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보호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보호군은 1992년 발칸 반도 분쟁 중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평화 유지를 위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에 따라 창설된 다국적 평화 유지군이다. 크로아티아에서는 유엔 보호구역의 치안 유지, 핑크 지역 감시, 프레블라카반도 비무장화를 임무로 수행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사라예보 공항 보호, 인도적 지원 호위, 유엔 안전 구역 보호, 무슬림-크로아트인 연방 감시 등의 임무를 단계적으로 수행했다. 2만 5천 명 규모로 아르헨티나, 프랑스 등 37개국 군대가 참여했으며, 다양한 작전과 사건을 겪으며 평가와 비판을 받았다. 데이턴 협정 이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 주도의 평화유지군에 임무를 넘겨주고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유엔 관계 - 유엔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움 과도행정기구
유엔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움 과도행정기구(UNTAES)는 크로아티아 동부 지역의 재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1996년에 설립되어 비무장화 감시, 난민 귀환 지원, 치안 유지 등의 임무를 수행하다가 1998년에 임무를 종료했다. - 인도가 참가한 군사 작전 - 코소보군
코소보군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코소보의 안전과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배치된 다국적 평화유지군으로, 초기에는 적대 행위 억제와 치안 유지를 목표로 현재는 평화로운 공존을 위한 안전한 환경 조성 및 민주주의 발전 촉진을 목표로 활동하며, 여러 NATO 회원국과 비NATO 국가에서 병력이 파견되어 지역 사령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 인도가 참가한 군사 작전 - 유엔 키프로스 평화유지군
유엔 키프로스 평화유지군(UNFICYP)은 키프로스 내 폭력 사태 종식 및 평화 회복을 위해 1964년 설립되어, 1974년 키프로스 분단 이후 완충지대 감시 및 군사적 현상 유지 임무를 수행하며 평화적 해결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나, 중립성 논란과 철수 요구 등 과제에 직면하고 있는 유엔 평화유지군이다.
유엔 보호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활동 기간 | 1992년~1995년 |
소속 | 국제 연합 |
역할 | 평화 유지 작전 |
규모 | 38,000명 |
색 | 파랑 |
위치 | 크로아티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
웹사이트 | UNPROFOR |
지휘부 | |
지휘 구조 | 국제 연합 |
주요 지휘관 | 베르나르 장비 |
전투 및 작전 | |
참전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1991년~1995년) 보스니아 전쟁(1992년~1995년) |
기타 정보 |
2. 역사적 배경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그리고 작성할 섹션 제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 드립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43호에 따라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인 1992년 2월 21일 유엔 보호군이 창설되었다.[37][38] 초기 임무는 평화 협상을 위한 안정적인 조건을 구축하고, 유엔 보호구역(UNPAs)으로 지정된 세 곳의 비무장 '안전지대'의 치안을 보장하는 것이었다.[39]
3. 임무
1992년 유엔 보호군의 임무는 '핑크 지역'으로 확대되었으며(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62호)[40], 이후 핑크 지역의 민간인 접근에 대한 일부 국경 통제 및 감시(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69호)[41]와 두브로브니크 인근 프레블라카반도에 대한 비무장화(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79호)[42]도 포함되었다.
크로아티아와 달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유엔 보호군의 임무는 기존의 휴전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아니었다. 임무는 기본적으로 다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995년 3월 31일, 유엔 보호군은 세 개의 조정된 평화 유지 작전으로 재편되었다.[5] 같은 해 12월 20일, 유엔 보호군은 나토 주도의 집행군(IFOR)으로 재편성되었으며, 그 임무는 데이턴 협정으로 알려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평화를 위한 일반적 기본 협정을 이행하는 것이었다.
