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움 과도행정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움 과도행정기구(UNTAES)는 1996년 1월 15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037호에 따라 설립된 기구로, 크로아티아 동부 지역인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움의 크로아티아 재통합을 지원했다. UNTAES는 1995년 폭풍 작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간의 에르두트 협정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비무장화 감시, 평화적 재통합 보장, 난민 귀환 지원, 치안 유지, 경찰 및 사법 기관 구축, 인권 보호 등을 주요 임무로 수행했다. 미국은 재통합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UNTAES는 지역 경찰 개편, 선거 지원 등의 활동을 펼쳤다. UNTAES는 1997년 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145호에 따라 유엔 경찰 지원군(UNPSG)에 치안 유지 임무를 이관하고, 1998년 1월 15일 임무를 종료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초기,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인들은 1991년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공화국을 설립하고 크로아티아 최동부 지역인 동슬라보니아 지역을 장악했다. 1995년 플래시 작전과 폭풍 작전으로 크로아티아는 대부분의 영토를 회복했으나, 동슬라보니아는 여전히 세르비아계의 통제 하에 있었다. 이 지역은 세르비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국제사회는 군사적 충돌 가능성을 우려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1996년 1월 15일 결의안 1037을 채택하여, 1995년 11월 12일 세르비아 세력과 동슬라보니아의 크로아티아로의 이관 합의에 따라 동슬라보니아 지역에 국제 연합의 잠정 통치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유엔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움 잠정 행정 기구'''(UNTAES)가 설립되어 12개월 기한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2. 역사적 배경
같은 시기, 보스니아 전쟁 종식을 위한 데이턴 협정 체결 과정에서 동슬라보니아 문제도 주요 의제로 떠올랐다. 1995년 11월 12일, 세르비아계는 동슬라보니아를 크로아티아에 평화적으로 이양하는 데 합의했다. 이에 따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1996년 1월 15일 결의안 1037을 채택하여 국제 연합의 잠정 통치 하에 동슬라보니아를 두기로 결정하고, '''유엔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움 잠정 행정 기구'''(UNTAES)를 설립했다.
2. 1. 수립 이전
1995년 중반 폭풍 작전 이후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은 다뉴브강 동안의 크로아티아 동부 지역, 즉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만 남게 되었다. 이 지역은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특히 세르비아 공화국)과 긴 국경을 맞대고 있었고, 경제, 사회, 정치적으로 베오그라드 및 노비사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16] 이 때문에 국제사회는 크로아티아의 동슬라보니아 개입이 유고슬라비아 본국의 군사적 대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17]
동시에 플래시 작전과 폭풍 작전으로 크로아티아가 군사적 대승을 거두면서, 동슬라보니아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라는 국제사회의 압박이 거세졌다.[19] 크로아티아는 "달로 점프"(Skok u Dalj)라는 암호명으로 군사적 해결책을 비공식적으로 논의하기도 했지만,[19] 국제사회의 압력과 보스니아 전쟁 종식이라는 목표 아래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게 되었다.
