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시카와 에이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시카와 에이지는 1892년 일본 가나가와현에서 태어난 소설가이다. 1914년 소설 공모전에서 1등을 수상하며 데뷔했고, 간토 대지진 이후 작가로 전념했다. 그는 '미야모토 무사시', '삼국지' 등 대중적인 역사 소설을 통해 큰 인기를 얻었으며, '신 헤이케 이야기'로 기쿠치 간 상을 수상했다. 요시카와는 1960년 문화 훈장을 받았으나, 1962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만화와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기념관이 건립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시카와 에이지 - 삼국지 (요시카와 에이지)
요시카와 에이지의 『삼국지』는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한 역사 소설로, 조조를 입체적으로 묘사하고 초인적인 묘사를 배제하는 등 독자적인 해석과 각색을 통해 이후 삼국지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중일 전쟁 종군 기자 - 카메이 후미오
카메이 후미오는 쇼와 시대 일본 사회의 어두운 면을 비판적으로 조명하고 전쟁 후 사회 문제와 책임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으로, 사회 참여와 진보적인 시각으로 다양한 영역의 작품을 제작했다. - 중일 전쟁 종군 기자 -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하시모토 도미사부로는 아사히 신문 기자 출신으로 중의원 12선, 건설대신, 내각관방장관, 운수대신, 자민당 간사장을 역임한 일본 정치인이지만, 나리타 공항 건설 강행과 로크히드 사건 연루로 정계를 은퇴했으며 통신 분야 기여와 난징 대학살 관련 논란 등 평가가 엇갈린다. - 마주 - 스기야마 고이치
스기야마 고이치는 닛폰 문화방송과 후지TV 감독 출신의 일본 작곡가이자 지휘자로,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음악 작곡으로 유명하며, 극우 성향의 정치적 견해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마주 - 와타누키 다미스케
와타누키 다미스케는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 중의원 의장, 국민신당 대표를 역임했으며, 기업가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국토청 장관, 건설상 등을 거쳐 우정 민영화 반대로 자민당을 탈당하고 국민신당을 창당했다.
요시카와 에이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요시카와 히데쓰구 (吉川 英次) |
출생 | 1892년 8월 11일 |
출생지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나카구 |
사망 | 1962년 9월 7일 (향년 70세) |
사망지 | 도쿄도 주오구 쓰키지 국립암연구센터 |
묘소 | 다마 영원 |
국적 | 일본 |
직업 | 소설가 |
학력 | |
학력 | 태전심상고등소학교 중퇴 |
작품 활동 | |
활동 기간 | 1923년 - 1962년 |
장르 | 역사 소설 시대 소설 |
데뷔작 | 에노시마 이야기 (江の島物語) |
주요 작품 | 나루토 비첩 (鳴門秘帖, 1933년) 친란 (親鸞, 1938년) 미야모토 무사시 (宮本武蔵, 1939년) 우에스기 겐신 (上杉謙信, 1942년) 신서태합기 (新書太閤記, 1945년) 삼국지 (三国志, 1946년) 신・헤이케 이야기 (新・平家物語, 1957년) 사본태평기 (私本太平記, 1962년) |
수상 | |
수상 | 기쿠치 간 상 (1953년) 아사히 문화상 (1956년) 문화 훈장 (1960년) 마이니치 예술상 (1962년) 사후 증정 종3위・훈1등 서보장 (1962년)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아카자와 야스 (赤沢やす, 1923년 - 1937년) 요시카와 후미코 (吉川文子, 구姓:池戸, 1937년 - 1962년) |
자녀 | 2남 3녀 |
2. 생애
1892년 가나가와현에서 태어난 요시카와 에이지(본명: 히데쓰구)는 10세 때부터 잡지에 글을 투고하고, 1910년 상경하여 센류를 지었다.[20] 1914년 「에노시마 이야기」로 등단, 고단샤 현상소설에 입선하며 도쿄 마이사쿠 신문사에 입사, 『신란기』 등을 집필했다. 1923년 간토 대지진을 계기로 전업 작가의 길을 걷게 된다.
간토 대지진 이후 고단샤에서 필명으로 활동하며 작가로서 입지를 다졌다. 1925년 『킹』 지에 '요시카와 에이지'라는 필명으로 「검난여난」을 연재, 큰 인기를 얻었다. 1926년 나루토 비첩은 베스트셀러 및 영화화되었다. 1933년 대중문학 연구지 『중문』을 창간하고, 문예간담회 설립에 관여, 청년 운동으로 도호쿠 농촌 강연을 다녔다.
