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단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단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에 위치한 지급시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도시이다. 전국 시대 조나라의 수도였으며, 진 시황제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한단시는 6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11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탄과 철강 산업이 발달한 공업 도시로 성장했다. 그러나 환경 오염 문제도 안고 있다. 한단은 '한단학보'와 같은 많은 성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츠저우 도자기, 태극권의 양식 태극권, 샹탕산 동굴 등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며, 징강아오 고속도로, 한단 공항, 한단역, 한단둥역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단시 - 업 (지명)
    업은 춘추 시대 제나라에서 유래하여 전국 시대 위나라 때 번성한 도시로, 후한 시대 화베이 평원의 중심지였으며, 조조의 근거지를 거쳐 여러 왕조의 수도였으나 수당 시대에 파괴되었고, 현재 성터 유적과 불상 유물이 남아있는 지역이다.
  • 허베이성의 지급시 - 청더시
    청더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북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청나라 시대 피서산장이 건설되어 제2의 수도 역할을 했으며, 1994년 피서산장과 외팔묘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허베이성의 지급시 - 싱타이시
    싱타이시는 3,500년 역사의 중국 허베이성 지급시로, 상나라 시대 수도, 전국시대 조나라 임시 수도였으며, 수당 시대 도자기 생산 중심지, 원명청 시대 지방 행정 단위로서 현재 화북 지역의 천연 자원 기지이자 교통 요충지이다.
  • 중국의 옛 수도 - 대도
    대도는 1267년 쿠빌라이 칸이 건설하여 원나라의 수도로 삼은 도시이며, 몽골어로는 칸발릭, 마르코 폴로의 여행기에는 캄발룩으로 기록되었고, 명나라가 들어서면서 베이징으로 개칭되었다.
  • 중국의 옛 수도 - 흥경
    흥경은 여진족 추장 시오깡가의 거주지였던 헤투알라가 개명된 이름으로, 누르하치가 후금을 건국하며 수도로 삼았으나 요양으로 천도 후 묘소가 이전되었고, 현재는 용릉이 위치한 수자강 남쪽 기슭의 이중 성벽 구조를 갖춘 지역이다.
한단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단 시가지
한단 시가지
호복기사 동상
호복기사 동상
광푸 고대 도시
광푸 고대 도시
총타이 공원
총타이 공원
치부거우 관광지
치부거우 관광지
한단 스카이라인
한단 스카이라인
공식 명칭한단 시
고대 별칭한탐 (Hantam)
별칭몽성 (梦城, 꿈의 도시)
위치허베이 성
좌표36.601° N, 114.487° E
혁명 기념 공원 위치산시 성–허베이 성–산둥 성–허난 성 혁명 기념 공원
국가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 성
설치기원전 6500년
설립일1983년 11월 15일
행정 구역
현급 행정 구역6개 구, 1개 현급시, 11개 현
면적12,068 km²
시할구 면적2,649.1 km²
도시 지역 면적556.00 km²
인구
총 인구 (2020년)9,433,000 명
시할구 인구4,012,000 명
도시 인구2,845,790 명
도시 지역 인구 밀도5,100 명/km²
경제
GDP (지급시)3150억 위안 (미화 505억 달러)
1인당 GDP33,450 위안 (미화 5,371 달러)
행정 및 코드
우편 번호056002
지역 번호0310
ISO 3166-2CN-HE-04
차량 번호판冀D
기타 정보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8)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도시 정보
도시목해당사항 없음
시화월계화
역사
춘추전국시대조나라 수도
진나라한단 군 설치
서한조나라, 한단 군
후한한단 군
삼국시대한단 현
서진한단 현
동진한단 현
남북조 시대한단 현 (동위 시대 폐지)
수나라한단 현
당나라한단 현
오대한단 현
북송한단 현
남송한단 현
원나라한단 현
명나라한단 현
청나라한단 현
중화민국한단 현, 한단 시
중화인민공화국한단 전구, 한단 지구, 한단 시

2. 역사

한단(邯鄲)이라는 지명은 『죽서기년』에 처음 나타난다. 지명의 유래는 『한서』 지리지 중 張晏|장안중국어의 주석에 따라 한단산으로 여겨진다. 이 산은 원래 한산(邯山)으로 불렸고, 거기에 산맥의 말단이라는 의미의 단(単)이 더해져 "한단(邯単)"이 되었으며, 더 나아가 성곽이 형성되면서 阝(邑)이 추가되어 "한단(邯鄲)"이 되었다.

진승, 오광의 난 이후 조나라가 부활하지만, 진나라 장군 장한에 의해 한단이 점령되고 철저하게 파괴되었다. 전한 시대에 한단은 부흥하여 당시 5대 도시 중 하나가 되었지만, 잇따른 전란으로 쇠퇴하여 당나라 이후에는 단순한 진(鎭)이 되었다.

금나라가 몽골 제국에 멸망한 후 한단은 몽골 영토에 편입되었다. 원나라 초기에 한단은 대도(현재의 베이징)의 수도 지역에 속했다. 그러나 원나라 말기에는 이 지역에 빈번한 홍수와 메뚜기 재앙이 발생하여 주민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명나라가 건국되면서 한단 지역은 북직례의 관할 하에 놓였다. 광평부와 대명현의 통치를 받았다. 주원장 황제는 산서성에서 빈곤한 가구들을 대명과 광평으로 이주시키는 재정착 정책을 시행하여 오대 십국 시대의 쇠퇴 이후 이 지역을 부활시켰다.

명나라 말기, 이자성의 영향으로 한단 사람들이 봉기를 일으켰다. 1644년, 군대가 만리장성을 넘어 중원에 진입한 후, 장지방이 이끄는 지역 저항군은 침략자들과 싸웠으나 잔혹하게 진압당했다. 청나라 하에서 행정 구조는 명나라와 유사하게 유지되었으며, 이 지역은 여전히 직례라고 불렸다. 대명부는 직례 총독의 소재지였으며, 한단현은 광평부에 속하여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하북 남부와 하남 북부의 정치 및 경제 중심지 역할을 했다.