1995년 11월, 크로아티아 정부와 세르브계 크로아티아인 대표 간에 에르두트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에 따라 유엔이 과도행정기구와 평화유지군을 수립하기로 결정되었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023호가 이를 지지했다.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025호에 따라 UNCRO 임무가 중단되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037호에 따라 UNTAES가 정식으로 수립되었다. 동슬라보니아 지역의 평화적 합병은 데이턴 협정에서 크로아티아의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였다.[20]
2. 2. 과도행정기구 수립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043호에 따라 1996년 1월 15일 과도행정기구가 공식 출범했다.[21] 이 결의는 1년간 지속되며, 어느 한 쪽의 요청에 따라 과도행정기구의 통치 기간을 최대 1년 더 연장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21] 과도행정기구의 주요 목표는 비무장화 감시와 크로아티아로의 평화적 재통합 보장이었다. 유엔 사무총장은 초기 UNTAES에 군인 9,300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나,[21] 최종 합의에 따라 군인 5,000명, 민사경찰(UNCIVPOL) 500명, 군 감시단 99명으로 구성하기로 결정되었다.[21] 실제 배치시에는 군인 4,849명, 군 감시단 99명, 민사경찰 401명으로 구성되었다.[22]
UNTAES 인원이 도착하기 전, 유엔 신뢰 회복 작전의 일환으로 벨기에군과 러시아군 1,600명이 이미 동슬라보니아에 주둔하고 있었다.[21] 이들은 요르단군과 파키스탄군 소속 기계화대대, 우크라이나군의 헬리콥터 및 기타 부대와 합류했다.[21] 재통합 과정에서 미국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20]
미국-크로아티아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였던 크로아티아 내 세르브인의 지위 문제를 제기한 스트로브 탤벗은 미국 대사 피터 갤브레이스와 함께 부코바르, 벨리마나스티르, 일로크에서 주민들과 세 차례 회의를 열었다.[20] 그는 현지 세르브인에게 지도자들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겠지만 에르두트 협정에 따라 동슬라보니아 지역은 크로아티아 영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20] 또한, 세르브인은 자그레브, 오시예크 등 크로아티아 내 어디든 머물 권리가 있으며, 크로아티아인도 동슬라보니아로 돌아갈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20] 1996년 초, 매들린 올브라이트는 부코바르를 방문하여 재통합 과정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20]
과도행정기구의 초기 본부는 유엔보호군의 본부인 자그레브에 있었으나, 행정부는 슬라보니아(동부 크로아티아)에 본부를 두기를 원했다.[21] 크로아티아 정부는 오시예크를 제안했지만, 임무단은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영토 내에 본부를 두기를 원해 거부했다.[21] 결국 본부는 부코바르에, 벨리마나스티르에는 연락사무소를 설치하여 UNTAES 민정담당관이 지역 내 세르비아 행정위원회와 의회 회의에 참석하고 정보 교환을 원활하게 했다.[21] 행정기구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전갈 민병대가 통제하는 젤레토브치 유전의 긴장 해소와 평화적 탈환이었다.[21]
2. 3. 지역경찰 개편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이전 보로보셀로 전투와 같이 민족 간 분쟁이 발생했던 지역경찰을 개편하는 것은 과도행정기구의 주요 임무 중 하나였다. UNTAES가 직면한 첫 문제는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의 상징을 대체하는 일이었다.[21] 이에 대한 반발이 많아 미국 법무부의 재정 지원을 받은 과도행정기구가 어떠한 국가 마크도 없는 경찰 정복을 구입하는 타협안이 이루어졌다.[21]
크로아티아 정부는 처음에 지역경찰에게 급료 지급을 거부했지만, 나중에 크로아티아로 주권과 지역 행정권이 반환됨을 보증해 급료 지급에 합의했다.[21] 하지만 그와 동시에 두 번째 문제가 발생했는데, 크로아티아 정부는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로 급료를 주기 거부하고, 지역경찰은 크로아티아 쿠나로 급료를 받기 거부해 결국 독일 마르크로 급료를 지불하는 합의가 이루어졌다.[21] 과도기적 경찰력 관리는 이원주의의 원칙 하에 이루어졌는데, 각 지역의 경찰 조직 최고위직은 세르브인과 크로아티아인 2명으로 구성되었다.[19]
폴란드 특별 경찰 그룹은 UNTAES를 지원했으며, 부코바르의 전 시장이었던 전쟁 범죄 혐의자를 처음으로 체포했다.[13]
2. 4. 과도행정기구 임무 연장
1996년 7월 30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069호에 따라 군 감시단이 증파되고 임무가 확대되었다.[9] 1996년 11월 15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079호에서는 UNTAES 통치 영토의 재통합 준비 작업과 난민 귀환을 위한 임무가 부여되었다.[9] 1997년 7월 14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120호에 따라 과도행정기구의 조직이 구조조정되고 난민 귀환을 위한 임무가 강화되었다.[9]
2. 5. 해산 이후
1997년 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145호에 따라 UNTAES의 치안 유지 임무는 유엔 경찰 지원군(UNPSG)으로 이관되었고, 1998년 1월 15일 과도행정기구의 임무가 사실상 종료되었다.[20][7] 180명의 유엔 민사경찰이 남아 크로아티아 경찰의 상황을 감시하고 난민의 귀환을 감독하였다.[20][7] UNTAES 임무에 대한 추가 지원으로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는 OSCE 크로아티아 임무단을 설립해 인권과 소수자 권리 보장, 난민의 귀환, 공공기관 재건, 민사경찰 업무 감시 등의 임무를 총괄했다.[20][7]
3. 주요 활동 및 성과
UNTAES는 유엔 크로아티아 신뢰 회복 활동(UNCRO)에 이어 크로아티아에 전개된 평화 유지 활동으로, 평화 유지군 외에 문민 경찰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임무는 현지 비무장화,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UNHCR)과의 협력을 통한 난민 귀환 지원, 치안 유지 및 제한적인 경찰·사법 기관 구축, 민족 대립과 관련된 인권 침해 억제 등이었다. 이를 위해 병력 5,000명, 군사 감시 요원 100명, 문민 경찰관 600명 및 문민 스태프가 배치되었다. 1996년 10월에는 최대 규모인 병력 5,009명, 군사 감시 요원 95명, 문민 경찰관 457명이 활동했다.