3. 1. 크로아티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43호에 따라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인 1992년 2월 21일 유엔 보호군이 창설되었다.[37][38] 유엔 보호군의 초기 임무는 평화 협상을 위한 안정적인 조건을 구축하고, 유엔 보호구역(UNPAs)으로 지정된 세 곳의 비무장 '안전지대'의 치안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이 지역은 크로아티아가 유엔 정회원국 지위를 차지하기 전에 독립한 자칭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이 영내 여기저기 구축한 영토이다.[39]
세드릭 손베리는 1992년 2월 유엔 보호군 임무 시작 당시 민정국장이었다. 1993년 3월 첫 임무가 끝날 무렵, 유엔 보호군은 크로아티아에서 평화 회복에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는데, 특히 1992년 5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철수를 이끌어냈다. 그러나 테러, 차별, "민족 정화"가 여전히 존재할 정도로 내전이 계속되었다. 1991년에 시작된 유엔 보호 지역(UNPA)에 대한 세르비아 지역군의 민족 정화 작업이 완료되어, 전쟁 전 10만 2천 명이었던 크로아티아인 인구는 279명으로 줄어들었다.[13]
3. 1. 1. '핑크 지역' 감시
1992년 유엔 보호군의 임무는 소위 '핑크 지역'으로 확대되었으며(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62호)[40], 이후 핑크 지역의 민간인 접근에 대한 일부 국경 통제 및 감시(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69호)[41]와 두브로브니크 인근 프레블라카반도에 대한 비무장화(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79호)[42]도 포함되었다.
상황은 대부분 세르비아 지역 당국의 비협조와 이후 크로아티아군의 대규모 공세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 게다가 유엔 보호군이 설계되고 예상했던 상황이 크게 바뀌었다. 크로아티아 측은 이제 유엔 보호 지역(UNPAs)과 핑크 존에 대한 자주권 협상을 거부했고, 세르비아 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의 수립은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1993년 7월 6일, 크로아티아 정부가 7월 18일 전략적으로 중요한 마슬레니차 다리를 재개통하기로 결정하면서 새로운 긴장이 고조되었다. 다리가 세르비아군 수중에 있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는 절단된 상태였다. 해당 지역에서 크로아티아군 철수를 감시하라는 임무를 받았던 유엔 보호군(UNPROFOR)은 크로아티아 당국의 접근 거부로 인해 배치될 수 없었다. 세르비아군은 다리에 포격을 가해 8월 2일 부분적으로 파괴했다. 8월 12일 제네바에서 휴전 협상이 시작되었지만 결렬되었다. 결국 크로아티아군은 침입 이전에 점령했던 자신의 위치로 후퇴했다.
3. 1. 2. 프레블라카반도 비무장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79호에 따라 프레블라카반도의 비무장화 감시 임무도 유엔 보호군에 주어졌다.[42]
3. 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와 달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유엔 보호군의 임무는 기존의 휴전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아니었다. 임무는 기본적으로 다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995년 3월 31일, 유엔 보호군은 세 개의 조정된 평화 유지 작전으로 재편되었다.[5] 같은 해 12월 20일, 유엔 보호군은 나토 주도의 집행군(IFOR)으로 재편성되었으며, 그 임무는 데이턴 협정으로 알려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평화를 위한 일반적 기본 협정을 이행하는 것이었다.
3월 중순, 스레브레니차 인근 마을에 미확인 항공기가 폭격을 가하며 최초로 비행금지구역을 위반했다.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이 폭격을 가했다는 비난을 받았지만 책임을 부인했다. 3월 31일, 유엔 보호군(UNPROFOR)에 참여하는 국가들이 비행금지구역에서 교전 당사자들의 군용 비행을 막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데나이 플라이트 작전 결의안이 채택되었다. 프랑스, 네덜란드, 미국의 항공기가 결의안을 집행하기 위해 배치되었다. 1994년 12월 1일까지 총 3,317건의 위반이 관측되었다. 1994년 2월 28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상공에서 네 대의 군용기가 나토 전투기에 의해 격추되었다.