1935년 『신란』 발표 후, 「미야모토 무사시」를 연재하여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1939년부터 「신서 태합기」, 「삼국지」를 연재, 인간을 움직이는 힘을 탐구했으나, 군국주의 옹호 비판도 받았다. 1942년 해군 군령부 칙임 대우로 전사 편찬에 참여, 군부 팽창 정책 옹호 논란이 있다.
패전 후 1947년 집필을 재개, 1950년 「신 · 헤이케 이야기」로 기쿠치 간 상을 수상했다. 「신 · 헤이케 이야기」 이후 『사본 태평기』, 「신 · 수호전」을 연재했다. 『사본 태평기』는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재조명했다. 1960년 문화훈장을 받았으나 예술원 회원은 되지 못했다.
1962년 폐암으로 사망(향년 70세). 일본 왕실은 종3위 훈1등과 서보장을 추서했다.
2. 1. 어린 시절과 문학적 성장
1892년 일본 가나가와현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히데쓰구(英次)이다.[20] 아버지 요시카와 나가히로(吉川直広)는 오다와라번의 번사 출신으로, 현청에서 근무하다 목축업과 무역 중개업을 했지만, 1903년 재판에서 패소하고 형무소에 수감되면서 가세가 기울었다. 이복형과의 불화로 에이지는 소학교를 중퇴하고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18세 때 요코하마 도크의 선구공이 되었으나, 작업 중 추락 사고로 중상을 입었다.[4]10세 때부터 잡지에 투고를 시작하여 시사신보사의 소년지에 작문이 입선했고, 독학으로 문학 공부를 계속했다. 1910년 도쿄로 상경하여 직공으로 일하면서 센류를 짓기 시작했고, 센류 시인 이노우에 겐카보(井上剣花坊)의 소개로 「다이쇼 센류」(大正川柳)에 참가했다. 1914년 요시카와 와카코로(吉川雉子郎)라는 이름으로 투고한 「에노시마 이야기(江の島物語)」가 『고단 구락부』(講談倶楽部)지에 3등으로 당선되었다.[1]
결혼 후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쓴 소설 3편이 고단샤에서 발행하던 문학 잡지에 현상소설로 입선하여 데뷔했고, 이듬해부터 도쿄 마이사쿠 신문사에 입사하여 『신란기』(親鸞記) 등을 집필하며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았다. 1923년 간토 대지진을 계기로 문학으로 생계를 꾸리기로 결심했다.
2. 2. 문단 데뷔와 인기 작가 반열
1914년(다이쇼 3년), 요시카와 와카코로(吉川雉子郎)라는 이름으로 투고한 「에노시마 이야기(江の島物語)」가 『고단 구락부(講談倶楽部)』지에 3등으로 당선되었다.[20] 그러나 가난한 생활은 나아지지 않았고, 결혼 뒤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쓴 소설 3편이 고단샤(講談社)에서 발행하던 문학 잡지에 현상소설(懸賞小説)로 입선하여 데뷔하게 되었다. 이듬해부터 도쿄 마이사쿠 신문사(東京毎夕新聞社)에 입사하여, 조금씩 문학적인 재능을 인정받으며 『신란기』(親鸞記) 등을 집필하였다. 1923년 간토 대지진을 계기로 문학으로 생계를 꾸리기로 하였다.간토 대지진으로 도쿄 마이사쿠 신문사가 해산된 뒤, 작품을 고단샤로 보내 필명으로 발표했는데, 「검마협보살(剣魔侠菩薩)」을 『면백 구락부(面白倶楽部)』지에 연재하며 작가로서의 자리를 잡아나갔다.[20] 1925년(다이쇼 14년) 창간된 『킹』 지에 작품을 연재했는데, 처음으로 요시카와 에이지(吉川英治)라는 필명을 사용한 「검난여난」(剣難女難)으로 인기를 얻었다. 이때 본명인 「요시카와 에이지(吉川英次)」를 쓰려 했는데, 작품 연재 당시 출판사에서 「에이지(英治)」로 잘못 알고 적은 것이 본인은 마음에 들어 이후로도 계속 필명으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 『킹』 지는 고단샤가 자사의 운명을 걸고 있다고 할 정도로 중시되던 잡지였는데, 이 잡지에 작품을 연재하던 신예 작가 요시카와 에이지는 곧 문단의 기대주로 떠올랐다. 「반도 협객진(坂東侠客陣)」, 「신슈 천마협(神洲天馬侠)」 두 편의 장편소설을 발표하며 많은 독자층을 형성하고 마이니치 신문(毎日新聞)으로부터도 집필 요청이 들어오는 등 의뢰가 점점 늘어났으며, 에도 시대 아와(阿波)의 도쿠시마번 10대 번주였던 하치시카 시게요시(蜂須賀重喜)의 별거(蟄居)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 나루토 비첩(鳴門秘帖)을 1926년 완성한다. 이 작품을 수록한 『현대대중문학전집』(現代大衆文学全集)도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영화로도 많이 제작되었다.