UNTAES의 활동 기한은 두 차례 연장되었고, 1998년 1월 15일에 최종적으로 활동을 종료했다. 동슬라보니아는 크로아티아의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움 세르비아인 자치주가 되었고, UNTAES는 1998년 1월 16일부터 크로아티아 경찰 활동 감시를 임무로 하는 유엔 문민 경찰 지원 그룹(UNPSG)으로 축소·이관되었다.
1997년 4월 13일에는 UNTAES의 지원 아래 1997년 크로아티아 군(郡) 의회 선거가 이 지역에서 치러졌다.[7]
3. 1. 비무장화
Demilitarisation영어는 지역 내 무장 세력의 무장을 해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UNTAES는 이 지역의 평화 유지를 위해 비무장화를 주요 임무 중 하나로 설정했다. 1996년 1월 15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037호에 따라, UNTAES는 동슬라보니아 지역의 비무장화와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UNHCR)과 협력하여 난민 귀환 지원, 치안 유지, 제한적인 경찰·사법 기관 구축, 민족 대립과 관련된 인권 침해 억제 등의 임무를 부여받았다. 이 임무 수행을 위해 병력 5,000명, 군사 감시 요원 100명, 문민 경찰관 600명, 그리고 문민 스태프가 UNTAES에 배치되었다. 1996년 10월에는 최대 규모인 병력 5,009명, 군사 감시 요원 95명, 문민 경찰관 457명이 활동했다.
3. 2. 난민 귀환 지원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UNHCR)과 협력하여 난민 귀환을 지원하고, 치안 유지 및 제한적인 경찰·사법 기관을 구축하여 민족 대립과 관련된 인권 침해를 억제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1] 인가된 규모는 병력 5,000명, 군사 감시 요원 100명, 문민 경찰관 600명 외에 문민 스태프였다.[1] 1996년 10월에는 최대 규모인 병력 5,009명, 군사 감시 요원 95명, 문민 경찰관 457명 외에 문민 스태프가 활동하였다.[1]
3. 3. 치안 유지 및 사법 기관 구축
UNTAES는 평화 유지군 외에 문민 경찰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UNTAES의 임무 중 하나는 치안 유지 및 제한적인 경찰·사법 기관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UNTAES에 인가된 규모는 병력 5,000명, 군사 감시 요원 100명, 문민 경찰관 600명 외에 문민 스태프였다. 1996년 10월 UNTAES의 최대 규모는 병력 5,009명, 군사 감시 요원 95명, 문민 경찰관 457명 외에 문민 스태프였다. UNTAES의 활동 기한은 두 차례 연장되어 1998년 1월 15일까지 활동하였다. 이후 UNTAES는 1998년 1월 16일부터 크로아티아 경찰의 활동 감시를 임무로 하는 유엔 문민 경찰 지원 그룹(UNPSG)으로 축소·이관되었다.
