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전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趙)는 진한교체기에 부활한 전한의 제후국이다. 항우가 항산나라를 둘로 나눈 것을 전신으로 하며, 한신이 조나라를 멸망시키고 경왕을 왕으로 삼으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조나라는 여러 차례 왕이 교체되고 영토가 축소되는 과정을 겪었으며, 오초칠국의 난과 연관되어 멸망했다가 다시 부활하기도 했다. 전한 시대에는 한단군을 중심으로 위군, 거록군, 광평군, 청하군, 하간군, 발해군, 신도군, 상산군, 진정국, 중산국 등으로 영토가 분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한의 번국 - 회남 (전한)
회남은 초한쟁패기 영포가 회남왕에 봉해진 것을 기원으로 하는 전한 시대의 제후국으로, 유안 시대에 《회남자》가 편찬되었으나 잦은 모반 시도로 기원전 121년 폐지되어 구강군에 편입되었다. - 전한의 번국 - 오 (전한)
오(전한)는 전한 시대에 존재했던 여러 왕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한 고조 이후 오나라 왕으로 봉해진 유비가 오초칠국의 난으로 멸망하고, 이후 강도국으로 대체되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 조 (전한) | |
|---|---|
| 역사적 국가 | |
![]() | |
| 기본 정보 | |
| 한국어 | 조국 |
| 중국어 간체 | 赵国 |
| 병음 | Zhào Guó |
| 역사 | |
| 존속 기간 | 기원전 203년 ~ 213년 |
| 건국 | 기원전 203년 |
| 멸망 | 213년 |
| 이전 | 진나라 |
| 이후 | 조위 |
| 통치자 | |
| 왕 | 장오 (기원전 203년 ~ 기원전 202년) 조여 (기원전 181년 ~ 기원전 180년) 조수 (기원전 179년 ~ 기원전 177년) 유팽조 (기원전 154년 ~ 기원전 152년) 유단 (기원전 152년 ~ 기원전 116년) 유팽조 (기원전 116년 ~ 기원전 92년) 유창 (기원전 92년 ~ 기원전 73년) 유고 (기원전 73년 ~ 기원전 69년) 유충 (기원전 69년 ~ 기원전 65년) 유연 (기원전 65년 ~ 기원전 49년) 유병 (기원전 49년 ~ 기원전 31년) 유림 (기원전 31년 ~ 기원전 8년) 유존 (기원전 8년 ~ 2년) 유흔 (2년 ~ 9년) 유자장 (26년 ~ 36년) 조왕 유우 (221년 ~ 229년) |
| 재상 | 관고 조오 |
| 수도 | |
| 위치 | 한단 |
| 종교 | |
| 주요 종교 | 중국 전통 종교 |
2. 역사
진한교체기 조나라의 부활과 멸망, 그리고 전한의 제후국으로서 조나라의 영토 변화를 보여주는 표이다.
| 기원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군 | 발해군 | 광천군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위군 | 광평군 |
|---|---|---|---|---|---|---|---|---|---|---|---|
| 203년 | 내사지 | 거록군 | 하간군 | 항산군 | |||||||
| 196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군 | 항산군 | ||||||
| 186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군 | 항산국 | ||||||
| 180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군 | 상산군 | ||||||
| 178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상산군 | ||||||
| 165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군 | 발해군 | 광천군 | 상산군 | ||||
| 155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
| 154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중산국 | |||
| 153년 | 한단군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중산국 | |||
| 152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군 | 상산군 | 중산국 | 위군 | ||
| 148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중산국 | 위군 | ||