2. 3. 대표작과 역사 인식 논란
요시카와 에이지는 대중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들을 남겼지만, 그의 역사 인식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대표작으로는 1926년에 발표한 나루토 비첩이 있다. 이 소설은 에도 시대 도쿠시마 번 10대 번주였던 하치시카 시게요시의 별거를 배경으로 하며, 영화로도 많이 제작되었다. 1935년부터 1939년까지 연재한 미야모토 무사시는 일본 신문소설 역사상 유례없는 인기를 얻었으며, 검선일여(剣禅一如)를 추구한 구도자로서의 미야모토 무사시를 그려내어 태평양 전쟁 시기 일본 사회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20]1939년 2월부터 연재한 「신서 태합기」와 같은 해 8월부터 연재한 「삼국지」는 개인을 넘어 인간 전체를 움직이는 힘을 그리려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이 작품들은 군국주의 일본의 팽창을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를 통해 정당화하려 했다는 비판도 받는다.[20]
1942년에는 해군 군령부의 칙임 대우에 발탁되어 해군 전사(戦史) 편찬에 참여했으며, 야마구치 다몬, 가쿠 도메오(加来止男)의 전사를 다룬 「제독과 그 부하들(提督とその部下)」, 야스다 요시타츠의 전사를 다룬 「야스다 육전대사령」(安田陸戦隊司令)을 집필하기도 했다.[20] 이러한 행적은 일본 군부의 팽창 정책을 문학으로 정당화하고 옹호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패전 후, 일본군 장교였던 쓰지 마사노부의 도피 자금을 댄 전적도 있다.[20]
2. 4. 전후 활동과 사망
패전 후, 요시카와 에이지는 큰 충격을 받아 한동안 펜을 놓았지만, 친구 기쿠치 간의 요청으로 1947년 집필을 재개하였다. 『다카야마 우콘』, 『오오카 에치젠』과 같은 작품으로 복귀했지만, 『미야모토 무사시』의 판권을 두고 고단샤와 로쿠오키 출판사(요시카와의 동생이 근무하던 회사) 사이에 분쟁이 벌어지기도 했다.[20]1950년부터 아사히 위클리에 「신 · 헤이케 이야기」 연재를 시작했다. 패전한 일본의 모습을 과거 헤이케의 몰락에 비유한 이 작품은 7년에 걸친 대작으로, 요시카와는 이 작품으로 제1회 기쿠치 간 상을 수상하였다. 1955년부터는 분게이슌주의 강력한 요청으로 자서전 성격의 「잊혀지고 남은 기록」(忘れ残りの記)을 연재하였다. 한편, 은둔 생활 중이던 쓰지 마사노부와 만나 그의 도피 자금을 지원하기도 했다.[20]
「신 · 헤이케 이야기」 종료 후에는 『사본 태평기』와 「신 · 수호전」을 연재하였다. 『사본 태평기』는 '역적'으로 알려졌던 무로마치 막부 초대 쇼군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다른 시각에서 재조명한 작품이었다. 1960년 문화훈장을 수상하였지만, '통속 작가'로 여겨져 일본 예술원 회원이 되지는 못했다.[20]
『사본 태평기』 연재가 끝날 무렵 폐암을 얻었고, 이듬해 암이 간으로 전이되어 1962년 9월 7일 쓰키지의 국립암연구센터에서 사망하였다. 향년 70세.[20] 요시카와 에이지의 사망 소식은 한국의 《동아일보》 1962년 9월 8일 자 지면을 통해 한국에도 보도되었다. 사후 일본 왕실로부터 종3위(従三位) 훈1등(勲一等)에 서훈되었고, 서보장이 추서되었다.[20]
3. 작품 세계와 특징
요시카와 에이지의 작품들은 만화로도 많이 만들어졌다. 나루토 비첩과 삼국지(三國志)는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만화로 재탄생했으며, 한국에서는 전략삼국지 60권으로 출간되었다. 미야모토 무사시는 이노우에 다케히코의 배가본드로 만화화되었다.[1]
3. 1. 대중성과 문학성
요시카와 에이지의 작품 중 나루토 비첩, 원전을 직접 번역한 삼국지(三國志)는 요코야마 미츠테루에 의해 만화로 만들어졌다. 한국에서는 전략삼국지 60권으로 출간되었다. 그의 대표작 미야모토 무사시는 이노우에 다케히코에 의해 배가본드로 만화화되었다.3. 2. 역사 소설의 새로운 지평
요시카와 에이지의 나루토 비첩, 원전을 일본어로 번역한 삼국지(三國志)는 만화가 요코야마 미츠테루에 의해 만화로 만들어졌으며, 한국에서는 전략삼국지 60권으로 출간되었다. 그의 대표작 미야모토 무사시는 일본의 유명 만화가 이노우에 다케히코에 의해 배가본드로 만화화되었다.4. 주요 작품 목록
- 나루토 비첩 - 요코야마 미츠테루에 의해 만화로 만들어졌다.
