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평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평군은 조선 정종의 아들이자 태조의 손자이다. 1412년 부장윤에 임명되었으며, 1417년 원윤에 오르고 가정 의평군으로 봉해졌다. 정종의 소렴전과 담제를 섭행했으며, 세종으로부터 잔치를 받기도 했다. 이후 사헌부의 탄핵, 양녕대군에게 아부했다는 논의, 아우 혼인 관련 사건 등에 연루되었다. 1461년에 사망했으며, 1974년 묘가 고양시로 이장되었다. 의평군파는 매년 제사를 지내며, 해군참모총장을 지낸 이맹기가 주요 인물로 언급된다.
의평군은 자손에게 물구명리(勿求名利), 퇴거향장(退去鄕莊), 공검자수(恭儉自守)(명리를 구하지 말고, 시골 전장에 퇴거하여, 공손하고 겸손하게 분수를 지키라)의 교훈을 내렸다. 의평군의 묘는 1974년 7월 20일 경기도 고양시 오금리로 옮겨졌다.[1]
2. 생애
1412년(태종 12년) 음력 5월 3일, 부정윤(副正尹)이 되었다.
1417년(태종 17년) 음력 7월 15일, 원윤(元尹)에 오르고 채단과 단자를 하사받았다. 같은 해 음력 9월 12일, 가정(嘉靖) 의평군(義平君)으로 봉해졌다.
1419년(세종 1년) 음력 9월 26일, 정종이 사망하자, 다음날인 음력 9월 27일에 의평군이 섭상주(攝喪主)가 되어 정종의 소렴전(小殮奠)을 올렸다. 음력 10월 23일에는 담제를 섭행하였다.
1421년(세종 3년) 음력 10월 3일, 복제를 마치자 세종이 잔치를 베풀어 의평군을 위로하였다.
1422년(세종 4년) 음력 10월 7일, 의평군이 말을 타고 백관 앞을 지났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1423년(세종 5년) 음력 2월 17일, 양녕군에게 아부했다는 이유로 의평군의 징계를 청하는 논의가 있었다.
1424년(세종 6년) 음력 10월 14일, 의평군의 아우 혼인과 관련하여 상대편이 꾀를 내어 피하는 일이 있었다.
1425년(세종 7년) 음력 4월 2일, 이원생의 직첩을 거두라는 명이 내려졌다.
1426년(세종 8년) 음력 10월 26일, 경기도 해풍에 안치되었던 이원생을 포천으로 옮겼다.
1427년(세종 9년) 음력 12월 6일, 이원생에게 외방에서 편한 대로 살라는 명이 내려졌다.
1449년(세종 31년) 음력 6월 19일, 이원생에게 과전(科田)과 직첩(職牒)을 도로 준 데 대해 사헌부가 이를 회수하라고 청하였다.
1454년(단종 2년) 음력 3월 9일, 중의대부(中義大夫) 의평군(義平君)으로 봉작되었다.
1461년(세조 7년) 음력 8월 4일, 졸기(卒記)하였다.
2. 1. 연보
1412년(태종 12년) 음력 5월 3일, 부정윤(副正尹)이 되었다.
1417년(태종 17년) 음력 7월 15일, 원윤(元尹)에 오르고 채단과 단자를 하사받았다. 같은 해 음력 9월 12일, 가정(嘉靖) 의평군(義平君)으로 봉해졌다.
1419년(세종 1년) 음력 9월 26일, 정종이 사망하자, 다음날인 음력 9월 27일에 의평군이 섭상주(攝喪主)가 되어 정종의 소렴전(小殮奠)을 올렸다. 음력 10월 23일에는 담제를 섭행하였다.
1421년(세종 3년) 음력 10월 3일, 복제를 마치자 세종이 잔치를 베풀어 의평군을 위로하였다.
1422년(세종 4년) 음력 10월 7일, 의평군이 말을 타고 백관 앞을 지났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1423년(세종 5년) 음력 2월 17일, 양녕군에게 아부했다는 이유로 의평군의 징계를 청하는 논의가 있었다.
1424년(세종 6년) 음력 10월 14일, 의평군의 아우 혼인과 관련하여 상대편이 꾀를 내어 피하는 일이 있었다.
1425년(세종 7년) 음력 4월 2일, 이원생의 직첩을 거두라는 명이 내려졌다.
1426년(세종 8년) 음력 10월 26일, 경기도 해풍에 안치되었던 이원생을 포천으로 옮겼다.
1427년(세종 9년) 음력 12월 6일, 이원생에게 외방에서 편한 대로 살라는 명이 내려졌다.
1449년(세종 31년) 음력 6월 19일, 이원생에게 과전(科田)과 직첩(職牒)을 도로 준 데 대해 사헌부가 이를 회수하라고 청하였다.
1454년(단종 2년) 음력 3월 9일, 중의대부(中義大夫) 의평군(義平君)으로 봉작되었다.
1461년(세조 7년) 음력 8월 4일, 졸기(卒記)하였다.