1928년, 즈리성은 허베이성으로 개칭되었고, 한단시는 성 직할로 편입되었다. 군벌 시대 동안, 한단시는 즈리 군벌과 안후이 군벌 사이의 분쟁 지역이 되었다. 1927년, 중국 공산당 지부가 한단에 설립되었고, 이 지역은 중원대전에 휘말렸다. 1940년대 중반까지, 한단시는 약 1km2의 면적과 약 28,000명의 인구를 가진 작은 상업 도시로 쇠퇴했다.

중일 전쟁 동안, 제8로군 제129사단의 전 사령부, 즉 류보청-덩샤오핑 군 사령부가 한단시 내의 섭현에 위치해 있었다.

1945년 일본의 패망 이후, 한단시는 도시로 지정되었고 진-지-루-위(晋冀鲁豫) 변구 정부의 소재지 역할을 했다. 같은 해 10월, 충칭 담판 기간 동안, 국민혁명군은 철도를 따라 북쪽으로 진격하며 공산군 통제 지역을 통과했다.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한단 전투로 이어졌다. 11월까지, 공산군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화북 해방구를 통일된 영토로 통합했다.

1946년, 중국 공산당의 진-지-루-위 지역 중앙국은 한단에서 주요 공식 신문을 창간할 계획을 세웠다. 초기에는 진-지-루-위 일보와 타이항 일보 등의 이름이 고려되었지만, 마오쩌둥인민일보라는 제목을 제안했다. 창간호는 1946년 5월 15일 시바이포에서 인쇄되었지만, 이 프로젝트는 한단에서 시작되었으며, 이 간행물은 "인민일보 한단판(人民日报邯郸版)"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52년 12월 22일, 한단시는 다시 도시로 재설립되었고, 1954년에는 성급 도시가 되었다. 1956년, 펑펑시가 한단에 통합되었고, 1983년에는 한단현이 통합되었다. 1984년, 한단시는 다시 성급 도시로 지정되었고, 1986년에는 우안 (후에 우안시)이 편입되었다.

한단시는 청나라(1644–1911) 시대까지 훌륭한 츠저우 도자기로 명성을 유지했다. 또한, 태극권의 다섯 주요 유파 중 하나인 양식 태극권이 19세기에 탄생한 곳이기도 하다.

한단의 고대 역사의 많은 부분이 더 이상 보이지 않지만, 여전히 몇몇 명소가 남아있는데, 이는 도시가 영감을 준 많은 성어에서 유래한다. 예를 들어, 소중한 화씨벽을 호송하는 린샹루가 자신의 숙적인 롄포를 먼저 지나가게 하기 위해 뒤로 물러섰던 길, 그리고 롄포가 린샹루에게 용서를 구했던 장소 등이 있다. 현대의 Congtai 공원은 역사적인 자오 왕조의 궁터에 위치해 있다. Congtai 공원 옆에는 전설적인 "쒀부교(학보교)" , 즉 "걷기 배우는 다리"가 있다. 전설에 따르면 연나라의 한 귀족이 한단에서 독특하고 우아한 걸음걸이에 대해 들었다고 한다. 한단에 도착한 그는 다리 위에서 한단식 걸음걸이를 마스터하기 위해 몇 주를 보냈지만 실패했다. 그 과정에서 그는 정상적으로 걷는 방법을 잊어버렸고 연나라로 기어 돌아가야 했다. 이 이야기는 "한단의 걸음걸이를 배운다"라는 중국어 표현에 영감을 주었는데, 이는 무언가를 너무 열심히 배우려다가 그 과정에서 기본을 잊어버리는 것을 의미한다.[10]

쒀부교의 고대 석조 다리.


가까운 샹탕산 동굴에는 산비탈에 조각된 거대한 불상들이 있는데, 일부는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 중 다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침략으로 심하게 손상되었다. 당시 한단은 일본 침략군에게 석탄 매장량으로 인해 가치가 높았다. 불상의 많은 부분이 현재 전 세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여러 부분은 현재 메트로폴리탄 미술관,[11] 샌디에이고 미술관,[12] 및 펜 박물관에 있다.[13]

2007년, 한단시는 중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은행 강도 사건이 발생한 장소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개혁개방 정책에 따라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루어, 철강업 등에 연료를 공급하는 석탄업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공업 도시가 되었다. 또한 일용 자기 생산에서는 당산 시를 제치고, 중국 북부 최대의 생산지가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시의 서쪽 태행산맥에서 발원하여, 시가지를 관통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보양하에서는, 상류에서의 과도한 취수와 생활 폐수 및 공장 폐수의 투기로 인해 단류 및 수질 오염이 일어나, 중대한 공해 문제가 되고 있다.[32][33]

2. 1. 고대

전국 시대 한단 고고학 유적 지도


죽서기년에 따르면, 상 왕조 말기 왕들은 한단 지역에 궁전을 건설했으며, 이는 3,050년에서 3,100년 전에 걸쳐 이루어졌다. 서주 초기 주 성왕 재위 기간 동안 한단은 비국의 일부였으며, 상 주왕의 아들 무경이 거주했다. 이후 위국의 통제를 받았다. 기원전 661년, 북적은 한단을 정복하여 위를 멸망시킨 후 40년 이상 통치했다. 기원전 588년, 진나라가 북적을 격파했고, 한단은 진나라에 편입되었다. 기원전 546년, 위가 부활한 후 반란으로 인해 위 왕족 구성원들이 한단으로 피신했다. 이 사건은 춘추 (곡량전)에 기록되어 있다.

전국 시대 (기원전 5-3세기) 동안 한단은 조나라의 중요한 도시였다. 기원전 386년, 조 경후는 공식적으로 수도를 한단으로 이전하고 대규모 건설을 시작했다. 이는 중모에 이은 두 번째 수도였다. 조나라가 진나라에 정복될 때까지 158년 동안 수도로 남았다. 조 무령왕은 조나라를 진나라의 가장 강력한 적 중 하나로 만들었고, 새로운 국경을 확보하기 위해 벽을 사용하는 것을 개척했다(이는 결국 만리장성 건설에 영감을 주었다). 기원전 228년 진나라가 조나라를 사실상 병합한 후, 한단은 대군을 제외하고 진나라에 정복되었다.