3. 4. 인권 보호
크로아티아 독립 운동 과정에서 발생한 민족 갈등으로 인권 침해 우려가 커지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1996년 1월 15일 결의안 1037을 채택하여 유엔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시르미움 잠정 행정 기구(UNTAES)를 설립했다. UNTAES는 현지의 비무장화,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UNHCR)과의 협력을 통한 난민 귀환 지원, 치안 유지, 제한적인 경찰·사법 기관 구축, 그리고 민족 대립과 관련된 인권 침해 억제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1] UNTAES는 병력 5,000명, 군사 감시 요원 100명, 문민 경찰관 600명 및 문민 스태프로 구성되었다.[1] 1996년 10월에는 최대 규모인 병력 5,009명, 군사 감시 요원 95명, 문민 경찰관 457명과 문민 스태프가 활동했다.[1]
3. 5. 선거 지원
1997년 4월 13일, UNTAES는 이 지역에서 1997년 크로아티아 군(郡) 의회 선거를 지원했다.[7] 이 선거를 계기로 낸시 엘리-라파엘(Nancy Ely-Raphael)이 이끄는 미국 특별 임무단이 부코바르를 방문했다.[7]
미국 특별 임무단은 사르바시, 에르두트, 달, 부코바르, 보로보, 로바스, 오파토바츠, 일로크, 샤렌그라드, 빌레, 체미나츠, 벨리 마나스티르, 크네제비 비노그라디를 방문하여, 크로아티아 문서가 없는 세르비아인들의 투표를 가능하게 해준 크로아티아 당국과 현지 세르비아 행정 위원회 의장 보이슬라프 스타니미로비치(Vojislav Stanimirović)에게 감사를 표했다.[12] 또한, 임무단은 현지 세르비아인들이 크로아티아 선거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며, 에르두트 협정의 목표가 크로아티아 포두나블레 지역에 다민족 지역을 재건하는 것임을 강조했다.[7]
4. 평가 및 의의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다시 요청해주세요.)
참조
[1]
논문
Prognano stanovništvo iz hrvatskog Podunavlja i problemi njegovog povratka (1991. – 2001.)
2003
[2]
간행물
Resolution
2008-09-06
[3]
학위논문
Serbia and the Serbian Rebellion in Croatia (1990-1991)
https://research.gol[...]
Goldsmiths College
2015-04
[4]
서적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Peacekeeping Operations
ABC-CLIO
1999
[5]
서적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996: Clinton's Incumbency and Television
https://books.google[...]
Praeger Publishers
[6]
논문
"(Ne)željena reintegracija"
http://hrcak.srce.hr[...]
Političke analize, Faculty of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Zagreb]]
2016-04
[7]
논문
Sjedinjene Američke Države i reintegracija hrvatskog Podunavlja
http://hrcak.srce.hr[...]
Scrinia Slavonica, Vol.8,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2016-04
[8]
서적
Chronology of the Yugoslav crisis, Volume 4
Institute for European Studies
1998
[9]
논문
The Political Challenges of Administering Eastern Slavonia
Global Governance: A Review of Multilateralism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2004-01
[10]
서적
Iznevjereni ugovori — Međunarodne misije u Republici Hrvatskoj
https://www.ceeol.co[...]
Serb National Council
2015
[11]
AV media
Eastern Slavonia - Serbs Stone US Ambassador
https://www.youtube.[...]
2015-07-21
[12]
웹사이트
Croatia: U.S. Urges Participation In Elections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1997-04-09
[13]
AV media
THE INVESTIGATOR, a book by Vladimir Dzuro - arrest of Slavko Dokmanovic - warcrimeinvestigator.com
https://www.youtube.[...]
2019-06-23
[14]
논문
Prognano stanovništvo iz hrvatskog Podunavlja i problemi njegovog povratka (1991. – 2001.)
https://doi.org/10.2[...]
2003
[15]
간행물
Resolution
2008-09-06
[16]
학위논문
Serbia and the Serbian Rebellion in Croatia (1990-1991)
https://research.gol[...]
Goldsmiths College
2015-04
[17]
서적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Peacekeeping Operations
https://archive.org/[...]
ABC-CLIO
1999
[18]
서적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996: Clinton's Incumbency and Television
https://books.google[...]
Praeger Publishers
[19]
논문
"(Ne)željena reintegracija"
http://hrcak.srce.hr[...]
Političke analize, Faculty of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Zagreb
2016-04
[20]
논문
Sjedinjene Američke Države i reintegracija hrvatskog Podunavlja
http://hrcak.srce.hr[...]
Scrinia Slavonica, Vol.8,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2016-04
[21]
논문
The Political Challenges of Administering Eastern Slavonia
Global Governance: A Review of Multilateralism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2004-01
[22]
서적
Iznevjereni ugovori — Međunarodne misije u Republici Hrvatskoj
https://www.ceeol.co[...]
Serb National Council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