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데벨레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데벨레인은 짐바브웨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북부와 남부 은데벨레어로 구분된다. 19세기 초 쿠말로족에서 기원했으며, 샤카의 줄루족과의 갈등으로 인해 므질리카지가 이끄는 세력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은데벨레 왕국을 건설했다. 은데벨레 왕국은 로벤굴라 치세 하에 영국과의 충돌로 멸망했고, 이후 짐바브웨에서 ZANU와 ZAPU 간의 갈등, 특히 구쿠라훈디 학살 사건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은데벨레인 | |
---|---|
기본 정보 | |
언어 | 북부 은데벨레어(siNdebele) |
종교 | 주로: 기독교 소수: 전통 아프리카 종교 |
관련 민족 | 기타 응구니족 (특히 남부 은데벨레족) 스와지족/에마스와티족 |
명칭 | |
족명 | 아마은데벨레 (amaNdebele) |
언어 | 시은데벨레 (siNdebele) |
어근 | 은데벨레 (Ndebele) |
개인 | 리은데벨레 (liNdebele) |
민족 | 아마은데벨레 (amaNdebele) |
인구 | |
전체 | 2,381,000명 (2023년 추정) |
거주 지역 | 짐바브웨: 2,200,000명 보츠와나: 150,000명 영국: 23,000명 미국: 8,000명 |
2. 지역 분류
짐바브웨의 은데벨레족이 사용하는 북부 은데벨레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줄루족이 사용하는 줄루어와 거의 동일하며, 발음이나 단어 의미에서 약간의 차이만 존재한다.[1] 짐바브웨에서 쓰이는 북부 은데벨레어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쓰이는 남부 은데벨레어 (트란스발 은데벨레어라고도 불린다)는 서로 다른 언어이지만 어느 정도 관련된 언어이며,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그러나 북부 은데벨레어는 줄루어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남부 은데벨레어는 응구니어 계통 언어의 뿌리를 유지하면서도 소토어의 영향을 받았다.[1]
북부 은데벨레족, 특히 음질리카지가 이끌었던 쿠말로족(amaNtungwa)은 초기에 영어로 '''마테벨레'''(Matabele)라고 불렸다. 이 명칭은 오래된 문헌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영국인들이 소토-츠와나족을 통해 이 부족의 이름을 처음 접했기 때문이다.
3. 명칭
19세기 초, 은데벨레족은 소토-츠와나족이 거주하던 지역을 침략하여 정착했다. 당시 소토-츠와나족은 특정 이방인을 지칭할 때 복수 접두사 '마-'(ma-)를 사용했는데, 이는 응구니어의 접두사 '아마-'(ama-)와 유사한 방식이었다. 북쪽으로 이동하던 은데벨레족에 대한 정보를 소토-츠와나 공동체로부터 처음 얻게 된 영국 탐험가들은 자연스럽게 두 가지 형태의 이름을 듣게 되었다. 하나는 소토-츠와나족의 발음인 '마테벨레'였고, 다른 하나는 은데벨레족 스스로 사용하는 '은데벨레'(Ndebele) 또는 '아마은데벨레'(amaNdebele)였다. 영국 통치 시기에는 공식적으로 '마테벨레'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나[2], 현재는 일반적으로 '은데벨레' 또는 '아마은데벨레'로 불린다.