중국 최초의 황제인 진 시황은 한단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진 장상왕으로 진나라의 정치가였고, 어머니는 한단 출신의 조태후였다.[32][33]

원래의 이름은 감이며, 같은 이름의 산에서 유래되었다. 위(衛)에 속하는 거리였지만, 진나라 (晉)에 점령되어 전국시대에 조나라의 수도가 진양(晋陽)(현 타이위안 시)에서 천도하여 많이 발전한 이후에 한단(邯鄲)으로 개명되었다.



진나라는 조나라에 대해 인질로서 소양왕의 손자 자초(후의 진 장양왕)를 보냈지만, 대상인 여불위자초의 비범함을 간파하고 그를 구해낸 후에 후견인으로서 세력을 다지게 한다. 여불위는 애첩을 자초에게 주어 태어난 아이가 후의 진 시황제가 되는 정이다. 시황제는 조나라를 멸망시킨 이후 한단에 입성해, 생모의 적들을 모두 생매장시켰다고 전한다.[32][33]

신화 시대에는 여와가 한단의 고중황산에서 흙으로 사람을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다. 1만 년 전에는 이미 구석기 문화가 존재하고 있었으며, 오래전부터 인류의 활동이 있었음이 인정된다. 도시가 형성된 것은 은대이며, 은나라 초기에는 형(현재의 싱타이 시), 후에 은(현재의 안양 시)에 도성이 세워졌고, 한단은 기내로 여겨졌다. 『죽서기년』에는 은나라 말기 제신(주왕)이 한단에 "이궁별관"을 건설했다는 기록이 있다.

주나라가 성립되자 위국에 속했고, 춘추 시대에는 진국의 판도가 되었다. 기원전 500년 (진정공 12년)에는 진국 정경인 조앙 (조간자)에 의해 한단을 자기 세력 하에 두었고, 이후 한단은 조씨가 세습하는 영지가 되었다.

전국 시대의 기원전 386년 (조경후 원년), 조나라의 도성이 중모(현재의 허베이성허비 시산청 구)에서 한단으로 옮겨졌다. 기원전 228년 (진시황 19년), 진군이 한단을 공격했고, 조왕은 진나라에 항복하여 한단은 진나라의 판도가 되었으며, 기원전 221년 (진시황 26년)에는 진나라가 조나라를 멸망시키고, 이듬해 중국 통일을 달성하자, 한단현이 설치되어 한단군의 군 치소가 되었다.

2. 2. 중세

진나라(晉)에 점령되어 전국시대에 조나라의 수도가 진양에서 천도하여 많이 발전한 이후에 한단(邯鄲)으로 개명되었다.[32][33]

진 시황제 탄생지이다. 진나라는 조나라에 대해 인질로서 소양왕의 손자 자초(후의 장양왕)를 보냈지만, 대상인 여불위는 자초의 비범함을 간파하고 그를 구해낸 후에 후견인으로서 세력을 다지게 한다. 여불위는 애첩을 자초에게 주어 태어난 아이가 후의 진 시황제가 되는 정이다. 시황제는 조나라를 멸망시킨 이후 한단에 입성해, 생모의 적들을 모두 생매장시켰다고 전한다.[32][33]

진승, 오광의 난이 일어나 조나라가 부활하지만, 진나라 장군 장한에 의해 조나라 한단이 점령되었고, 한단 점령 후에 한단을 철저하게 파괴했다. 그 후, 전한 시대에는 한단이 부흥해 당시의 5대 도시의 하나였지만, 잇따른 전란으로 쇠퇴해, 당대 이후는 단순한 진이 되었다.[32][33]

서한 초기에 한단은 유방이 기원전 197년과 196년에 진희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한 근거지였다. 서한 말기에 한단은 여전히 전국 5대 도시 중 하나였으며, 13.6제곱킬로미터의 시가지와 15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 수공업, 상업, 철 제련 산업이 매우 발달했다.[32][33]

동한의 개국 황제인 광무제가 하북에서 군대를 일으킨 후 한단을 점령하고 현으로 강등하면서, 이 도시는 수도에서 현의 소재지로 처음 강등되었다. 이것이 한단의 쇠퇴의 시작이었다. 동한 말기에는 원소가 하북을 장악하고 업을 건설하여 점차 한단을 대체하고 두각을 나타냈다. 참고로 업은 현재 린장현에 위치해 있으며, 지금도 한단부에 속해 있다.[32][33]

삼국 시대에는 조조가 업을 근거지로 삼아 업의 부상을 알렸다. 조위 건국 후 업은 위나라의 북경이 되어 북중국의 정치 중심지가 되었다. 위나라 수도의 건설은 중앙 축을 따라 대칭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했으며, 동작대와 같은 상징적인 구조물이 있었다.[32][33]

서진 말기에 오호 십육국 시대의 혼란으로 북중국이 혼란에 빠지면서 한단은 선비족, 걸족과 같은 여러 비한족에게 점령되어 도시가 폐허가 되었다.[32][33]

오호 십육국 시대 동안 린장의 업은 후조, 염위, 전연의 수도로, 이후 동위북제의 수도로 연이어 사용되어 총 364년간 지속되었다. 580년, 북주의 장군 위치경은 업에 주둔하며 수 문제에게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여 고대 도시 업이 불에 타 파괴되었다.[32][33]

수나라 말기에 한단은 두건덕의 하북 반군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두건덕은 현재 한단시 융녠구에 있는 광부를 단명한 하(夏) 정권의 수도로 삼았다.[32][33]

당나라 치하에서 한단은 명주와 자주에 편입되었다. 한편, 이 지역의 위주는 점차 두각을 나타내 나중에 대명부로 개칭되었으며, 이는 현재 한단시의 다밍현이다. 621년까지 대명은 황하 북쪽의 중심 도시로 부상했다.[32][33]