3. 2. 1. 1단계: 사라예보 지원
1992년 6월 5일부터 유엔 보호군은 인도주의적 목적을 위해 결의 제758호에 따라 사라예보 공항 보호를 담당했다. 유엔 보호군은 공항과 도시 사이의 인도적 지원 수송대에 대한 안전 통로를 운영했다.[43]
3. 2. 2. 2단계: 인도적 지원 호위
1992년 9월 14일, 유엔 보호군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로부터 결의 제776호에 따라 국제적십자위원회와 같은 인도주의 단체를 보호하고, 유엔난민고등판무관의 요청에 따라 호송 일정을 잡고 안전한 물자 통과를 협상하는 등 기타 여러 활동을 수행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44] 또한 무장 세력이 호송 임무를 방해할 경우 자위권을 사용할 수 있었다.[44]
3. 2. 3. 3단계: [[유엔 안전구역]] 보호
1993년 4월 16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19호에 따라 스레브레니차 마을을 "무장 공격이나 기타 적대 행위로부터 자유로운 안전 구역"으로 선포했다.[45] 1993년 5월에는 비하치, 사라예보, 고라주데, 제파, 투즐라로 안전 구역이 확대되었다.[45]
3. 2. 4. 4단계: 무슬림-크로아트인 연방과 비무장 구역 감시
1994년 2월, 미국이 중재한 보스니아 휴전으로 무슬림-크로아트인 연방이 수립되면서 유엔 보호군은 이 분리구역과 무기 통제 구역을 감시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46]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비무장 구역 감시를 위해 유엔 보호군의 권한을 강화했으나, 실제 임무 내용은 바뀌지 않았다.
1994년 2월 23일, 크로아티아군과 보스니아군 사이에 워싱턴 협정이 체결되어 1년간의 전쟁이 종식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이 수립되었다. 유엔 보호군의 역할은 휴전 감시, 지역 기반 시설 재건 지원, 연방 지역 내 검문소 운영이었다.[11]
4. 작전 경과
크로아티아군과 세르비아군 간 휴전 직후,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은 안전지대 고라즈데를 공격하여 마을과 주변 지역을 집중 포격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항의와 촉구에도 불구하고, 1994년 4월 10일과 11일에 NATO는 보스니아 세르비아군 진지에 공습을 가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은 다수의 유엔 인원을 사로잡아 폭격 예상 지역에 인간 방패로 사용했다. 걸프 전쟁 이후 대중의 공습 인식이 변화했기 때문에, 이 폭격은 걸프 전쟁 때보다 효과가 훨씬 떨어졌다. NATO의 공군력 시위와 세르비아 측의 성의 표명에도 불구하고 포격은 계속되었다. 사라예보에서와 유사하게 최후통첩이 발표되었고, 4월 24일까지 대부분의 세르비아군이 이에 응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안전지대의 지위에 대한 추가 논의를 촉발했다.[17]
4. 1. 1992년 2월 - 1993년 3월
크로아티아군과 세르비아군 간의 휴전 직후,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은 안전지대 고라즈데를 공격하여 마을과 주변 마을을 집중적으로 포격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항의와 촉구는 효과가 없었고, 1994년 4월 10일과 11일에 NATO는 보스니아 세르비아군 진지에 대한 공습을 개시했다. 보복으로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은 많은 유엔 인원을 사로잡아 폭격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서 인간 방패로 사용했다. 이 폭격은 최근 걸프 전쟁 때와는 달리 효과가 훨씬 떨어졌는데, 걸프 전쟁으로 대중의 공습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NATO의 공군력 시위와 세르비아 측의 성의 표명에도 불구하고 포격은 계속되었다. 사라예보에서 발생했던 상황과 유사하게 최후통첩이 발표되었고, 4월 24일까지 대부분의 세르비아군이 이에 응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안전지대의 지위에 대한 또 다른 논의를 불러일으켰다.4. 2. 1993년 3월 - 1994년 2월