| 147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중산국 | 위군 | ||
| 145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국 | 중산국 | 위군 | ||
| 136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국 | 중산국 | 위군 | ||
| 114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위군 | |
| 92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위군 | 평간국 |
| 70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군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위군 | 평간국 |
| 66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위군 | 평간국 |
| 56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위군 | 광평군 |
| 50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군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위군 | 광평군 |
| 37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신도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위군 | 광평군 |
| 23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신도군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위군 | 광평군 |
| 5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신도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위군 | 광평군 |
| 4년 | 조국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신도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위군 | 광평국 |
평간국(광평국, 광평군)은 기원전 92년에 세워졌으며, 이후 구 조나라 영토에 새로운 군국 설치는 없었다. 봉건 당시 한단(내사지)·거록·하간·항산 4군을 다스린 조나라는 전한 말 대략 조·위·거록·광평·청하·하간·발해·신도·상산·진정·중산 11군·국에 달하며, 유주자사부에 속한 발해군을 제외하면 기주자사부에 속했다.[1]
2. 1. 전한 시대
진한교체기에 부활한 조(趙)나라는 항우가 둘로 나눈 일부인 항산나라를 전신으로 한다. 당시 항산나라 왕 경왕 장이가 진여에게 쫓겨나 전한으로 망명하고, 진여가 대나라 왕으로 밀려난 조왕 헐을 조나라 왕으로 세웠다. 전한은 한신을 대장으로 삼아 조나라를 공격해 멸망시키고 경왕을 왕으로 삼아 전한의 제후국으로서 조나라의 역사가 시작된다. 이 당시 영토는 한단군을 내사지로 하고 거록군·항산군을 지군으로 삼았다.[1] 경왕은 전한의 중국 통일을 보지 못하고 죽었고, 아들 장오가 뒤를 이었다. 기원전 202년 고제를 다른 왕들과 함께 추대했다.[1] 얼마 후 조나라 대신들이 고제를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고제는 장오를 조나라 왕에서 쫓아내고 총애하는 아들이자 대나라 왕이던 유여의를 조나라 왕으로 봉함과 함께 대나라 영토까지 조나라에 합병했다.[1] 그러나 진희의 반란이 일어나 대나라와 조나라 일대가 진희의 세력권으로 들어갔고, 기원전 196년 진희가 패배하면서 대나라를 다시 조나라에서 분리했다.[1] 이 당시에는 하간군과 청하군이 조나라 지군을 분할해 새로 설치되어 있었다.[1]이후 조나라 왕가는 여태후 치하에서 자주 교체된다. 유여의는 여태후의 아들 혜제의 태자 자리를 빼앗으려 했기 때문에 혜제 원년(기원전 194년) 짐살되었고, 유여의의 동생이자 회양나라 왕이던 유왕이 대신 왕이 됐다.[1] 유왕 역시 여씨를 싫어했기 때문에 여태후 7년(기원전 181년) 장안으로 소환된 후 감금돼 아사했고, 여태후는 유왕의 형이자 양나라 왕이던 공왕을 대신 왕으로 삼았다.[1] 공왕은 여씨의 핍박 속에 자살했고, 여태후는 공왕의 형이자 대나라 왕이며 후일의 문제인 유항에게 왕위를 제안했으나 거절했다. 결국 여씨 일족으로 남북군을 통제하는 인물 중 하나인 여록을 왕으로 삼았다.[1] 이 사이 항산군을 분할해 혜제의 아들 유불의의 왕국으로 삼아 항산군을 상실했다.[1] 기원전 180년 여태후가 죽자 여록은 반 여씨 세력에게 속으며 여씨 멸망에 큰 기여를 했고 자신 역시 죽었다.[1] 이에 유왕의 아들 유수가 조나라 왕위에 올랐고, 전한은 여씨가 빼앗은 상산군(항산군)을 돌려주었다.[1] 기원전 178년, 조나라를 분할해 하간군 일대를 유수의 아우 유벽강에게 주어 하간나라를 삼아 조나라는 축소됐다.[1]