안사의 난 동안 업은 안경서의 근거지였다. 유명한 업 전투가 있었고, 그 후 안경서는 사사명에게 살해당했다.[32][33]

923년, 이존욱은 대명에서 즉위하여 황제를 칭하고 후당을 건국했으며, 역사적으로 후당의 장종으로 알려졌다.[32][33]

송나라 시대에는 요나라의 침략에 대응하여 대명부는 주도(현재의 카이펑)의 부도로 승격되었다. 절정에 이르러 이 도시는 100만 명 이상의 인구를 보유했으며, 서역에서 온 상인들을 끌어들이는 번성한 무역이 이루어졌다.[32][33]

북송 말기에 여진족의 금나라중원을 침략했다. 한단 지역에서는 지역 주민들이 왕연의 "팔자군" 게릴라 부대에 합류하여 태항산맥에서 수십 년 동안 금나라에 저항했으며, 완안량의 남정 때까지 이어졌다. 오랜 전쟁으로 인해 한단은 쇠퇴하여 결국 홍수로 침수되었다. 송나라 시대의 한단 유적은 4미터 아래의 황하 퇴적물 속에 보존되어 있다.[32][33]

2. 3. 근대

진 시황은 한단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진 장상왕으로 진나라의 정치가였고, 어머니는 한단 출신의 조태후였다.[32][33]

서한 초기에 한단은 유방이 기원전 197년과 196년에 진희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한 근거지였다. 서한 말기에 한단은 전국 5대 도시 중 하나였으며, 13.6km2의 시가지와 15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 수공업, 상업, 철 제련 산업이 매우 발달했다.[32][33]

서한 말기, 왕랑은 농민군을 지원하기 위해 한단 지역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동한의 광무제가 하북에서 군대를 일으킨 후 한단을 점령하고 현으로 강등하면서, 이 도시는 수도에서 현의 소재지로 강등되었다. 이는 한단 쇠퇴의 시작이었다. 동한 말기, 원소가 하북을 장악하고 업을 건설하여 점차 한단을 대체했다. 업은 현재 린장현에 있으며, 지금도 한단부에 속해 있다.[32][33]

삼국 시대조조는 업을 근거지로 삼았다. 조위 건국 후 업은 위나라의 북경이 되어 북중국의 정치 중심지가 되었다. 위나라 수도의 건설은 중앙 축을 따라 대칭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했으며, 동작대와 같은 상징적인 구조물이 있었다.[32][33]

서진 말기, 오호 십육국 시대의 혼란으로 북중국이 혼란에 빠지면서 한단은 선비족, 걸족 등에게 점령되어 폐허가 되었다.[32][33]

오호 십육국 시대 동안 린장의 업은 후조, 염위, 전연의 수도로, 이후 동위북제의 수도로 연이어 사용되어 총 364년간 지속되었다. 580년, 북주의 장군 위치경은 업에 주둔하며 수 문제에게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여 고대 도시 업이 불에 타 파괴되었다.[32][33]

수나라 말기, 한단은 두건덕의 하북 반군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두건덕은 현재 한단시 융녠구에 있는 광부를 단명한 하(夏) 정권의 수도로 삼았다.[32][33]

당나라 치하에서 한단은 명주와 자주에 편입되었다. 한편, 이 지역의 위주는 점차 두각을 나타내 나중에 대명부로 개칭되었으며, 이는 현재 한단시의 다밍현이다. 621년까지 대명은 황하 북쪽의 중심 도시로 부상했다.[32][33]

안사의 난 동안 업은 안경서의 근거지였다. 유명한 업 전투가 있었고, 그 후 안경서는 사사명에게 살해당했다.[32][33]

923년, 이존욱은 대명에서 즉위하여 황제를 칭하고 후당을 건국했으며, 역사적으로 후당의 장종으로 알려졌다.[32][33]

송나라 시대, 요나라의 침략에 대응하여 대명부는 주도(현재의 카이펑)의 부도로 승격되었다. 절정에 이르러 이 도시는 100만 명 이상의 인구를 보유했으며, 서역에서 온 상인들을 끌어들이는 번성한 무역이 이루어졌다.[32][33]

북송 말기, 여진족의 금나라중원을 침략했다. 한단 지역에서는 지역 주민들이 왕연의 "팔자군" 게릴라 부대에 합류하여 태항산맥에서 수십 년 동안 금나라에 저항했으며, 완안량의 남정 때까지 이어졌다. 오랜 전쟁으로 한단은 쇠퇴하여 결국 홍수로 침수되었다. 송나라 시대의 한단 유적은 4m 아래의 황하 퇴적물 속에 보존되어 있다.[32][33]

금나라가 몽골 제국에 멸망한 후 한단은 몽골 영토에 편입되었다. 원나라 초기에 한단은 대도(현재의 베이징)의 수도 지역에 속했다. 그러나 원나라 말기에는 이 지역에 빈번한 홍수와 메뚜기 재앙이 발생하여 주민들이 어려움을 겪었다.[32][33]

1368년, 명나라가 건국되면서 한단 지역은 북직례의 관할 하에 놓였다. 광평부와 대명현의 통치를 받았다. 주원장 황제는 산서성에서 빈곤한 가구들을 대명과 광평으로 이주시키는 재정착 정책을 시행하여 오대 십국 시대의 쇠퇴 이후 이 지역을 부활시켰다.[32][33]

명나라 말기, 이자성의 영향으로 한단 사람들이 봉기를 일으켰다. 1644년, 군대가 만리장성을 넘어 중원에 진입한 후, 장지방이 이끄는 지역 저항군은 침략자들과 싸웠으나 잔혹하게 진압당했다. 청나라 하에서 행정 구조는 명나라와 유사하게 유지되었으며, 이 지역은 여전히 직례라고 불렸다. 대명부는 직례 총독의 소재지였으며, 한단현은 광평부에 속하여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하북 남부와 하남 북부의 정치 및 경제 중심지 역할을 했다.[32][33]

