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츠담 협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츠담 협정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처리 방안과 관련된 주요 내용을 담고 있는 협정이다. 미국, 영국, 소련, 프랑스, 중화민국의 외무장관으로 구성된 외무장관 이사회를 설치하여 추축국과의 평화 조약을 체결하기로 하였으며, 독일 점령 정책을 총괄하는 연합국 관리 위원회를 설치하고 독일을 4개국으로 분할 점령하는 것을 확인했다. 정치적으로는 나치 독일 관련 법령 폐지, 전쟁 범죄자 재판 및 추방, 비나치화, 민주적인 정당 재건, 정치 구조 분권화 등을 추진했다. 경제적으로는 독일의 무역 및 산업 재건, 무기 제조 금지, 과도한 자본 집중 해체 등을 결정했으며, 독일의 배상, 독일 해군 함선 분배, 쾨니히스베르크와 그 부속 지역의 소련 귀속, 전범 재판 준비, 오스트리아 문제, 폴란드 임시 정부 승인, 독일 영토의 폴란드 귀속, 국제연합 가입, 신탁 통치, 동유럽 점령지 문제, 독일인 추방 등의 내용도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발효된 조약 - 유엔 헌장
유엔 헌장은 제2차 세계대전 후 국제 평화와 안보 유지를 목표로 1945년에 제정된 국제연합의 기본 규약으로서 회원국의 권리와 의무, 유엔 주요 기관의 기능과 권한, 국제 분쟁 해결 절차, 평화에 대한 위협 대응 방안 등을 규정하며 국제법의 근간을 이룬다. - 1945년 영국 - 1945년 영국 총선
1945년 영국 총선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전후 복구와 사회 재건 요구 속에서 노동당이 국유화, 완전 고용, 국민 건강 서비스 등의 공약으로 압승하여 영국 최초의 노동당 단독 과반수 정부를 수립하고 복지 국가 건설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45년 체결된 조약 - 중소 우호 동맹 조약
중소 우호 동맹 조약은 전후 동아시아 정세 변화 속에서 중화민국과 소련 간 체결된 조약으로, 소련은 항구 조차 및 철도 공동 관리 등의 이권을 얻고, 중화민국은 외몽골 독립을 인정하는 대신 소련의 공산당 지원 중단 약속을 받았으나, 이후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으로 실효를 잃고 냉전 시대 동아시아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 1945년 체결된 조약 - 유엔 헌장
유엔 헌장은 제2차 세계대전 후 국제 평화와 안보 유지를 목표로 1945년에 제정된 국제연합의 기본 규약으로서 회원국의 권리와 의무, 유엔 주요 기관의 기능과 권한, 국제 분쟁 해결 절차, 평화에 대한 위협 대응 방안 등을 규정하며 국제법의 근간을 이룬다.
| 포츠담 협정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정식 명칭 | 베를린 (포츠담) 회의 |
| 기간 | 1945년 7월 17일 ~ 1945년 8월 2일 |
| 장소 | 독일 포츠담 |
| 서명 국가 | 미국 영국 소련 |
| 주요 내용 | |
| 목적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독일 처리 문제 결정 전후 질서 수립 |
| 주요 합의 사항 | 독일의 비무장화, 탈나치화, 민주화, 분할 통치 독일의 동부 국경선 확정 (오데르-나이세 선) 폴란드의 서부 국경 확정 소련의 쾨니히스베르크 지역 점령 독일의 전쟁 배상금 지불 문제 연합국 관리 위원회 설치 |
| 관련 문서 | 포츠담 선언 얄타 회담 모스크바 회담 (1945년) |
| 참가자 | |
| 미국 | 해리 S. 트루먼 제임스 F. 번스 |
| 영국 | 윈스턴 처칠 (7월 28일까지) 클레멘트 애틀리 (7월 28일부터) 앤서니 이든 어니스트 베빈 |
| 소련 | 이오시프 스탈린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
| 결과 | |
| 영향 | 독일의 분할 통치 시작 냉전의 심화 동구권 형성의 기반 마련 |
| 비준 | 각국 수락 후, 모든 당사자가 서명 |
2. 포츠담 회담의 배경
추축국과 연합국 간 평화 조약 체결을 위해 미국, 영국, 소련, 프랑스, 중화민국의 외무장관으로 구성된 외무장관 이사회를 설치한다. 제1회 회합은 1945년 9월 1일까지 개최한다. 연합국의 협의 기구였던 유럽 자문 위원회는 해산되었다.3. 포츠담 회담의 주요 내용 및 협정
독일 점령 정책을 총괄하는 를 설치한다.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4개국에 의한 분할 점령 통치가 확인되었다.