- 삼국지 - 원전을 일본어로 번역. 요코야마 미츠테루에 의해 만화(전략삼국지 60권)로 만들어졌다.
- 미야모토 무사시 - 이노우에 다케히코에 의해 배가본드로 만화화되었다.
- 헤이케 이야기 - 후키 우오에나카 우라마츠 번역으로 영어로 번역되었다.
- 대망 - 윌리엄 스콧 윌슨 번역으로 영어로 번역되었다.
- Wasurenokori no ki (회고록) - 에드윈 맥클레란 번역으로 영어로 번역되었다.
'''요시카와 에이지 역사 시대 문고'''(고단샤):
번호 | 제목 | 비고 |
---|---|---|
1 | 검난녀난 | 검의 난, 여자의 난 |
2–4 | 나루토 비첩 | 3권 |
5–7 | 에도 삼국지 | 3권, 에도의 삼국 |
8 | 깡깡벌레는 노래한다 | "깡깡벌레(증기선, 보일러 등에서 녹을 제거하는 노동자)가 노래한다" 외 단편 |
9 | 감옥의 신부 | |
10 | 소나무의 로하치 | |
11–13 | 신란 | 3권 |
14–21 | 미야모토 무사시 | 8권 |
22–32 | 신서 태합기 | 11권, 태합전 페이퍼백 |
33–40 | 삼국지 | 8권, 삼국지연의 |
41–42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 2권 |
43 | 우에스기 겐신 | |
44 | 구로다 요시타카 | |
45 | 오오카 타다스케 | |
46 | 타이라노 마사카도 | |
47–62 | 신 헤이케 이야기 | 16권, 새로운 헤이케 이야기 |
63–70 | 사본 태평기 | 8권, 대평화 연대기의 개인적인 버전 |
71–74 | 신 수호전 | 4권, 수호전의 새로운 이야기 |
75 | 지로키치 고시 | "지로키치 고시" 외 단편 |
76 | 야규 츠키카게 초 | "야규 츠키카게의 서류" 외 단편 |
77 | 잊혀지지 않은 기록 | 잊혀지지 않은 것들의 기록 |
78–80 | 신슈 텐마 쿄 | 3권, 영웅 페가수스의 신성한 국가 |
'''기타 작품 목록'''
- 『요시카와 에이지 전집』 (헤이본샤: 전 18권, 고단샤: 구판 전 56권, 신판 전 58권)
- 『요시카와 에이지 문고』 (고단샤 문고: 전 161권)
- 『요시카와 에이지 역사 시대 문고』 (고단샤 문고: 전 85권)
- 친란기 (1923년)
- 반토 협객진 (1926년)
- 『신주 천마협』 전3권 (1926년-1929년)
- 검난 여난 (1926년)
- 『나루토 비첩』 전2권 (1927년-1933년)
- 박새 풀 종이 (1927년)
- 만화 지옥 (1929년)
- 『에도 삼국지』 전3권 (1927년-1929년)
- 『조개 껍데기 잇페이』 전2권 (1929년-1930년)
- 여래야 (1930년)
- 『용호 팔천구』 전4권 (1929년-1931년)
- 굶주린 쇼기대 (1930년)
- 사랑 수레 (1931년)
- 『에도성 심중』 전2권 (1931년)
- 까치벌레는 노래한다 (1932년)
- 『히야마 형제』 전2권 (1932년-1933년)
- 운무 염마장 (1933년)
- 타오르는 후지 (1934년)
- 여인만다라 (1934년)
- 사쿠라다 사변 (1934년)
- 알프스 대장 (1934년)
- 마츠노야 로하치 (1935년)
- 초사당 수필 (1935년)
- 자선 걸작선 (1935년)
- 유희 보살 (1935년)
- 푸른 하늘 사관 (1936년)
- 호접진 (1936년)
- 우콘・사콘 (1936년)
- 『미야모토 무사시』 전6권 (1936년-1939년)
- 현대 청년도 (1936년)
- 사랑 야마비코 (1936년)
- 노즈치의 백 (1936년)
- 『신편 충신장』 전2권 (1936년)
- 창가 잡초 (1938년)
- 『친란』 전2권 (1938년)
- 무명 저녁 (1939년)
- 비원 삼대탑 (1939년)
- 수필 미야모토 무사시 (1939년)
- 까치벌레는 노래한다 (1939년)
- 에도 장한가·사랑 역술가 (1939년)
- 야규 츠키카게초 (1939년)
- 차즈케 삼략 (1939년)
- 『삼국지』 전14권 (1940년-1946년)
- 『천병 동자』 전2권 (1940년)
- 『겐 요리토모』 전2권 (1940년-1941년)
- 『신서 태합기』 전9권 (1941년-1945년), 전11권 (1950년-1951년)
- 『매리 선생 행장기』 전2권 (1941년) - 도쿠가와 미츠쿠니를 다룸.