크로아티아군과 세르비아군 간의 휴전 직후,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은 안전지대 고라즈데를 공격하여 마을과 주변 마을을 집중적으로 포격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항의와 촉구는 효과가 없었고, 1994년 4월 10일과 11일에 NATO는 보스니아 세르비아군 진지에 대한 공습을 개시했다. 보복으로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은 많은 유엔 인원을 사로잡아 폭격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서 인간 방패로 사용했다. 이 폭격은 걸프 전쟁 때와는 달리 효과가 훨씬 떨어졌는데, 걸프 전쟁으로 대중의 공습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기 때문이었다. NATO의 공군력 시위와 세르비아 측의 성의 표명에도 불구하고 포격은 계속되었다. 사라예보에서 발생했던 상황과 유사하게 최후통첩이 발표되었고, 4월 24일까지 대부분의 세르비아군이 이에 응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안전지대의 지위에 대한 또 다른 논의를 불러일으켰다.[17]1994년 9월 23일, 보스니아 세르비아 측의 평화 계획 방해에 대한 보복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결의 제942호를 채택하여 보스니아 세르비아 지역과의 모든 상업 및 금융 연락을 단절했다. 특히 이는 보스니아 세르비아 측의 핵심 전략 군사 자산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힌 연료 공급 차단을 의미했다.[17]
보스니아 세르비아 정부의 극단적인 입장 때문에 유고슬라비아 연방(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조차 보스니아 세르비아 지역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해야 했다. 이로 인해 보스니아 세르비아 지역은 사실상 완전한 외교적 고립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17]
4. 3. 1994년 3월 - 1995년 11월
1994년 3월 24일, 유엔 보호군(UNPROFOR)은 인도적 목적에 한해 투즐라(Tuzla) 공항을 재개방하는 계획을 발표했다.1994년 3월 29일, 자그레브에서 크로아티아 정부 대표와 유엔보호지역(UNPAs) 내 세르비아 지역 당국 대표는 지속적인 적대 행위 중단을 목표로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
동시에 유엔보호군(UNPROFOR)의 임무는 6개월 연장되었고, 1만 명의 군인, 수백 명의 경찰, 그리고 관측원 등으로 구성된 증원군이 파병되었다.
1994년 동안 보스니아에 주둔한 유엔보호군(UNPROFOR)은 군사 공격을 더욱 심하게 받았고, 보스니아 세르비아군과 여러 차례 충돌을 빚었다(뵈레뱅크 작전(Operation Bøllebank), 아만다 작전(Operation Amanda)). 크로아티아군과 세르비아군 간의 휴전 직후,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은 안전지대 고라즈데를 공격하여 마을과 주변 마을을 집중적으로 포격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항의와 촉구는 효과가 없었고, 1994년 4월 10일과 11일에 NATO는 보스니아 세르비아군 진지에 대한 공습을 개시했다. 보복으로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은 많은 유엔 인원을 사로잡아 폭격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서 인간 방패로 사용했다. 이 폭격은 걸프 전쟁 때와는 달리 효과가 훨씬 떨어졌는데, 걸프 전쟁으로 대중의 공습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NATO의 공군력 시위와 세르비아 측의 성의 표명에도 불구하고 포격은 계속되었다. 사라예보에서 발생했던 상황과 유사하게 최후통첩이 발표되었고, 4월 24일까지 대부분의 세르비아군이 이에 응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안전지대의 지위에 대한 또 다른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1994년 8월, 저격수 활동으로 인해 상황이 다시 악화되었다. 저격 방지 합의에도 불구하고 사라예보의 "저격수 골목"은 악명 높았다.[19] 유엔보호군(UNPROFOR) 인원이나 항공기에 대한 고의적인 공격이 빈번해졌다.