정치적으로는 독일 국방군, 친위대, 돌격대 등의 무장 해제, 인종, 정치적·종교적 신념 등을 이유로 한 나치 독일 시대 법령의 폐지, 전쟁 범죄와 나치 독일의 전쟁 정책에 관여한 자의 재판과 추방이 이루어졌다. 또한 나치와 군국주의의 영향 배제(비나치화), 민주적인 정당의 재건, 정치 구조의 분권화가 이루어졌다.
경제적으로는 독일의 무역과 산업의 재건, 전쟁에 사용되는 무기, 탄약, 선박 등의 제조 금지, 과도한 자본 집중의 해체가 이루어졌다. 산업은 농업과 평화적인 산업을 우선시하고, 독일은 단일 경제 단위로 간주되어 각 점령 지역의 정책은 이를 전제로 해야 했다. 연합국 관리 이사회는 독일의 경제 정책, 대외 자산 등을 감독하고, 배상금 지불은 국민 생활을 압박하지 않도록 했다.
소련과 서방 연합국(미국, 영국, 프랑스 등)은 각자의 점령 지역에서 배상을 징수하며, 소련이 징수한 배상금 중 일부는 폴란드에 대한 배상으로 충당된다. 서방 연합국은 점령 지역에서 독일 평시 경제에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산업 시설 및 자재의 10%를 무상으로, 15%는 물품 교환으로 소련에 인도하는 방식으로 배상금을 배분해야 한다. 배상 징수는 2년 이내에 완료되어야 했다.
소련은 서방 점령 지역에 대한 자본 청구권을, 서방 연합국은 동유럽과 소련 점령 지역, 오스트리아의 자본 청구권을 상호 포기한다. 또한 소련은 서방 연합군이 압수한 독일의 금 및 자산 등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는다.
독일 해군(국방군)이 보유한 독일 및 동맹국으로부터 인계받은 함선은 미국, 영국, 소련 세 나라에 분배된다. U보트는 30척을 제외하고 모두 해체되며, 30척은 연구를 위해 미국, 영국, 소련에 분배된다. 미국, 영국, 소련은 함선 분배를 협의하는 위원회를 설치한다. 실제 분배는 일본과의 전쟁 종료 후에 실시하기로 하였다.
소련은 쾨니히스베르크와 그 부속 지역을 요구했다. 공식적인 할양은 평화 조약 체결 시 이루어지지만, 미국과 영국은 소련의 요구를 지지했다.
모스크바 선언에 기초하여 런던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제군사재판을 위한 헌장 제정을 조속히 진행할 것을 요구하였다. 최초의 피고인 명단은 1945년 9월까지 발표하기로 하였다.
소련은 오스트리아(Österreich) 통치가 오스트리아 임시 정부의 권한 하에 통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미국과 영국은 양군의 빈 도착 후에 이 문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오스트리아에 대해서는 배상을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
3. 1. 연합국 협의 체제
3. 2. 독일 점령 정책
독일 점령 정책을 총괄하는 를 설치한다.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4개국에 의한 분할 점령 통치가 확인되었다.
정치적으로는 독일 국방군, 친위대, 돌격대 등의 무장 해제, 인종, 정치적·종교적 신념 등을 이유로 한 나치 독일 시대 법령의 폐지, 전쟁 범죄와 나치 독일의 전쟁 정책에 관여한 자의 재판과 추방이 이루어졌다. 또한 나치와 군국주의의 영향 배제(비나치화), 민주적인 정당의 재건, 정치 구조의 분권화가 이루어졌다.
