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숙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숙공주는 조선 세조의 딸로, 정현조와 혼인하였다. 1455년 세조가 즉위한 후 공주에 봉해졌으며, 1477년에 사망했다. 회암사 중건을 지원하기도 했으며, 사후 성종은 조회를 철회하고 부의를 하사했다. 경기도 고양에 묻혔다가 후에 의왕으로 이장되어 남편과 합장되었다. 2011년 드라마 《인수대비》에서 윤주가 의숙공주 역을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세조의 자녀 - 덕종 (조선)
조선 덕종은 세조의 장남이자 성종의 아버지로,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9세에 요절하였으며, 그의 죽음은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여러 논란을 낳았고, 후에 아들 성종의 즉위로 추존되었다. - 조선 세조의 자녀 - 예종 (조선)
조선의 제8대 왕인 예종은 세조의 아들로, 형 의경세자의 요절 후 왕세자가 되어 즉위했으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정희왕후의 수렴청정과 훈구 세력의 영향력 아래 있었고 남이의 옥이 일어났다. - 1478년 사망 - 줄리아노 데 메디치
줄리아노 데 메디치는 로렌초 데 메디치의 동생이자 빼어난 외모로 '일 벨로'라 불렸던 인물로, 형과 함께 피렌체를 통치하고 은행을 경영했으나 파치 가문의 음모로 암살당했으며 사후 그의 사생아 아들이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되었다. - 1478년 사망 - 윤자운
윤자운은 조선 초 문신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은 윤회의 손자이자 신숙주의 처남이며, 여러 관직을 거쳐 수양대군 즉위 후 좌익공신에 책록,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성격이 편협하고 뚜렷한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1441년 출생 - 알리셰르 나보이
알리셰르 나보이는 15세기 티무르 제국에서 활동하며 차가타이어와 페르시아어로 시를 쓴 시인이자 정치가, 건축가, 신비주의자로서, 호라산 지역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차가타이어 문학을 발전시켜 "튀르크인의 제프리 초서"라는 평가를 받으며 우즈베키스탄에서 국민 시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 1441년 출생 - 레 인종
레 인종은 1442년 즉위하여 섭정과 친정을 거치며 과거 제도 개혁과 참파 침공 격퇴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에 의해 살해당한 베트남 레 왕조의 황제이다.
의숙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의숙공주 |
한자 표기 | 懿淑公主 |
출생일 | 1441년 |
사망일 | 1478년 1월 15일 (36세) (양력) |
부친 | 세조 |
모친 | 정희왕후 윤씨 |
배우자 | 하성위(河城尉) 정현조(鄭顯祖) |
능묘 | 의숙공주묘 |
매장지 | 경기도 의왕시 초평동 산61-6 |
작위 | 조선 세조의 공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영희전 |
2. 생애
1441년(세종 23년), 세종의 둘째 아들 수양대군[1](晉陽大君, 세조)과 정희왕후 윤씨의 딸로 태어났다. 정인지의 아들 정현조와 혼인하였다. 1455년 아버지 세조가 즉위하자 '''의숙공주'''(懿淑公主)에 봉해졌고, 같은 해 11월 왕실 행사에 초대되었다.
1468년(세조 14년) 세조 사후 봉상시에서 올린 시호 '의숙(懿肅)'이 의숙공주의 작호와 음이 같아 개정되었다.[2] 승정원은 간(簡)·의(毅)·흠(欽) 세 글자를 아뢰었는데, 세조의 시호는 '흠(欽)'으로 변경되었다.
1468년(예종 1년) 12월 16일 예종은 의숙공주에게 쌀 50석을 선물하였다.
1475년(성종 6년), 사간원이 내수사 재곡으로 회암사를 중건하는 것을 중지할 것을 청하였으나, 성종은 의숙공주 개인 재곡으로 수리하는 것이라며 반대하였다.[2]
1477년(성종 8년) 12월 3일 사망하자 성종은 조회를 철회하고 애도하였다. 부의(賻儀)로 쌀 70석, 황두(黃豆) 30석, 청밀(淸蜜) 10두, 기름(油) 1석, 소맥(小麥) 3석, 석회(石灰) 10석을 하사하였다.[2]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가좌동 정토부락에 매장되었으며, 이후 남편 정현조가 그 아래에 매장되었다. 후에 경기도 의왕시 초평동으로 이장하여 합장되었다.
2. 1. 출생과 혼인
1441년(세종 23년), 세종의 둘째 아들인 수양대군[1](세조)과 정희왕후 윤씨의 딸로 태어났다. 정인지의 아들인 정현조와 혼인하였으며, 1455년 아버지 세조가 즉위하자 7월, '''의숙공주'''(懿淑公主)에 봉해졌다.2. 2. 공주 책봉과 활동
1455년 아버지 세조가 즉위하자 7월, '''의숙공주'''(懿淑公主)에 봉해졌다.[1] 같은 해 11월에 왕실 행사에 초대되었다.1475년(성종 6년), 사간원에서 내수사의 재곡으로 회암사를 중건하는 것을 중지할 것을 청하였으나, 성종은 회암사 수리가 의숙공주 개인의 재곡으로 하는 것이며 작은 곳을 수리하는 것에 불과하니 다시 언급하지 말라고 하였다.[2]
2. 3. 시호 개정
1468년(세조 14년) 세조 사후 봉상시에서 세조의 시호로 올린 글자 중 '의숙(懿肅)'이 의숙공주의 작호와 음이 같아 개정되었다.[2] 승정원에서는 간(簡)·의(毅)·흠(欽) 세 글자를 아뢰었는데, 당초 정한 세조의 시호 '의(懿)' 자를 '흠(欽)' 자로 변경하였다.2. 4. 사망
1477년(성종 8년) 12월 3일 사망하였다. 성종은 조회를 철회하고 의숙공주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또한 부의(賻儀)로 쌀 70석, 황두(黃豆) 30석, 청밀(淸蜜) 10두, 기름(油) 1석, 소맥(小麥) 3석, 석회(石灰) 10석을 하사하였다.[2]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가좌동 정토부락에 매장되었으며, 이후 남편 정현조가 그 아래에 매장되었다. 후에 경기도 의왕시 초평동으로 이장하여 정현조와 합장되었다.
3. 가족 관계
4. 관련 작품
2011년~2012년 JTBC 드라마 인수대비에서 윤주가 의숙공주 역을 연기하였다.
4. 1. 드라마
2011년~2012년 JTBC 드라마 인수대비에서 윤주가 의숙공주 역을 연기하였다.참조
[1]
문서
1445년 수양대군으로 군호가 바뀌었다.
[2]
서적
회암사 중수를 반대하는 사간원 대사간 정괄 등의 상소
1475-03-06
[3]
문서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이휴(李携)의 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