10월, 비하치 포켓에 고립된 보스니아계 무슬림군은 도시 포위를 종식시키려는 시도로 보스니아계 세르비아군을 공격했다. 이 공격과 그에 따른 보스니아계 세르비아군의 반격으로 인해 지역 주민들이 공포에 떨었고, 대규모 난민 탈출이 또다시 발생했다. 보스니아계 세르비아군 비행기는 비하치 지역을 집속탄과 네이팜탄으로 공격하여 비하치의 "안전 지역" 지위와 "비행 금지 구역"을 고의적으로 위반했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여 11월 21일, 나토 전투기는 크로아티아 유엔평화유지군(UNPA) 남부 지역에 위치한 우드비나 활주로를 파괴했다. 그 후 며칠 동안 나토 전투기는 이전에 영국 제트기에 사격을 가했던 보스니아계 세르비아군의 대공 미사일 기지를 공격했다. 나토는 또한 비하치를 포격한 포병 기지에 대한 공습을 실시했다. 보스니아계 세르비아군은 저자세를 유지하기는커녕 유엔 인원을 인질로 잡고 인도적 지원 수송을 제한함으로써 보복했다.
외교 무대에서는 보스니아계 세르비아군의 방해로 인해 모든 휴전 협상 및 이행 노력이 실패했다. 라도반 카라지치(Radovan Karadžić) 박사는 유엔 사무총장의 초청을 거부했다.
4. 4. [[브르반야 다리 전투]] (1995년 5월)
1995년 5월 27일, 라트코 믈라디치 장군과 누히치 장군은 브르반야 다리의 유엔 관측소를 공격했다. 새벽 5시, 그 지휘소를 지휘하던 프랑스 대위는 12명의 부하들과 연락이 두절되어 조사를 나갔다. 푸른 베레모, 프랑스 방탄복과 군복을 입은 세르비아인이 그를 인질로 잡으려 했으나, 유엔 호위대에 저지당했고, 그 장교는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그 후 몇 시간 동안, ERC 90 사가이 장갑차의 집중 포격 이후, 프랑스군은 그 초소를 급습하여 세르비아군 4명을 사살하고 4명을 사로잡았다. 프랑스군 병사 2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을 입었다.[27]12시, 보스니아 세르비아군 라디오는 믈라디치 장군이 유엔 보호군과 세르비아 인민의 적대 행위를 한 다른 외국 시민들을 지휘소, 창고 및 기타 중요 시설에 배치하라고 명령했다고 방송했다. 또한, NATO가 공습을 계속하면 지상에 있는 유엔군을 죽여야 할 것이라고 위협하며, NATO가 공격하기로 결정할 수 있는 잠재적 목표물 주변에 유엔군과 관측병들을 배치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세르비아인들은 전 세계에 확실한 메시지를 전달하기로 결심했다고 덧붙였다.[28]
5월 30일, 라트코 믈라디치는 루퍼트 스미스에게 전화를 걸어 푸른 베레모 인질들을 쇠사슬에 묶어두지 않고 단지 전략적 장소로 "데려가겠다"고 합의했다. 그는 또한 브르반야 다리에서 프랑스군에 의해 사망한 세르비아군 4명에 대해 사과할 것을 요구하며, 고라즈데의 유엔군 안전을 "보장할 수 없을 것"이라고 위협했다.[28]
4. 5. [[스레브레니차 학살]] (1995년 7월)
1995년 7월 12일, 유엔 보스니아군(UNPROFOR)은 현장에 배치된 네덜란드 대대를 충분히 증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스레브레니차에 대한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의 공격을 저지하지 못했고, 그 결과 도시는 함락되었다. 이중키(dual key) 방식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심각한 공중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자, 네덜란드군은 여성과 어린이들을 대피시키기 시작했다. 세르비아군은 무슬림 남성들을 가두어 수천 명을 학살했다.[29] 제파의 안전지역 또한 7월 25일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에 함락되었다. 스레브레니차 사건은 평화유지 최선 사례 부서(PBPU) 보고서로 이어졌다.[30]나토 폭격에 대한 보복으로 세르비아군은 유엔이 통제하는 집결지에서 압수한 중화기를 무력으로 회수했다. 수적으로 압도적으로 열세였던 평화유지군은 짧고 상징적인 교전 후 항복할 수밖에 없었다. 여러 경우에 있어서, 파란 베레모(Blue Helmets)는 수적으로 우세한 세르비아군에 의해 무기 보관 지역에서 포위되었다. 사라예보 유엔군 사령관인 에르베 고비야르(Hervé Gobillard) 장군은 평화유지군이 "이동에 제한을 받았지만 여러 날 동안 무기, 탄약, 식량을 가지고 있었고, 자신의 위치를 방어하라는 엄격한 명령을 받았다"고 말했지만, 인질극을 고려하여 우려가 제기되었고 유엔 주도의 폭격은 중단되었다. 또한 폭격으로 인한 세르비아군의 민간인에 대한 보복으로 투즐라(Tuzla)에서 70명이 사망하고 150명이 부상했으며, 고라즈데(Goražde)에서는 5명이 사망했다.