4. 초기 역사
쿠말로족은 즈와이데가 이끄는 은드완데와 샤카가 이끄는 줄루족 사이에 끼어 있었다. 은드완데 부족과의 관계를 위해 쿠말로족 족장 마쇼바네는 은드완데 족장 즈와이데의 딸과 결혼하여 아들 므질리카지를 낳았다. 은드완데족은 줄루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같은 언어인 응구니어를 사용했으나 방언에는 차이가 있었다.[3]
마쇼바네가 므테트와의 병사(''아마부토'') 순찰 사실을 즈와이데에게 알리지 않자, 즈와이데는 마쇼바네를 살해했다. 이로 인해 그의 아들 므질리카지가 쿠말로족의 새로운 지도자가 되었다. 므질리카지는 즉시 자신의 할아버지인 즈와이데를 불신하게 되었고, 자신의 병사들을 이끌고 샤카에게 합류했다. 샤카는 쿠말로족이 즈와이데와 은드완데족을 견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여겨 이를 크게 반겼다. 몇 차례의 전투 후, 샤카는 므질리카지에게 만약 즈와이데를 격파한다면 쿠말로족의 족장 지위를 유지하고 줄루족으로부터 어느 정도 독립성을 보장받는 특권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이는 샤카의 기존 동맹 세력들 사이에서 질투를 유발했으나, 전사로서 므질리카지의 능력은 널리 인정받고 있었다.
즈와이데가 패배하자 샤카는 므질리카지의 결정적인 정보 제공을 인정했다. 샤카는 직접 므질리카지의 머리에 깃털을 꽂아주고, 상징적인 상아 도끼 두 개 중 하나를 그에게 수여했으며, 나머지 하나는 자신이 가졌다.
쿠말로족은 잠시 평화롭게 조상의 땅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 평화는 샤카가 므질리카지에게 쿠말로족 북쪽에 있는 소토족의 라닌시 부족을 응징하라고 요청하면서 깨졌다. 라닌시 부족을 격파한 후, 므질리카지는 샤카에게 전리품인 소와 땅을 넘겨주기를 거부했다. 짐바브웨 은데벨레인의 역사는 바로 이 거절과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려는 시도에서 시작되었다. 므질리카지와 그의 추종자들은 케이프 식민지에서 온 네덜란드계 아프리카인 정착민(보어인)들에 의해 이미 세력이 약화된 소토족과 남은데벨레족의 부족 국가들을 계속해서 습격하고 정복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응구니어족과 소토-츠와나족 역사에서 므페카네(Mfeqane, "분쇄" 또는 "분산"을 의미)라고 알려진 격동의 내전 시기에 일어났다. 므질리카지의 군대는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하우텡주, 음푸말랑가주, 노스웨스트주, 림포포주에 해당하는 북서쪽으로 이동했다. 뛰어난 군사 및 정치 전략가였던 므질리카지는 이동 경로에서 만난 호이산족, 츠와나족, 페디족, 음푸말랑가의 은데벨레족 등 지역 부족들을 공격하거나 복속시켰다. 1827년에서 1832년 사이에 그는 자신의 영토 내에 세 개의 군사 요새를 건설했다. 가장 큰 요새는 현재 프리토리아 바로 북쪽 아피스 강변의 원더붐 산기슭에 위치한 쿵구위니(Kungwini)였다. 다른 요새로는 하트비스포르트 댐 북쪽의 디나네니(Dinaneni)와 러스텐버그 근처 포켕(Phokeng) 영토 내의 흘라흘란들레라(Hlahlahlandlela)가 있었다.
므질리카지와 그의 세력은 또한 후루체족(Bahurutshe)을 정복하고 수도인 모세가(Mosega)를 군사 본부로 삼았다. 그들은 마리코 강과 에가베니(Kapain)에도 군사 요새를 건설하고 상당한 규모의 정착지를 구축했다. 1836년부터 1838년까지 이어진 대이동(Great Trek) 시기에 보어인(''Voortrekkers|포르트레커르스af'')들이 트란스발 지역에 도착했고, 므질리카지를 이 지역의 왕이자 자신들의 확장에 위협적인 존재로 간주했다. 보어인들은 므질리카지와 전투를 벌였으나 첫 전투에서는 패배했다. 1837년 두 번째 전투에서 포트히터(Potgieter), 마리츠(Maritz), 우이스(Uys)가 이끄는 보어인들은 새벽에 에가베니에 있는 므질리카지의 군사 요새를 다시 공격했다. 9일간의 전투 끝에 그들은 에가베니와 마리코 강을 따라 있던 다른 마타벨레 주둔지들을 파괴했다.
