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팽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팽조는 전한 경제의 아들로, 조나라의 왕이었다. 그는 오초칠국의 난 이후 조나라 왕으로 봉해졌으며, 겉으로는 공손한 척했지만 실제로는 간교한 성격으로 재상과 관료들을 함부로 대하며 전횡을 일삼았다. 그의 아들 유단은 근친상간과 관련된 강충의 모함으로 폐위되었으나, 유팽조는 유단의 복위를 위해 노력했다. 유팽조는 경제적 수탈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지만, 이를 사치스러운 생활에 탕진했으며, 말년에는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유팽조는 조나라 왕으로 재임하면서 여러 정치적, 개인적 문제들을 겪었다.
2. 생애
조경숙왕은 겉으로는 공손하고 아첨을 잘했지만, 실제로는 간교한 인물이었다. 조정에서 파견한 재상이나 이천석 관료들이 왕실에 해가 된다고 여겨, 그들의 통치를 방해했다. 관료가 부임하면 공손하게 맞이하면서도 어려운 질문으로 실언이나 기휘(임금의 이름자를 피하는 일)를 유도해 기록했고, 이를 빌미로 협박하거나 조정에 고소했다. 이 때문에 재위 60여 년 동안 2년 이상 재임한 재상이나 이천석이 거의 없었고, 죄가 크면 죽거나 작으면 형벌을 받아 관리들은 조나라를 제대로 다스리지 못했다. 왕은 전권을 휘둘렀고, 상인들을 통해 매매를 독점하여 거둬들인 수입이 조나라의 통상 조세보다 더 많았으나, 이를 사랑하는 희첩과 아들들에게 탕진했다.[5][3]
이러한 상황에서 조경숙왕은 강도역왕의 첩이었던 요희를 첩으로 맞이하고 총애하여 아들 요자를 낳았다. 한편, 태자 유단은 강충의 모함으로 폐위되는 사건을 겪는다.
조경숙왕은 궁궐 건축이나 제사보다는 소송을 좋아했으며, 직접 군사를 이끌고 밤중에 한단을 순찰하기도 했다. 그의 횡포 때문에 주변 사람들은 감히 한단에 머물지 못했다. 친동생 중산정왕과는 서로를 비난하는 사이였다.[3]
기원전 93년, 재위 63년 만에 조경숙왕이 죽자,[2][3][7] 무시후 유창이 왕위를 이었다.[8] 정화 2년(기원전 91년)에는 막내아들 유언이 평간나라의 왕이 되었다.[3][2] 조경숙왕은 추은령에 따라 스물네 아들에게 스물네 후국을 나누어 봉했다.[8]
2. 1. 초기 생애와 즉위
劉彭祖|유팽조중국어는 기원전 155년 3월 갑인일에 다른 형제들과 함께 제후왕으로 봉해져 광천나라의 왕이 되었다.[1][2][3][4][5] 서울은 신도(信都)였다.[4]
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에 조왕 유수가 가담했다가 자살하여 봉국이 폐지되었는데, 기원전 152년, 유팽조는 광천에서 왕위에 있은 지 3년 만에 다시 설치된 조나라의 왕으로 옮겨갔다. 광천나라는 폐지되었다가 4년 후 유팽조의 아우 유월을 왕으로 삼아 부활했다.[1][2][3][6][4][5]
2. 2. 오초칠국의 난과 조나라 왕 즉위
경제 3년(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에 조왕 유수가 가담했다가 자살하여 봉국이 폐지되었다. 경제 5년(기원전 152년), 유팽조는 광천에서 왕위에 오른 지 3년 만에, 다시 설치된 조나라의 왕으로 옮겨갔다. 광천나라는 폐지되었다가 4년 후에 유팽조의 아우 유월을 왕으로 삼아 부활했다.[1][2][3][6][4][5]
2. 3. 조나라 통치와 전횡
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에 조왕 유수가 가담했다가 자살하여 봉국이 폐지되었다. 기원전 152년, 유팽조는 광천에서 왕위에 있은 지 3년 만에, 다시 설치된 조나라의 왕으로 옮겨갔다. 광천나라는 폐지되었다가 4년 후에 아우 유월을 왕으로 삼아 부활했다.[1][2][3][6][4][5]
조경숙왕은 겉으로는 공손하며 아첨을 잘 했고 간교했다. 조정에서 제후국에 파견한 재상과 질이천석의 관료들이 조정의 뜻대로 통치를 하는 것은 제후왕가에 해로운 일이라고 여겨 이를 방해했다. 관료가 부임하면 공손한 태도로 친히 맞이하면서, 어려운 질문으로 실언과 기휘를 범하는 것을 유도해 기록해 두었다. 관료가 통치를 하려 하면 그것을 빌미로 협박했고, 듣지 않으면 그것을 가지고 조정에 고소했다.