어느 겨울날, 권총을 휴대하고 있던 영국 유엔군은 사라예보의 전 올림픽 스키 리조트 슬로프를 스키를 타고 내려오는 라트코 믈라디치 장군과 마주쳤지만 무기를 꺼내지 않았다. 믈라디치는 네 명의 경호원을 동행했다. 헤이그에서 발부된 그의 체포 영장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스키를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나토는 나중에 용의자 전범을 체포하기 위해 특수부대를 파견했지만, 믈라디치는 지하로 숨었다. 나토의 어떠한 조치나 유엔의 요구, 심지어 워싱턴이 발표한 500만달러의 현상금조차도 그의 체포로 이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2011년 5월, 믈라디치는 마침내 체포되어 유엔 국제형사재판소(ICTY)로 보내졌다.[31]
4. 6. [[고의적 공격 작전]] (1995년 8월)
1995년 8월 크로아티아군이 크라지나 지역에서 수행한 고의적 공격 작전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치 지형을 바꾸었다.[11] 이 사건들은 데이턴 협정으로 이어졌고, 1995년 12월 20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주도의 평화유지군(IFOR)이 배치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평화를 위한 일반적 기본 틀 협정의 군사 부속서 준수를 보장하게 되었다.[11] 일부 유엔 보호군(UNPROFOR) 부대는 새로운 IFOR 부대에 통합되었지만, UNPROFOR는 더 이상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작전을 수행하지 않았다.[11]4. 7. [[데이턴 협정]] (1995년 12월)
1995년 8월 크로아티아군이 크라지나 지역에서 수행한 군사 작전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치 지형을 바꾸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궁극적으로 데이턴 협정으로 이어졌고, 1995년 12월 20일 NATO 주도의 평화유지군(IFOR)이 배치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평화를 위한 일반적 기본 틀 협정의 군사 부속서 준수를 보장하였다.[11] UNPROFOR 부대 일부는 새로운 IFOR 부대에 통합되었지만, UNPROFOR은 더 이상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작전을 수행하지 않았다.5. 참여국 및 인원
유엔 보호군(UNPROFOR)은 약 2만 5천 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방글라데시, 벨기에, 브라질, 캐나다, 콜롬비아, 체코, 덴마크, 이집트,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가나, 인도,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이탈리아, 요르단, 케냐,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말레이시아, 네팔, 네덜란드, 뉴질랜드, 나이지리아, 노르웨이, 파키스탄, 폴란드, 포르투갈, 러시아(러시아 연방), 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공화국),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튀니지, 튀르키예, 우크라이나, 영국, 미국의 군대가 참여했다.[1][2]
유엔에 따르면, 유엔 보호군 임무 기간 동안 16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사망자 중 3명은 군사 관측원, 159명은 기타 군인, 1명은 민간 경찰, 2명은 국제 민간 직원, 2명은 현지 직원이었다.[1][2]
유엔 보호군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이름 | 국가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사티시 난비아르 중장 | 인도 | 1992년 3월 | 1993년 3월 |
라르스-에릭 발그렌 중장 | 스웨덴 | 1993년 3월 | 1993년 6월 |
장 코 장군 | 프랑스 | 1993년 6월 | 1994년 3월 |
베르트랑 드 소빌 드 라 프레슬 장군 | 프랑스 | 1994년 3월 | 1995년 3월 |
베르나르 자비에 장군 | 프랑스 | 1995년 3월 | 1996년 1월 |
주요 장교는 다음과 같다.