1928년, 즈리성은 허베이성으로 개칭되었고, 한단시는 성 직할로 편입되었다. 군벌 시대 동안, 한단시는 즈리 군벌과 안후이 군벌 사이의 분쟁 지역이 되었다. 1927년, 공산당 지부가 한단에 설립되었고, 이 지역은 중원대전에 휘말렸다. 1940년대 중반까지, 한단시는 약 1km2의 면적과 약 28,000명의 인구를 가진 작은 상업 도시로 쇠퇴했다.[32][33]

중일 전쟁 동안, 제8로군 제129사단의 전 사령부, 즉 류보청-덩샤오핑 군 사령부가 한단시 내의 섭현에 위치해 있었다.[32][33]

1945년 일본의 패망 이후, 한단시는 도시로 지정되었고 진-지-루-위(晋冀鲁豫) 변구 정부의 소재지 역할을 했다.[32][33]

1945년 10월, 충칭 담판 기간 동안, 국민혁명군은 철도를 따라 북쪽으로 진격하며 공산군 통제 지역을 통과했다.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한단 전투로 이어졌다. 11월까지, 공산군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화북 해방구를 통일된 영토로 통합했다.[32][33]

1946년, 중국 공산당의 진-지-루-위 지역 중앙국은 한단에서 주요 공식 신문을 창간할 계획을 세웠다. 초기에는 진-지-루-위 일보와 타이항 일보 등의 이름이 고려되었지만, 마오쩌둥인민일보라는 제목을 제안했다. 창간호는 1946년 5월 15일 시바이포에서 인쇄되었지만, 이 프로젝트는 한단에서 시작되었으며, 이 간행물은 "인민일보 한단판(人民日报邯郸版)"으로 알려지게 되었다.[32][33]

1952년 12월 22일, 한단시는 다시 도시로 재설립되었고, 1954년에는 성급 도시가 되었다. 1956년, 펑펑시가 한단에 통합되었고, 1983년에는 한단현이 통합되었다. 1984년, 한단시는 다시 성급 도시로 지정되었고, 1986년에는 우안 (후에 우안시)이 편입되었다.[32][33]

한단시는 청나라(1644–1911) 시대까지 훌륭한 츠저우 도자기로 명성을 유지했다. 또한, 태극권의 다섯 주요 유파 중 하나인 양식 태극권이 19세기에 탄생한 곳이기도 하다.[32][33]

한단의 고대 역사의 많은 부분이 더 이상 보이지 않지만, 여전히 몇몇 명소가 남아있는데, 이는 도시가 영감을 준 많은 성어에서 유래한다. 예를 들어, 소중한 화씨벽을 호송하는 린샹루가 자신의 숙적인 롄포를 먼저 지나가게 하기 위해 뒤로 물러섰던 길, 그리고 롄포가 린샹루에게 용서를 구했던 장소 등이 있다. 현대의 Congtai 공원은 역사적인 자오 왕조의 궁터에 위치해 있다. Congtai 공원 옆에는 전설적인 "쒀부교(학보교)" , 즉 "걷기 배우는 다리"가 있다. 전설에 따르면 연나라의 한 귀족이 한단에서 독특하고 우아한 걸음걸이에 대해 들었다고 한다. 한단에 도착한 그는 다리 위에서 한단식 걸음걸이를 마스터하기 위해 몇 주를 보냈지만 실패했다. 그 과정에서 그는 정상적으로 걷는 방법을 잊어버렸고 연나라로 기어 돌아가야 했다. 이 이야기는 "한단의 걸음걸이를 배운다"라는 중국어 표현에 영감을 주었는데, 이는 무언가를 너무 열심히 배우려다가 그 과정에서 기본을 잊어버리는 것을 의미한다.[10]

가까운 샹탕산 동굴에는 산비탈에 조각된 거대한 불상들이 있는데, 일부는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 중 다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침략으로 심하게 손상되었다. 당시 한단은 일본 침략군에게 석탄 매장량으로 인해 가치가 높았다.[32][33]

불상의 많은 부분이 현재 전 세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여러 부분은 현재 메트로폴리탄 미술관,[11] 샌디에이고 미술관,[12] 및 펜 박물관에 있다.[13] 전체 목록은 [14]를 참조.

2007년, 한단시는 중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은행 강도 사건이 발생한 장소였다.[32][33]

1980년대 이후에는 개혁개방 정책에 따라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루어, 철강업 등에 연료를 공급하는 석탄업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공업 도시가 되었다. 또한 일용 자기 생산에서는 당산 시를 제치고, 중국 북부 최대의 생산지가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시의 서쪽 태행산맥에서 발원하여, 시가지를 관통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보양하에서는, 상류에서의 과도한 취수와 생활 폐수 및 공장 폐수의 투기로 인해 단류 및 수질 오염이 일어나, 중대한 공해 문제가 되고 있다.[32][33]

3. 행정 구역

한단시의 현급 행정 구역


한단시는 6개 시할구, 1개 현급시, 11개 현을 관할한다.[32][33]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3개의 도시구는 941,427명, 시가지 지역은 2,845,790명, 전체 지급시 지역은 9,174,683명(12068km2)이었다. 시 행정부, 입법부 및 중급인민법원 (사법부)은 총타이구()에 있으며, 중국 공산당 및 공안 국도 이곳에 있다.

이름중국어 간체병음인구 (2004년 추정)면적 (km2)인구 밀도 (/km2)
총타이구丛台区Cóngtái Qū330,0002811,786
한산구邯山区Hánshān Qū310,000329,688
푸싱구复兴区Fùxīng Qū250,000376,757
펑펑 광구峰峰矿区Fēngfēng Kuàngqū500,0003531,416
페이샹구肥乡区Féixiāng Qū310,000496625
융녠구永年区Yǒngnián Qū860,000898958
우안시武安市Wǔ'ān Shì720,0001,806399
린장현临漳县Línzhāng Xiàn590,000744793
성안현成安县Chéng'ān Xiàn370,000485763
다밍현大名县Dàmíng Xiàn750,0001,052713
서현涉县Shè Xiàn390,0001,509258
츠현磁县Cí Xiàn640,0001,035618
추현邱县Qiū Xiàn200,000448446
지쩌현鸡泽县Jīzé Xiàn250,000337742
광핑현广平县Guǎngpíng Xiàn250,000320781
관타오현馆陶县Guǎntáo Xiàn290,000456636
웨이현魏县Wèi Xiàn810,000862940
취저우현曲周县Qǔzhōu Xiàn410,000667615


3. 1. 시할구



한단시는 6개 시할구, 1개 현급시, 11개 현을 관할한다.