이러한 조경숙왕의 전횡으로 인해 60여 년에 달하는 재위 기간 중 2년 이상을 채운 재상이나 이천석이 없었고, 죄가 크면 죽었고 작으면 형벌을 당했다. 그래서 관리들은 조나라를 다스리지 못했고, 왕이 전권을 행사했다.[5][3]
조경숙왕은 강도역왕의 첩이면서 의붓아들인 강도왕 유건과 간통한 요희(淖姬)를 첩으로 맞이해 매우 사랑했고, 그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요자(淖子)라 하여 총애했다. 한편, 경숙왕의 태자 유단(劉丹)은 자기 딸과 동복 누나와 간통했고, 자신의 객으로 있던 강충과 사이가 나빴다. 강충은 무제에게 유단의 음란을 고발했고 또 유단이 사람을 죽여 묻은 일이 있다고 했다. 무제는 유단을 폐위했고,[5][3] 유단을 사로잡아 위군의 감옥에 두고 죽이려 했다. 경숙왕은 무제에게 유단이 원통한 송사를 당했다고 하고 또 유단을 흉노 정벌에 참여시켜 속죄하게 하려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나중에 유단이 사면되자 입조해서 무제의 누나 평양공주와 융려공주를 통해 유단을 다시 태자로 세우려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
조경숙왕은 궁실 축조나 복을 비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고, 이료들의 일을 좋아했다. 조정에 글을 올려 국중의 도적을 잡기를 원한다 하고, 항상 친히 병사를 거느리고 밤중에 한단을 사찰했다. 주변의 객이나 사신들은 조경숙왕의 횡포 때문에 감히 한단에 머물지 않았다.[5][3]
친아우 중산정왕은 나라를 다스리기를 좋아하지 않고 술과 여자를 즐겼는데, 그 때문에 서로 비난했다. 중산정왕은 “형은 왕으로써 관리를 대신해 통치를 오로지한다. 왕이라면 마땅히 날마다 음악을 듣고 여자를 즐겨야지!”라고 했고, 조경숙왕은 “중산왕은 사치하고 음란할 뿐 천자를 도와 백성을 어루만지지 않는데, 어찌 번신이라 일컫는가!”라고 했다.[3]
2. 3. 1. 경제적 수탈
조경숙왕은 조나라 현에 상인들을 보내 매매를 독점하게 하여, 그 수입이 조나라의 통상 조세보다 더 많았다. 조나라 왕가는 이를 통해 많은 돈을 벌었으나, 왕이 사랑하는 희첩과 아들들에게 모두 주어 탕진했다.[5][3]
2. 4. 문란한 사생활과 강충의 모함
조경숙왕은 궁중에 사랑하는 희첩과 자손이 많았고, 겉으로는 공손하며 아첨을 잘 했지만 실제로는 간교했다. 조정에서 제후국에 재상과 질이천석의 관료를 파견하면, 이들이 조정의 뜻대로 통치하는 것이 제후왕가에 해롭다고 여겨 방해했다. 관료가 부임하면 공손한 태도로 맞이하면서도, 어려운 질문으로 실언이나 기휘(임금의 이름자를 피하는 일)를 범하게 유도하여 기록해 두었다. 관료가 통치를 하려 하면 그것을 빌미로 협박했고, 듣지 않으면 조정에 고소했다. 이 때문에 재위 60여 년 동안 2년 이상 재임한 재상이나 이천석이 없었고, 죄가 크면 죽거나 작으면 형벌을 받았다. 관리들은 조나라를 제대로 다스리지 못했고, 왕은 전권을 휘둘렀다. 조나라 현에 상인들을 보내 매매를 독점하게 하여 거둬들인 수입이 조나라의 통상 조세보다 더 많았으나, 사랑하는 희첩과 아들들에게 모두 탕진했다.[5][3]
조경숙왕은 강도역왕의 첩이면서 의붓아들인 강도왕 유건과 간통한 요희(淖姬)를 첩으로 맞아 매우 총애했고, 그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요자(淖子)를 특히 아꼈다. 한편, 태자 유단은 강충의 모함을 받아 폐위되는 사건이 발생한다.