경제적으로는 독일의 무역과 산업의 재건, 전쟁에 사용되는 무기, 탄약, 선박 등의 제조 금지, 과도한 자본 집중의 해체가 이루어졌다. 산업은 농업과 평화적인 산업을 우선시하고, 독일은 단일 경제 단위로 간주되어 각 점령 지역의 정책은 이를 전제로 해야 했다. 연합국 관리 이사회는 독일의 경제 정책, 대외 자산 등을 감독하고, 배상금 지불은 국민 생활을 압박하지 않도록 했다.
3. 3. 독일의 배상
소련과 서방 연합국(미국, 영국, 프랑스 등)은 각자의 점령 지역에서 배상을 징수하며, 소련이 징수한 배상금 중 일부는 폴란드에 대한 배상으로 충당된다. 서방 연합국은 점령 지역에서 독일 평시 경제에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산업 시설 및 자재의 10%를 무상으로, 15%는 물품 교환으로 소련에 인도하는 방식으로 배상금을 배분해야 한다. 배상 징수는 2년 이내에 완료되어야 했다.
소련은 서방 점령 지역에 대한 자본 청구권을, 서방 연합국은 동유럽과 소련 점령 지역, 오스트리아의 자본 청구권을 상호 포기한다. 또한 소련은 서방 연합군이 압수한 독일의 금 및 자산 등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는다.
3. 4. 독일 해군 함선
독일 해군(국방군)이 보유한 독일 및 동맹국으로부터 인계받은 함선은 미국, 영국, 소련 세 나라에 분배된다. U보트는 30척을 제외하고 모두 해체되며, 30척은 연구를 위해 미국, 영국, 소련에 분배된다. 미국, 영국, 소련은 함선 분배를 협의하는 위원회를 설치한다. 실제 분배는 일본과의 전쟁 종료 후에 실시하기로 하였다.
3. 5. 소련의 독일 영토 요구
소련은 쾨니히스베르크와 그 부속 지역을 요구했다. 공식적인 할양은 평화 조약 체결 시 이루어지지만, 미국과 영국은 소련의 요구를 지지했다.
3. 6. 전범 재판 준비
모스크바 선언에 기초하여 런던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제군사재판을 위한 헌장 제정을 조속히 진행할 것을 요구하였다. 최초의 피고인 명단은 1945년 9월까지 발표하기로 하였다.
3. 7. 오스트리아
소련은 오스트리아(Österreich) 통치가 오스트리아 임시 정부의 권한 하에 통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미국과 영국은 양군의 빈 도착 후에 이 문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오스트리아에 대해서는 배상을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
3. 8. 폴란드
3. 8. 1. 임시 정부 설립
3. 8. 2. 독일 영토의 폴란드 귀속
1945년 겨울, 동프로이센 공세 이후 소련군이 점령하고 철수한 독일령 동프로이센의 북쪽 절반은 이미 소련 영토인 칼리닌그라드주에 편입되었다. 서방 연합국은 최종 독일 평화 조약이 체결될 때 브라운스베르크(Braunsberg)–골다프(Goldap) 선 이북의 영토 합병을 지지할 것을 약속했다.
연합군은 소련의 위성국이 될 국민연합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인정했다. 스탈린의 압력을 받은 영국과 미국은 발트해 연안 슈비누이시체(Świnoujście) 서쪽부터 체코슬로바키아 국경까지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의 독일 영토를 "폴란드 행정 하에" 두는 데 동의했다. 이는 루사티아 나이세 강과 글라츠 나이세 강(Glatzer Neisse)을 혼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데르-보베르(Bober)-퀘이스(Queis) 선 제안은 소련 대표단에 의해 거부되었다. 이 양도에는 전 단치히 자유시와 상실레시아 산업 지역에 중요한 오데르 강 어귀에 있는 항구 도시 슈테틴(Stettin)(슈체친석호(Szczecin Lagoon))이 포함되었다.
전후 '독일 전체'는 각 점령 구역의 영토의 집합으로만 구성되었다.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의 모든 전 독일 영토는 소련 점령 지역에서 제외되었으므로, 결과적으로 '독일 전체'에서도 제외되었다.
미국, 영국, 소련 3국 수뇌부와 폴란드 임시정부 및 국민평의회는 폴란드에 할양될 독일의 서부와 북부 지역에 대해 협의해 왔다. 이 문제의 최종 결정은 평화조약 체결 후에 이루어질 것임을 확인한다.
