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접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접실은 손님을 접대하는 방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왕실 리셉션, 사교 모임, 그리고 특정 철도 차량의 객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18세기 런던에서는 왕의 침실 밖 응접실에서 궁정 사람들이 모이는 의식을 뜻했으며, 미국 남북 전쟁 시기에는 남부 연합 백악관에서 손님을 맞이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19세기 영국에서는 여성들의 공간으로, 저녁 식사 후 신사들이 합류하는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20세기 중반 이후에는 라운지와 같은 다른 리셉션 룸의 등장으로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또한, 과거에는 기차의 고급 객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문학 장르인 응접실극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응접실극은 부유한 상류층의 재치 있는 대화를 특징으로 하는 코미디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응접실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정의 | 응접실은 주택에서 방문객을 접대하는 데 사용되는 방이다. |
다른 이름 | 리셉션 룸, 앞방, 거실, 살롱 |
역사 | |
기원 | 중세 시대 성의 가장 중요한 방 |
용도 변화 | 가족의 공적인 방, 손님을 접대하고 즐겁게 해주는 방 |
현대적 의미 | 손님과 격식 있는 모임을 위한 공간, 특별한 물건이나 미술품을 전시하는 공간 |
특징 | |
가구 | 고급 가구, 예술 작품, 중요한 물건들을 전시 |
디자인 | 주인의 개성과 취향을 반영 |
분위기 | 격식 있고 우아한 분위기 조성 |
문화적 차이 | |
일본 | 자시키 |
이탈리아 | 살롱 |
프랑스 | 살롱 |
대한민국 | 사랑방 |
서양 | 거실 |
2. 역사
18세기 런던에서는 프랑스인들이 ''레베''라고 부르던 왕실 아침 리셉션을 "응접실"이라고 불렀다. 이는 원래 왕의 침실 밖 응접실에서 궁정의 특권층들이 모여 왕이 그날 처음으로 공식적인 공개 석상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했다.[3]
20세기 중반까지, 저녁 식사 후 만찬의 여성들은 응접실로 물러나고, 신사들은 식탁에 남아 식탁보가 제거될 때까지 있었다. 신사들은 종종 브랜디나 포트 와인을 곁들이고 때로는 시가를 피우며 대화를 나눈 후, 응접실에서 여성들과 다시 합류했다.
"응접실"이라는 용어는 예전만큼 널리 사용되지 않으며, 영국에서는 모닝룸, 라운지와 같은 다른 리셉션 룸을 가진 사람들만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응접실은 집에서 가장 세련된 방이며, 일반적으로 손님을 접대할 때 사용된다. 이 용어는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널리 사용된다.
파럴은 영국에서 응접실과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20세기 초까지 북미에서 흔히 사용되었다. 프랑스어에서는 ''살롱''이 응접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살롱 사교 모임을 반영한 것이다.
2. 1. 미국 남북 전쟁 시기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리치먼드 (버지니아)에 있는 남부 연합 백악관의 응접실은 파럴 밖에 있었다. 미국 남부 연합 대통령 제퍼슨 데이비스는 그곳에서 손님들을 맞이했다. 인사가 끝나면 남자들은 파럴에 남아 정치 이야기를 나누었고, 여자들은 응접실로 가서 그들만의 대화를 나누었다. 이는 미국 남부 부유층에서 흔한 관행이었다.[3]2. 2. 19세기 영국의 응접실
18세기 런던에서 프랑스인들이 ''레베''라고 불렀던 왕실 아침 리셉션은 "응접실"이라고 불렸는데, 원래는 왕의 침실 밖 응접실에 궁정의 특권층들이 모여 왕이 그날 처음으로 공식적인 공개 석상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했다.[3]미국 남북 전쟁 동안, 리치먼드 (버지니아)에 있는 남부 연합 백악관에서 응접실은 파럴 밖에 있었고, 그곳에서 미국 남부 연합 대통령 제퍼슨 데이비스는 손님들을 맞이했다. 이러한 인사가 끝나면 남자들은 정치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파럴에 남았고, 여자들은 그들만의 대화를 위해 응접실로 물러났다. 이는 미국 남부의 부유한 계층에서 흔한 관행이었다.
1865년 영국 건축 매뉴얼에서는 "응접실"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20세기 중반까지, 저녁 식사 후 만찬의 여성들은 응접실로 물러나고, 신사들은 식탁에 남아 식탁보가 제거되었다. 종종 브랜디나 포트 와인을 곁들이고 때로는 시가를 피우며 대화를 나눈 후, 신사들은 응접실에서 여성들과 다시 합류했다.