- 루이스 맥켄지 소장 (캐나다): 사라예보 지역, 1992년
- 필립 모릴롱 장군 (프랑스): 1992년 10월 ~ 1993년 7월
- 프랑수아 브리크몽 중장 (벨기에): 1993년 7월 12일 ~ 1994년 1월 24일
- 휴 마이클 로즈 중장 경 (영국): 1994년 1월 24일 ~ 1995년 2월 25일
- 루퍼트 스미스 중장 (영국): 1995년 2월 25일 ~
6. 평가 및 비판
유엔 보호군은 현장에 여러 교전 당사자와 준군사 조직이 존재하여 매우 복잡한 상황에 직면했다. 이들 준군사 조직은 정규 지휘 계통 밖에 있었고, 대부분의 잔혹 행위를 자행했다.[32] 교전 당사자들은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술을 사용했다.
-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은 "민족 정화"를 명분으로 마을을 포격했다.
- 믈라디치 장군은 프랑스군 앞에서 영웅처럼 보이기 위해 사라예보 공항 근처 포격을 명령했다.
- 보스니아 당사자들은 안전 지역을 이용하여 세르비아군을 공격했다.
- 교전 당사자들은 유엔군의 대응을 유도하기 위해 유엔군에게 사격을 가했다.
스레브레니차 학살은 유엔군이 세르비아군의 도시 점령을 막지 못한 이유에 대한 조사를 촉발시켰다. 특히 모릴롱 장군은 세르비아인들이 보스니아인들의 피해자 이미지를 악용한 선전 함정에 빠졌다고 비난했다. 모릴롱은 세르비아인들의 증오심이 과소평가되었고, 학살은 세르비아군 일부의 통제력 상실로 설명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전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의 대량 학살 유죄 판결로 모릴롱의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32] 1992년 보스니아 동부에서 전쟁이 시작될 때부터 세르비아군에 의한 보스니아 민간인에 대한 민족 정화가 시작되었다.[33]
이러한 상황은 참전국들 사이에 많은 분노와 좌절감을 야기했다.
- 영국 대대의 아흐미치 학살 개입은 BBC TV 시리즈 ''워리어스''에 영감을 주었다.
- 네덜란드 대대(DutchBat)의 스레브레니차 개입은 ''앙클레이브''에 영감을 주었다.
- 캐나다 대대(CanBat)의 크라이나 개입은 영화 ''피스키퍼스''에 영감을 주었다.
- 사라예보의 상황은 허먼 휘펜의 만화 ''사라예보 탱고''에 영감을 주었다.[34]
- 세르비아군이 프랑스 유엔군으로 위장하여 브르반야 다리에서 프랑스군을 공격했다.[35]
-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이 유엔 평화유지군을 인질로 잡았다.
- "사라예보의 로미오와 줄리엣"과 같은 사건은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36]
- 프랑스어에서 "저격수"라는 단어는 "저격수 골목"이라는 문구가 유명해진 후 일상적인 어휘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ormer Yugoslavia - UNPROFOR: Background
https://peacekeeping[...]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United Nations
2015-05-01
[2]
웹사이트
UNPROFOR: Profile
https://peacekeeping[...]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United Nations.
2024-06-28
[3]
서적
The 'Yugoslav' Crisis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Resolution
1992-02-21
[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Protection Force (UNPROFOR)
https://www.canada.c[...]
