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감 (삼국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감은 삼국 시대 인물로, 흥평의 난 당시 천여 가를 거느리고 장안으로 들어가 동탁이 쌓은 성채에 기거했다. 211년, 조조의 한중 공격에 위협을 느껴 마초, 한수 등과 연합하여 동관으로 진격했으나, 조조의 이간계에 휘말려 한수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조조의 공격으로 사망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한수의 부하로 등장하며, 조조와의 전투 중 마초에게 쫓기다 우금의 화살에 맞아 죽는 것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11년 사망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193년부터 211년까지 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 군사력 강화와 영토 확장에 기여했으나, 군사 독재 체제 강화와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켰다. - 211년 사망 - 게타 (황제)
게타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아들이자 카라칼라의 동생으로, 공동 황제였으나 형과의 불화로 암살당하고 기억말살형을 당했다. - 한수와 주변 인물 - 장횡 (후한)
장횡은 후한 시대의 인물로, 211년 마초와 한수의 조조 공격에 참전했으나, 가후의 이간계로 연합군이 패배한 후 정사에서는 기록이 없고,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조조군을 야습하다 전사한다. - 한수와 주변 인물 - 후선
후선은 후한 말 마초와 장로 휘하의 무장으로, 조조에게 항복 후 관직을 받았으며, 삼국지연의에서는 한수의 장수로 묘사된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이감 (삼국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이감(李堪) |
출생지 | 하동군 |
사망일 | 211년 |
사망원인 | 전사 |
국적 | 후한 |
관련 활동 | 관중십장 중 한 명 |
2. 생애
흥평의 난 동안 천여 가구를 이끌고 장안으로 이동하여 동탁이 축조한 성채에 머물렀다.[5] 211년(건안 16년)에는 마초, 한수 등 다른 관중 세력과 연합하여 조조에 맞서 동관 전투에 참전하였으나, 이 전투에서 패배하고 목숨을 잃었다.
2. 1. 흥평의 난과 관중 군벌
흥평의 난 동안 천여 가구를 아우르는 세력을 형성하였고, 휘하의 부곡을 이끌고 장안으로 이동하여 동탁이 축조한 성채에 머물렀다.[5]211년(건안 16년), 조조가 한중 지역을 목표로 군사적 움직임을 보이자 위협을 느꼈다. 이에 마초, 한수 등 다른 관중 지역의 여러 세력과 연합하여 동관(潼關)으로 진격하였다(동관 전투). 전투 초기에는 연합군이 기세를 올렸으나, 조조가 의도적으로 시간을 끌며 지구전을 펼치자 점차 군대의 규율이 해이해졌다. 더불어 조조의 이간계에 넘어가면서 한수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이러한 내부 분열의 틈을 놓치지 않은 조조의 총공세에 연합군은 크게 패배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감은 목숨을 잃었다.
2. 2. 동관 전투와 최후
211년(건안 16년) 조조의 한중 공략 움직임에 위협을 느껴 마초, 한수 등 다른 관중의 군벌들과 연합하여 동관으로 진격하였다. 동관 전투에서 조조가 시간을 끌자 군의 기강이 해이해졌고, 조조의 이간계에 넘어가 한수와의 관계도 틀어졌다. 이 틈을 노린 조조의 총공격에 크게 패하였고, 이감 역시 이 전투에서 전사하였다.3. 소설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한수의 부하 장수인 수하팔부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3] 조조와의 전투가 길어지자, 서황과 주령에게 후방 진영이 포위당하는 등 형세가 불리해지자 마초와 한수에게 조조와의 강화를 권유하며 일단 휴전하고 겨울을 보낸 뒤 봄에 다시 싸우자고 제안한다.
조조는 이를 받아들이는 척하면서 가후의 반간계를 사용하여 마초와 한수 사이를 이간질한다. 이 계략으로 마초는 한수가 자신을 배신할 것이라 의심하게 되고, 한수는 결국 조조와 손을 잡고 마초를 치기로 한다. 이를 눈치챈 마초가 한수의 막사를 습격하자, 이감은 후선, 양흥, 마완, 양추와 함께 마초에 맞서 싸운다. 싸움 도중 마완과 양흥이 마초에게 죽고, 이감을 포함한 나머지 세 장수는 달아난다. 마초가 달아나는 이감을 뒤쫓는데, 조조의 부하 장수 우금이 뒤에서 마초를 향해 화살을 쏜다. 마초가 소리를 듣고 화살을 피하자, 그 앞에 있던 이감이 대신 화살에 맞아 죽는다.[4]
3. 1.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삼국지』에서는 '''이담'''(りたん|리탄jpn)으로 표기된다. 마초 휘하의 기본 팔기의 일원이다.참조
[1]
서적
三国志
s:zh:三國志/卷08#張魯
[2]
서적
三国志
s:zh:三國志/卷01
[3]
서적
三國演義
s:zh:三國演義/第058回
[4]
서적
三國演義
s:zh:三國演義/第059回
[5]
간행물
전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