므질리카지는 총과 소총으로 무장한 보어인들에게 은데벨레족이 군사적으로 상대가 되지 않음을 깨닫고, 자신의 군대와 충성스러운 이들을 이끌고 마리코 계곡에서 후퇴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현재 짐바브웨의 마타벨레랜드 사우스 지역으로 이동했다. 그곳에서 아마은데벨레족은 이미 창가미레 돔보(Changamire Dombo)의 사망 이후 지도력 분열로 약화되어 가던 로즈비 제국과 칼랑가족을 압도하고 결국 정착지를 세웠다. 이주 과정에서 습격당했던 수많은 토착 씨족과 개인들(예: 남은데벨레족, 스와지족, 소토-츠와나족, 로즈비족)이 은데벨레 부족에 흡수되어 은데벨레어와 문화를 받아들였다.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므질리카지가 그의 백성들과 함께 정착한 것을 발견하고 이 지역을 마타벨렐란드라고 불렀다. 이는 짐바브웨의 서부 및 남서부 지역을 포괄하는 명칭이 되었다.
5. 은데벨레 왕국 (1823–1897)
1823년부터 은데벨레족을 이끈 음질리카지(Mzilikazi)는 오늘날 짐바브웨 중앙 고원의 서쪽 가장자리에 새로운 거점을 마련했다. 그는 약 2만 명의 응구니족과 남아프리카 소토족의 후손인 은데벨레족을 이끌고 로즈비 제국을 침략하여 일부 로즈비족(주로 여성)을 흡수했다. 나머지 로즈비족은 은데벨레 왕국에 조공을 바치는 위성 농업 공동체가 되었다.
음질리카지는 자신의 새로운 나라를 '므스와카지'(Mthwakazi)라고 불렀는데, 이는 '수태 시 커진 것'을 의미하는 into ethe ithwasa yabankuluzu에서 유래했다. 유럽인들은 이 지역을 '마테벨레랜드'(Matebeleland)라고 칭했다. 음질리카지는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국가를 군사적 체계로 조직하고 여러 부족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도시들을 건설했으며, 불라와요(Bulawayo)를 수도로 삼았다.
1852년, 트란스발 공화국의 보어인 정부는 음질리카지와 조약을 체결했다. 음질리카지는 1868년 9월 9일 불라와요 근처에서 사망했고, 그의 아들 로벤굴라(Lobengula)가 왕위를 계승했다. 로벤굴라는 북쪽의 림포포 강과 잠베지 강 사이, 서쪽의 마크가디가디 판 사막과 동쪽의 사베 강 사이 지역에 대한 주권을 확립했다.
로벤굴라는 부와 무기를 얻는 대가로 영국 세력에게 몇 가지 특권을 부여했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1888년에 체결된 러드 특허(Rudd Concession)였다. 이 특허는 영국인들에게 짐바브웨 지역에서의 광업 활동과 식민지 건설을 허용하는 대신, 보어인의 정착은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 특허를 통해 세실 로즈(Cecil Rhodes)는 은데벨레 왕국의 동쪽 지역에 대한 독점적인 광물 채굴 권리를 확보했다. 이미 해당 지역에 금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로즈는 이 특허를 발판 삼아 1889년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British South Africa Company, BSAC)를 설립하기 위한 왕실 헌장을 얻을 수 있었다. 계약 조건에 따라 BSAC는 로벤굴라에게 매달 100GBP, 소총 1,000정, 탄약 10,000발, 그리고 강에서 운용할 수 있는 배 한 척을 제공하기로 약속했다. 로벤굴라는 러드 특허가 유럽 세력의 침략을 억제해 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실제로는 백인 정착민들의 유입이 가속화되었고 BSAC는 자체적으로 정부를 구성하고 법을 제정하며 더 많은 광물 권리와 영토를 확보하려 했다.
