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계도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계도함수는 함수를 두 번 미분하여 얻는 도함수이며, f''(x) 또는 d²y/dx²로 표기한다. 멱의 법칙과 예시를 통해 이계도함수를 설명하며, 그래프의 오목성, 변곡점, 이계도함수 판정법 등 그래프와의 관계를 보여준다. 또한, 극한, 이차 근사, 고차원 일반화(헤세 행렬, 라플라스 연산자)를 통해 이계도함수의 개념을 확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분학 - 기울기 (벡터)
기울기(벡터)는 스칼라장의 특정 지점에서 값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과 변화율을 나타내는 벡터로, 함수의 등위면에 수직이며 크기는 해당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스칼라 함수의 각 성분에 대한 편미분으로 구성되며 나블라 연산자로 표현된다. - 미분학 - 음함수와 양함수
음함수와 양함수는 함수의 표현 방식에 따른 분류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양함수, 관계식이 한 식 안에 포함된 경우를 음함수라 하며, 음함수는 양함수로 표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고, 음함수 미분법, 음함수 정리 등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해석학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 해석학 (수학) -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스 변환은 함수 f(t)를 복소수 s를 사용하여 적분을 통해 다른 함수 F(s)로 변환하는 적분 변환이며, 선형성을 가지고 미분방정식 풀이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함수와 사상 - 적분
적분은 아르키메데스가 고안하고 앙리 르베그가 완성한 미적분학의 핵심 개념으로, 도형의 면적과 부피를 구하는 데 사용되며 미분과 역의 관계를 갖고, 확률, 넓이, 부피 계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함수와 사상 - 지수 함수
지수 함수는 양의 상수 *a*를 밑으로 하는 *y = ax* 형태의 함수이며, 특히 자연로그의 역함수인 *ex*는 다양한 정의와 응용을 가지며 복소수로 확장될 수 있다.
이계도함수 | |
---|---|
정의 | |
정의 | 어떤 함수의 도함수를 다시 한번 미분하여 얻는 함수이다. |
설명 | 함수의 변화율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
표기법 | |
라이프니츠 표기법 | $\frac{d^2y}{dx^2}$ |
라그랑주 표기법 | f''(x) |
뉴턴 표기법 | $\ddot{y}$ |
활용 | |
함수의 오목/볼록 판정 | 이계도함수의 부호를 통해 함수의 오목/볼록을 판정할 수 있다. |
변곡점 찾기 | 이계도함수가 0이 되는 지점에서 변곡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
최댓값/최솟값 판정 | 임계점에서 이계도함수의 부호를 통해 최댓값/최솟값을 판정할 수 있다. |
물리학 | 가속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경제학 | 한계 생산력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예시 | |
함수 | f(x) = x^3 |
일계도함수 | f'(x) = 3x^2 |
이계도함수 | f''(x) = 6x |
2. 표기법
함수 f(x)의 이계도함수는 일반적으로 f''(x)로 표기한다.[1][2] 이는 f'(x)를 한 번 더 미분한 것이다.
멱의 법칙을 두 번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계도함수에 대한 멱의 법칙을 얻을 수 있다.
:
라이프니츠 표기법을 사용하면, 독립 변수 x에 관한 종속 변수 y의 이계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d²y/dx²
이 표기법은 다음 식에서 유도된다.
: d²y/dx² = d/dx(dy/dx)
3. 멱의 법칙
:
4. 예
의 도함수는
:
이다. f의 이계도함수는 f의 도함수의 도함수이다. 즉,
:
5. 그래프와의 관계
이계도함수는 그래프의 오목성과 변곡점을 판별하는 데 사용된다.
5. 1. 오목성
함수 f의 이계도함수는 f 그래프의 오목성을 측정한다. 이계도함수가 양의 값을 가지면 그래프는 위로 오목(볼록함수라고도 한다)하게 되는데, 이는 접선이 함수의 그래프 아래쪽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이계도함수가 음의 값을 가지면 그래프는 아래로 오목(오목함수라고도 한다)하게 되는데, 이는 접선이 함수의 그래프 위쪽에 위치함을 의미한다.[2] [6]
5. 2. 변곡점
이계도함수의 부호가 바뀌면, 함수의 그래프는 아래로 오목에서 위로 오목으로 바뀌거나 그 반대가 된다. 이러한 경우가 일어나는 점을 '''변곡점'''이라고 부른다. 이계도함수가 연속이라고 하면, 비록 이계도함수가 0이 되는 모든 점이 변곡점인 것은 아니지만, 변곡점에서 이계도함수의 값은 0이 된다.
