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지원 (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지원은 오대 십국 시대 후한의 초대 황제이다. 그는 후당을 섬기다 후진의 건국에 기여하여 요직을 역임했으나, 연운 16주 할양에 반대했다. 후진이 멸망하자 황제 즉위를 거절했으나, 947년 개봉에서 스스로 황제에 즉위하여 후한을 건국했다. 948년 건우로 연호를 개원하고 고(暠)로 이름을 바꾸었으나 같은 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지원 (후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후한 고조
한자 표기後漢高祖
로마자 표기Gāozǔ (고조)
Liú (유)
처음에는 지원(知遠), 후에 고(暠) (948년 변경)
유 지원 (한 고조)
생애
출생일895년 3월 4일
사망일948년 3월 10일 (53세)
묻힌 곳예릉 (睿陵; 현재의 허난성위저우 시)
통치
즉위947년 3월 10일
통치 기간947년 3월 10일 – 948년 3월 10일
다음 통치자유승우
묘호고조(高祖)
시호예문성무소숙효황제(睿文聖武昭肅孝皇帝)
연호천복(天福) (석경당(후진 고조)으로부터 채택: 947년)
건우(乾祐): 948년
가계
왕조후한
가문
부친유전
모후이황후
기타
참고947년은 천복 12년으로 정의됨.

2. 생애



유지원은 후당 명종(後唐 明宗)을 보좌한 신하였으나, 후당이 멸망하여 후진(後晉)의 황제 석경당(石敬瑭)의 신하가 되었다. 후진 건국에 큰 공로를 세웠기 때문에, 944년 유주도행영초토사(幽州道行営招討使)등 군부의 요직을 역임했다.

석경당요나라에 연운 16주를 할양하려 했을 때는 강하게 반대했지만, 석경당은 그의 의견을 수용하지 않았다.

출제 석중귀 치세에 후진은 요나라에 침공을 받았지만, 유지원은 군대를 지원하지 않았다. 그리고 출제 석중귀가 요나라군에 잡혀 후진이 멸망 하면서, 하동행군사마(河東行軍司馬) 장언위(張彦威)가 무주공산이 된 중원 지역에 황제 즉위를 추대하였지만, 이 때는 거절하였다.

그러나, 947년 개봉(開封)에서 스스로 즉위하여 후한(後漢)을 건국하였고, 다음해인 948년 연호를 건우(乾祐)로 개원을 하였다. 같은 해에 사망하였다.

돌궐계돌궐사타부 출신이다. 아버지 유반은 진(후의 후당)의 이극용의 열교를 지냈다.

유지원은 처음에는 '''후당'''의 명종을 섬겼고, 그 후는 '''후진'''의 고조 석경당을 섬겼다.

'''후진'''의 건국에서 유지원은 큰 공을 세웠기 때문에, 천복 9년(944년)에 "유주도 행영 초토사"에 임명되는 등 군의 요직을 역임했다.

석경당이 거란에 '''연운 16주'''를 할양하려 했을 때, 유지원은 강하게 반대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출제 때, '''후진'''은 거란(요나라)의 침공을 받았지만, 유지원은 군을 출동시키지 않았다.

그리고 출제가 거란에 사로잡히고 후진이 멸망하자, 유지원은 "하동행군사마"의 장언위에게 주인이 없어진 중원에서 황제의 즉위를 권유받았지만, 이 때는 거절했다.

그러나 천복 12년(947년) 2월, 유지원은 스스로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한"으로 한다.('''후한'''의 성립)

그 후, 천복 12년(947년) 6월, 유지원은 개봉에 입성한다.

다음 건우 원년(948년) 정월에 건우로 개원하고, 유지원은 이름을 '''고'''로 고쳤지만, 같은 달에 붕어했다. 향년 54세.

2. 1. 초기 생애와 배경

유지원은 돌궐계돌궐사타부 출신으로, 895년 당나라 소종 치세에 태원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유전(劉琠zh-hant)은 후기 당나라의 주요 군벌인 이극용 휘하의 장교였다.[1] 유지원은 젊은 시절 이사원의 경호 병사가 되면서 석경당과 가까워졌다.[9]

932년 석경당이 하동 절도사가 되었을 때 유지원을 자신의 호위대 지휘관으로 임명하여 군사 문제를 맡겼다.[10] 936년 석경당이 요 태종의 지원을 받아 후진을 건국하고 황제가 된 후, 유지원은 호위대 지휘관이 되었다.[12] 석경당은 유지원에게 "큰 과실이 있지 않는 한 그들을 버리지 마십시오."라고 말할 정도로 신뢰했다.[12]

석경당요나라에 '''연운 16주'''를 할양하려 했을 때, 유지원은 강하게 반대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2]

2. 2. 후진 (오대) 멸망과 후한 건국

돌궐계 사타부 출신인 유지원은 후당 명종과 후진 고조 석경당을 섬겼다. 석경당거란에 연운 16주를 할양하려 할 때 강하게 반대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출제 시기, 후진은 요나라의 침공을 받았으나 유지원은 군대를 지원하지 않았다.[15] 석중귀가 요나라에 잡혀 후진이 멸망하자, 하동행군사마(河東行軍司馬) 장언위가 황제 즉위를 추대했으나 거절했다.