은데벨레 사회는 샤카 시대 줄루족의 군사 및 사회 개혁에서 비롯된 위계질서에 따라 엄격하게 통제되었다. 마쇼날랜드와 같이 정복당한 다른 민족들은 가혹한 대우를 받았으며, 그들의 생명과 재산은 왕의 처분에 맡겨져 언제든 습격이나 조공 징수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1890년 영국의 개척자 부대(Pioneer Column)가 마쇼날랜드에 도착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이는 이후 영국 세력과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배경이 되었다.
5. 1. 제1차 마타벨레 전쟁 (1893)
1893년 8월, 로벤굴라는 쇼나족으로부터 가축을 약탈하기 위해 전사들을 마스빙고(당시 포트 빅토리아) 지역으로 보냈다. 로벤굴라의 전사들이 승리했지만,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BSAC)는 이를 쇼나족 보호라는 명분을 내세워 로벤굴라를 공격할 기회로 삼았다. 이 대립 과정에서 BSAC와 마타벨레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며 제1차 마타벨레 전쟁이 시작되었다.
BSAC의 리앤더 스타 제임슨은 빠른 승리를 예상하고 군대를 보내 수도 코불라와요를 공격하고 로벤굴라를 생포하려 했다. 그러나 로벤굴라는 직접 맞서 싸우는 대신 수도를 불태우고 소수의 정예 전사들과 함께 북쪽으로 도주했다. BSAC 군대는 불탄 코불라와요에 진입하여 기지를 건설하고 도시 이름을 콰불라와요로 바꾸었다. 이후 로벤굴라를 추격하기 위해 순찰대를 파견했다. 이 순찰대 중 가장 유명한 샹가니 순찰대는 로벤굴라를 발견했지만, 벌어진 전투에서 포위되어 전멸했다.
전쟁 기간 동안 영국군은 수적으로 열세였으나, 맥심 기관총과 같은 우수한 무기는 은데벨레족에게 압도적이었다. 로벤굴라는 영국군과 평화 협정을 맺으려 많은 양의 금을 BSAC 군인 두 명에게 주어 상관에게 전달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 군인들은 금을 빼돌렸고, 이 사실은 몇 달 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결국 로벤굴라는 탈출을 선택했으며, 마지막으로 샹가니 강을 건너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5. 2. 제2차 마타벨레 전쟁 (1896-1897)
1896년 3월, 마타벨레족은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BSAC)의 권위에 맞서 봉기했다. 이 사건은 오늘날 므트와카지에서 독립 전쟁으로 기념되고 있다. 당시 1년간 지속된 가뭄과 가축 질병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마타벨레의 영적 지도자였던 밀리모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국에 대한 저항 의식을 고취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약 50,000명의 마타벨레 전사들은 크와불라와요 인근의 마토보 언덕 요새로 후퇴하여 저항 거점을 마련했다. 이곳에서는 프레더릭 러셀 번햄, 로버트 베이든포웰, 프레더릭 셀루스 등이 이끄는 백인 정착민 순찰대와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이후 1년 반 동안 이어진 전쟁으로 수백 명의 백인 정착민과 수많은 마타벨레족 및 마쇼나인이 목숨을 잃었다.
마타벨레의 군사적 저항은 프레더릭 러셀 번햄이 밀리모를 찾아 암살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밀리모의 죽음을 알게 된 세실 로즈는 대담하게 무장하지 않고 마타벨레 요새로 들어가 지도자들을 설득하여 무기를 내려놓게 했다.[4] 결국 이 마지막 봉기는 1897년 10월에 종식되었고, 마타벨레랜드와 마쇼나랜드는 나중에 로디지아로 개명되었다.