5. 3. 이계도함수 판정법
이계도함수를 이용하여 함수의 정류점(이 되는 점)이 극대인지 극소인지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계도함수가 이러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실생활에서의 비유를 들어보자. 처음에는 최대 속도로 앞으로 나아가지만 음의 가속도를 갖는 자동차를 생각해 보자. 분명히 자동차의 위치는 속도가 0이 되는 지점에서 출발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것이다. 이 지점 이후 속도가 음의 값을 가지면 자동차는 후진할 것이다. 최솟값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처음에는 가장 큰 음의 속도로 출발하지만 양의 가속도를 갖는 차량을 생각해보면 된다.
6. 극한
이계도함수는 극한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이 극한은 이계대칭도함수라 불린다.[11][12] 이 이계대칭도함수는 (통상적인) 이계도함수가 존재하지 않을 때도 존재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오른쪽의 표현은 평균변화율의 평균변화율로 나타낼 수 있다.
:
이 극한은 수열에 대한 이계 차분의 연속 버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위의 극한이 존재한다는 것이 의 이계도함수를 계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 뿐이지 정의를 주는 것은 아니다. 반례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 부호 함수 가 있다.
:
이 부호함수는 0에서 연속이 아니므로 에서 이계도함수가 존재하지 않지만, 에서 다음 극한은 존재한다.
:
7. 이차 근사
일계도함수가 선형 근사와 관련있는 것처럼, 이계도함수는 함수 f에 대한 최적화된 이차 근사와 관련있다. 이는 곧 주어진 점에서 f의 일계도함수와 이계도함수의 값과 같은 이차함수이다. x=a 주변에서 f의 최적화된 이차 근사식은 다음과 같다.
:
이 이차 근사는 함수의 x=a에서의 이차 테일러 다항식이다.
8. 고차원으로의 일반화
다변수 함수의 경우, 이계 편도함수들을 모아 놓은 헤세 행렬을 이용하여 함수의 극값 및 안장점을 판별할 수 있다. 이계 편도함수의 개념은 고차원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수 ''f'': '''R'''3 → '''R'''는 세 변수의 이계 편도함수와 이들이 섞인 편도함수를 가진다. 함수의 상과 정의역이 모두 고차원이 되면, 이는 헤세 행렬이라는 대칭행렬과 관련이 있다. 이 행렬의 고윳값은 다변수의 이계도함수 판정법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라플라스 연산자'''( 또는 )는 이계도함수를 일반화한 것이다. 이는 미분 연산자로 정의된다. 어떤 함수에 라플라스 연산자를 적용한 값은 그 함수의 그래디언트의 발산과 같고, 헤세 행렬의 대각합과도 같다.
8. 1. 헤세 행렬
다변수 함수의 경우, 이계 편도함수들을 모아 놓은 헤세 행렬을 이용하여 함수의 극값 및 안장점을 판별할 수 있다. 이계 편도함수의 개념을 통해 고차원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수 ''f'': '''R'''3 → '''R'''는 세 변수의 이계 편도함수:
와 이들이 섞인 편도함수
:
를 가진다. 만약 함수의 상과 정의역 둘 다 고차원이 된다면, 이는 헤세 행렬이라 알려진 대칭행렬과 들어맞는다. 이 행렬의 고윳값은 다변수의 이계도함수 판정법을 유사하게 함의한다. (이계 편도함수 판정법을 보라.)
8. 2. 라플라스 연산자
'''라플라스 연산자'''( 또는 )는 이계도함수를 일반화한 것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미분 연산자이다.:
어떤 함수에 라플라스 연산자를 적용한 값은 그 함수의 그래디언트의 발산과 같고, 헤세 행렬의 대각합과도 같다.
9. 같이 보기
- 미분 적분학 쉽게 배우기
참조
[1]
웹사이트
Content - The second derivative
https://amsi.org.au/[...]
2020-09-16
[2]
웹사이트
Second Derivatives
http://192.168.1.121[...]
2020-09-16
[3]
서적
Trigonometric S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Symmetric Properties of Real Functions
Marcel Dekker
[5]
웹사이트
Content - The second derivative
https://amsi.org.au/[...]
2020-09-16
[6]
웹사이트
Second Derivatives
http://192.168.1.121[...]
2020-09-16
[7]
간행물
Extending the Algebraic Manipulability of Differentials
2019
[8]
간행물
Reviews
https://maa.tandfonl[...]
2019-12-20
[9]
서적
Trigonometric S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Symmetric Properties of Real Functions
Marcel Dekker
[11]
서적
Trigonometric S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Symmetric Properties of Real Functions
https://archive.org/[...]
Marcel Dekk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