조경숙왕은 궁궐 건축이나 제사보다는 소송(訟事)을 좋아했다. 조정에 글을 올려 나라 안의 도적을 잡기를 청하고, 직접 군사를 이끌고 밤중에 한단을 순찰했다. 주변의 빈객이나 사신들은 조경숙왕의 횡포 때문에 감히 한단에 머물지 못했다.[5][3] 친동생 중산정왕은 나라 다스리기에는 관심이 없고 술과 여자를 즐겼는데, 서로 비난하며 중산정왕은 “형은 왕으로서 관리를 대신해 정치를 독차지하니, 왕이라면 마땅히 날마다 음악을 듣고 여자를 즐겨야지!”라고 했고, 조경숙왕은 “중산왕은 사치하고 음란할 뿐 천자를 도와 백성을 보살피지 않으니, 어찌 제후라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3]
2. 4. 1. 유단 폐위 사건
조경숙왕의 태자 유단(劉丹)은 자신의 딸 및 동복 누이와 간통했고, 객으로 있던 강충과 사이가 나빴다. 강충은 무제에게 유단의 음란함을 고발했고, 유단이 사람을 죽여 묻은 일이 있다고도 했다. 무제는 유단을 폐위하고,[5][3] 유단을 사로잡아 위군의 감옥에 가두고 죽이려 했다. 경숙왕은 무제에게 유단이 억울하게 고발당했다고 주장하고, 흉노 정벌에 참여시켜 죄를 씻게 해달라고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나중에 유단이 사면되자, 무제의 누이인 평양공주와 융려공주를 통해 복권하려 했으나 역시 실패했다.[3]
2. 5. 말년과 죽음
조경숙왕은 궁중에 사랑하는 희첩과 자손이 많았다. 겉으로는 공손하며 아첨을 잘 했고 간교했다. 조정에서 제후국에 파견한 재상과 질이천석의 관료들이 조정의 뜻대로 통치하는 것은 제후왕가에 해로운 일이므로 이를 방해했다. 관료가 부임하면 공손한 태도로 친히 맞이하면서, 어려운 질문으로 실언과 기휘(忌諱)를 범하는 것을 유도해 기록해 두었다가 관료가 통치를 하려 하면 그것을 빌미로 협박했고, 듣지 않으면 그것을 가지고 조정에 고소했다.[5][3] 이러니 60여 년에 달하는 재위 기간 중 2년 이상을 채운 재상이나 이천석이 없었고, 죄가 크면 죽었고 작으면 형벌을 당했다. 그래서 관리들은 조나라를 다스리지 못했고, 왕이 전권을 휘둘렀다. 조나라 현에 상인들을 보내 매매를 독점해서 거둬들인 수입이 조나라의 통상 조세보다 더 많아 조나라 왕가에는 돈이 많았다. 그러나 사랑하는 희첩과 아들들에게 다 주어 탕진했다.[5][3]
조경숙왕은 강도역왕의 첩이면서 의붓아들인 강도왕 유건과 간통한 요희(淖姬)를 첩으로 맞이해 매우 사랑했고, 그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요자(淖子)라 하여 총애했다. 한편 경숙왕의 태자 유단(劉丹)은 자기 딸과 동복 누나와 간통했고, 자신의 객으로 있던 강충과 사이가 나빴다. 강충은 무제에게 유단의 음란을 고발했고 또 유단이 사람을 죽여 묻은 일이 있다고 했다. 무제는 유단을 폐위했고,[5][3] 유단을 사로잡아 위군의 감옥에 두고 죽이려 했다. 경숙왕은 무제에게 유단이 원통한 송사를 당했다고 하고 또 유단을 흉노 정벌에 참여시켜 속죄하게 하려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나중에 유단이 사면되자 입조해서 무제의 누나 평양공주와 융려공주를 통해 유단을 다시 태자로 세우려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