2. 3. 20세기 이후
20세기 중반까지, 저녁 식사 후 만찬의 여성들은 응접실로 물러나고, 신사들은 식탁에 남아 식탁보가 제거될 때까지 있었다. 신사들은 종종 브랜디나 포트 와인을 곁들이고 때로는 시가를 피우며 대화를 나눈 후, 응접실에서 여성들과 다시 합류했다.[3]"응접실"이라는 용어는 예전만큼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영국에서는 모닝룸(종종 동쪽을 향하여 낮 동안 전화를 받기에 적합했던 거실의 19세기 명칭)이나 라운지(편안하게 쉴 수 있는 방에 대한 19세기 후반의 중산층 명칭)와 같은 다른 리셉션 룸을 가진 사람들만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응접실은 집에서 가장 세련된 방이며, 일반적으로 손님을 접대할 때 가족의 어른들이 사용한다. 이 용어는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널리 사용되며, 아마도 식민지 시대부터 많은 방이 있는 도시의 더 큰 도시 주택에서 사용되었을 것이다.
파럴이라는 용어는 처음에 중산층의 더 소박한 리셉션 룸을 지칭했지만, 집주인들이 부유한 사람들의 더 웅장한 집과 동일시하려 함에 따라 영국에서 용법이 바뀌었다. 파럴은 20세기 초까지 북미에서 흔히 사용되었다. 프랑스어에서는 이전에 국빈관을 지칭했던 단어 ''살롱''이 19세기 초부터 응접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그 전 수십 년 동안 인기를 얻었던 ''살롱'' 사교 모임을 반영한 것이다.
2. 4. 한국의 응접실
18세기 런던에서는 프랑스인이 'levées'라고 부르던 로열 모닝 리셉션(royal morning reception)이 응접실로 불렸다.[1]3. 철도 용어로서의 응접실
과거 '응접실(drawing room)'이라는 용어는 여객 열차의 침대차나 개인 철도 차량에서 가장 넓고 비싼 개인 객실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1874년 풀먼 컴퍼니가 제작하여 미국에서 미들랜드 철도로 수입된 "응접실 객차(Drawing Room Car)"가 그 예시다.[4]
북아메리카에서는 3명 이상이 잘 수 있고 개인 세면실이 딸린 객실을 응접실이라 불렀다.[5] 암트랙에서는 더 이상 응접실이 설치된 침대차를 운행하지 않지만, VIA Rail Canada에서는 여전히 운행 중이다. 다만, 시대에 뒤떨어진 명칭으로 여겨져 "트리플 침실"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4. 응접실극
응접실은 손님을 접대하는 집 안의 방이었으며, 이 방의 이름은 응접실극이라는 장르의 연극 및 영화 제작물에 붙여졌다. 초기 형태의 드라마에서 시작하여 응접실극은 코미디를 포함하도록 발전했으며 극적인 독백 형식도 포함하게 되었다. 극 형식 자체도 전통적인 응접실 공연에서 벗어나 거리 극장과 영화로 발전했다. 응접실 자체는 인기를 잃었지만 극 형식은 계속해서 엔터테인먼트의 원천을 제공해 왔다.
4. 1. 응접실 코미디
응접실 코미디는 전형적으로 부유하고 여유로우며, 점잖은 상류층 등장인물들 사이의 재치와 언어적 농담을 특징으로 한다. 응접실 코미디는 때때로 "풍속 코미디"라고도 불린다. 오스카 와일드의 1895년 작품인 ''진지함의 중요성''과 노엘 코워드의 여러 희곡들은 이 장르의 전형적인 작품이다. 조지 버나드 쇼의 1919년 작품 ''심사숙고''는 이 장르에 사회 비판의 흐름을 더한다. 캐리 그랜트는 여러 편의 영화화된 응접실 코미디에 출연했다. 에른스트 루비치는 응접실 코미디 감독으로 특히 유명했다.참조
[1]
사전
drawing-room
http://www.oed.com/v[...]
Oxford English Dictionary
1642
[2]
서적
Houses of the Gentry 1480–1680
English Heritage
1999
[3]
서적
The Gentleman's House: or, How to Plan English Residences, from the Parsonage to the Palace; with Tables of Accommodation and Cost, and a Series of Selected Plans.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865
[4]
웹사이트
Midland Railway 1874 Pullman Clerestory Coach (American import) : Display
https://www.flickr.c[...]
2007-02
[5]
광고
Three is no crowd... In the Drawing Room Built by Pullman-Standard
http://library.duke.[...]
Ad*Access, Duke University Libraries Digital Collections
19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