6. 현대
1963년, 주요 민족 해방 운동 단체였던 짐바브웨 아프리카 인민 연합(ZAPU)에서 일부 세력이 분리되어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연합(ZANU)을 결성했다.[5] 두 단체는 같은 뿌리에서 시작했지만 점차 노선을 달리하게 되었는데, ZANU는 주로 쇼나족 지역에서, ZAPU는 주로 은데벨레족 지역에서 지지 기반을 확보하고 활동했다.[6]
짐바브웨 인민 혁명군(ZIPRA)은 조슈아 콤모가 이끄는 ZAPU의 군사 조직으로, 주로 은데벨레족으로 구성되었다. ZIPRA는 잠비아에 기지를 두고 훈련 및 작전을 수행했으나, 잠비아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항상 받지는 못했다. 1979년경, 잠비아 내에 주둔하던 ZIPRA 병력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 산하 무장 조직인 움콘토 위 시즈웨, 그리고 남서 아프리카 인민 기구(SWAPO) 전투원들의 조합은 잠비아의 내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었다. ZAPU는 무력 투쟁보다는 협상을 중시하는 정치 전략을 취했기 때문에, ZIPRA는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해방군(ZANLA)만큼 빠르게 성장하거나 정교해지지는 않았지만, 1979년까지 약 2만 명의 전투원을 보유했으며, 이들은 대부분 잠비아의 수도 루사카 인근 캠프에 주둔했다.
6. 1. 구쿠라훈디 (Gukurahundi)
''구쿠라훈디''(쇼나어: "봄비가 오기 전 쭉정이를 씻어내는 이른 비"[7])는 짐바브웨의 제5여단이 은데벨레어를 주로 사용하는 마타벨레랜드 지역에서 벌인 민간인 탄압 작전을 가리킨다. 이 지역 주민 대다수는 조슈아 꼼보와 ZAPU의 지지자들이었다.[8]1980년 10월, 당시 총리였던 로버트 무가베는 북한의 김일성과 만나 북한 군대가 짐바브웨 육군을 위한 여단 훈련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무가베가 "불만을 품은 자들과 싸우기" 위해 민병대가 필요하다고 발표한 직후 이루어진 결정이었다. 무가베는 마타벨레랜드 반군을 향해 "조심하라"고 경고하며, 새로 창설될 여단의 이름이 "구쿠라훈디"가 될 것이라고 공표했다.[7] 이 부대는 제5여단으로 명명되었으며, ZANLA 사령관이었던 조시아 통고가라의 이름을 딴 통고가라 집결지에서 전 ZANLA 군인 3,500명으로 구성되었다. 제5여단의 훈련은 1982년 9월까지 계속되었고, 이후 세케라마이 장관은 훈련 완료를 공식 발표했다.
제5여단의 초대 지휘관은 페란스 시리 대령이었다. 제5여단은 다른 모든 짐바브웨 군 부대와 달리 정규 군 지휘 체계에 통합되지 않고 총리실에 직접 보고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졌다. 이들은 독자적인 암호, 제복, 무전기, 장비를 사용했으며, 다른 군 부대와 호환되지 않았다. 특히 붉은 베레모는 현장에서 이들을 구별하는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이었다.[6]
루판과 마토포스에서 여러 ZIPRA 군대가 장비 반납을 거부하자, 제5여단은 루판, 촐로토, 마토보 지역에서 전 ZIPRA 군인과 그 가족, 지지자들을 공개적으로 처형하기 시작했다. 희생자들은 종종 재교육 캠프로 강제 이송되었으며, 이를 거부하는 사람들은 처형되어 집단 매장되었다. 초기에는 처형된 은데벨레족 수가 2,800명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약 20,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단일 사건으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것은 1983년 3월 5일로, 루판의 세왈레 강둑에서 젊은이 62명이 총에 맞아 그중 55명이 사망했다.[9] 제5여단은 또한 촐로토와 루판에서처럼 사람들을 오두막에 가두고 산 채로 불태워 살해하기도 했다. 그들은 정기적으로 수십, 수백 명의 민간인을 총칼로 위협하여 학교나 구덩이 같은 중앙 장소로 끌고 가 막대기로 구타하고 ZANU를 찬양하는 노래를 부르도록 강요했다. 이러한 집결은 종종 공개 처형으로 마무리되었다. 살해된 이들 중에는 전 ZIPRA 게릴라, ZAPU 관리, 그리고 반군으로 간주된 민간인들이 포함되었다.[10]
7. 주요 인물
- 조슈아 은코모: 짐바브웨의 독립과 민주화를 위해 활동한 주요 정치 지도자이다. 짐바브웨 아프리카 인민 연합(ZAPU)를 이끌었으며, 독립 후 부통령을 역임했다.