  • 시할구

이름인구 (2004년 추정)면적 (km2)
총타이구330,00028
한산구310,00032
푸싱구250,00037
펑펑 광구500,000353
페이샹구310,000496
융녠구860,000898


  • 현급시


이름인구 (2004년 추정)면적 (km2)
우안시720,0001,806




이름인구 (2004년 추정)면적 (km2)
츠현640,0001,035
청안현370,000485
다밍현750,0001,052
관타오현290,000456
광핑현250,000320
지쩌현250,000337
린장현590,000744
추현200,000448
취저우현410,000667
웨이현810,000862
서현390,0001,509


3. 2. 현급시



한단시는 1개의 현급시를 관할한다.

3. 3. 현

이름중국어 간체병음인구 (2004년 추정)면적 (km2)인구 밀도 (/km2)
총태구丛台区Cóngtái Qū330,0002811,786
한산구邯山区Hánshān Qū310,000329,688
푸싱구复兴区Fùxīng Qū250,000376,757
펑펑 광구峰峰矿区Fēngfēng Kuàngqū500,0003531,416
페이샹구肥乡区Féixiāng Qū310,000496625
융녠구永年区Yǒngnián Qū860,000898958
무안시武安市Wǔ'ān Shì720,0001,806399
린장현临漳县Línzhāng Xiàn590,000744793
성안현成安县Chéng'ān Xiàn370,000485763
다밍현大名县Dàmíng Xiàn750,0001,052713
서현涉县Shè Xiàn390,0001,509258
츠현磁县Cí Xiàn640,0001,035618
추현邱县Qiū Xiàn200,000448446
지쩌현鸡泽县Jīzé Xiàn250,000337742
광핑현广平县Guǎngpíng Xiàn250,000320781
관타오현馆陶县Guǎntáo Xiàn290,000456636
웨이현魏县Wèi Xiàn810,000862940
취저우현曲周县Qǔzhōu Xiàn410,000667615


4. 지리

서쪽에는 태항산맥이 솟아 있으며, 그곳에서 부양하(해하 수계 자야하의 지류)가 흐른다. 또한 남쪽의 허난성안양시와의 사이로 장하(해하 수계 위하의 지류)가 흐른다.

5. 기후

한단시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강력한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Dwa)/반건조 기후(BSk)를 보이며, 이는 화베이 평원의 특징이다. 월평균 기온은 1월 -0.7°C에서 7월 27.8°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14.3°C이다. 연평균 강수량 502mm의 대부분은 7월과 8월에 발생한다.[34][3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평균 최고 기온 (°C)4.2°C8.7°C15.3°C22.1°C27.7°C32.5°C32.5°C30.8°C27.3°C21.4°C12.8°C6°C
평균 최저 기온 (°C)-4.5°C-1.3°C4.3°C10.5°C16.2°C21.1°C23.6°C22.4°C17.3°C10.7°C3°C-2.8°C
평균 강수량 (mm)3.2mm7.6mm9.8mm27.1mm40.8mm50.7mm147mm122.7mm46.5mm26.3mm14.9mm3.5mm
평균 상대 습도 (%)575350545656727669646460


6. 경제

한단은 지난 20년간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도시의 산업 성장은 통신 및 운송 활동에 집중되어 있으며, 펑펑의 탄광은 한단의 철강 및 섬유 공장에 동력을 제공하여 한단은 석탄과 철강의 주요 생산지로 자리매김했다.[17] 화학 및 시멘트 공장과 기타 산업도 발전했다. 지역 농업으로는 옥수수, 석류, 계란을 생산한다.[17]

또한, 한단은 소매, 은행, 무역이 경제의 40%를 차지하는 서비스 부문이 성장하고 있다.[18] 2005년 1인당 GDP는 13449CNY였고, 2015년에는 33554.87CNY였다.

6. 1. 산업

한단은 지난 20년간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도시의 산업 성장은 통신 및 운송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단은 석탄과 철강의 주요 생산지이며, 펑펑의 탄광은 한단의 철강 및 섬유 공장에 동력을 공급한다.[17] 화학 및 시멘트 공장과 기타 산업 역시 혜택을 받고 있다. 지역 농업으로는 옥수수, 석류, 계란을 생산한다.[17]

한단은 또한 소매, 은행 및 무역이 경제의 40%를 차지하는 서비스 부문이 성장하고 있다.[18] 2005년 1인당 GDP는 13449CNY로 추정되었다. 2015년에는 33554.87CNY였다.

6. 2. 서비스 산업

한단은 지난 20년간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도시 산업은 통신 및 운송에 집중되어 있으며, 펑펑의 탄광은 한단의 철강 및 섬유 공장에 동력을 제공하여 한단은 석탄과 철강의 주요 생산지로 자리매김했다.[17] 화학, 시멘트 공장 및 기타 산업도 발전했다. 지역 농업은 옥수수, 석류, 계란을 생산한다.[17]

또한, 한단은 소매, 은행, 무역이 경제의 40%를 차지하는 서비스 부문이 성장하고 있다.[18] 2005년 1인당 GDP는 13449CNY로 추정되었으며, 2015년에는 33554.87CNY였다.