경염광의 조언에 따라 요나라에 강경 노선을 취한 석중귀는 후진 영토 내 요나라 상인들을 체포하고 재산을 몰수했다.[15] 유지원은 경염광의 조언이 재앙을 불러올 것을 알았지만, 그가 수석 재상이었기 때문에 감히 말하지 못하고, 대신 병사를 모집하고 군단을 창설하여 요나라의 공격에 대비했다.[15] 944년 요나라가 침략했을 때, 유지원은 백승보와 협력하여 야율안단의 침략을 격퇴했다.[15] 그러나 석중귀의 명령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석중귀의 의심을 샀다.[16]

946년, 백승보가 화주를 방어하고 그의 토욕혼 부족민들이 태원-란-시 지역에서 방목하고 있을 때, 유지원은 그들이 법을 위반했을 때 관대하게 대하지 않았다.[17] 후진 황실 군대가 약하다는 것을 알고 유지원의 엄격함을 두려워한 부족민들은 요나라로 도망갈 생각을 했고, 부족 지도자 중 한 명인 백가구(白可久중국어)가 먼저 백성을 이끌고 요나라로 도망갔다.[17] 유지원은 백승보를 불안하게 여겨 곽위와 상의하여 그를 공격하기로 결정하고, 백승보와 그의 주요 추종자들을 태원시로 유인하여 거짓 고발하여 살해하고 재산을 몰수했다.[17]

같은 시기, 유지원의 이복 동생인 모용연초가 무단으로 세금을 징수하고 군인들에게 줄 목적으로 곡물 저장고에서 무단으로 밀을 인출한 혐의를 받았다.[17] 유지원은 모용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상소를 올렸고, 이송의 도움으로 모용은 목숨을 건졌지만, 관직을 박탈당하고 유배되었다.[17]

946년, 요나라 태종은 후진을 함정에 빠뜨리기 위해 조연수가 후진에 투항하려 한다는 거짓 소문을 퍼뜨렸고, 석중귀는 두위와 이수진이 지휘하는 대규모 군대를 출격시켰다.[17] 그러나 두위의 군대는 요나라 군대에 포위되었고, 태종의 황제 즉위 약속에 두위와 이수진은 군대와 함께 항복했다.[17] 후진 황실 군대 전체가 두위의 지휘하에 있었기 때문에 개봉은 방어할 수 없게 되었고, 요나라 군대는 빠르게 진격해 왔다.[17] 석중귀는 항복하여 후진은 멸망했다.[17]

요 태종이 스스로 중국 황제라 선포하고 대부분의 후진 군벌들이 복종했지만, 유지원은 허둥의 방비를 굳건히 하고 부하 왕준을 보내 태종에게 복종의 뜻을 표했다.[4] 그러나 태종은 유지원이 여전히 상황을 주시하며 헌신하지 않고 있다고 의심했다.[4] 궈웨이는 유지원에게 요나라에 완전히 복종하는 것을 반대하며, 거란족은 탐욕스럽고 잔인하며 오래도록 중국을 차지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4] 유지원은 때로는 힘을 빠르게 써야 할 때도 있고, 천천히 써야 할 때도 있다며, 거란족이 물러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영토를 빼앗는 것이 완벽한 전략이라고 말했다.[4]

947년 2월, 유지원은 개봉(開封)에서 스스로 황제에 즉위하여 후한을 건국하였고,[4] 948년 연호를 건우(乾祐)로 개원하였다. 유지원은 황제를 칭한 후, 여러 장군들을 주둔시켜 그를 막으려 했던 요나라 태종의 계획을 무산시키고, 인근 지역들의 충성 맹세를 받았다.[4] 한족들이 자신에게 등을 돌리는 것을 깨달은 태종은 요나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지만, 헝저우 근처에서 병으로 사망했다.[4]

유지원은 석홍조를 선봉 지휘관으로 임명하고 개봉으로 진격했다.[4] 소한은 두려움을 느껴 철수해야 한다고 결정했지만, 개봉에 지휘관이 없다면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믿고 이사원의 막내아들 이총의를 황제로 선포한 후 개봉을 떠났다.[4] 그러나 이총의의 어머니 왕태비는 상황이 절망적이라고 판단하여 이총의가 스스로 양왕으로 강등하도록 했고, 유지원을 개봉으로 환영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4] 유지원은 그 후 낙양에 도착했고, 장군 곽총의()를 개봉으로 보내 이총의와 왕태비를 죽이게 한 후, 그 자신도 개봉으로 향했다.[4] 6월, 유지원은 개봉에 입성했다.