폴란드는 오데르 강, 나이세 강 동쪽(오데르-나이세 선)의 독일 영토와 동프로이센을 관리하에 둔다. 이는 소련 점령 지역과 동일시되지 않는다.
3. 9. 평화 조약과 국제연합
미국, 영국, 소련은 헝가리, 불가리아, 루마니아, 이탈리아, 핀란드의 현재 상황이 평화 조약 체결로 종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외교장관 이사회가 당면하여 다루는 평화 조약 대상국은 이탈리아이다. 핀란드,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와의 국교는 평화 조약 체결 협상에서 별도로 검토된다.
국제연합 가입에는 국제연합 헌장에 있는 의무를 존중할 필요가 있다. 가입 신청에 관해서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권고에 따라 유엔 총회에서 결정된다. 미국, 영국, 소련 삼국 정부는 뚜렷하게 추축국을 지원받아 설립되었고, 추축국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던 현재의 스페인 정권이 유엔 가입을 신청할 경우, 이를 지지하지 않을 것이다.
3. 10. 신탁 통치
회의에서는 얄타 회담에서 제안된 이탈리아 식민지의 신탁 통치에 대한 소련의 참여에 대해 논의했다. 이 문제는 9월 외무장관 이사회에서 결정될 예정이었다.
3. 11. 동유럽 점령지 문제
미국, 영국, 소련 삼국 정부는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에 대한 연합군 점령 작전을 개선하기 위해, 해당 국가의 점령 당국이 미국과 영국에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주목한다. 삼국 정부는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의 점령은 정전 협정을 수용한 정부(헝가리의 경우, 당사자인 헝가리 정부를 포함한 헝가리 임시 국민 정부)와의 합의를 근거로 함을 확인한다.
3. 12. 독일인 추방
포츠담 협정에서 미국, 영국, 소련 정부는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에 남아있는 독일인들을 독일로 이송해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 연합국 관리 이사회는 독일 점령 지역 각 주에서 이송될 독일인들의 수용 능력을 조사하고, 이 조사가 완료될 때까지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정부는 독일인 추방을 일시 중단하도록 요청받았다.
전후 독일인의 탈출과 추방은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구 독일 영토 포함) 등지에서 발생했다. 이외 지역에서의 추방은 포츠담 협정에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트란실바니아 색슨인이 강제 추방되고 재산이 몰수된 루마니아와 유고슬라비아 등지에서도 발생했다. 소련 영토에서는 독일인들이 북부 동프로이센((칼리닌그라드주)뿐만 아니라 인접한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 지역 및 발트 독일인이 정착한 다른 지역에서도 추방되었다.
3. 13. 기타 문제
루마니아 유전 문제에 대해서는 미국과 소련, 영국과 소련이 각각 대표를 파견하는 두 개의 위원회를 설치하여 조사하고 검토한다. 연합군은 테헤란을 비롯한 이란에서 철수해야 하지만, 철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1945년 9월 외무장관회의에서 논의될 것이다. 소련 정부의 제안을 검토한 결과, 탕헤르는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해 국제적인 관리 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탕헤르 문제는 파리에서 개최되는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각 정부 대표들의 회의에서 논의될 것이다.
몬트뢰 조약은 현재의 국제 정세와 부합하지 않으므로, 다음 단계로 세 나라 정부는 각각 터키 정부와 협의할 필요가 있다. 미국과 영국은 유럽 내륙 수송 위원회를 재개하고 소련의 참여를 환영한다.
4. 포츠담 협정 이후
1945년 7월 30일, 포츠담 회담 기간 중 연합국 통제 위원회가 베를린에 설립되어 연합국의 결의 사항("4D 정책")을 실행했다.[11][12]
4D 정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탈나치화: 나치즘의 영향을 근절하기 위한 독일 사회의 탈나치화
- 군비축소: 전 베르마흐트(Wehrmacht) 병력과 독일 무기 산업의 군비 축소; 그러나 곧 냉전 상황으로 인해 독일의 재군비(Wiederbewaffnung)가 진행되어 독일 연방군(Bundeswehr)과 국가인민군(National People's Army)이 재건되었다.