6. 3. 환경 문제

하이허 수계의 지류인 부양하(滏陽河)는 상류에서의 과다한 취수, 생활 배수, 공장 폐수 투기로 인해 단류 및 수질 오염이 발생하여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19]

2013년 2월 "글로벌 보이스 차이나"의 조사에 따르면, 한단시는 과도한 산업 생산으로 인해 중국에서 가장 오염된 도시 중 하나였다.[19] 그러나 중국 정부는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여기에는 다수의 오염 발전소 폐쇄도 포함되었다. 그 결과, 한단시는 더 이상 최악의 오염 도시가 아니며, 2016년 정부 조사에서는 양호한 대기질을 보인 날이 189일로 2013년에 비해 135일 증가했다.[20]

7. 문화

한단은 중국 속담의 수도로 칭송받고 있으며,[28] 전국 시대 번성한 도시이자 문화 중심지로서 많은 학자들을 끌어모았다. 이 도시에서 1,500개 이상의 속담과 격언이 유래되었다.[9]

속담의미
한단학보(邯鄲學步)다른 사람을 서투르게 흉내 내다가 그 과정에서 자신의 개성을 잃는다는 의미
황량몽(黃粱一夢)헛된 꿈을 의미
정천입지(頂天立地)굳건한 자립심을 갖는다는 의미
위위구조(圍魏救趙)포위한 적을 공격하여 포위된 아군을 구원한다는 의미
불가동일이어(不可同日而語)비교할 수 없다는 의미
경궁지조(驚弓之鳥)공황 상태에 빠진 사람을 의미
휼蚌相爭,漁翁得利(휼방상쟁, 어옹득리)도요새와 조개가 다투면 어부가 이익을 본다는 뜻. 연나라 왕이 조나라 혜왕에게 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절을 보냈고, 혜왕은 전쟁 계획을 재고함.
광일지구(曠日持久)오래 끈다는 의미
완벽귀조(完璧歸趙)옥을 조나라로 돌려보내다는 뜻으로, 어떤 것을 소유자에게 온전한 상태로 돌려준다는 의미
가치연성(价值连城)값을 매길 수 없다는 의미
노발충관(怒髮衝冠)격노한다는 의미
부형청죄(負荊請罪)겸손하게 사과한다는 의미
지상담병(紙上談兵)탁상공론한다는 의미
청출어람(青出於藍,而勝於藍)스승보다 뛰어나다는 의미


7. 1. 문화 유적

한단시는 AAAAA급 관광지인 광부 고성과 여와 황궁이 있는 곳이다.[1] 향당산 석굴도 이곳에 있다.[1]

  • '''조왕성 유적''': 시의 남서쪽에 있으며, 궁전 건축군의 기단이 남아있다.[1]
  • '''무령총대''': 조나라 시대에 군사 및 가무 관람을 위해 건설되었지만, 경치가 좋아 후에 누각이 세워졌으며, 많은 한시에서 노래되었다.[1]
  • '''황량몽 여선사''': 시 외곽에 있는 누각으로, 『한단지몽(邯鄲之夢)』(황량몽)에 등장하는 도사 여옹을 모신다.[1]
  • '''모수묘''': 조나라 평원군의 식객으로, '낭중지추(囊中之錐)', '모수자천(毛遂自薦)'의 어원이 된 인물인 모수의 묘. 영년구에 있다. 이 지역 외에도 산둥성 조장시 등주시에도 모수묘가 있다.[1]
  • '''향당산 석굴'''[1]
  • '''조원'''[1]
  • '''화황궁'''[1]
  • '''광부진''': 영년구에 있으며, 명나라 광평부의 중심지로, 성곽 도시가 잘 보존되어 있다. 태극권의 발상지이기도 하다.[1]

7. 2. 성어

한단은 중국 속담의 수도로 칭송받고 있다.[28] 전국 시대 번성한 도시이자 문화 중심지였던 한단은 많은 학자들을 끌어모았다. 1,500개 이상의 속담과 격언이 이 도시에 기인한다.[9] 다음은 가장 잘 알려진 몇 가지 속담들이다.

  • '''한단학보(邯鄲學步)''' (문자 그대로: "한단의 걷는 법을 배우다"): 다른 사람을 서투르게 흉내 내다가 그 과정에서 자신의 개성을 잃는다는 의미이다.
  • '''황량몽(黃粱一夢)''' (문자 그대로: "기장 꿈"): 헛된 꿈을 의미한다.
  • '''정천입지(頂天立地)''' (문자 그대로: "두 다리로 하늘과 땅 사이에 똑바로 서다"): 굳건한 자립심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 '''위위구조(圍魏救趙)''' (문자 그대로: "위나라를 포위하여 조나라를 구하다"): 포위한 적을 공격하여 포위된 아군을 구원한다는 의미이다.
  • '''불가동일이어(不可同日而語)''' (문자 그대로: "두 가지 일을 같은 날에 말해서는 안 된다"): 비교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 '''경궁지조(驚弓之鳥)''' (문자 그대로: "화살 소리에 놀란 새"): 공황 상태에 빠진 사람을 의미한다.
  • '''휼蚌相爭,漁翁得利(휼방상쟁, 어옹득리)''' (문자 그대로: "도요새와 조개가 다투면 어부가 이익을 본다"): 두 당사자가 싸우면 항상 제3자가 이긴다는 뜻이다. 연나라 왕은 조나라 혜왕에게 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절을 보냈고, 혜왕은 전쟁 계획을 재고하게 되었다.
  • '''광일지구(曠日持久)''' (문자 그대로: "오래 지속되다"): 오래 끈다는 의미이다.
  • '''완벽귀조(完璧歸趙)''' (문자 그대로: "옥을 조나라로 돌려보내다"): 어떤 것을 소유자에게 온전한 상태로 돌려준다는 의미이다.
  • '''가치연성(价值连城)''' (문자 그대로: "수많은 인접한 도시의 가치가 있다"): 값을 매길 수 없다는 의미이다.
  • '''노발충관(怒髮衝冠)''' (문자 그대로: "분노로 머리카락이 관을 찌르다"): 격노한다는 의미이다.
  • '''부형청죄(負荊請罪)''' (문자 그대로: "가시 덤불을 지고 죄를 청하다"): 겸손하게 사과한다는 의미이다.
  • '''지상담병(紙上談兵)''' (문자 그대로: "종이 위에서 군사 전술을 논하다"): 탁상공론한다는 의미이다.
  • '''청출어람(青出於藍,而勝於藍)''' (문자 그대로: "푸른색은 남색에서 나왔지만 남색보다 낫다"): 스승보다 뛰어나다는 의미이다.
  • 한단의 발걸음
  • 한단의 꿈