조경숙왕은 궁실 축조나 복을 비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고, 관아의 일들을 좋아했다. 또 조정에 글을 올려 국중의 도적을 잡기를 원한다 하고, 항상 친히 병사를 거느리고 밤중에 한단을 사찰했다. 주변의 객이나 사신들은 조경숙왕의 횡포 때문에 감히 한단에 머물지 않았다.[5][3] 친아우 중산정왕은 나라를 다스리기를 좋아하지 않고 술과 여자를 즐겼는데, 그 때문에 서로 비난하여 중산정왕은 “형은 왕으로써 관리를 대신해 통치를 오로지한다. 왕이라면 마땅히 날마다 음악을 듣고 여자를 즐겨야지!”라고 했고 조경숙왕은 “중산왕은 사치하고 음란할 뿐 천자를 도와 백성을 어루만지지 않는데, 어찌 번신이라 일컫는가!”라고 했다.[3]
재위 63년 만인 기원전 93년에 죽었다.[2][3][7] 당시 조경숙왕의 아들들 중 살아서 후작위를 유지한 사람들 중 무시후 유창이 가장 맏이였다.[8] 무제의 궁중에 요희의 오라버니가 환관으로 있었으나, 그가 경숙왕의 후사로 요자와 유창을 묻는 무제에게 요자는 욕심이 많고 유창은 흠도 좋은 것도 없다고 대답해 유창이 그 뒤를 이으니, 곧 조경왕이다.[3] 또 정화 2년(기원전 91년)에 조경숙왕의 막내아들 유언을 새로 평간나라의 왕으로 세우니, 곧 평간경왕이다.[3][2]
추은령에 따라 스물네 아들에게 스물네 후국을 조나라에서 나누어 봉했다.
| 봉해진 해 | 후국명 | 비고 |
|---|---|---|
| 원삭 2년(기원전 127년) 6월 갑오일 | 위문, 봉사, 유구, 양참, 한회, 조절, 동성, 음성 | 위문은 후에 위군으로 이봉, 봉사는 지금의 자오현 북서로 상산군에 복속, 양참은 후에 광평군으로 이봉, 한회는 페이샹구 남서로 위군에 복속. |
| 원삭 3년(기원전 126년) 3월 을묘일 | 한평 | 후에 광평군으로 이봉 |
| 원삭 3년(기원전 126년) 4월 갑진일 | 무시, 상씨, 역 | 무시는 한단시 남서로 위군에 복속, 후에 위군으로 이봉, 상씨는 룽야오현 북으로 거록군에 복속, 역은 후에 호현으로 이봉. |
| 원삭 5년(기원전 124년) 11월 신유일 | 백창, 호 | 백창은 후에 중산군으로 이봉, 호는 상산군에 복속 |
| 기원전 124년 - 기원전 92년 사이 | 장북, 남련, 남릉, 학, 안단, 원척 | 장북은 후에 위군으로 이봉, 남련은 쥐루현 남으로 거록군에 복속, 후에 거록군으로 이봉, 남릉은 후에 임회군으로 이봉, 학은 후에 상산군에 이봉, 안단은 후에 위군에 이봉, 원척은 후에 제남군에 이봉. |
| 정화 원년(기원전 92년) | 율, 효, 효, 즉비 | 율과 효는 패군에 복속, 즉비는 위군에 복속, 후에 동해군에 이봉. |
[8]
전한 경제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효황후(孝皇后) 두의방이다.[3] 추은령에 따라 유팽조의 스물네 아들들은 조나라에서 각자의 후국을 봉읍받았다.[8] 또한 유팽조는 강도역왕의 첩이었던 요희(淖姬)를 첩으로 맞아들여 아들 요자(淖子)를 낳았으나, 요자와 관련된 기록은 자세하지 않다.[3]
3. 가계
3. 1. 자녀
조경숙왕은 아들이 많았고, 추은령에 따라 스물네 아들에게 스물네 후국을 조나라에서 나누어 봉했다.[8] 다음은 조경숙왕의 자녀 목록이다.