3. 가족 관계
4. 의평군파
호조참판 겸 부사과를 지낸 5대 종손 덕복(德福)이 1550년께 황해도 금천군 남단인 구포(鷗浦)를 중심으로 고동면과 서북면 지대를 마련하여 향토가 되고 14대 종손 용헌(用憲)이 1817년(순조 17년)에 사당을 봉축했다. 의평군의 2남인 재전부정(梓田副正)은 양구, 3남인 아인부정(阿仁副正)은 예산과 용인, 청양, 4남인 도개부정(道開副正)은 철원, 5남 이성부정(泥城副正)은 한양에서 주로 살았다고 전해진다.
== 의평군파 종회 ==
의평군파 종회는 매년 양력 10월 24일에 후릉제향(厚陵祭享)을 지낸다. 정종과 정안왕후 정안왕후 김씨(1355년~1412년)의 후릉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풍군 흥교면 흥교산에 있어, 경기도 구리 동구릉(東九陵) 태조 건원릉 정자각에서 15군파(君派) 후손이 함께 제사를 지내며 남북통일을 기원한다.
매년 양력 4월 마지막 주 일요일에는 성빈 충주지씨제향(誠嬪忠州池氏祭享)을 지낸다. 충주지씨의 의단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풍군 광덕산에 있어 1980년 5월 1일 종손 우산정 묘역의 종중산인 경기도 고양시 오금동(산막동) 서산 중심지에 의단을 건립하고, 5군파(의평군·선성군·덕천군·임성군·도평군)의 파종회장으로 구성된 봉성회(奉誠會) 주관으로 후손이 함께 제사를 지낸다.
1974년 7월 20일에는 의평군 묘소를 면례(緬禮)했다. 원래 묘소는 현 남한산성 서수어장대(西守禦將臺) 서쪽 아래 서울 송파구 거여동 태평산대(泰平山帶)로 묘역지가 7천여 평에 이르렀지만 군용지로 수용되어 고양시 오금동 서산 우산정 묘소 위에 면례 합장했다. 1976년 5월 18일에는 의평군 신도비를 건립했다. 1978년 8월 30일에는 의평군파 세보 수편을 배포했다. 1980년 5월 18일에는 성빈 충주지씨 제단을 봉성회 주관으로 건립했다.
1981년 5월 10일에는 종손 3위(3세 정곡수 성·4세 임해부수 옥명·5세 문과승지 언)의 제단을 건립했다. 1986년 4월 15일에는 칠원도정의 묘소를 정비했다. 1990년 10월 1일에는 의평군 묘소 보위석·비·상석·장대석·제장·내외성 보토공사를 마쳤다. 1996년 10월 1일에는 우산정의 묘소에 보위석·상석·장대석 등 석물 및 내외성 보토공사를 했으며 장계수의 묘소에도 보위석·장대석 등 석물 및 내외성 보토공사를 완공했다.
== 주요 인물 ==
- 이맹기[2]는 전 해군참모총장이다.
4. 1. 의평군파 종회
의평군파 종회는 매년 양력 10월 24일에 후릉제향(厚陵祭享)을 지낸다. 정종과 정안왕후 정안왕후 김씨(1355년~1412년)의 후릉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풍군 흥교면 흥교산에 있어, 경기도 구리 동구릉(東九陵) 태조 건원릉 정자각에서 15군파(君派) 후손이 함께 제사를 지내며 남북통일을 기원한다.매년 양력 4월 마지막 주 일요일에는 성빈 충주지씨제향(誠嬪忠州池氏祭享)을 지낸다. 충주지씨의 의단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풍군 광덕산에 있어 1980년 5월 1일 종손 우산정 묘역의 종중산인 경기도 고양시 오금동(산막동) 서산 중심지에 의단을 건립하고, 5군파(의평군·선성군·덕천군·임성군·도평군)의 파종회장으로 구성된 봉성회(奉誠會) 주관으로 후손이 함께 제사를 지낸다.
1974년 7월 20일에는 의평군 묘소를 면례(緬禮)했다. 원래 묘소는 현 남한산성 서수어장대(西守禦將臺) 서쪽 아래 서울 송파구 거여동 태평산대(泰平山帶)로 묘역지가 7천여 평에 이르렀지만 군용지로 수용되어 고양시 오금동 서산 우산정 묘소 위에 면례 합장했다. 1976년 5월 18일에는 의평군 신도비를 건립했다. 1978년 8월 30일에는 의평군파 세보 수편을 배포했다. 1980년 5월 18일에는 성빈 충주지씨 제단을 봉성회 주관으로 건립했다.
1981년 5월 10일에는 종손 3위(3세 정곡수 성·4세 임해부수 옥명·5세 문과승지 언)의 제단을 건립했다. 1986년 4월 15일에는 칠원도정의 묘소를 정비했다. 1990년 10월 1일에는 의평군 묘소 보위석·비·상석·장대석·제장·내외성 보토공사를 마쳤다. 1996년 10월 1일에는 우산정의 묘소에 보위석·상석·장대석 등 석물 및 내외성 보토공사를 했으며 장계수의 묘소에도 보위석·장대석 등 석물 및 내외성 보토공사를 완공했다.
4. 2. 주요 인물
- 이맹기[2]는 전 해군참모총장이다.
참조
[1]
웹인용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중 의평군파(정종대왕 제1남) 약사
http://www.rfo.co.kr
2008-02-18
[2]
뉴스
전주이씨(全州李氏) 의평군파(義平君派)
http://www.weeklygr.[...]
주간고령
2020-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