2018-11-12
[6]
Resolution
1992-06-30
[7]
Resolution
1992-08-07
[8]
Resolution
1992-10-06
[9]
서적
Faultlines: UN Operations in the Former Yugoslavia
St. Martin's Press
[10]
웹사이트
S/RES/776(1992) - e - S/RES/776(1992) -Desktop
https://undocs.org/S[...]
[11]
서적
Faultlines: UN Operations in the Former Yugoslavia
St. Martin's Press
[12]
서적
The War in Bosnia and Herzegovina
M.E. Sharpe
[13]
서적
Anatomy of Deceit
[14]
UN문서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19
1993-04-16
[15]
뉴스
Flashback: The Ahmici massacre
http://news.bbc.co.u[...]
2000-01-14
[16]
웹사이트
https://www.un.org/i[...]
2022-02-00 #Dead link
[17]
웹사이트
https://www.un.org/i[...]
2022-02-00 #Dead link
[18]
서적
With No Peace to Keep
Grainpress Ltd.
[19]
웹사이트
Ridding down Sniper's Alley
https://www.praguepo[...]
1999-11-10
[20]
웹사이트
NATO Handbook: Evolution of the Conflict
http://www.nato.int/[...]
2010-02-06
[21]
서적
The Yugoslav Crisis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07-28
[22]
서적
The Yugoslav Crisis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07-28
[23]
서적
Balkan Battlegrounds: A Military History of the Yugoslav Conflict, 1990-1995
https://books.googl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Office of Russian and European Analysis
2002-00-00
[24]
웹사이트
Одбрамбено-Отаџбински Рат 1991-1995: Операција ''Звијезда 94'' - Горажде 1994.
2024-05-02
[25]
서적
Balkan Battlegrounds: A Military History of the Yugoslav Conflict
https://books.googl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Office of Russian and European Analysis
2002-00-00
[26]
웹사이트
400 casques bleus cernés ou détenus - l'Humanite
http://www.humanite.[...]
2009-07-13
[27]
뉴스
French humiliation sparks battle of Vrbanja bridge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5-05-29
[28]
웹사이트
L'Humanité, 30 May 1995
https://www.humanite[...]
2023-03-17
[29]
서적
No Easy Fix: Global Responses to Internal War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30]
웹사이트
http://pbpu.unlb.org[...]
2016-07-00 #Dead link
[31]
뉴스
Lure of EU membership led to arrest of Mladic
http://www.irishtime[...]
2011-05-27
[32]
뉴스
Seven convicted over 1995 Srebrenica massacre
http://edition.cnn.c[...]
CNN
2010-06-10
[33]
문서
International Tribunal for the Prosecution of Persons Responsible for Serious Violation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Committed in the Territory of former Yugoslavia since 1991
https://www.icty.org[...]
United Nations
[34]
웹사이트
Sarajevo-Tango 1 Sarajevo-Tango - stripINFO.be
https://stripinfo.be[...]
2023-11-08
[35]
웹사이트
The day the Serbs went a bridge too far
https://www.independ[...]
1995-06-06
[36]
웹사이트
CNN - 'Only a bullet' could separate them - Apr. 10, 1996
http://edition.cnn.c[...]
[37]
서적
The 'Yugoslav' Crisis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Resolution
1992-02-21
[39]
웹인용
United Nations Protection Force (UNPROFOR)
https://www.canada.c[...]
2018-11-12
[40]
Resolution
1992-06-30
[41]
Resolution
1992-08-07
[42]
Resolution
1992-10-06
[43]
서적
Faultlines: UN Operations in the Former Yugoslavia
St. Martin's Press
[44]
웹인용
S/RES/776(1992) - e - S/RES/776(1992) -Desktop
https://undocs.org/S[...]
[45]
서적
Faultlines: UN Operations in the Former Yugoslavia
St. Martin's Press
[46]
서적
The War in Bosnia and Herzegovina
M.E. Shar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