- 민주화: 정당과 노동조합의 결성, 언론·출판·종교의 자유를 포함한 민주화
- 분권화: 독일의 연방제(Federalism in Germany)를 초래한 분권화와 독일 산업 계획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해체. 1951년 트루먼 독트린에 따라 서독(West Germany)에서의 해체는 중단되었고, 이후 동독(East Germany)은 그 영향에 홀로 대처해야 했다.
4. 1. 4D 정책
4. 2. 영토 변화
1945년 겨울, 동프로이센 공세 이후 소련군이 점령하고 철수한 독일령 동프로이센의 북쪽 절반은 이미 소련 영토인 칼리닌그라드주에 편입되었다. 서방 연합국은 최종 독일 평화 조약이 체결될 때 브라운스베르크(Braunsberg)–골다프(Goldap) 선 이북의 영토 합병을 지지할 것을 약속했다.연합군은 소련의 위성국이 될 국민연합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인정했다. 스탈린의 압력을 받은 영국과 미국은 발트해 연안 슈비누이시체(Świnoujście) 서쪽부터 체코슬로바키아 국경까지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의 독일 영토를 "폴란드 행정 하에" 두는 데 동의했다. 이는 루사티아 나이세 강과 글라츠 나이세 강(Glatzer Neisse)을 혼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데르-보베르(Bober)-퀘이스(Queis) 선 제안은 소련 대표단에 의해 거부되었다. 이 양도에는 전 단치히 자유시와 상실레시아 산업 지역에 중요한 오데르 강 어귀에 있는 항구 도시 슈테틴(Stettin)(슈체친석호(Szczecin Lagoon))이 포함되었다.
전후 '독일 전체'는 각 점령 구역의 영토의 집합으로만 구성되었다.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의 모든 전 독일 영토는 소련 점령 지역에서 제외되었으므로, 결과적으로 '독일 전체'에서도 제외되었다.
4. 3. 독일인 추방
포츠담 협정에서 언급된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뿐 아니라 루마니아와 유고슬라비아에서도 독일인 추방이 발생했다. 소련 영토에서는 북부 동프로이센(칼리닌그라드주)과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 지역 등지의 독일인들이 추방되었다.폴란드 공산주의자들은 루지치 네이세 강을 경계로 하는 폴란드의 영토 요구를 강조하기 위해 보브르 강 서쪽의 독일 인구를 억압하기 시작했다. 폴란드인에 의한 독일계 주민 추방은 1937년 폴란드 국경 뒤 지역, 동프로이센 남부(마주리), 후 Pomerania, 구 브란덴부르크 주의 신 마르크 지역, 하부 실레지아 지역 등에 거주하는 독일인에게 영향을 미쳤다.
체코슬로바키아의 독일인(수데텐 독일인, 카르파티아 독일인)은 수데텐란트 지역, 중부 보헤미아와 모라비아의 언어적 지역 사회, 프라하 시에서 추방되었다.
5. 포츠담 협정의 역사적 의의 및 평가
6. 한국과의 관련성
참조
[1]
서적
The US Army and the Occupation of Germany 1944–1946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90
[2]
서적
Speaking Frankly
New York & London
1947
[3]
서적
Meeting at Potsdam
New York
1975
[4]
서적
The Expulsion of the German Population from the Territories East of the Oder-Neisse-Line
FDR Ministry for Expellees, Refugees and War Victims, Bonn, West Germany
1954
[5]
서적
Hour of the Women
Germany, USA, London
1992
[6]
서적
Orderly and Humane
Yale University Press
2012
[7]
서적
A Terrible Revenge
Palgrave-Macmillan, New York
2006
[8]
서적
Weeds Like Us
Author House, Bloomington, IN., USA
[9]
서적
1947
[10]
서적
A Decade of American Foreign Policy: Basic Documents, 1941–49
https://www.nato.int[...]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2-06-10
[11]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9, Council of Foreign Ministers; Germany and Austria, Volume III Document 461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Bureau of Public Affairs
2017-06-28
[12]
웹사이트
Denazification
https://web.archive.[...]
Federal Government Commissioner for Culture and the Media
2017-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