경제 3년(기원전 154년), 조정에서 제후왕들의 영토를 삭감하는 정책을 펴면서 유수의 죄를 이유로 상산군이 회수되었다.[1] 이에 반발한 유수는 오왕 유비와 협력해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하고 흉노까지 끌어들였다.[1] 그러나 오나라와 초나라가 패배하자 흉노도 도움을 철회했고, 유수는 나머지 동료들이 모조리 패망한 이후에도 진압군 대장 역기의 공격을 열 달가량 수도 한단성에서 홀로 막아냈으나 난포의 수공으로 한단성이 함락되자 자결했다.[1] 조나라는 폐지되고 한단군(구 내사지)·청하군·거록군도 모두 한나라에 속했다.[1] 한나라는 옛 조나라의 지군들을 분할해 광천군과 발해군을 신설했다.[1] 경제 5년(기원전 152년), 한단군의 일부만을 바탕으로 조나라를 다시 세워 광천왕을 지내던 경숙왕에게 봉했고, 나머지는 위군으로 독립시켰다.[1] 이후 조나라의 역사는 한단군을 참고하라.[1]
3. 역대 왕
진한교체기에 부활한 조나라는 항우가 둘로 나눈 항산나라를 전신으로 한다. 이후 조나라는 전한, 후한을 거치면서 여러 왕들이 통치했다. 역대 왕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이름 | 시호 | 재위 기간 |
|---|---|---|
| 장이 | 경왕(景王) | 기원전 203년 ~ 기원전 202년 |
| 장오 |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99년 | |
| 유여의 | 은왕(隱王) | 기원전 197년 ~ 기원전 194년 |
| 유우 | 유왕(幽王) | 기원전 194년 ~ 기원전 181년 |
| 유회 | 공왕(共王) | 기원전 181년 |
| 유수 | 기원전 179년 ~ 기원전 154년 | |
| 유팽조 | 숙왕(肅王) | 기원전 153년 ~ 기원전 92년 |
| 유창 | 경왕(頃王) | 기원전 92년 ~ 기원전 73년 |
| 유존 | 회왕(懷王) | 기원전 73년 ~ 기원전 68년 |
| 유고 | 애왕(哀王) | 기원전 66년 |
| 유충 | 공왕(共王) | 기원전 65년 ~ 기원전 10년 |
| 유은 | 기원전 10년 ~ 기원전 9년 | |
| 유량 | 효왕(孝王) | 기원전 29년 ~ 기원전 37년 |
| 유후 | 절왕(節王) | ? ~ 기원전 81년 |
| 유상 | 경왕(頃王) | 기원전 81년 ~ 기원전 104년 |
| 유홍 | 정왕(靖王) | 기원전 104년 ~ 기원전 116년 |
| 유건 | 혜왕(惠王) | 기원전 116년 ~ 기원전 164년 |
| 유예 | 회왕(懷王) | 기원전 164년 ~ ? |
| 유사 | 헌왕(獻王) | ? ~ ? |
| 유규 | ? ~ 기원전 213년 |
3. 1. 전한
진한교체기에 부활한 조나라는 항우가 둘로 나눈 항산나라를 전신으로 한다. 당시 항산나라 왕 경왕 장이가 진여에게 쫓겨나 전한으로 망명하고, 진여가 대나라 왕으로 밀려난 조왕 헐을 조나라 왕으로 세우자, 전한에서 한신을 대장으로 삼고 조나라를 공격해 멸망시키고 경왕을 왕으로 삼으면서 전한의 제후국으로서 조나라의 역사가 시작된다.경왕은 전한의 중국 통일을 보지 못하고 죽어, 경왕의 아들 장오가 뒤를 이었고, 기원전 202년 고제를 다른 왕들과 함께 추대했다. 얼마 못 가 조나라 대신들이 고제를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해, 고제는 장오를 조나라 왕에서 쫓아내고 총애하는 아들이자 대나라 왕을 지내는 유여의를 조나라 왕으로 봉함과 함께 대나라 영토까지 조나라에 합병했다. 그러나 진희의 반란으로 대나라와 조나라 일대가 진희의 세력권으로 들어갔고, 기원전 196년 대나라를 다시 조나라에서 분리했다.
이후 조나라 왕가는 여태후 치하에서 수시로 교체된다. 유여의는 여태후의 아들 혜제의 태자 자리를 빼앗으려 했기 때문에, 혜제 원년(기원전 194년) 짐살되고 유여의의 동생이자 회양나라 왕이던 유왕이 대신 왕이 됐다. 유왕 역시 여씨를 싫어했기 때문에, 여태후 7년(기원전 181년) 장안으로 소환된 후 감금돼 아사했고, 여태후는 유왕의 형이자 양나라 왕이던 공왕을 대신 왕으로 삼았다. 공왕은 여씨의 핍박 속에 자살했고, 여태후는 공왕의 형이자 대나라 왕이며 후일의 문제인 유항에게 왕위를 제안했으나 거절하니 여록을 왕으로 삼았다. 기원전 180년 여태후가 죽자 여록은 반 여씨 세력에게 속으며 여씨 멸망에 큰 기여를 했고 자신 역시 죽었다. 이에 유왕의 아들 유수가 조나라 왕위에 올랐다. 기원전 178년, 조나라를 분할해 하간군 일대를 유수의 아우 유벽강에게 주어 하간나라를 삼아 조나라는 축소됐다.