| 이름 | 작위 | 비고 |
|---|---|---|
| 유단 | 폐태자[5][3] | 태자였으나, 딸과 동복 누나와 간통하고 사람을 죽여 묻은 일이 발각되어 폐위되었다.[5][3] |
| 유병(劉丙) | 위문절후(尉文節侯)[8][9] | |
| 유호상(劉胡傷) | 봉사대후(封斯戴侯)[8] | 혹 봉사공후(封斯共侯) 유호양(劉胡陽)[9] |
| 유수복(劉受福) | 유구후(榆丘侯)[8] | 혹 유수복(劉壽福)[9] |
| 유건(劉建) | 양참후(襄嚵侯)[8][9] | |
| 유인 | 한회연후[8][9][11] | |
| 유의 | 조절후[8][9][10] | |
| 유유(劉遺) | 동성후(東城侯)[8][9] | |
| 유창(劉蒼) | 음성사후(陰城思侯)[8][9][10] | |
| 유순 | 한평후[8][9] | |
| 유창 | 무시후(武始侯)[8][9] → 조경왕[3][8] | 조경숙왕 사후 왕위를 계승했다.[3] |
| 유하(劉賀) | 상씨절후(象氏節侯)[8][9] | |
| 유평(劉平) | 역안후(易安侯)[8][9] | |
| 유종고(劉終古) | 백창대후(柏暢戴侯)[8] | 혹 백양후(栢陽侯)[9][11] |
| 유연년(劉延年) | 호안후(歊安侯)[8][9] | 혹 호후(鄗侯)[9] |
| 유관 | 장북후[8] | |
| 유타 | 남련후[8] | |
| 유경 | 남릉후[8] | |
| 유주 | 학후[8] | |
| 유복 | 안단후[8] | |
| 유당 | 원척후[8] | |
| 유악 | 율절후[8] | |
| 유주사 | 효이후[8] | |
| 유기 | 효절후[8] | |
| 유도 | 즉비대후 | |
| 유언 | 평간경왕[3][2] | 기원전 91년에 평간나라 왕으로 봉해졌다.[3][2] |
| 유료(劉廖)[8] | - | 원척후 유당의 형으로, 이름만 언급된다.[8] |
조경숙왕은 강도역왕의 첩이었던 요희(淖姬)를 첩으로 맞아들여 아들 요자(淖子)를 낳았으나, 요자와 관련된 기록은 자세하지 않다.[3]
참조
[1]
서적
한서 권5 경제기제5
[2]
서적
한서 권14 제후왕표제2
[3]
서적
한서 권53 경십삼왕전제23
[4]
서적
사기 권17 한흥이래제후왕연표제5
[5]
서적
사기 권59 오종세가제29
[6]
서적
사기 권11 효경제본기제11
[7]
문서
정화 (전한) 원년(기원전 92년)에, 순열의 《한기》에서는 정화 원년 3월에 죽었다 한다
[8]
서적
사기 권15 왕자후표제3
[9]
서적
사기 권21 건원이래왕자후자연표제9
[10]
문서
사기에는 시호가 누락되어 있다.
[11]
문서
사기 집필 당시에는 아직 살아 있어서 시호가 없었다.
[12]
문서
여나라가 도중에 제천나라로 이름이 바뀐 것으로, 유명이 봉해진 제천나라와는 연관이 없다.
[13]
문서
작위만 추증된 것으로, 봉지는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