- 허무승 계도 (1941년)
- 매시의 지팡이 (1941년) - 라이 산요를 다룸.
- 일본 명부전 (1942년)
- 우에스기 겐신 (1942년)
- 남방 기행 (1943년)
- 검의 사군자 (1943년)
- 구로다 요시타카 (1943년)
- 『다카야마 우콘』 전2권 (1949년)
- 오카 엣젠 (1950년)
- 『신・헤이케 이야기』 전24권 (1951년-1957년)
- 타이라노 마사카도 (1952년)
- 때때로의 기록 (1953년)
- 잊혀진 흔적의 기록 (1957년)
- 수필 신 헤이케 (1958년)
- 『사본 태평기』 전13권 (1959년-1962년)
- 『신·수호전』 전6권 (1960년-1963년)
- 수필 사본 태평기 (1963년)
참조
[1]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吉川英治」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1-12
[2]
웹사이트
ペン部隊
https://kotobank.jp/[...]
2023-07-24
[3]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Modern Japanese Literature
Routledge
[4]
문서
「吉川英治と明治の横浜 : 自伝小説『忘れ残りの記』を解剖する」(横浜近代文学研究会編)は、山元町商店街の「梅ノ湯」という銭湯の辺りとする。現在ではマンション「ランドシティ横濱」
[5]
뉴스
文壇・詩壇・歌壇の三百五十人が参加
『東京朝日新聞』(昭和12年1月19日)『昭和ニュース辞典第7巻 昭和14年-昭和16年』p705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1994年
1994
[6]
문서
『回想の日本海軍』([[原書房]])所収の、「吉川英治先生と海軍」
[7]
뉴스
吉川英治氏が250万円で筆頭 芸能人の所得番付
日本経済新聞
1949-04-12
[8]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9]
웹사이트
菊池賞受賞者一覧
https://bungakushink[...]
日本文学振興会
2021-08-22
[10]
뉴스
吉川英治記念館 入館者減で閉館 20日最終日
毎日新聞
2019-03-17
[11]
웹사이트
吉川英治記念館、あすオープン 青梅市の施設として再出発 「新たなファン開拓したい」: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1-02-26
[12]
웹사이트
旧吉川英治邸(草思堂)が国の登録有形文化財(建造物)として正式に登録されました
https://ome-yoshikaw[...]
2024-09-08
[13]
웹사이트
魅力なスポット再発見 ウォーキングコースの紹介
https://www.city.sak[...]
2024-09-08
[14]
웹사이트
作家・吉川英治の文学碑お披露目 作品にも登場の園芸会社に
https://mainichi.jp/[...]
2024-09-08
[15]
웹사이트
吉川英治文学碑
https://www.city.kur[...]
2024-09-08
[16]
문서
吉川英治『随筆 新平家』(1958年)青空文庫リンク : 随筆 新平家
https://www.aozora.g[...]
[17]
서적
『石坂洋次郎』
学習研究社
[18]
뉴스
吉川英治氏の孫を大麻所持容疑で逮捕 神奈川県警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1-02-10
[19]
문서
호적에는 13일로 되어 있다.
[20]
문서
요시카와 본인의 자필 연보에는 출생지가 나카무라 근안으로 되어 있지만, 지명으로서는 나카무라 근안이 아니라 옛 지명인 나카무라 정(中村町)으로 지금의 요코하마 시 주오 구(中区) 야마모토 정(山元町)에 해당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