경제 3년(기원전 154년), 조정에서 제후왕들의 영토를 삭감하는 정책을 펴면서 유수의 죄를 이유로 상산군이 회수되었고, 이에 반발한 유수가 오왕 유비와 협력해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하고 흉노까지 끌어들였다. 그러나 오나라와 초나라가 패배하자 흉노도 도움을 철회했고, 유수는 나머지 동료들이 모조리 패망한 이후에도 진압군 대장 역기의 공격을 열 달가량 수도 한단성에서 홀로 막아냈으나 난포의 수공으로 한단성이 함락되자 자결했다. 조나라는 폐지되고 한단군(구 내사지)·청하군·거록군도 모두 한나라에 속했다. 경제 5년(기원전 152년), 한단군의 일부만을 바탕으로 조나라를 다시 세워 광천왕을 지내던 경숙왕에게 봉했다.
전한 시기 조나라 왕은 다음과 같다.
| 이름 | 시호 | 재위 기간 |
|---|---|---|
| 장이 | 경왕(景王) | 기원전 203년 ~ 기원전 202년 |
| 장오 |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99년 | |
| 유여의 | 은왕(隱王) | 기원전 197년 ~ 기원전 194년 |
| 유우 | 유왕(幽王) | 기원전 194년 ~ 기원전 181년 |
| 유회 | 공왕(共王) | 기원전 181년 |
| 유수 | 기원전 179년 ~ 기원전 154년 | |
| 유팽조 | 숙왕(肅王) | 기원전 153년 ~ 기원전 92년 |
| 유창 | 경왕(頃王) | 기원전 92년 ~ 기원전 73년 |
| 유존 | 회왕(懷王) | 기원전 73년 ~ 기원전 68년 |
| 유고 | 애왕(哀王) | 기원전 66년 |
| 유충 | 공왕(共王) | 기원전 65년 ~ 기원전 10년 |
| 유은 | 기원전 10년 ~ 기원전 9년 | |
| 유량 | 효왕(孝王) | 서기 29년 ~ 서기 37년 |
| 유후 | 절왕(節王) | ? ~ 서기 81년 |
| 유상 | 경왕(頃王) | 서기 81년 ~ 서기 104년 |
| 유홍 | 정왕(靖王) | 서기 104년 ~ 서기 116년 |
| 유건 | 혜왕(惠王) | 서기 116년 ~ 서기 164년 |
| 유예 | 회왕(懷王) | 서기 164년 ~ ? |
| 유사 | 헌왕(獻王) | ? ~ ? |
| 유규 | ? ~ 서기 213년 |
3. 2. 후한
| 이름 | 시호 | 재위 기간 |
|---|---|---|
| 유량 | 조 효왕 (趙孝王) | 29년–37년 |
| 유후 | 조 절왕 (趙節王) | ?–81년 |
| 유상 | 조 경왕 (趙頃王) | 81년–104년 |
| 유홍 | 조 정왕 (趙靖王) | 104년–116년 |
| 유건 | 조 혜왕 (趙惠王) | 116년–164년 |
| 유예 | 조 회왕 (趙懷王) | 164년–? |
| 유사 | 조 헌왕 (趙獻王) | ?–? |
| 유규 | ?–213년 |
4. 영토 변화
진한교체기에 부활한 조나라는 항우에 의해 분할된 항산나라를 전신으로 한다. 경왕 장이가 진여에게 쫓겨나 전한으로 망명하고, 진여는 조왕 헐을 조나라 왕으로 세웠다. 고제는 한신을 대장으로 삼아 조나라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경왕을 왕으로 삼아 전한의 제후국으로서 조나라가 시작되었다. 이 당시 영토는 한단군을 내사지로 하고 거록군, 항산군을 지군으로 삼았다.[1]
경왕 사후 아들 장오가 왕위를 이었고, 기원전 202년 고제를 추대했다. 그러나 조나라 대신들의 고제 암살 미수 사건으로 장오는 왕위에서 쫓겨나고, 고제의 아들 유여의가 대나라 영토까지 합병한 조나라 왕이 되었다. 진희의 반란 이후 기원전 196년 대나라는 다시 분리되었고, 하간군과 청하군이 조나라에서 분할 설치되었다.[1]
혜제 원년(기원전 194년), 유여의는 짐살되고 유왕이 왕이 되었으나, 여태후 7년(기원전 181년) 감금되어 아사했다. 공왕이 왕이 되었으나 자살했고, 여록이 왕이 되었다가 여태후 사후 반 여씨 세력에 의해 죽었다. 이후 유왕의 아들 유수가 왕위에 오르고, 전한은 상산군(항산군)을 돌려주었다. 기원전 178년, 하간나라가 분리되며 조나라는 축소되었다.[1]
경제 3년(기원전 154년), 유수는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다가 난포의 수공으로 한단성이 함락되자 자결했다. 조나라는 폐지되고 한단군(구 내사지)·청하군·거록군은 한나라에 속했다. 옛 조나라 지군들은 광천군과 발해군으로 분할되었다. 경제 5년(기원전 152년), 한단군의 일부를 바탕으로 조나라가 다시 세워져 경숙왕에게 봉해졌고, 나머지는 위군으로 독립했다.[1]
4. 1. 영토 변화표
| 기원전 203년 | 내사지 | 거록군 | 하간군 | 항산군 | |||||||
|---|---|---|---|---|---|---|---|---|---|---|---|
| 기원전 196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군 | 항산군 | ||||||
| 기원전 186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군 | 항산국 | ||||||
| 기원전 180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군 | 상산군 | ||||||
| 기원전 178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상산군 | ||||||