2. 3. 짧은 치세와 죽음

후진이 멸망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947년 유지원은 개봉(開封)에서 스스로 황제에 즉위하여 후한(後漢)을 건국하였다.[3] 연호를 건우(乾祐)로 정하고, 948년에 사망하기 전까지 짧은 기간 동안 통치하였다.[3]

유지원은 엄격한 통치 스타일을 유지하며 반란 진압과 민심 안정에 주력했다. 후진 멸망 직후, 두충위는 요나라에 복종했던 전력 때문에 불안감을 느껴 반란을 일으켰다. 유지원은 가오싱저우를 보내 반란을 진압하게 했고, 두충위는 결국 항복했다.[3] 그러나 유지원은 장련을 살려주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처형했는데, 이는 사마광으로부터 신뢰 부족이라는 비판을 받았다.[3]

서쪽 국경에서는 자오쾅잔과 허우이가 후촉에 복종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으나, 이수의 설득과 유지원의 회유로 후한에 귀순하였다.[3] 유지원은 왕징총을 보내 이들을 감시하게 했지만, 자오쾅잔은 이미 충성을 맹세한 후였고, 허우이 역시 후한에 복종하여 왕징총은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3]

유지원은 재위 기간 동안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요나라에 연운 16주를 할양하려 할 때 유지원은 강하게 반대했지만, 석경당은 그의 의견을 수용하지 않았다. 석중귀 치세에 후진은 요나라에 침공을 받았지만, 유지원은 군대를 지원하지 않았다.[3]

948년 봄, 유지원은 병으로 눕게 되었고, 아들 류청유를 수펑지, 양빈, 스홍자오, 궈웨이에게 맡기고 사망하였다.[3] 유지원의 죽음 이후, 두충위와 그의 아들들은 처형되었고, 류청유가 황제 자리를 계승하였다.[3] 유지원의 짧은 치세는 반란 진압과 민심 안정에 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나친 의심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드러냈다.

3. 가족 관계

유지원의 조부는 익조 소헌황제 유선(劉僎)이고, 조모는 소목황후 이씨(李氏)이다. 아버지는 현조 장성황제 유전(劉琠)이며, 어머니는 장의황후 안씨(安氏)이다.

형제로는 하동절도사 유숭(劉崇)이 있었는데, 그는 954년까지 살았으며 훗날 북한의 초대 황제가 되었다. 유숭은 상음공 유찬의 생부이기도 하다. 또 다른 형제인 충무절도사 유신(劉信)은 951년에 사망했는데, 사후 후주에 의해 채왕(蔡王)으로 추봉되었다. 이부형제로는 태녕절도사 모용언초(慕容彦超)가 있었다.

황후는 이씨(李氏)로, 913년에 태어나 954년에 사망했다. 그녀는 위국부인, 황태후, 덕성황태후, 소성황태후 등의 칭호를 받았으며, 947년부터 948년까지 황후로 재위했다.

유지원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다. 첫째 아들 유승훈(劉承訓)은 922년에 태어나 948년에 사망했으며, 개봉윤을 지냈다. 둘째 아들 유승우(劉承祐)는 931년에 태어나 951년에 사망했고, 황후 이씨 소생으로, 후한의 제2대 황제인 은제(隱帝)이다. 셋째 아들 유승훈(劉承勳)은 951년에 사망했으며, 개봉윤을 지냈고, 후에 유훈(劉勳)으로 개명했다. 딸로는 진국장공주(秦國長公主)가 있었는데, 영녕공주(永寧公主)라고도 불렸으며, 그녀의 남편 송악(宋偓)은 송나라 초대 황제 태조의 아버지인 형국장혜공이다.

양자로는 무녕절도사 유윤(劉贇)이 있었는데, 본명은 유승윤(劉承贇)으로, 유숭의 장자였다. 그는 후한의 비정통 황제였다.

3. 1. 후한 (오대) 건국의 의의와 한계

3. 2. 평가

유지원은 후한의 초대 황제로서, 그의 통치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평가될 수 있다. 사마광은 유 지원을 비판했지만, 그의 통치 방식은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유지원의 통치는 후대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연호

947년 정미년에 천복 12년을 사용하였고, 948년 무신년에 건우 원년을 사용하였다.

고조원년2년
서력947년948년
간지정미무신
연호천복 12년건우 원년


5. 둘러보기

참조

[1] 서적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2] 웹사이트 Chinese-Western Calendar Converter http://sinocal.sinic[...]
[3] 서적 Zizhi Tongjian
[4] 서적 Zizhi Tongjian
[5] 문서 947 was defined as the 12th year of Tiānfú
[6] 서적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7] 서적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8] 서적 Zizhi Tongjian
[9] 서적 Zizhi Tongjian
[10] 서적 Zizhi Tongjian
[11] 서적 Zizhi Tongjian
[12] 서적 Zizhi Tongjian
[13] 서적 Zizhi Tongjian
[14] 서적 Zizhi Tongjian
[15] 서적 Zizhi Tongjian
[16] 서적 Zizhi Tongjian
[17] 서적 Zizhi Tongj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