 소탕 작전은 엄격했고, 자마 근교에서 마르쿠스 페트레이우스와 함께 자결했다. 이로 인해, 마시니사 이래의 전통을 가진 누미디아 왕국은 단절되었고, 누미디아는 로마의 속주가 되었다.[1]
2. 3. 최후
기원전 49년 8월,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를 아프리카로 보내 공화정으로부터 아프리카를 빼앗게 했다. 쿠리오는 지나치게 자신만만했고, 아프리카 총독인 푸블리우스 아티우스 바루스를 과소평가했다. 쿠리오는 그에게 주어진 것보다 적은 군단을 이끌었다. 같은 해 바그라다스 전투에서 쿠리오는 대담하게 언덕을 올라 공격하여 바루스의 군대를 신속하게 격파하고 바루스를 부상시켰다. 이 성공에 고무된 쿠리오는 잘못된 정보에 따라 행동하여 유바 군대의 분견대라고 믿었던 곳을 공격했다. 사실, 왕의 군대 주력이 그곳에 있었고, 초기 성공 이후 쿠리오의 군대는 사부라(유바의 군사령관)에게 매복되어 사실상 전멸했다. 쿠리오는 언덕 꼭대기에서 그의 군대 잔여 병력과 함께 포위되었고 전투에서 사망했다. 단지 소수만이 그들의 배로 탈출했고, 유바 왕은 몇몇 원로원 의원들을 포로로 잡아 누미디아로 데려가 전시하고 처형했다.카이사르가 아프리카에 도착하자, 유바는 원래 퀸투스 카에킬리우스 메텔루스 피우스 스키피오 나시카에 합류할 계획이었지만, 그의 왕국은 카이사르의 동맹인 보쿠스 2세와 이탈리아 모험가 푸블리우스 시티우스에 의해 서쪽에서 침략당했다. 그래서 그는 30마리의 코끼리만 남겨두고 자신의 나라를 구하기 위해 집으로 진군했다.
스키피오는 더 많은 병력이 없이는 싸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유바에게 절박한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유바는 즉시 사부라에게 왕국의 방어를 맡기고 스키피오에게 세 개의 군단, 약 15,000명의 경보병, 1,000명의 기병, 그리고 탑수스 전투를 위한 30마리의 코끼리와 함께 합류했다. 그러나 그는 스키피오의 주력 부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야영했다. 스키피오 군대의 확실한 패배를 보고 유바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3만 명의 병력과 함께 도망쳤다. 로마 장군 마르쿠스 페트레이우스와 함께 도망쳐 후퇴로가 끊기자, 그들은 자살 협정을 맺고 일대일 전투를 벌였다. 그 생각은 한 명이 명예로운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었다. 결과에 대해 자료는 다르지만, 페트레이우스가 유바를 죽이고 노예의 도움을 받아 자살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3. 누미디아 왕국의 멸망과 유산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의 도움으로 아버지 히엠프살 2세가 누미디아 왕이 되었기 때문에, 히엠프살 2세와 유바 1세는 폼페이우스의 동맹자였다. 폼페이우스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간의 내전에서 유바 1세는 폼페이우스파(원로원파)를 지지하였다. 기원전 49년 8월에는 카이사르파의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가 이끄는 군대를 폼페이우스파와 협력하여 바그라다스 강 전투에서 격파하고 쿠리오를 죽였다.[1] 원로원파로부터는 "로마 국민의 동맹자・친구"로 불렸지만, 카이사르파로부터는 "로마의 적"으로 선언되었다.
기원전 48년 8월 9일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원로원파가 패배하고 폼페이우스가 이집트에서 암살된 후에도 유바 1세는 원로원파와 협력하여, 북아프리카・우티카로 침공한 카이사르 군에 대항했다. 그러나, 본국 누미디아에 카이사르와 손을 잡은 마우레타니아 왕 복쿠스 2세(en)와 이탈리아인 푸블리우스 시티우스(fr) 등에 의한 영토 침범이 잇따르자, 총 군의 절반을 누미디아로 보내고 나머지 절반의 군대로 원로원파를 지원했지만, 타프수스 전투에서 패배했다. 재기를 도모하고자 도망쳤지만 카이사르 군의 소탕 작전은 엄격했고, 자마 근교에서 마르쿠스 페트레이우스와 함께 자결했다. 이로 인해, 마시니사 이래의 전통을 가진 누미디아 왕국은 단절되었고, 누미디아는 로마의 속주가 되었다.
유바 1세 사후, 아들 유바 2세는 로마의 포로가 되었지만, 로마에서 양육되었고, 이후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마우레타니아 왕의 지위를 얻었다. 유바 2세는 클레오파트라 셀레네, 카파도키아의 글라피라와 결혼하여 클레오파트라 셀레네와의 사이에서 클레오파트라, 프톨레마이오스, 드루실라 3명을 낳았다. 유바 2세는 학식이 높았던 것으로 유명했지만, 저작은 모두 흩어졌다.
4. 가계
Ιóβας|이오바스grc 1세는 누미디아와 이후 모리타니의 왕인 유바 2세(기원전 50/52년 ~ 서기 23년)의 아버지였다. 유바 2세의 아내인 그리스 프톨레마이오스 공주 클레오파트라 셀레네 2세(기원전 40년 ~ 기원전 6년)와 카파도키아 공주 글라피라의 장인이자, 모리타니의 프톨레마이오스 왕의 할아버지이기도 하다.
참조
[1]
서적
Epigrafía bilingüe del Occidente romano: El latín y las lenguas locales en las inscripciones bilingües y mixtas
https://books.google[...]
Prensas de la Universidad de Zaragoza
2016-11-22
[2]
서적
Caesar: Life of a Colossus
Yale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