| 기원전 165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군 | 발해군 | 광천군 | 상산군 | ||||
| 기원전 155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
| 기원전 154년 | 내사지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중산국 | |||
| 기원전 153년 | 한단군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중산국 | |||
| 기원전 152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군 | 상산군 | 중산국 | ||
| 기원전 148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중산국 | ||
| 기원전 147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중산국 | ||
| 기원전 145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국 | 중산국 | ||
| 기원전 136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청하군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국 | 중산국 | ||
| 기원전 114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
| 기원전 92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평간국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 기원전 70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평간국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군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 기원전 66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평간국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 기원전 56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광평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 기원전 50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광평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광천군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 기원전 37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광평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신도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 기원전 23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광평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신도군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 기원전 5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광평군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신도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 기원전 4년 | 조국 | 위군 | 거록군 | 광평국 | 청하국 | 하간국 | 발해군 | 신도국 | 상산군 | 진정국 | 중산국 |
평간국(광평국, 광평군)의 설치 연도는 불명확하나, 적어도 평간국이 세워진 기원전 92년 이후 구 조나라 영토에 새로운 군국의 설치는 없었다. 봉건 당시 한단(내사지)·거록·하간·항산 4군을 다스린 조나라의 영토는 전한 말 기준으로는 대략 조·위·거록·광평·청하·하간·발해·신도·상산·진정·중산 11군·국에 달하며, 유주자사부에 속한 발해군을 제외하면 기주자사부에 속한 모든 군·국이다.
5. 행정
조는 전한 초기에 설치된 제후국으로, 행정 체계는 중앙 정부의 영향을 받아 구성되었다. 초기에는 조상국이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며, 재위한 인물과 기간은 다음과 같다.
이후 조승상으로 주창 (기원전 194년 ~ 기원전 192년), 건덕 ( ? ~ 기원전 154년), 소식 (기원전 152년? ~ ?) 등이 임명되었다.
5. 1. 조상국
5. 2. 조승상
- 주창 (기원전 194년 ~ 기원전 192년)
- 건덕 ( ? ~ 기원전 154년)
- 소식 (기원전 152년? ~ ?)
5. 3. 조상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Zizhi Tongjian
[3]
서적
Book of Han
[4]
서적
Book of Later H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