8. 종교

한단에서 가장 널리 퍼진 종교는 중국 민간 신앙으로, 도교불교를 포함한다.[22]

2013년, 가톨릭 교회에 따르면 한단에는 융녠 로마 가톨릭 교구에 15만 명 이상의 가톨릭 신자가 있었다.[22] 다밍 현의 은총의 어머니 대성당은 1918년에 건축되었다.[23] 가장 최근에 지어진 교회는 2007년에 건축되었다.[23]

개신교 신자도 30만 명이 있다. 가장 큰 개신교 교회는 첸진 가(邯郸市西堂|한단시서당중국어)에 있으며 1997년에 건축되었다.[24] 가장 오래된 교회는 충타이 가에 있었으며 1920년에 건축되었다. 이 교회는 2009년 지방 정부에 의해 파괴되었다.[25] 2011년에 새로운 교회가 건축되었다.[26]

지방 정부에 따르면 한단 관할 구역에는 3만 명의 회족 무슬림이 거주하고 있다.[27]

9. 교통

한단시는 한단 공항을 통해 항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시내에는 일반 열차를 위한 한단역과 고속 열차를 위한 한단둥역 두 개의 주요 기차역이 있다.

고대에는 교통 요충지였으나, 근대에는 그 중요성이 낮아져 정비가 늦어졌다. 그러나 최근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단 공항은 한단시 자현에 있으며, 시가지에서 남서쪽으로 약 11km 떨어져 있다. 현재 상하이, 다롄, 충칭, 광저우, 항저우 등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이 취항하고 있다.

9. 1. 도로


  • 징강아오 고속도로, 青兰高速公路|칭란 고속도로중국어, 다광 고속도로
  • 106国道|국도 106호선중국어, 국도 107호선, 국도 309호선

9. 2. 철도

징광 고속철도의 한단둥역과 징광선의 한단역을 비롯해, 한창선, 邯济铁路|한지선중국어, 한황선(건설 중), 사오선, 마츠선, 양섭선 등이 지난다.

  • 중국철로총공사 (CR, 중국국철)

노선명주요 역
징광 고속철도한단둥역
징광선린밍관역 - 황량멍역 - 한단역 - 한단난역 - 马头站 (河北省)|마터우역중국어 - 츠셴역 - 장우청역
한창선한단역 - 캉청 - 우안 - 우지 - 츠산 - 츠시 - 파이화이베이 - 신구전 - 슐리뎬 - 양이 - 더우좡 - 둥쉬 - 편뎬 - 징뎬 - 섭현 - 현중


10. 자매 도시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20-01-11
[2] 웹사이트 http://ts.leju.com/n[...] 2018-07-22
[3] 서적 《河北经济年鉴-2018》 http://tjj.hebei.gov[...] 中国统计出版社 2019-07-11
[4] 웹사이트 Handan, China https://www.cityofdu[...] City of Dubuque 2020-03-15
[5] 웹사이트 磁山——指南针的故乡 http://wap.handanwen[...] Handan Cultural Net 2020-03-15
[6] 웹사이트 永年:太极之乡文化"醉人" http://www.wenming.c[...] Wenming.cn 2020-03-15
[7] 웹사이트 河北最内敛的城市, 河北南大门, 2016年GDP列河北第五 http://k.sina.com.cn[...] 温柔小胖虎 2020-03-15
[8] 웹사이트 河北邯郸市:一座盛产成语典故的千年古都 http://travel.cnr.cn[...] 河北日报 2020-03-20
[9] 뉴스 City of the idiom http://www.chinadail[...] 2011-10-14
[10] 웹사이트 Chinese Word: 邯郸学步 https://www.purplecu[...] Purple Culture 2020-01-28
[11] 웹사이트 Results for "China (Southern Xiangtangshan)"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2024-10-24
[12] 웹사이트 Echoes of the Past https://www.sdmart.o[...] 2024-10-24
[13] 웹사이트 Statue - C113 {{!}} Collections - Penn Museum https://www.penn.mus[...] 2024-10-24
[14] 웹사이트 Sculptures {{!}} Xiangtangshan 响堂山石窟项目 https://xts.uchicago[...] 2024-10-24
[15]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5
[16]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5
[17] 뉴스 China's chickens need to lay a billion eggs a day. Here's how... https://uk.reuters.c[...] 2018-08-30
[18] 웹사이트 Handan (Hebei) City Information {{!}} HKTDC http://china-trade-r[...] 2018-08-30
[19] 뉴스 Interactive Maps of China's Most–and Least–Polluted Places http://newsmotion.or[...] 2013-02-27
[20] 웹사이트 http://news.cctv.com[...]
[21] 웹사이트 http://www.hd.gov.cn[...] Handan People's Government
[22] 웹사이트 http://www.fides.org[...] 2018-07-22
[23] 웹사이트 邯郸市南门里天主教堂 http://map.chinacath[...] 2014-08-26
[24] 웹사이트 http://www.hebmzt.go[...] Ethnic Affairs Commission of Hebei Province 2018-07-22
[25] 웹사이트 http://ctq.hd.gov.cn[...] Handan People's Government 2018-07-22
[26] 웹사이트 http://www.hdjdjh.co[...] Christian Church of Handan 2018-07-22
[27] 간행물 Chinanews.com Hebei http://www.heb.china[...] 2014-08-27
[28] 웹사이트 海纳百闻 https://www.sohu.com[...] 2019-12-27
[29] 웹사이트 http://www.ntagil.or[...] Администрация Нижнего Тагила
[30] 웹사이트 http://kryvyirih.dp.[...] Kryvyi Rih City
[31] 웹사이트 http://www.chinaemba[...] 中华人民共和国驻芬兰共和国大使馆
[32]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中華人民共和国民政部
[33] 웹사이트 河北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34]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8-25
[35] 웹인용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