- 므툴리 은큐베: 짐바브웨 재무부 장관 및 정치인이다.
- 시부시소 모요: 전 짐바브웨 외무부 장관이며, 2017년 짐바브웨 쿠데타 당시 군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 불렐라니 쿠말로: 짐바브웨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은데벨레 왕위를 주장하고 있으나, 헌법적으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
- 트레버 은큐베: 짐바브웨의 디지털 및 인쇄 뉴스 콘텐츠 발행인이다.
- 카이이사 은흘라흘라야망웨 은디웨니: Ntabazinduna 및 Mbembezi 지역의 마테벨레족 족장(1939–2010)이었다.
- 은흘라흘라야망웨 펠릭스 은디웨니: Ntabazinduna 및 Mbembezi 지역의 마테벨레족 족장(2010–현재)이며 정치인이다.
- 미미. M 카이이사 (미미 은디웨니): 배우이다.
- 두미소 다벵와: 정치인이다.
- 러브모어 마자이바나: 음악가이다.
- 룩아웃 마수쿠: 짐바브웨 인민 혁명군(ZIPRA)의 지도자였다.
- 알프레드 니키타 망게나: 초대 짐바브웨 인민 혁명군(ZIPRA) 군 사령관이었다.
- 조시아 구메데: 짐바브웨 로디지아의 의전 대통령이었다.
- 음푸멜렐로 음방와: 크리켓 선수이다.
- 조나단 모요: 정치인이다.
- 부시 은큐베: 가수이다.
- 피우스 은큐베: 콰불라와요 대주교이다.
- 웰시먼 은큐베: 정치인이다.
- 피터 은들로부: 축구 선수이다.
- 므룰레키 은칼라: 크리켓 선수이다.
- 앨버트 냐티: 시인이자 음악가이다.
- 깁슨 시반다: 정치인이다.
- 자불라니 시반다: 정치인이다.
- 텐지웨 레사베: 교사이자 전쟁 영웅, 정치 운동가였다.
- 콘트 음흘랑가: 극작가, 배우, 연극 감독이다.
- 산드라 은데벨레: 음악가이자 정치인이다.
- 프린스 두베: 프로 축구 선수이다.
- 탄도 벨라피: 프로 축구 선수이다.
- 밀턴 은큐베: 프로 축구 선수이다.
- 리처드 하치로: 프로 축구 선수이다.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 Relationship between Southern and Northern Ndebele
http://repository.up[...]
[2]
간행물
Official Yearbook of the Colony of Southern Rhodesia
[3]
서적
The African Heritage
ZPH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Nineteenth-Century Land Warfare: An Illustrated World View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5]
웹사이트
Zimbabwe African National Union
http://encarta.msn.c[...]
Microsoft Encarta Online Encyclopedia
2008-06-30
[6]
웹사이트
Breaking the Silence, Building True Peace
http://www.sokwanele[...]
2009-02-11
[7]
문서
Against the Grain
[8]
웹사이트
Politics and Memory: The Case of the Gukurahundi in Zimbabwe
https://thefunambuli[...]
2021-08-31
[9]
웹사이트
AfricaFiles | The Matabeleland Report: A lot to hide
http://www.africafil[...]
2019-09-14
[10]
웹사이트
Breaking the Silence
https://www.zimbabwe[...]
2024-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